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정과 연계한 "유아긍정훈육" 프로그램 개발

        심태은,김은심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1

        유아기는 사람과 사회관계에 대한 개념이 발달하기 시작하는 시기로 유아를 사회의 한 성원으로 양육하는 일은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이다. 훈육은 일상생활 속에서 유아가 옳고 그름을 스스로 터득하고 배우도록 하는 생활중심의 도덕교육이라고 볼 수 있으며, 유아 스스로 통제능력 및 삶의 기술을 발달시킬수 있도록 하는 긍정훈육이 필요하다. 또한 유아교육기관에서 아무리 좋은 교육을 받는다 하여도 가정에서의 일관되고 연계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긍정훈육에 있어서도 가정연계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연계 유아긍정훈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이 연계되어 긍정훈육 활동을 함께 실시함으로서 유아에게 책임감과 존중하는 태도를 키워주고 올바른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돕는데 있다. 본 연구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단계에서는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의 훈육유형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교사와 어머니의 훈육유형 비교연구를 실시하였고 올바른 훈육방법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유아교사들과 학부모의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둘째, 가정과 연계한 유아긍정훈육 프로그램은 훈육 및 긍정훈육과 관련된 국내 외 문헌들을 고찰함으로서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및 교수학습방법을 추출하였고 유아교육 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하여 수정, 보완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적합성 평가 및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12주간의 가정과 연계한 유아긍정훈육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성된 가정연계 유아긍정훈육 프로그램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연계 유아긍정훈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유아가 자신을 존중하고 바람직한 가치 및 태도를 길러 타인과 상호 존중하는 관계를 맺으며 삶을 플로리시하는 것이다. 둘째, 가정연계 유아긍정훈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긍정훈육의 기초세우기 단계인 ‘자존감, 책임감, 공감, 감사, 존중, 예의, 협력, 격려, 배려’의 9가지 덕목 익히기, 문제해결 및 성취단계인 학급회의 및 가족회의 등이 있으며 가정과 연계로는 우리가족 행복만들기, 감사통장, 칭찬통장, 소그룹 토론모임을 통한 학부모지원의 방법 등이 있다. 셋째, 가정연계 유아긍정훈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학습주기를 활용한 순환적 모형에 기초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으며, 가정연계는 가정통신문과 활동지를 가정에 발송한 후 다시 환수하는 형식으로 실시하였고, 정보공유하기, 의사소통하기, 참여하기의 세 가지 하위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넷째, 평가는 유아들의 학급 내 문제행동 감소여부 및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로 이루어진다.

      • KCI등재

        국내 대학에서의 디지털배지 도입과 활용: 교육현장과 산업체의 인식 및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심태은,나윤주,이선영 한국종교교육학회 2023 宗敎敎育學硏究 Vol.75 No.-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교육 및 산업계에서 디지털 배지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여 국내 대학에서 디지털 배지를 도입하기 위한 실현 가능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내용] 디지털배지에 대한 인식과 요구사항을 조사하기 위해 서울소재 A대학의 학생들과 국내 100대 기업에서 대학생 멘토로 활동하는 있는 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론] 첫째, 낮은 인지도에도 불구하고 학생과 기업은 디지털배지에 대한 높은 관심과 필요성을 나타냈다. 둘째, 디지털배지를 학습자의 포트폴리오 혹은 기술 및 경험 등 개인 이력 관리, 기술과 능력을 검증하는 평가 도구, 활용기관에 정보를 제공하고, 역량을 입증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학생과 기업 모두 교육 이력을 보여주는 배지를 가장 필요로 하였고, 그 다음으로 자격 및 역할을 보여주는 배지를 필요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지털배지의 정보에 대해 학생들은 업계 및 전문기관의 보증을 우선시한 반면, 기업은 달성한 역량의 설명을 강조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디지털배지의 도입과 활용을 위한 실질적인 활용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 This study explored the perceptions and needs for digital badges in education and industry, aiming to devise a feasible plan for their introduction in Korean universities. [Content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requirements of digital badg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students at A University in Seoul and employees who serve as university mentors at Korea's top 100 companies. [Conclusions] First, despite low awareness, students and companies expressed high interest in and need for digital badges. Second, digital badges were perceived as useful for managing learners' portfolios or personal histories of skills and experiences, as assessment tools to validate skills and abilities, an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employers and demonstrating competencies. Third, both students and organizations most wanted badges that reflected educational history, followed by badges that demonstrated qualifications and roles. Finally, when it came to information on digital badges, students prioritized endorsements from industry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whereas businesses emphasized a description of the achieved competenci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propos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adoption and utilization of digital badges.

