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네트워크에서 PDA와 Wi-Fi를 이용한 원격 감시카메라 제어 구현

        이영웅 ( Young-woong Lee ),김종남 ( Jong-nam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6 No.1

        최근 감시카메라의 사용률이 증가하고 있다. 개인 사업체, 전문 감시업체, 일반 기업 및 공공기관 등 감시카메라는 폭넓게 사용된다. 하지만 현재 설치된 감시카메라는 녹화된 감시영상이나 카메라 컨트롤을 관리자가 언제 어디서나 확인하고 조절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TCP/IP기반의 네트워크에서 PDA로 Wi-Fi를 이용하여 접속한 후 감시카메라를 제어하거나 영상을 확인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서버 컴퓨터는 카메라의 영상을 받고 팬틸트 컨트롤을 하게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PC와 PDA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한 뒤 실시간으로 영상을 받아오고 카메라 팬틸트를 컨트롤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내용은 Wi-Fi가 사용가능한 곳에 있는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감시카메라의 영상을 보고 컨트롤 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 무선조종과 모션 센서를 이용한 지능형 무선감시카메라 구현

        이영웅(Young-Woong Lee),김종남(Jong-Nam Kim)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7 No.1

        최근 지능형 감시카메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연구들은 대부분 통합시스템 구현보다는 단일 모듈에 대한 성능향상에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얼굴검출, 모션 센서 통합 모듈로 구성하는 무선 감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무선 감시 시스템의 구현에는 sharp사의 카메라 모듈과 ecom사의 무선영상전송 모듈, roboblock의 ZigBee RF 무선컨트롤 송수신 모듈을 사용 하였고, 모션 센서 모듈에는 PANASONIC의 AMN14111를 사용하였다. OpenCV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얼굴검출과 MFC로 소프트웨어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시스템은 모션 센서를 이용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이나 얼굴검출이 필요한 시스템, 원격조정이 필요한 작업환경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Recently, intelligent surveillance camera systems are needed popularly. However, current researches are focussed on improvement of a single module rather than implementation of an integrated system.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 wireless surveillance camera system which is composed of face detection, and using motion sensor. In our implementation, we used a camera module from SHARP, a pair of wireless video transmission module from ECOM, a pair of ZigBee RF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from ROBOBLOCK, and a motion sensor module (AMN14111) from PANASONIC. We used OpenCV library for face dection and MFC for implement software. We identified real-time operations of face detection, PTT control, and motion sensor detection. Thus, the implemented system will be useful for the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human detection, and using motion sensor.

      • KCI우수등재

        초점사건의 재구성(reconstruction)과 정책학습 유형 간의 시차성(Time Lag)이 ERPL 모형(Event-Related Policy Learning Model)을 정교화할 수 있는가? - ‘가습기살균제 특별법’ 제정 과정을 중심으로 -

