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후보

        다중 곡선 PSC 박스거더교의 비틀림 거동에 관한 해석연구

        우정원,임성순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2017 복합신소재구조학회논문집 Vol.8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orsional behavior within the geometric range of the curved PSC bridge designed and constructed in the recent work. Compared with the design specifications for torsion on the Korean Highway Bridge Design Specification(2010), the reasonable torsional reinforcement design criteria are reviewed and proposed for curved PSC girder. A numerical study investigates the torsional behavior of a curved PSC box girder. From the study on the geometrical shape of the curved beam and the torsion caused by the eccentric load of the vehicle loa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the design criteria for diaphragm and crossbeam as presented in the current Korean Highway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2010 & 2015) are based on the single PC box bridge applied by the FCM or ILM method, therefore the criteria is very conservative about the multi-box girder bridge type bridge in this study.

      • KCI등재

        알칼리-골재반응에 의한 콘크리트 포장 팽창과 그에 따른 교량손상 감소방안

        우정원,임성순,Woo, Jeong-Won,Yhim, Sung-Soo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7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1 No.5

        고속도로에서 콘크리트 포장의 알칼리-골재반응 발생 구간이 증가하고 있다. 알칼리-골재반응이 발생한 콘크리트 포장은 팽창하면서 인접 교량에 교대 변위를 발생시켜 다수의 손상을 발생시키고 있다. 현장 조사 결과 콘크리트 포장의 팽창량은 온도 신축에 의한 팽창률을 상회하면서 교량에 치명적인 하중으로 작용하고 있어 손상 방지를 위한 선제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알칼리-골재 반응에 의한 팽창 정도는알칼리-골재반응의 상태, 포장의 길이 및 도로구조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교량의 손상 방지를 위해선 콘크리트 포장의 팽창력을 이완시켜 주는 방안이 효과적이며 콘크리트 포장의 길이가 긴 구간은 아스팔트 치환공법이 유리할 것이다. The concrete pavement slabs that suffer expansion due to the Alkali-Aggregate Reaction(AAR) increase and the increase consequently causes unexpected displacement of bridge abutment. As the expansion due to the AAR is greater than that due to the temperature change, lethal load can act on bridge abutment. Therefore appropriate preventive measures may be necessary. The degree of expansion by AAR depends on the severity of AAR and geometry condition of concrete pavement and road structure.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bridge, it is effective to release the expansion force of the concrete. It would be advantageous to replace the concrete pavement with asphalt for a long section of concrete pavement.

      • KCI등재

        넓은 공극 범위에서도 안정된 소프트 스위칭 동작 가능한 개선된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

        우정원,문유진,김은수 전력전자학회 2022 전력전자학회 논문지 Vol.27 No.3

        In this paper, a single-stage alternating current (AC)-DC converter is proposed for the automated-guided vehicle wireless charging system. The proposed converter is capable of soft-switching under all input voltage (VAC: 220 Vrms ± 10%), load conditions (0–1 kW), and air gap changes (40–60 mm) by phase control at a fixed switching frequency. In addition, controlling a wide output voltage (Vo: 39∼54 VDC) is possible by varying the link voltage and improving the input power factor and the total harmonic distortion factor. Experimental results were verified by making a prototype of a 1-kW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 that operates with robustness to changes in air gaps.

      • KCI등재

        가족 친화적 조직분위기, 직장-가정갈등과 심리적 안녕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우정원,홍혜영 한국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friendly atmosphere in the organization, work-family conflic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by employe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surveys from 397 persons who work for large, medium and small company who’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regarding family-friendly atmosphere in the organization, work-family conflic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friendly atmosphere in the organization and work-family conflic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amily-friendly atmosphere in the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family-friendly atmosphere in the organization, work-family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ork-family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d significant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in relationship between family-friendly atmosphere in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ork-family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d meditating effec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aking family-friendly atmosphere in the organization should be preceded in order to maintain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life. Therefore, this research was meaningful in that supportive organizations and families can improv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inducing a stat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the employees. 본 연구는 직장인이 지각하는 가족 친화적 조직분위기, 직장-가정 갈등, 심리적 안녕감, 조직몰입과의 관계와 가족 친화적 조직분위기와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직장-가정 갈등과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 지역의 직장인 총 3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친화적 조직분위기와 직장-가정 갈등은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 친화적 조직분위기와 조직몰입은 유의미한 관계가 설명되지 않았다. 또한 직장-가정 갈등과 심리적 안녕감, 직장-가정 갈등과 조직몰입은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심리적 안녕감과 조직몰입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가족 친화적 조직분위기, 직장-가정 갈등, 심리적 안녕감이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 친화적 조직분위기와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장-가정 갈등과 심리적 안녕감이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직장인이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을 양립하는데 있어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조직이 가족 친화적 조직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조직과 가정에서의 지원으로 직장인들이 심리적인 안녕감을 높이고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제안하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교수지원 프로그램을 통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이 대학생의 학업 성과에 미치는 효과 연구

        우정원(Jeong won Woo),박영신(Young shin Park),안현아(Hyun ah Ahn),김경이(Kyung yee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대학에서 교수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된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대학생의 역량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C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역량기반 교과개발 교수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수 11명과 역량기반 교과목 수강 학생 38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2015년 2학기 교수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수들은 하계방학 기간 동안 1인당 1 교과목에 대해 맞춤형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하여 2학기 한 학기동안 수업을 진행하였다. 해당 과목을 수강했던 학생들의 자료를 수집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의 핵심역량이 수업을 들은 후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역량기반으로 개발된 과목을 들은 학생들은 이전 학기에 비해 개인의 학업 성취도의 향상도 확인되었다. 또한 학생들의 역량기반 과목에 대한 수업 만족도는 역량 과목 외 수강하고 있는 다른 수업들에 비해 뚜렷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교수들이 가르친 역량기반 과목이 아닌 다른 수업의 학생들에게서까지 유사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에서 역량기반으로 개발된 교육과정은 대학생들의 역량과 학업성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과, 교수지원 프로그램이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ed by individualized faculty development program on undergraduates’learning outcomes(core competency,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 satisfaction). Total 11 faculties who applied for the program participated in two workshops about competency development and design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program provided individual feedback about their course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86 students who took the courses developed through the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Undergraduates’core competencies were enhanced by competency-based class in the end of semester. Academic performances were improved by comparison with the former semester. Also, class satisfaction with the competency-based course were rat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rest of courses students taken. Besides, these findings were observed in data from students who took classes not with competency-based curriculums but with the same instructors participated in the faculty program. Implications for the utility and the benefit of a faculty program to develop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