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가미청심련자탕(加味淸心蓮子湯)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에 대한 임상고찰

        송현지,한재경,김윤희,Song, Hyun-Jee,Han, Jae-Kyung,Kim, Yun-Hee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07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21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effect of Kami-chungsimyeunjatang on atopic dermatitis and to surve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Methods 30 patients suffering from atopic dermatitis were treated with water extract of Kami-chungsimyeunjatang and the clinical evaluation were made by SCORAD index system before and after treatment. We also investigated some characteristics of improvements by using questionnaire. Results 1. Among 30 patients diagnosed as atopic dermatitis, 18 of the people were male(60%) and 12 of the people were female(40%). 2. Among 30 patients diagnosed as atopic dermatitis, 24 of them have family history of allergic disease(80%) and 18 of them have past history of allergic disease(60%). 3. The distribution of nursing method, 13 of them (44%) had powdered milk, 10(33%) of them had both breast milk and powdered milk, 7 of them (23%) had only breast milk. 4. 20 patients(67%) who have atopic dermatitis were less than 1 year old and 6 of them (20%) were between 1 or 2 years old. The initial lesion of 22(74%) of the patients were face and neck. 5. 9 patients(30%) of them answered that the symptoms are getting worse especially during the winter while 8 patients(25%)of them said summer. 6. The mean period of treatment value was $4.6{\pm}2.20$ months. 7. After treatmen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p<0.05) of extent, intensity, subjective symptoms and total SCORAD index score(p=0.001). 8. After treatment, 28(93%) of the patients were improved. Conclusions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we speculate that Kami-chungsimyeunjatang is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and further studies are needed with more clinical cases of hematological evaluation.

      • KCI등재

        아토피양(樣) 피부염 NC/Nga생쥐에서 가감소독음(加減消毒飮)의 투여가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송현지,한재경,김윤희,Song, Hyun-Jee,Han, Jae-Kyung,Kim, Yun-Hee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09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23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akamsodokum (KKSDU) on atopic dermatitis in an in-vitro experiment using an NC/Nga atopic dermatitis mouse, which has histological and clinical similarities to the condition in humans. Methods We evaluated $IL-1{\beta}$, IL-6, $TNF-{\alpha}$, $TGF-{\beta}$, IL-10 mRNA, CD4+/$IFN-{\gamma}+$, and CD4+CD25+foxp3+ in B and T cells of NC/Nga atopic dermatitis mouse by real-time PCR and intracellular staining in vitro. Results KKSDU medicines supressed $IL-1{\beta}$, IL-6, $TNF-{\alpha}$, $TGF-{\beta}$ mRNA and increased IL-10 mRNA in B cells. CD4+/$IFN-{\gamma}+$ and CD4+CD25+foxp3+ in T cells were increased by KKSDU. Conclusions KKSDU on atopic dermatitis might be very effective to the atopic dermatitis treatment.

      • KCI등재

        아토피양(樣) 피부염 NC/Nga생쥐에서 가감소독음(加減消毒飮)과 아토피크림-자운고(紫雲膏)의 병용투여가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송현지,한재경,김윤희,Song, Hyun-Jee,Han, Jae-Kyung,Kim, Yun-Hee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09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23 No.2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KKSDU and AJ on atopic dermatitis in an in-vivo experiment using an NC/Nga atopic dermatitis mouse, which has histological and clinical similarities to the condition in humans. Methods : We evaluated clinical skin score, hematology, serum total IgE and IgG1 of NC/Nga atopic dermatitis mouse and analyzed the cytoline level, total cell number,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histological features of axillary lymph node(ALN), draining lymph node(DL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PBMCs) and dorsal skin tissue in NC/Nga mouse. Results : Orally administration of KKSDU and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KKSDU and AJ decreased the clinical skin score, total cell number of WBC, platelet, neutrophils, eosinophils in blood, serum total IgE & IgG1, IL-5, IL-13. Also, total cell number of ALN and dorsal skin tissue, absolute cell number of CD3e+&CD19+, CD4+&CD8+, CD3+/CCR3+, CCR3+, CD3+/CD69+, CD3+/CXCR5+ in ALN, PBMCs, absolute cell number of CCR3+, CD3+/CD69+, CD11b+/Gr-1+ in dorsal skin tissue, Eotaxin2 mRNA, CCR3 mRNA in dorsal skin tissue and gene expression of IL-5 mRNA, IL-13 mRNA in ALN are significantly decreased. Furthermore, thickness of epidermis, infiltrated inflammatory immune cell & mast cell in dermis, histologic infiltration of mast cell, the size of inflammatory lymphocytes cells & plasma cells in ALN and histologic infiltration of CD4+ & CCR3+ in ALN and dorsal skin tissue are significantly decreased. However, total cell number of DLN, absolute cell number of CD3+&CD19+, CD4+&CD8+, B220+/CD23+, CD3+/CD69+ in DLN and CD4+CD25+foxp3+Treg cell, foxp3 mRNA in dersal skin tissue are in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s :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KKSDU and AJ on atopic dermatitis in an in-vivo experiment using an NC/Nga atopic dermatitis mouse was very effective to the atopic detmatitis treatment.

