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주언,김미라,박순용,조아라,최형록,Mohamed Conde,임선희,심상인,전우진,정진웅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9 Journal of medicinal food Vol.22 No.6
Lizards are the evolutionarily closest animals to humans among the self-renewable species. Recent reports show that lizard tail extracts (LTE) inhibit the proliferation and angiogenesis of cancer cells but do not show any toxicity against human fibroblast cells. Nevertheless, few scientific studie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TE on the treatment of skin diseases, especially oxidative stress aging. Therefore, we explored the effect of LTE on the anti-aging activity of human fibroblasts. We confirmed the anti-aging effect of LTE by SA-β-galactosidase staining. In addition, the hydrogen peroxide-in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ere decreased by the LTE, as measured by staining with the 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reagent. We performed Western blot analysis to examine the signaling pathways. In conclusion, the LTE can prevent cellular senescence through the suppression of ROS and the downregulation of p21.
이주언 한민족어문학회 2024 韓民族語文學 Vol.- No.104
이 연구는 기형도의 시에 드러난 물화의 양상들을 고찰한 것이다. 헤겔의 인륜성 이론을 전유한 악셀 호네트에 의하면 모든 주체에게는 실존적 가치와 의미가 내재해 있는데 그것을 인정받지 못할 때 물화 현상이 일어난다. 기형도의 시에는 이런 물화의 양상들이 다양하게 형상화되어 있다. 먼저, 가족이라는 원초적 관계에 기인한 물화의 양상이다. 기형도의 시에서 가족 관계는 외형적 위태로움 속에서도 끈끈함을 유지한다. 그러나 가정환경으로 인한 인정 유보의 물화와 불우한 가족에 대한 측은지심으로 생성된 물화가 나타난다. 둘째, 인정 망각을 체계화하고 항구화하는, 당대의 사회적 메커니즘에 의한 물화다. 이는 사회구성원들을 습관화시킴으로써 발생한다. 기형도의 시적 주체는 자본주의 이데올로기 속에 숨어 있는 교묘한 메커니즘을 예리하게 감지하는 자이며 이런 물화를 겪거나 지켜보는 자로서의 심적 갈등을 보여준다. 셋째, 침묵자로서의 물화는 기형도 시인이 1980년대에 자기 자신에 대해 느꼈을 법한 사회적 존재감과 일치하는 유형이다. 사회적 주체로서의 인정투쟁에 나서지 못하고 고통스럽게 침묵해야 할 처지에 내몰려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결국 기형도의 시에 나타나는 물화의 양상들은 당대의 이데올로기적 메커니즘들에 굴복한 것이 아니라 그 양상들을 전경화하는 인정투쟁의 시작 단계로 볼 수 있다. 이로써 기형도의 시적 주체가 지향했던 최종의 목표지가 상호 인정이 완성되는 이상적 공동지대임을 유추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 of reification as conveyed in Ki Hyeong-do’s poetry. According to Axel Honneth, who draws upon Hegel’s theory of humanity, every individual possesses inherent existential meaning and value. However, when these aspects go unrecognized, reification emerges. Ki Hyeong-do’s poetry also expresses various facets of reification. The first aspect is the reification that arises within the fundamental familial bond. Despite external appearances, Ki Hyeong-do’s poetry reveals the enduring strength of this connection. The poems depict the reservations and pity that reification engenders within the family environment. The second aspect is the reification that occurs through habituation, which is a product of the contemporary social mechanisms that reinforce both recognition and the oblivion of recognition. Ki Hyeong-do’s poetic persona keenly perceives the subtle mechanisms embedded within capitalist ideology and portrays the anguish of experiencing or observing this phenomenon. The third aspect involves reification manifesting as silence, resonating with the social presence that Ki Hyeong-do, as a poet, may have felt during the 1980s. It represents the state of being forcibly confined to a position of silent suffering, unable to assert oneself as a recognized social subject. The reification depicted in Ki Hyeong-do’s poetry should not be seen as an acceptance of the political and social mechanisms of the time. Instead, it should be understood as the initial stage of a struggle for recognition that foregrounds the experiences of reification. The ultimate goal that Ki Hyeong-do aspired to was the creation of an ideal space where mutual recognition could be achieved. Through this pursuit, he expanded his self-reflective nature, deepened his understanding of others, and developed a more critical perception of the world.
