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延平答問≫流傳過程及其結構之考察

        유승상 한국철학사연구회 2004 한국 철학논집 Vol.0 No.15

        朱子(1130-1200)가 진정으로 二程의 洛學系列의 思想體系와 그 學問方法을 계승하고 理學을 集大成할 수 있는 바탕을 갖춘 것은 李延平(名侗, 字愿中, 1093-1163)을 師事한 후에 비로소 이루어 진 것이다. 일반적으로 朱子와 延平 관계를 연구하는데 있어 朱子의 文集과 語類에 나타난 延平記事와 延平答問을 주요한 근거로 삼는다. 전자는 延平을 논함에 있어 粗略零散하고 또 隨問應答한 곳이 많은 반면, 延平答問은 年月의 先後에 따라 編次하여 그 논술함에 系統性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이 책은 流傳過程 상에서 각종 판본 사이에 體系가 不同하고 內容增減과 文字出入이 비교적 많이 나타나고 있다. 宋元時期에 延平答問의 名稱과 編者에 대하여 아직 통일된 견해가 보이지 않으며, 明淸時期에는 각 판본 사이의 편집과 내용 등에서 비교적 편차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단, 이시기 유전과정에서 明代 周木의 校正本의 중요한 작용을 부인할 수 없다. 그 思想을 살펴보면 經學, 理學, 時事方面 등 그 다루는 내용이 아주 광범한데, 그 표면상에 나타난 가장 큰 특징은 論語의 硏究에 집중하는 하는 점이다. 당시 朱子의 論語에 대한 연구는 全面性과 系統性을 갖추고 있으며, 이는 바로 朱子의 延平師事時期 학문과정 중 하나의 커다란 特徵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그 내용 가운데 “理一分殊”思想과 “靜中未發體驗”問題는 朱子가 延平에게 가르침을 받은 사상 중 가장 歷史的 意義를 띠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朱子의 延平師事時期의 思想演變을 고찰하는데 있어서 이 延平答問一書를 가장 중요한 자료로 삼는다. It was not until Zhuzi(朱子: 1130-1200) had studied under Li Yanping(李延平: 1093-1163) that he could equip himself with the basis to succeed to the thought system and the academic methodology of Luoxue(洛學) which was founded by Er Cheng(二程). In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Zhuzi and Li Yanping, stories about Yanping which appear in the books ZhuziWenji(朱子文集) and ZhuziYulei(朱子語類) written by Zhuzi and the book Yanpingdawen(延平答問) are generally cited. The former has many points which are too coarse, dispersed, and contingently answered, whereas the latter is systematically stated in time order. Therefore, the book Yanpingdawen(延平答問) is used as the most important material in inquiring the change of Zhuzi’s thought in the period that he studied under Li Yanping.

      • KCI등재후보
      • KCI등재

        宋代 「河圖洛書」圖象의 出現과 그 定立過程

        유승상 중국인문학회 2019 中國人文科學 Vol.0 No.72

        北宋出现的三种易图即《先天图》﹑《河图洛书》﹑《太极图》,对后世影响极大,至今不衰。然自南宋初,朱震首次提出三种易图均“来自陈抟”之说以来,对其渊源,历来众说纷紜,至今难成定论。至于《河图洛书》,在文字上的记载早已见于先秦古籍。其外汉儒注说及纬书也经常言及,而均无图象。直到北宋中期刘牧首先提出图象于《易数钩隐图》。其后在易学发展史上以象数学的根据对后世影响至大。然而,由于其图像在宋代首次出现,对其渊源及名称等真伪问题后世辨说纷纷,尤其是其图像也经过“河洛九•十之争”等的几种曲折而才定立。其来源问题,是三种易图中论述最复杂﹑真伪最难辨的案子。其传授过程中的人物,生平与学问均无确切的历史记载,不甚了然。因此,本文首先对其来源问题上对朱震所提的“来自陈抟”之说及刘牧《易数钩隐图》的内容加以分析,指出其矛盾之处;再次探讨《河图洛书》的思想源流,提示汉唐记录与宋代图象互不相关;最后探讨“河洛九•十之争”的过程而明确理解《河图洛书》图象之转变。基于此,本文提出《河图洛书》图象出现的意义。

      • KCI등재후보

        예수회 중국 활동의 선구적 성과인 『천주성교실록』에 대한 초보적 연구

        유승상(You, Seung Sang)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1 신학과 철학 Vol.- No.18

