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 이온 화합물의 설명 개념과 모형 및 학생 이해도 분석

        신혜영,우애자,Shin, He Young,Woo, Ae Ja 대한화학회 2016 대한화학회지 Vol.60 No.5

        이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이온 화합물의 설명 개념과 모형을 분석하고, 학생들이 이온 화합물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설문 검사하였다. 교과서 분석은 중학교 과학2 교과서 9종과 고등학교 화학 I과 화학 II 교과서 4종을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 검사는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1~3학년 학생 19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내용 분석 결과, 이온 화합물을 설명할 때 사용한 과학적 개념과 이를 표현하는 모형은 교과서 마다 차이가 있었다. 이온 화합물의 정의에서는 정전기적 인력, 강한 결합, 규칙적 배열, 결합비의 개념 중 몇 가지를, 이온 화합물의 성질에서는 녹는점, 부서짐, 용해, 전기 전도성 중 몇 가지를 선택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설명 없이 모형만 제시하거나 설명만 하고 모형은 제시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중학교 과학2 교과서에서와 같이 이온 화합물에 대한 별도의 성취기준이 없는 경우와 결합비나 용해와 같이 학년별로 동일한 개념을 반복하여 다룰 때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이온 화합물에 대한 학생 설문 분석 결과, 이온의 형성 과정과 결합비를 설명할 때 과학적 개념을 잘 적용하지 못하였고 모형으로 표현하는 것을 어려워하였다. In this study, ionic compound in the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scientific concept and model description and the student understanding through the questionnaires. Analysis of textbooks was performed for science2 of middle school and chemistry I & II of high school.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with 194 students including middle school 2nd grade and high school 1st-3rd grad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of textbooks, scientific concepts and models used to explain the ionic compound showe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s of textbooks. In addition, scientific models were provided with or without explanation for the scientific concepts. Second,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showed that students didn’t properly understood scientific concepts and models in the ion formation, stoichiometric ratio between ions.

      • KCI등재
      • KCI등재

        개방형 탐구를 경험한 예비과학교사의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변화

        조제희,우애자,Cho, JeHee,Woo, Ae Ja 대한화학회 2017 대한화학회지 Vol.61 No.5

        본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들의 개방형 탐구 경험이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서울 소재의 사범대학 내 과학교육과에서 개설된 '탐구화학실험'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10개의 주제로 개방형 탐구 실험을 진행하였다. 개방형 탐구 실험은 제시된 현상을 관찰한 후 조별로 탐구문제를 설정하여 가설을 세우고, 직접 실험을 설계하고 수행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 차례에 걸친 검사지와 개인 면담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p<.05). 하위 영역 중에서는 창의성, 초도덕성, 사회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이 외에도 개인 면담을 통해서 과학 지식의 주관성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친 것이 관찰되었다. 둘째,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학생들이 개방형 탐구를 경험한 초반에는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가 다소 부정적이었으나 계속해서 경험할수록 긍정적인 태도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scientific inquiry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xperienced open inquiry. The study was conducted in 10 sessions of open inquiry-based chemistry experiment. The subjects were 40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cruited from the experiment class. They received pre-test, mid-test, post-test on understanding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scientific inquiry of open inquiry activities. 20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mong them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scientific knowledge (p<.05). In particular, understanding of creativity and sociality parts improved gradually. Secon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ttitude toward scientific inquiry had changed negatively until the middle of the semester, and then changed positively later. The post-test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id-test score (p<.05).