팔미원과 Gliclazide이 실험적 당뇨백서에 미치는 영향
이주언,주영재 曉星女子大學校 藥學大學 學生會 1992 曉星藥誌 Vol.6 No.-
Streptozotocin was injected to rats to induce the experimental diabetes mellitus.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diabetic treatment by experimental method, Palmiwon and Gliclazide were administrated to observe the change of blood sugar, body weight, the weight of organ and alkaline phosphatase. And thus, the result was as follows. 1. The blood sugar level of diabetic rat was decreased after administration of Palmiwon with Gliclazide. 2. Body weight of diabetic rats was decreased after administration of Palmiwon with Gliclazide. 3. The levels of kidney alkaline phosphatase were recovered by administration of Palmiwon with Gliclazide.
이주언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9 No.-
Ki Hyeong-do is a poet who reveals the pain of life through aesthetic representation. In particular, he reveals the various spaces of human life through poetic figurations, which seems to raise a lot of questions about the contemporary society. It seems as if the poet's will to resist was strategized in various spaces. And it reminds readers of Lefebvre's words that space implies discourse having meaningful interaction with power. By analyzing the spaces embodied in Ki Hyung-do's poem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chanisms and human behavior or psychology, the poet's awareness of the problems scattered in contemporary society can be read. In this study, the social psychological meaning of space was investigated by classifying it into a cleavage space in the symbolic world, a space where power is reproduced, and a space of wrinkles where the poetic subject's desires are projected. According to the field theory of social psychology,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experience is constructed 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various situations, which constitutes the field of interaction. The various spaces in Ki's poems were also formed by interlocking the poet's psychological environment in the various personal and social situations and also atmospheres of the time. As a result, it makes them contemplate the subjective and conative life and rethink on the space in which life is realized. Although this study star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etic subject's spatial perception and the social situation of the 1980s when Poet Ki Hyung-do was active, the issue of perception as a human being thrown into the world is a transcending task. Therefore, it can also be effective for explaining the psychological symptoms of modern people who feel unfulfilled deficiency and fall into anxiety in social aspect. 기형도는 삶의 실상을 미학적 형상화를 통해 드러낸 시인이다. 특히 다양한 공간들을 시적 형상화로써 드러내는데, 당대 사회에 대하여 많은 질문을 던지는 듯하다. 이는 시인의 저항 의지가 다양한 공간들 속에서 전략화된 것으로 보이는 지점이다. 기형도 시의 공간들은 권력과 관련된 의미작용을 하며 담론을 함의한다. 본고는 기형도의 시에서 형상화된 이런 공간들을 사회적 메커니즘과 인간 행동이나 심리와의 관련성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당대 사회에 대한 시인의 문제의식을 읽어내고자 한다. 그의 시는 권력이 작동되는 공간에서 담론의 자격을 박탈당하거나, 상징계의 균열 지점을 드러내거나, 시적 주체의 토포필리아적 공간들을 창출하기도 한다. 이런 공간들의 시적 형상화는 저항성과 더불어 기형도의 시가 미학적 개성을 갖는 데에도 기여하고 있다. 이런 점들에 주목하여 기형도 시의 공간을 사회심리적 관점으로 살피면 세 범주로 볼 수 있다. 먼저, 침묵과 배제의 공간은 사람들이 사회체계로 편입되고 권력에 순응하게 되는 곳이며, 길들이려 하거나 길들어지는 삶의 모습을 보여주는 곳이다. 시에서는 가짜 친절과 억압이 행사되는 골목, 대학 교정, 사무실, 행사장 등으로 형상화된다. 그곳에서는 권력의 담론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고 복종하는 사람들의 모습, 그에 따른 고뇌의 심리를 드러내는 인물들이 나타난다. 편중된 권력을 정당한 것인 양 대중들로 하여금 받아들이게 만드는 공간이기도 하다. 둘째, 상징계의 균열을 보여주는 공간에서 시적 주체는 분명한 시야를 확보할 수 없거나 처음 보는 공간인 듯 낯섦을 느끼게 된다. 