        이영웅 ( Young Woong Lee ),이동규 ( Dong Kyu Lee ) 한국정책학회 2020 韓國政策學會報 Vol.29 No.2

        ‘학습’은 정책변동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그러나 정책학습 선행연구에 따르면, 개념의 조작화와 학습 과정을 모형화하기 위한 시도는 엄밀하지 못하였다고 지적하였다. Birkland(2006)의 ‘사건 관련 정책학습(Event-Related Policy Learning Model: ERPL) 모형’ 역시 초점사건 판단의 자의성과 변수들의 조작화의 미비를 지적받아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책실패와 탈제도화 개념, 그리고 ERPL모형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 해당 모형의 한계점을 극복할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가습기살균제 사건’은 전례 없는 화학물질 참사이며 피해 강도와 규모의 심각성이 밝혀졌으므로 ERPL모형의 적용사례로 선정하였다. 관련 문헌과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의 자료를 증거로 수집하였고, 연구질문 해결을 위해 연구설계가 수정되었다. 연구 분석결과, 사회재난인 가습기살균제 사건은 ‘재구성’에 의해 ERPL의 ‘사건’으로 정의되었고, 의제설정과 의사결정 실패가 발생하였다. 이를 통해 초점사건에 ‘탈제도화’를 일으키는 정책실패를 포함하고, 이항변수로 설정된 후속 단계에 중간항을 두어야 모형 내에서 비선형성까지 고려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May(1992)의 3가지 학습이 모두 발생하였고, 정치적 학습은 두 정책학습과 음(-)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정책학습의 두 유형은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시기적으로 정치적 학습이 수단적 및 사회적 학습에 선행하는 시차성을 확인하였다. 모형을 정교화할 수 있는 지점들을 제시하였고, 재난 이후 장기 복구의 복잡성을 고려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Learning has been pointed to as the key cause of changes in policies. The preceding studies on policy learning showed, however, that not enough attempts had been made for “modeling.” The Event-related Policy Learning Model (ERPL) by Birkland (2006), who attempted to model policy learning, has also been criticized for its arbitrary determination of the focus event and for its non-operationalization of the variables. For this reason, this study attempt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relevant models by reviewing the concept of policy failure/deinstitutionalization and the ERPL model. Especially to confirm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ypes of policy learning, the results of a wide range of studies on policy learning were used as the bases for the design of this study. The process of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on Humidifier Disinfectants was selected for this study, and the related documents and the data in the computerized bill system of the National Assembly were used as evidenc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tragic incident concerning the humidifier disinfectant was a “major policy failure,” as clearly manifested by abundant evidenc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itial policy change did not happen properly. The group mobilization related to the incident, however, was more profound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In this process, it was discovered that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variable operationalization, “group mobilization” needs more indicators for its evaluation, so that instead of just assessing if there was mobilization, there should be intermediate-term mobilization (limited mobilization). In the example herein, all the three types of policy learning (political policy learning, instrumental policy learning, and social policy learning) took place, and political policy learning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instrumental and social policy learning while the two latter types of policy learning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lso, a time difference was discovered, where political policy learning preceded instrumental and social policy learning.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can make a practical contribution to identifying the policy intervention needed for desirable policy learning after a policy failure, through a theoretical contribution to the empirical refinement of the ERPL model.

      • KCI등재

        ‘청탁금지법’ 초점사건, 집단동원, 의제설정 연구: 정책 태도 평가를 위한 어조값(Tone measures) 측정을 중심으로

        이영웅(Lee, Young-Woong),이규명(Lee, Kyu-Myoung),이동규(Lee, Dong-Kyu) 한국지방정부학회 2019 지방정부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이하 청탁금지법)’ 제정과정을 사례로 선정하여 Birkland(1998)의 초점사건, 집단동원, 그리고 의제설정 차원에서 분석하고자 했다. 대통령, 의회, 헌법재판소 모두 청탁금지법의 입법취지 및 헌법합치에 대한 의견을 밝힐 때 세월호 사건을 언급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해당 법률과 세월호 사건 사이에 모종의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구체적으로 청탁금지법 통과에 영향을 끼친 초점사건이 있었는가?, 입법과정에서 의제설정과 집단동원을 확인할 수 있는가?에 대한 답을 찾고자 했다. 분석결과 세월호 사건은 Kingdon(2011)이 언급한 파급효과를 일으킨 다른 영역의 초점사건이었다. 정무위원회 회의록을 통해 공식적 행위자인 행정부와 입법부가 입법논의에 참여하여 최종산물인 위원회안을 도출해내는 동원에 나섰다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책학적 관점을 반부패영역의 입법과정에 적용하여 연구질문을 해결했으며 입법적 개선을 제안함으로써 이론적・정책적 기여를 동시에 해냈다. This study was design to analyze the passage of Anti-corruption law in 2015. Many formal actors including the president, legislators, constitutional court noted that the passage was related to Sewol-ferry disaster.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existence of focusing event and agenda-setting and mobiliz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ewol-ferry disaster was focusing event with a spill-over effect. Assembly proceedings supported our suggestion that the administration and legislative branch participate in discussions to reach an agreement. Our analysis brought mixed results on the convergence proposition. Committees couldn’t reach an agreement on interest conflict part of the bill. Failure to pass the part of the bill could make The Anti-Corruption & Civil Rights Commission to introduce the regulation on conflict of interest in 2019. The linkage between two legislative attempts can be a prominent site for policy change by learning. Though newly enacted Anti-corruption law greatly increase the probability of punishment, Korean society still needs more diverse and effective monitoring instruments for public sector’s corruption. These instruments will increase the probability of being caught. By solving research questions and suggesting improvements, this study contributed not only academically but also practically.