        16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중엽까지 예수회 선교사들이 중국에 들어와 활동을 하였다. 그들의 활동은 종교적 차원에만 그치는 것이 아닌 중국과 유럽의 이질적인 두 세계에게 본격적인 문화적 교류를 촉진시키는 역사적 공헌이었다. 마테오리치는 이러한 교류를 궤도에 오르게 한 중심인물이다. 그러나 선교사 활동의 최초의 문헌적 성과는 루지에리의 『천주성교실록』으로 알려져 있다. 이 책은 중국에서의 최초의 천주교 교리서이며, 서양언어로부터 한어로 번역된 첫 번째 서적으로 현재까지 알려진 문헌 중 서구인이 한문으로 작성한 최초의 저작이다. 그러나 이 책의 초판본(1584년)은 『신편서축국천주실록』으로 불교적 색채가 있어서 이를 바로 잡고자 리치가 『천주실의』를 지었다. 그 영향으로 후임 선교사들이 초판의 불교적 색채를 제거하고 내용도 약간 수정하여 “천주성교실록”으로 개명하여 출간(1637년 이후)하였다. 따라서 초창기 선교사들의 사상을 보다 명확히 알기 위해서는, 우선 이 세 저술에 대한 내용은 물론 저술배경, 상호영향 그리고 전후변화 등 방면에 구체적인 이해가 우선 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 이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은 초보적인 연구로 루지에리의 활동과 업적 그리고 『천주성교실록』의 판본과 구성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소개하는 데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Jesuit missionaries’ activities in China (from the second half of the 16th century to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were not limited to a religious dimension but a historical contribution to the promotion of real cultural exchanges between two worlds, namely, China and Europe. Matteo Ricci was the central figure in the history of such exchanges. However, the first literary fruit of Jesuit missionary activities in China is known to be Michelle Ruggieri’s 『cheon-ju-seong-gyeo-sil-lok』. It was the first Catholic catechism in China as well as the first among the books known to be written in Chinese by Europeans. However, Ricci wrote 『cheon-ju-sil-ui』to correct the first edition of the book, 『sin-pyeon-seo-chuk-guk-cheon-ju-sil-lok』(1584) that showed affinity to Buddhism. In the wake of Ricci’s influence, later missionaries came to produce a reworked version of Ruggieri’s original work with a new title, 『cheon-ju-seong-gyeo-sil-lok』(after 1637). Therefore, in order to gain a more precise understanding of the thoughts of the first Jesuit missionaries in China, detailed researches are desired first, with respect to these book’s contents, contexts, mutual influences and the likes. Hence, this article, being the first approach to such researches, intends to serve as an introduction to Ruggieri’s works and achievement and, especially, editions and the structure of contents of his book, 『cheon-ju-seong-gyeo-sil-lok』.

      • 웹 취약점 잘못된 조치 사례 및 취약점 조치방법에 대한 연구

        유승상, 조인준 배재대학교 공학연구소 2021 공학논문집 Vol.23 No.1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state agencies and companies are processing using business programs implemented on their respective websites. Due to this processing method, homepage services necessary for work and daily life are continuously increasing, and hacking accidents are also increasing 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such hacking accidents, web vulnerabilities can be checked and hacking accidents can be prevented by actions such as taking measures against discovered vulnerabilities, but wrong measures can lead to hacking accidents as vulnerabilities are not remov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elp prevent hacking by shortening the time to remove vulnerabilities by presenting accurate measures based on cases of wrong measures against major vulnerabilities of administrative agencies. 시대의 발전에 따라 국가 기관 및 기업에서 각각의 홈페이지에 구현되어 있는 업무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처리하고 있다. 이러한 처리방식으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업무 및 일상에 필요한 홈페이지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해킹사고 역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해킹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웹 취약점 점검을 진행하며, 발견된 취약점을 조치하는 등의 행위로 해킹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나 잘못된 조치 방법으로 인하여 취약점 제거가 되지 않아 해킹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해당 논문에서는 행정기관의 주요 취약점 TOP10에 대한 잘못된 조치 사례를 바탕으로 정확한 조치 방법을 제시, 취약점 제거 시간을 단축하여 해킹 예방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 천연물의 항염증작용 검색에 관한 연구

        이숙영,정수연,승상,류항묵,이은방,양지선,태무 식품의약품안전청 1997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1 No.-