      • KCI등재

        과학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윤회정(Yoon Heo jeong),우애자(Woo Ae 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과학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프로그램은 문제 중심 학습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6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추출한 과학 창의성 요소들이 각 단계마다 적절히 포함되었다. 프로그램은 7개의 주제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토론, 실험, 과학 글쓰기와 같은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학생들의 과학 창의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지를 이용하여 사전 검사를 실시한 뒤, 연구를 통해 개발한 과학 창의성 신장 프로그램을 중학교 2, 3학년 학생 6명을 대상으로 30차시 동안 적용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활동지를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 적용 후, 대부분 학생들의 과학 창의성은 신장되었으며 학생들은 프로그램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특히, 학생들은 친밀하고 익숙한 주제를 다룬 프로그램을 선호했으며, 창의적인 산출물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과 실험 활동이 포함된 프로그램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하지만 계획했던 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예측했던 것과 다른 실험 결과가 나왔을 때,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려움을 나타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와 유사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려는 교사들이 고려해야 할 점을 몇 가지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enhancement of scientific creativity.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model. It was consisted of 6 steps, and components for scientific creativity extracted from previous studies were included in each step. Seven problems were made dealing with various scientific subject and different activities such as discussion, experiment and scientific writing were included.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o 6 middle school students for 30 hours. After program was finished students perception were investigated using questionnaire and students learning material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described below. Generally, students showe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program. Especially, they preferred to familiar subjects, laboratory activities and discussion for making creative products. However, students were discouraged when the experiment results were different from what they had expected, and the problem solving processes were not proceeded as they had planned.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for those of who planned to develop a program for enhancement of scientific creativity. « Key Words : creativity, scientific creativity, model for enhancement of scientific creativity,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enhancement of scientific creativity.

      • KCI등재

        문제 중심 학습(PBL)을 적용한 ?무기화학실험?수업의 효과

        김영은,신예진,윤회정,우애자,Kim, Young-Eun,Shin, Ye-Jin,Yoon, Heo-Jeong,Woo, Ae-Ja 대한화학회 2010 대한화학회지 Vol.54 No.6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소재 대학의 "무기화학실험" 수강생을 대상으로 문제 중심 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 전략을 적용한 실험 수업을 한 학기 동안 진행한 후, PBL 전략이 '자기 주도 학습 능력'과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와 더불어 실험 수업에 적용한 PBL 문제와 PBL 실험 수업 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BL 전략을 적용한 "무기화학실험" 수업 후, 학생들의 '자기 주도 학습 능력'과 '과학에 대한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p < .05). 특히, '자기 주도 학습 능력'은 7개의 하위 영역 중 '학습자적 신념'을 제외한 6개의 영역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는 5개의 하위 영역 중 '과학의 유용성'을 제외한 4개의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 .05). 둘째, 학생들은 PBL 문제가 '자기 주도 학습'을 가능하게 하며 책임감을 가지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스스로 문제를 정의하면서 학습 과제를 선정해 나가는 수업 과정에 대해서는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학생들은 PBL 실험 수업을 통해 효과적인 학습을 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였으며, PBL이 실험 교과에 적합하고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수업 방식이라고 응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BL (Problem-based Learning) strategy applied to the "Inorganic Chemistry Laboratory" class. Especially, the changes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of undergraduate students were examined. In addition, perception on PBL problem and the PBL classe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cours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ttitude toward science' of studen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p < .05).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every sub-categories except 'self-confidence as a learner' for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every sub-categories except 'usefulness of science' for 'attitude toward science'. Second, the students expressed that PBL strategy provided opportunities to learn self-directively and responsibly, but the process of defining the problem was difficult. Finally on the survey toward PBL strategy, the students responded that PBL problems were authentic and helpful to learn problem solving ability. In conclusion, PBL laboratory course is effective for develop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science.

      • KCI등재

        ‘개방형 탐구실험’이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

        황혜경(Hwang, Hyekyung),우애자(Woo, Ae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7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방형 탐구실험이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과학과 핵심역량 중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서울 소재의 사범대학 예비과학교사를 대상으로 실험반과 비교반에 각각 ‘개방형 탐구화학실험’과 ‘안내된 탐구화학실험’을 한 학기 동안 9 차시에 걸쳐 진행하였다. 수업 처치 전과 후에 동일한 검사지를 사용하여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인식 검사와 사후에 개인 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적 문제해결력 분석 결과, 개방형 탐구와 안내된 탐구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5). 하위 영역 중 비판적 문제해결과 자료수집 및 분석 영역은 개방형 탐구의 효과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둘째,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분석 결과, 개방형 탐구가 안내된 탐구보다 유의미하게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하위 영역 중 의사 표현 및 의견조정 영역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pen inquiry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developing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among science key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 conducted ‘open inquiry chemistry experiment’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guided inquiry chemistry experiment’ for the comparative group for one semester. Before and after the class, we used the questionnaires and the personal interview to measure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between open inquiry and guided inquiry(p> .05). In that sub-area,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problem solving an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between the two groups(p< .05).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between open inquiry and guided inquiry(p< .05). In that sub-area,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ressing and coordinating opinions between the two groups(p< .05).