      • KCI등재

        아동 실어증 환아 증례 보고

        송현지,한재경,김윤희,Song, Hyun-Jee,Han, Jae-Kyung,Kim, Yun-Hee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08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22 No.2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a case showed some clinical improvement in treating child aphasia with oriental medicine. Methods : The patient had some problems in communication, intelligence and behaviors due to aphasia after brain injury caused by epilepsy. We treated the patient with herbal medicine(Yangsintangkamibang), acupuncture, verbal remediation and intelligence-learning treatment. We observed the clinical progress of aphasia and evaluated the case with PRES. Results : Oriental medical treatment alleviated patient's symptoms of aphasia and PRES was also improved.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oriental medicine can be a meaningful treatment for child aphasia, and more studies for oriental medical treatment for child aphasia is needed.

      • KCI등재

        김종삼 시의 올페 표상과 구원의 시쓰기 연구

        송현지 ( Song Hyun-ji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1 No.-

        본 논문은 김종삼의 「올페」연작에 나타난 올페 표상을 살펴봄으로써 올페가 김종삼이 시를 쓰는 데 있어 일종의 지표로서 작용하였던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김종삼은 「올페」연작에서 그리스 신화의 오르페우스(이하 올페)와 자신을 맞대어 놓은 후 올페는 죽어서도 직업이 시가 되는 반면, 자신은 그에 미치지 못하는 시인임을 고백하였다. 시인이자 음악에 유달리 관심이 많았던 김종삼에게 최고(最古)의 시인이자 음악가였던 올페가 매력적인 존재로 다가왔음은 당연한 일이겠으나 김종삼이 올페를 이상적 시인으로 생각한 것에는 보다 복합적인 이유가 작용한다. 그의 시에서 올페가 귀환 모티프를 통해 환기되고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 볼 때, 올페 신화에서 김종삼이 주목하였던 것은 노래와 음악을 통해 죽음의 세계에 있던 에우리디케를 구원하려 하였던 올페의 행위였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김종삼은 올페의 구원을 시쓰기의 지표로 활용하면서도 그것을 ‘에우리디케의 구원’이라는 그리스 신화적 맥락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는 사르트르의 「검은 올페」의 제목을 빌려 올페를 표상함으로써 그 구원이 모든 피억압자를 향한 것으로 그 대상이 확대되어 있음을 명확히 한다. 이는 김종삼의 시세계의 한 축을 차지하는 가난하고 약한 존재에 대한 그의 따뜻한 시선이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가를 짐작하게 한다. 김종삼은 검은 올페가 그러하였듯 죽음의 세계와 같은 현실을 살아가고 있는 사회적 약자들의 아픔을바로 보고, 그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연대의 아름다움을 시에 담음으로써 그들의 고통에 연대하고자 하였다. 그러한 시를 쓰는 방법 역시 올페의 그것과 닮아있는데 올페가 지상에서 가져간 악기와 자신의 입에서 나온 아름다운 사랑 노래를 통해 구원을 시도하였듯, 김종삼도 현실의 아름다운 순간을 평이한 언어로 노래함으로써 고통 받는 이들과 독자들이 순간이나마 참혹한 현실을 잊을 수 있게 하였다. 이처럼 김종삼이 시를 통해 올페와 같은 구원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김종삼의 올페 표상은 그의 시적 추구와 밀접한 관련 아래 생각해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spect which Orpheus acted as a poetic ideal for Kim Jong-sam by examining the Orpheus's representation in the 「Orpheus」series. Kim Jong-sam repeatedly suggested that he and Orpheus are different by directly comparing Orphe of the Greek mythology and himself since Kim Jong-sam regarded Orpheus as an ideal poet but Kim Jong-sam regarded himself as falling short of Orpheus. However, Kim Jong-sam having symbolized Orpheus as an ideal poet figure is neither because Orpheus is the oldest poet nor Orpheus is the prototype of an artist. Through the motive of return, Kim Jong-sam clarified that he regarded Orpheus in the context of savior by arousing the aspects of Orpheus in the Greek mythology who aimed to save Eurydice in the world of death by songs and music. However, the meaning of Orpheus as a savior is not limited to the Greek mythology context since the targets of salvation were expanded to all antisuppressors in the