        본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in vivo 동물모델을 이용한 항염증제의 효력 검색법을 확립하여 항암증제의 효력시험 수탁고시에 따른 시험법을 확립하고, 비교적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을 대상으로 항염증작용 검색 및 ㅡㄱ 기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표적인 급성 염증 모델인 rat에서의 carrageenan 및 PAF 유도 족척부종법, 염증반응 1기의 대표적인 현상인 백혈구 유주도를 측정하는 모질인 meuse에서의 zymosan운토 백혈구 유주 억제도 측정법, 염증만응 3기의 섬유화 현상을 측정하는 모델인 rat에서의 cotton pellet유도 육아종 형성 측정법, 만성 염즈으이 대표적 모델인 ratd에서의 adjubant 유도 관절염법 등 6종으 in vivo호력 시험법을 표준화하고 당귀와 원방풍 물 , 추출액, 은행엽메탕올 추출액, 죽염 수영액의 항염증작용을 검색하엿다. 당귀 물 추출액(1g/kg), 은행엽 메탄올 추출액 (1g/kg),죽염(1.5g/kg)은 carrageenan 및 PAF 유도 부종을 유의하게 억제하였고, 이중 은해엽 메틴올 추출액은 모세혈관 투과도를, 죽염은 육아종 형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검색한 천연물 중 zyinosan 유도 백혈굴 육주 및 adjuva띠:유도 관절염에 대해 항염증 작용을 갖는 물질은 얼었다. Carrageenan 유도 족척부종에 대한 항염증 작용 중은행13탄을 추출액과 죽염은 초기 및 후기 부종 전시간대(0.511r~6hr)에 걸쳐 항투종 작용이 있었으나 당귀 물 추출액은 carrageenan 유』A 부종 쵸기(1시간 이내)와 PAF 유도 부종에 대해 항루종 작용이 있어 carrageenan유도 분종의 초기 단계는 매개물질로 PAF가 관련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당귀의 항염증작용은 염증 매개 물질인 PAf의 작용을 억제하여 나'타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실험을 통하여 염증반응 각 단계에 대한 항염증작용 겋색법을 화립하여 항염증제의 효력시험 수탁 고시에 따른 시혐법을 표준화하였고, 비교적 부작용이 적은 수종 천연물을 대상으로 항영킁제로의 이용 가능성롸 그 기전을 연구하였다. These studies frere coadocted to standardize the screenin.g raethods o( antiinflammatorf , agents and to investigate antilnflamraatory effects and mechanism of .sction of natural products. Thmethods of "carrageenan induced foot edema", "PAF (platelet activating (actor) induced foot edema","inhibition test of vascular perra☞ability", "inhibition test of white blood cell migration", "formation egranuloraa" and "adjuvant indLiced arthritis" were estabilish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fngeff-ca gigat fedeDoHriefBa sefefoifer, eiHfgo fifaD3 and Bamboo salt (Jukyom ) were investigated by in ri:same administration of methanolic extract of Ginkgo folium also inhibited the vascular permeability in - mice. The aqueous solution of Bamboo salt inhibited the formation of granuloma in SD rat at a oral dose -of Igfg. ABgelica gigantis rad;ix seems to have antiinflammatory effect by inhibition of PAF.

      • 손상골조직의 치유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에 관한 연구

        승상,정수연,양지선,태무,이숙영,김규정,김학성,류항묵 식품의약품안전청 1997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1 No.-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afflower-seed on healing of the open tibial fracture in rats. A total eighty male rats (13 weelts,450-500 g)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immediately afterfracturing the tibia, normal or 10% safflower-seed diet were giver arbitrarity. This treatment wasgiven for 8 weeks. Five er six rats were killed from each group at t, 3. 5. 7 days and 2, 4, 6, 8 weeksafter fracture. Fracture healing was evaluated by eramining the degree of wound healingmacroscopically, radiographf, bone histomorphonletry and histologfcal examination. After 1, 3, 5, 7days. the wound healiug was accelerated in safflower- seed diet group. Radiography does not reveal thedifference in fracture healing between two groups. After 2 weeks, safflower- seed had aB significant,stiinutatory effect on exterBal callus formation (p <0.05). But after 4, 6,8 weeks, no difference was otserved between normal and safflower-seed diet group in callus size. After 2,4,6 and 8 weeks, the hist☞logical study also revealed that the area of cartilage over the fracture site with bone on each side wasdecreased by endochondral ossification in safflower-seed diet group faster than in normal diet group. loconclusion, safflower- see4 stimulate fracture healing during the initial healing phase by enhancing thecallus 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