      • KCI등재

        블렌디드 러닝 탐구 실험 수업의 효과

        신예진(Shin, Yejin),우애자(Woo, Aeja)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탐구 실험 수업 방법을 개발하여 대학교「일반 화학 실험」수업에 한 학기 동안 적용한 후, 대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학습 동기’, ‘과학 관련 태도’ 및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실험 집단(N=20)에는 블렌디드 러닝 탐구 실험 수업을, 비교 집단(N=19)에는 전통적 실험 수업을 적용하였다. 블렌디드 러닝 탐구 실험 수업은 탐구 학습 모형을 바탕으로 ‘탐구 실험 문제의 도입’, ‘탐구 실험’, ‘보고서 작성 및 제출’의 3단계로 구성되며 온․오프라인 활동을 혼합하여 개발되었다. 블렌디드 러닝 탐구 실험 수업에 관한 본 연구의 결론은다음과 같다. 첫째, 면대면과 온라인상에서의 다양한 상호 작용과 교수자의 즉각적인 피드백이 학생들의‘과학 탐구 능력’과 그 하위 영역인 ‘기초 탐구 능력’, ‘통합 탐구 능력’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 동기’와 그 하위 영역인 ‘학습 신념의 통제’, ‘자기 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과학 관련 태도’와 그 하위 영역인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과학에 대한 취미적 관심’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실험 집단의 학생들에게 블렌디드 러닝 활동에 대한 ‘수업 만족도’ 설문을 실시한 결과, 동시적 웹 토론 학습이 유용하였고, 동료 학습자보다는 교수자의 즉각적인 피드백을 더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effects of a blended learning inquiry laboratory course when it is applied to a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course. Especially, the changes in 'inquiry ability', 'learning motivation', 'science related attitudes', and 'course satisfac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were examined. The blended learning inquiry laboratory course, based on inquiry learning, consisted of three stages: introduction to inquiry problems, inquiry experiments, and report writing and submission. Each stage was developed considering the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The experiment group (N=20) and the control group (N=19) carried out laboratory experiments separately, while having the same experiment topic for one semester.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blended learning inquiry laboratory course effectively improved 'inquiry ability' and its sub categories, such as basic process skills and integrated process skills, by providing various on/offline interaction and instant feedback to the students. Second, it is statistically effective on 'learning motivation' and its sub-categories, such as control of learning belief and self efficiency. Third, it is statistically effective on 'science related attitudes' and its sub categories, such as attitude toward science inquiry and interest in science. Fourth, when a course satisfaction survey was carried out, students responded that it was useful to participate in a synchronous web conference and they preferred web conferences with an instructor rather than with the students.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3학년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분석