world after Kim Jong-sam symbolized Orphe by borrowing the title 'Black Orpheus' - the writing by Sartre which indicated the African American poets who showed solidarity toward those dominated and hurt. Through it, one can guess where the viewpoint of solidarity with regard to poor and weak existences comprising an axis of the poetry world by Kim Jong-sam is. He practiced the Orphic salvation by writing the poems of solidarity which see through a warm heart a number of Eurydices enduring the reality. Also, the method of writing the poems of salvation is very much similar to Orpheus. Just like Orpheus aimed to save others through the instruments taken fromearth and the beautiful songs, Kim sang the beauty of earth in simple language. The poems comprised of simple language in the world of poetry by Kim Jong-sam, which emphasize the sense of solidarity, can be understood to have been written as a part of the poetic practice by Kim Jong-sam to become a poet like Orpheus.

      • KCI등재

        행복반 미술활동을 위한 유아교사와 미술교사의 협력교수에 관한 사례연구

        송현지 ( Song Hyeon Ji ),채도연 ( Chae Do Yeon ),신동주 ( Shin Dong Ju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4 유아교육연구 Vol.44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미술교사가 협력하여 유아미술교육의 실행방안을 고안하여 실행하고, 협력교수 과정에서 이루어진 유아교사와 미술교사의 성찰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인 유아교사와 미술교사가 만 4세반 18명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협력교수를 실행하였고, 수업장면을 촬영한 자료, 유아교사와 미술교사의 면담, 저널, 문서자료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와 미술교사는 유아의 일상 속 미적 경험을 포착하고, 이를 미술활동으로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협력교수 전 과정에서 두 교사가 가진 미술에 대한 개념, 내용 지식 차이와 다양성을 서로 융합하여 실행할 수 있었다. 둘째, 협력교수 과정에서 상호작용과 교수방법에 대한 교사의 성찰을 불러일으켰다. 교사는 세심한 관찰을 통해 유아가 초대하는 순간을 포착하여 상호작용을 해야 하고, 기존의 미술교수방법에서 탈피하여 미적체험의 형태로 미술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미술교수방법을 제시하여 유아미술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유아미술교육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a preschool teacher and a visual art teacher cooperated to implement a plan for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he purpose was to examine the implementation of co-teaching and the participants’ reflections in the process. For this aim, the teachers engaged in co-teaching with a group of 18 four-year-old children. Data, including recorded classroom scenes, interviews with preschool and art teachers, journals, and document analysi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preschool and visual art teacher captured aesthetic experiences in the daily lives of young children and planned and executed art activities based on those experiences. Throughout the planning process, the teachers were able to integrate their different concepts and content knowledge about art. Secondly, the co-teaching process prompted reflection on interaction and teaching methods.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keen observation to capture moments when children invited interaction. There was also a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to move beyond traditional art teaching methods and to allow the transition towards an art education in the form of aesthetic experience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effective art teaching methods to enhanc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and propose solutions to overcome its current limitations.