      • KCI등재

        디지털 인재양성을 위한 SW⋅AI교육 연구동향 분석: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론을 적용하여

        심태은,예철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6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SW and AI education to foster digital talent. Method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 scoping review methodology was used to identify research questions and search for keywords for the study. For literature selection, we used the PRISMA-ScR guidelines and checklist to select the literature, extract the data, and present the results as of February 2023.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educational targets of SW and AI education by year, we found that the most studies were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2018 to 2022, followed by middle school students, university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was influenced by the mandatory ‘information’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implementation of policies to strengthen SW and AI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W and AI education is disconnected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it was suggested that ‘information’ education needs to be expanded in high schools to solve this problem. Second, the analysis of educational contents for each SW/AI education target was divided into ‘knowledge/understanding’, ‘application’, ‘analysis’, and ‘synthesis/evaluation’ by referring to Bloom's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latform to support the cultivation of digital human resources by applying SW and AI education to all curricula by educational target. Third, after analysing the educational results of SW and AI education by content, it was found that the research was focused on the administrative fiel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student-centred SW and AI-related curricula and programmes to foster digital talent, and to expand research that can influence student change. Conclusions In order to foster digital talent, the linkage of information education from elementary schools to universities should be strengthened and education that can respond to the acceptance of industrial sites should be expanded. In addition, courses and programs that adjust the difficulty of educational content for non-majors and take into account students' interests should be developed, and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spread it should be developed to foster digital talent.

      • KCI등재

        대학생이 생각하는 현장실습에 대한 인식 연구

        심태은,양윤정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5

        This study aimed to categoriz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sons why college students choose field practice before going to field practice. This study influenced the guidance of college students' career and competency development for social advancement through results. The Q methodology was used, and the Q sample consisted of 33 statements. The P sample consisted of 40 college students wishing to participate in the field practice. The analysis was coded in the order of statement numbers, and Q factors were extracted using the QUANL program. Type 1 was "a type that values social life experience", and type 2 was "a type that values job experience". The third type was "the type that strives for specification", and the fourth type was "the type that considers it a condition for self-growth." This study can be used as meaningful basic data for designing subjects and comparative activities when preparing for career design and employment at universities and college students who want to participate in field practice.

      • KCI등재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심태은,김은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것이다. 이를 통해 유치원과 가정에서 발생하는 훈육문제를 긍정적으로 해결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긍정훈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의 변화는 물론 좀 더 체계적인 훈육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S시에 위치한 N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4명을 실험집단으로, D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4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검사도구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평가척도와 유아행복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유아의 행복감에 대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은 유아들의 사회적 유능감과 행복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amily-connected positive discipline program for young children and apply it to five-year-old children to analyze its effects. To attain the goal, these authors conducted research to develop the program and then investigate its effects. The positive discipline program for young children in conjunction with their homes was established through various steps of status and needs analysis, literature research, topic development, and pre-research. The study was carried out on 48 infants and toddlers in an N and D nursery in Gangwondo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ir social competency and happiness after the positive discipline program. The tools used for the positive discipline prohgram for infants and toddlers were Assessment of Social Competence of Teachers and the Early Childhood Happiness Scale. Covariance analysis(ANCOVA)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SPSS 21.0 analysis program was used.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family-connected positive discipline program for young children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y, the total score of social competency and the scores of its subfactors, emotional control and emotionality, peer relation skills, and understanding of social norm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more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family-connected positive discipline program for young children on children’s happiness, the total score of children’s happiness and the scores of its sub-factors, parent relation, teacher relation, peer relation, awareness and achievement, immersion, spirituality, emotion,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indicated significantly more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mparative group.

      • 유전알고리듬을 이용한 자기동조 제어기

        任成雲,沈太銀 慶一大學校 1999 論文集 Vol.16 No.3

        This paper presents the method for the automatic tuning of a design weighting polynomial parameter of a generalized minimum-variance stochastic self tuning controller which adapts to changes in the system parameters with time delays and noises using Genetic algorithm. The self tuning effect is achieved through the recursive least square algorithm at the parameter estimation stage and also through the Robbins-Monro algorithm at the stage of optimizing a design weighting polynomial parameters. The computer simulation results are presented to illustrate the procedure and toshow the performance of the control system.

      • KCI등재

        부모애착 및 스마트폰 사용이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심태은 ( Tae Eun Shim ),이송이 ( Song Yi Lee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4 한국가족복지학 Vol.19 No.3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and smart phone use on the adaptation to college of college freshmen. The participants were 417 male and female students of D university for whom the scales of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parental attachment and smart phone addiction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parental attachment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were positively related and smart phone addiction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were negatively related. Th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alienation of parental attach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academic adjustment and social adaptation of the student when it came to their adaptation to college. Smart phone addi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only the academic adjustment of the student when it came to their adaptation to colleg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mart phone addiction had more significant effects on the academic adjustment of the student when it came to their adaptation to college than parental attachment did.

      • KCI등재

        유아교사와 어머니의 훈육유형 비교연구

        심태은 ( Tae Eun Sim ),김은심 ( Eun Shim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와 대상 연령 어머니들의 훈육유형의 전반적인 경향성과 차이를 알아본 것이다. 연구 대상은 강원도에 거주하고 있는 만 5세 이하의 유아를 자녀로 둔 어머니 400명과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00명이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와 어머니의 훈육유형은 관련변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사와 어머니의 훈육양상을 알 수 있었으며, 훈육에 대한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의 연계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urveyed discipline sty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ose of mothers, and explore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addition, this thesis explored the relationship among predictors as variables in gender and age of children, experience of teachers and types of early educational institutions in determining discipline styles of teachers. The search continued to explore relationship among predictors as variables in age of mothers, gender, age, and number of children in determining discipline styles of mother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400 mothers with children under 5 years old and 200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teaching in Gangwon Province, Korea. SPSS 21.0 was used to analyze the survey data. The result showed that differences between discipline styles of teachers and those of mothers were significant by variab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