      • Biomorphic 표현특성을 적용한 Share Office 커뮤니티 공간 디자인에 관한연구

        이영웅(Lee, Young-Woong),윤은경,Hong, Kil-Nam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8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1

        Modern society is evolving with various changes. One of them, the phenomenon of polarization, is spreading across the entire spectrum of modern people. Individualization is also one of them, which is also evident in the work environment. Although the number of small enterprises is increasing, the quality of work environment i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large enterprises,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them to be relatively competitive, which causes the polarization of work quality to be further intensified. The "shared economy" based on cooperative consumption is also one of the important changes. The Share Office has emerged as a new conceptual work environment that will encourag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work environment by sharing work space, interacting with people in many other business forms, and sharing creative ideas and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community space in the Share Office is a critical space for small businesses to gain competitive edge. In designing the community space of Share Office, we utilize sustainability, dynamic formality, symbolism of color, abstraction of life, and super realism as the elements of expression of Biomorphic based on life and natu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mployees as well as the competitiveness of the small enterprises.

      • KCI등재

        정보중심분석법(Info-Centric Analysis)을 적용한 ‘일상적 긴급상황대응’에서의 다조직 네트워크 거버넌스 분석 연구

        이영웅(Lee, Young-Woong),이동규(Lee, Dong Kyu) 경기연구원 2021 GRI 연구논총 Vol.23 No.2

        A network of many organizations is required to respond to disasters. However, the overwhelming nature of disaster and the burden of coordination to manage them can sometimes lead to failure. Previous studies have pointed out challenges in disaster response involving various agencies. Recently it has been argued that appropriateness of network governance fo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complexity of threats. One of the major reasons for undermining the performance of large-scale disaster response was poor information sharing. For practical implications, we attempted to collect data and analyze them at a more microscopic level. To this end, a building fire case that occurred in the jurisdiction of the Busan Buk-Bu Fire Station was selected. Info-centric analysis, which established ‘information’ as a relationship rather than interaction between actors was applied after reflecting the context of the study. As a result, the information sharing networks governance form was a combination of leading organization (LO) and network administrative organization (NAO). Depending on the type of information and response period, info-sharing network showed difference in density, centralization, and core-peripheral structure fitness value (C-P value). Networks constructed from official documents and interpersonal networks based on survey were not identical in all aspects. Both were the same in that C-P value exceeded 0.5 which Nowell et al. (2018) predicted. When organizing a multi-organizational networks, the interoperability between each member’s LOs and NAOs should be considered in advance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response. In addition, attempts to expand the role of the all source situation room and create positions such as chief-learning officer’ are necessary to manage information collected and processed by response staff but lost during the official recording process.

      • KCI등재

        MAG 알고리즘에 의한 힐버트 변환기의 하드웨어 복잡도 감소에 관한 연구

        영웅(Kim, Young-Woong),이영석(Lee, Young-Se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1

        힐버트 변환은 무선 디지털 통신으로부터 수신된 대역통과 신호를 저역통과 신호로 변환시켜 사용자에게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힐버트 변환의 기본 연산과정은 승산과 가산 연산으로 구성되어 있으 며, 힐버트 변환을 하드웨어로 구현한 힐버트 변환기는 승산기 설계에서 많은 양의 게이트들을 이용한 설계가 요구되 고, 이에 따라 구현된 힐버트 변환기는 높은 소비전력과 넓은 면적을 차지하여 모바일 디지털 기기의 전체적인 성능 에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MAG(Minimum Adder Graph)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승산 연산의 복잡도를 감소시켜 디지털 통신기기 특히 모바일 시스템의 구성요소인 힐버트 변환기를 기존의 방법보다 더 적은 게이트를 이용하여 구 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Xilinx사의 ISE환경에서 모의 실험하여 성능의 우수함을 보여주었다. The Hilbert transform performs a role to transform band pass signals into low pass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The operation of Hilbert transform is based on a convolution process which is required adding and multiplying calculations. When the Hilbert transform is designed and hardware-implemented at gate level, the adding and multiplying operation requires a high power consumption and a occupation of wide area on a chip. So the results of adding and multiplying operation cause to degrade the performance of implemented system. In this paper, the new Hilbert transformer is proposed, which has a low hardware complexity by application of MAG(Minimum Adder Graph) algorithm. The proposed Hilbert transformer was simulated in ISE environment of Xilinx and showed the reduction of hardware complexity comparing with the number of gate in the conventional Hilbert transformer.