안개 낀 방죽, 백야의 거리, 망자의 혀가 흘러넘치는 거리, 얼음장 밑 등이 해당한다. 이는 상징계가 내포하고 있는 틈과 균열을 보여주는 것이며, 당대 도시인의 트라우마적 존재 양상들에 대한 서사이다. 셋째는 시적 주체의 욕망이 투사된 주름 공간이다. 자연과 정신의 겹, 신체와 영혼으로 가득 채워지는 겹, 규칙화된 공간과 혼돈 공간의 겹이라 할 지점에 주름 공간이 있다. 기형도의 시에서 주름 공간으로 볼 수 있는 곳은 유년의 집, 숲으로 된 성, 포도밭 묘지, 악기가 있는 어둡고 텅 빈 방, 어두운 천막교회 등이다. 상징계 진입 이전의 공간이거나 시적 주체가 안주하고픈, 생성의 에너지가 흐르는 공간이다. 사회심리학의 장(場)이론에 따르면 개인의 심리적 경험은 여러 상황들 간의 상호 관련성 속에서 구성되며 이는 상호작용의 장을 형성한다고 한다. 기형도의 시에서 형상화된 다양한 공간들도 당대의 개인적․사회적 여러 정황들과 시인의 심리적 환경 등이 맞물려 형성된 것이다. 그 결과 삶이 실현되는 우리의 공간을 되돌아보게 하고, 주체적․능동적 삶에 대해 숙고하게 만든다. 이 연구는 기형도 시인이 활동했던 1980년대의 사회적 상황과 시적 주체의 공간 인식과의 관련성에서 출발한 것이지만, 세계 속에 내던져진 한 인간으로서 느끼는 공간에 대한 인식의 문제는 시대를 초월하는 일일 것이다.
이주언,강대혁,박소연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2011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정신보건영역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정신과 재활서비스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해 제언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대한작업치료사협회에 등록된 협회원의 정보와 연쇄소개추출법(snowball sampling)을 통해 얻은 정보를 취합하여 선정하였으며, 주로 성인을 대상으로 치료하는 정신과 작업치료사 13명 중 11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일반적인 특성과 근무 기관의 환경, 재활 서비스, 평가방법, 정신과 작업치료의 발전방향과 전망으로 구성되었다. 전국적으로 정신과 작업치료사가 근무하는 기관의 수는 본 연구자의 근무지를 포함하여 총 12개였으며, 근무기관의 형태로는 전문정신병원, 종합병원,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 치료감호소 등으로 다양하였다. 연구자가 근무하는 기관을 제외 한 11개 기관 중 5기관에서 임상실습교육을 시행하고 있었으며, 작업치료사들은 다양한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정신과 작업치료의 전망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인력부족과 작업치료 평가도구의 제한적 사용,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부족은 앞으로 개선해야 할 점으로 지적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정신과 재활서비스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작업치료사의 전문적인 역할을 모색해 보았으며, 이를 통해 정신과 작업치료의 발전을 촉진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condition of rehabilitation service in mental health where occupational therapists work and suggested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future.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databas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utilized snowball sampling. Thirteen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with adult clients were identified and eleven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survey was composed of demographic information, work environment, rehabilitation services, evaluation methods, and personal view on the future of psychiatric occupational therapy. There were 12 institutions(including the researcher’s working site) nationwide where psych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working. The settings varied as mental hospital, general hospital,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halfway house, and forensic service. Five out of eleven institutions excluding the researcher’s working site were accepting students for fieldwork education. Psych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providing various rehabilitation services. Although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optimistic about the growth of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they were concerned about lack of manpower, limited use of occupational therapy evaluation tools, and lack of awareness on occupational therapy.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situation of rehabilitation service in mental health and suggested professional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tilized in facilitating the growth of psychiatric occupational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