        이서연(Lee Seo Yeon),우애자(Woo Ae 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9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 교과서에 과학의 본성이 얼마나 반영되어 있으며, 그 수준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3학년 과학 교과서 4종을 선정하였다.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은 4가지 범주(이영희, 2013)로 분류하였고, 과학의 본성 수준은 4가지 수준(김영선, 2013)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전체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은 범주 ‘Ⅰ. 과학 지식의 본성’ 51.2%, 범주 ‘Ⅱ. 과학적 탐구의 본성’ 28.6%, 범주 ‘Ⅲ. 과학적 사고의 본성’ 7.6%, 범주 ‘Ⅳ. 과학과 기술 및 사회의 관계의 본성’ 12.6%로 불균형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하위 요소 분포에서도 일부 하위 요소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 단원별 분석에서는 1~7단원까지는 교과서 전체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의 4가지 범주의 분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나, 8단원에서는 범주 Ⅰ이 가장 낮고 범주 Ⅳ가 가장 높은 결과를 보임으로써 상반된 분포가 나타났다. 둘째, 교과서 전체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수준은 ‘세련된 관점의 암시적 표현’이 88.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순수한 관점의 명시적 표현’이 0.2%로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그러나 각 하위 요소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Ⅳ-1)에서 명시적 표현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Ⅱ-2, Ⅲ-1), Ⅳ-1)은 세련된 관점보다 순수한 관점이 더 높게 나타났다. 교과서 단원별 분석에서는 8단원에서 명시적 표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7단원에서는 명시적 표현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nature of science(NOS) reflected in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followed by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r the study, the four kinds of textbooks were selected. The analysis frame proposed by Lee(2013) is used to analyze the nature of science into four categories. Also, for the analysis of the level of nature of science(Kim, 2013), classify for four leve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ature of science reflected on the textbooks showed that ‘Ⅰ.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51.2%, ‘Ⅱ.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28.6%, ‘Ⅳ. nature of interaction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12.6%, and ‘Ⅲ. nature of scientific thinking’ 7.6%.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nature of science reflected unevenly for each category, and focused on the specific sub-categories. In the analysis of the chapter, chapters 1~7 shows similar tendencies, on the other hand chapter 8 shows conflicting results. Second, the analysis of the level of nature of science showed that ‘informed view and implicit’ accounted for 88.8%, on the contrary ‘naive view and explicit’ accounted for 0.2%. Informed view showed much more than naive view, implicit expression showed more than explicit expression. In the analysis of themes, explicit express showed the most at the sub-themes Ⅳ-1), but Ⅱ-2), Ⅲ-1), Ⅳ-1) showed more informed view than naive view. Also, f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hapter, chapter 8 shows the most percentage on explicit, while other chapters show little explicit expression.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수업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박지윤(Park, JiYun),우애자(Woo, Ae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1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PBL)의 수업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01년부터 2016 년 6월까지 발표된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에서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중 ‘문제중심학습’, ‘PBL’, ‘효과’ 등을 교차로 검색 하여 최종적으로 112편의 논문을 선정하였고, 총 185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종속변인으로는 문제해결능력, 창의성, 학습동기, 자기주도 학습력, 학습태도와 학업성 취도를 조절변인으로는 연구대상, 중심교과, 지역, 수업형식과 수업기간을 선정하였 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수업은 종속변인 전체에 대해 중간 크기의 효과크기를 나타내었고, 그 중 창의성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조절변인에 따른 종속변인들의 효과크기의 동질성 검증 결과, 창의성을 제외한 모든 종속변인에서 이질적인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셋째, 문제중 심학습을 과학 교과에 적용하였을 때 타 교과에 비해 문제해결능력, 학습동기, 자기 주도 학습력에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낸 반면,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의 효과크 기는 가장 작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learning effects in the problem based learning (PBL) using meta analysis method. 112 research articles published from 2001 to June 2016 in Korea were selected by searching ‘problem based learning,’ ‘PBL,’ and ‘effect,’ and 185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BL compared to the traditional learning is a more effective learning method in improving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ity, learning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g=0.60). Second, all dependent variables except creativity shows heterogeneous effect size towards the moderating variables(I 2 =72.3%). Third, for science subject, PBL is the most effective in problem-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motivation. However, the least effective in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사이버가정학습의 이용실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중학교 과학을 중심으로 -

        정용란 ( Yong Ran Chung ),우애자 ( Ae Ja Wo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이용실태를 조사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사이버가정학습 사이트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4개 시·도의 중학교 1학년 학생과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가정학습 서비스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교사의 긍정적인 인식 및 이용 지도가 학생들의 사이버가정학습 이용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은 사이버가정학습이 과학 과목에 대한 흥미 유발과 자기 주도적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사이버가정학습을 사교육의 대안이 아닌 일반적인 학습 도구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사이버가정학습이 학생들의 과학 과목에 대한 흥미 유발, 학업 성취도 향상 및 자기 주도적 학습 유발 가능성에 대하여 긍정적이었으나, 공교육 보완 가능성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넷째, 교사들은 사이버 가정학습이 사교육을 대체하고 공교육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학교 수업과 밀접하게 연계된 내용과 방식으로 진행되고, 심화-보충학습 부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사이버가정학습의 사이버 교사 참여율을 높이려면 교사들의 과도한 업무와 수업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rospective directions of Cyber Home Study Sites, the web-based education service oper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mail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for the first year students and their science teachers of the middle schools located at 4 cities/provin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ctive public relations and teachers` positive attitude and guidance about Cyber Home Study Sites have a good influence on the students` use of Cyber Home Study. Cyber Home Study services should be closely connected with formal schooling, so that the students` school record could be improved. To reduce private education expenses, it is necessary to implant the perception that Cyber Home Study services are no less effective than the private education.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the teachers as cyber teachers of Cyber Home Study service, their excessive duties and classes should be reduced. In addition, most teachers answered that the deepening-supplementing learning in the science courses should be supplemented and developed for the effective operations of the Cyber Home Study ser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