      • SCOPUSKCI등재

        고혈당증과 신적출 후 신증의 실험적 흰쥐 모형에서 신사구체의 형태계측학적 연구 - 사구체 경화증의 발달 과정과 기전에 관한 연구 -

        영웅 ( Young Woong Shim ),설미영 ( Mee Young Sol ),이경민 ( Kyeong Min Lee ),최경운 ( Kyung Un Choi ),김지연 ( Jee Yeon Kim ),이진숙 ( Jin Sook Lee ),박도윤 ( Do Youn Park ),이창훈 ( Chang Hoon Lee ),서강석 ( Kang Suek Suh )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6

        목적 : 당뇨병의 가장 흔한 합병증의 당뇨병성 신중에서 현저한 조직 변화인 사구체의 섬유화와 이와 유사한 조직 소견을 보이는 다른 질병들과의 관련성 및 섬유화 기전의 기전의 일단을 밝히기 위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당뇨병성 신증과 신 조직 일부 소실 후 발생하는 신 적출 후 신증, 생리적 노령화로 인한 사구체 섬유화 등에서 섬유화가 일어나는 시기와 부위, 섬유화의 정도와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험 동물 모형을 이용하여 형태계측학적 연구를 하였다. 수컷 Sprague-Dowley (이하 S-D) 흰쥐에 streptozotocin을 꼬리 정맥으로 투여하여 당뇨병성 신증 모델을 만들고, S-D 백서의 우측 신장을 절제하여 과여과 모형을 만들었다. 시술 후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시기별로 희생시켜 Sirius red 염색 표본을 만들어 시구체 단면적과 실질의 섬유화 정도를 측정하고, 전자현미경으로 얻은 사구체 소견에서 메산지움 기질의 면적, 사구체 기저막의 두께, 근위우곡세뇨관 기저막의 두께 등을 조사하였다. 이들에서 질병 시기에 따른 변화, 두 실험군 사이의 차이, 정상 대조군 및 생리적 노화 대조군과의 차이 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당뇨병성 신증 모델에서 사구체 단면적은 실험8주 이후 24주까지 전 예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크기가 의의있게 증가하였고 신 실질과 사구체 내의 섬유화는 실험 2주 째부터 대조군에 비해 의의있는 교원질 양의 증가가 있었다. 사구체 기저막은 streptozotocin 투여 1주에 희생시킨 군에서도 의의있는 두께의 증가가 있었고, 세뇨관 기저막도 3주에 측정한 군에서부터 현저한 두께의 증가가 있었다. 우측신 절제를 시행한 모형에서 사구체 평면적은 실험 7주군에서 커진 소견이 나타났고 16주 이후의 군대에서는 현저한 크기의 증가 소견이 있었다. 신실질과 사구체의 교원질 염색 소견에서 2주 이후 전 기간에 걸쳐 교원질 양의 증가가 있었고, 사구체 기저막과 세뇨관 기저막 두께는 술 후 2주에 희생시킨 군부터 두께가 의의있게 증가하였다. 생리적 노화과정을 거친 군에서도 사구체의 섬유화가 나타났는데 당뇨병 모형과 신적출 모형에 비해 그 정도는 덜하였다. 당뇨병 모형과 신적출 모형 사이의 사구체 조직 변화는 실험 기간이 긴 군들에서 사구체 평면적의 크기, 교원질 양의 증가, GBM과 TBM의 두께 등이 두 군 모두 현저한 증가를 보였고 신적출 모형에서 실험 최종 기간이 같지 않아 실험 수치의 비교가 의미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 이상의 성적에 의거하면 신사구체와 간질의 섬유화, GBM과 TBM의 두께 증가는 당뇨병성 신증만의 특징적인 조직 변화는 아니고 신 실질 일부 소실이 일어나는 사구체 질환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소견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대상이 된 당뇨병성 신중, 신적출 후 신증, 그리고 생리적 노화 과정 등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사구체 모세관의 혈역동학적 변화가 사구체의 섬유화에 병인기전을 밝히는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Diabetic nephropathy and ablation nephropathy are characterized by sclerotic processes in the glomeruli. To elucidate the site, degree and time-honored changes of glomerular sclerosis, morphometri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experimental animals models. Methods : The animals used were male Sprague-Dowley rats and separated into 4 groups as young mormal control, old control, streptozotocin-injected group, and right nephrectornized group. Chronologically kidney specimens were obtained after each treatment and processed to evaluated histologic changes. To evaluated the glomerular area, interstitial fibrosis and glomerular tuft fibrosis, the kidney specimens were fixed in Buin`s solution, paraffin-embedded and 2 ㎛ sections were Sirius red stained. To study the mesangial area, mesangial matrix area,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and tubular basement membrane, the specimens were fixed in 2,5% glutaraldehyde, epon-embedded, double-stained and examined under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ll the specimens were analyzed morphometrically using the Image Pro Plus software. The obtained morphometric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of fibrotic processes and degree between experimental groups. Results : Diabetic group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of glomerular area from 8th week after streptozotocin injection to 24th week of experimental date. The parenchymal fibrosis and glomerular tuft fibrosis was prominent from the 2nd week of injection and steadily increased until the end of experimental date. The thickness of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even at the first week of injection and the tubular basement membrane also increased in thickness at the 3rd week of experiment. Ablation nephropathy model made by right nephrectomy showed increased glomerular area at the 7th week of ablation and the degree were intensified after 16th week of experimental date. The amount of stainable collagen in the renal parenchyme and glomerular tuft increased in the second week kidney sample and steadily increased thereafter until the end of experimental date. The increase of thickness of GBM and TBM also started to appear at the second week of operation. The old control also revealed fibrosis but the degree was less than the diabetic and ablation groups. Both diabetic and ablation nephropathy groups exhibited extensive increase of glomerular area, stainable collagen, thickness of GBM and TBM at the end of experimental date and the ablation group revealed more extensive evidences of fibrosis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is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meaningless because the duration of the experimental manipulation was not the same. Conclusion: Glomerular and renal interstitial sclerosis and thickening of GBM and TBM are not the specific lesions of the diabetic glomerulopathy and are the common histologic changes occur in the kidney of partial parenchymal loss of any etiology. And it is suggested by this study that the common hemodynamic change involving the diabetic nephropathy, ablation nephropathy and physiologic aging is one of the important pathogenetic factors of glomerular sclerosis.

      • 알루미늄 범퍼 빔 개발

        이영웅(Young Woong Lee),권용우(Yong Woo Kwon),권순용(Soon Yong Kwon),조원석(Won Suk Cho) 한국자동차공학회 1996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1996 No.11_1

        Aluminum bumper reinforcement beam which is extruded in the hollow shape was developed as a substitute for the conventional GMT(Glass Mat Thermoplastic) beam due to their low cost and good working condition as well as their extruded structure, which has a advantageous effect on high strength. In design technology of aluminum bumper reinforcement beam, optimization of beam section which is suitable for weight saving and improvement of collision performance was performed by structural analysis using FEM. In processing technology, the extrusion material which is profitable to cost and productivity was selected, then, the extrusion and bending process was developed for the manufacturing of bumper beam.<br/> As a result of strength test of aluminum bumper reinforcement beam, aluminum has at least 70% higher energy absorption than the GMT beam with equivalent weight.<br/> <b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