      • KCI등재

        박재삼 시에 나타난 유년 체험 연구― 놀이 행위를 중심으로

        송현지 ( Hyun Ji So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8

        이 글은 박재삼의 시에 나타난 화자의 유년 체험 중 놀이 행위에 주목함으로써 박재삼의 시세계를 보다 심도 있게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박재삼의 시에서 시인과 구분되지 않는 화자는 자신의 유년시절을 회상하며 이를 서술하는 작업을 꾸준히 이어간다. 특히 놀이를 통해 세상과 조우하고 세상의 이치를 체득하며 성장했던 기억은 그의 유년 체험에서 매우 비중 있게 다루어진다. 박재삼에게 있어 놀이란 단순히 동심의 세계를 대변하거나 즐거움을 주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세계에 대한 그의 태도를 형성하고 이를 공고하게 하는 데에 기여한 행위였다. 놀이를 통해 그는 존재의 한계를 반복적으로 자각하는 한편, 자신의 인식 너머에 존재하는 세계에 대한 상상을 이어가며 현실과 구분되는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한다. 놀이를 하며 겪은 이러한 경험은 유년을 통과한 후 허무적인 인식에 빠진 그에게 위안을 줄 뿐만 아니라, 그러한 무상감을 극복할 방법 또한 알려준다. 유년에 대한 회상과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서술이 그것이다. 박재삼이 허무주의로만 침잠하지 않고 타계하기 전까지 활발하게 시를 쓸 수 있었던 원동력은 바로 여기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weighty meaning of Park, Jae sam``s childhood experience to provide an overview of Park`s poetry. In his poems, he continues to recollect his childhood days which are represented by two distinctive experiences. One is related to his poor family history and the other is involved in doing play activities. Although his play activities have had a major impact on Park`s inside consciousness, previous researchers have not concerned about it. Only the former experience has been focused in terms of tracing back his grief. Based on these results and the limits,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the importance of his play activities in his youth. While playing various activities, he repeatedly experienced the finite nature of human being. Not only that, those activities also intrigued him about the world beyond his understanding and encouraged him to create his own world. On the basis of those experiences, he found out the way of overcoming transitory. It is to bring back the memory of the past and describe it persistently.

      • KCI등재

        공간의 선형 이해를 위한 기초조형디자인교육

        송현지 ( Song Hyun Ji ),박영목 ( Park Yeong Mo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1

        선은 면을 구성하는 기본인 동시에 3차원의 공간에서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필수 조형 요소이다. 따라서 공간에서의 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적용 능력을 배양하는 것은 공간디자인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필수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2차원적 면에서의 선이 3차원적 공간에서의 선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직접 경험하여 입체공간에서의 선이 어떻게 표현되고 적용되는지를 체득할 수 있는 구체적 조형 실습 과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지각과 인지의 개념을 살펴보고 공간조형의 기초로써 형태의 특성(위치, 방향, 시각적 관성)과 공간의 구성(구심적 구성, 선형 구성, 방사형 구성, 집산형 구성, 격자형 구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그리고 조형교육에 있어서 핵심적으로 활용될 선에 대하여 종류별 공간에서 보이는 특성을 고찰하였다. 실습은 앞의 내용을 바탕으로 종이를 활용하여 진행되며, 2차원의 육면체 전개도면에 선을 구성한 뒤 이를 접고 붙이는 조작 과정을 거치며 탄생된 3차원적 공간에서의 변화된 선의 모습을 확인하고 그 의미 및 시각적 효과를 탐구할 수 있는 3단계(1단계:2차원에서의 선, 2단계:2차원→3차원 선, 3단계:3차원에서의 선의 구성)의 기초조형교육을 제안하였다. 필자는 이와 같은 입체조형 실습 과정이 공간디자인 전공 학생들로 하여금 공간을 계획 할 시 보다 연속적이고 입체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공간을 표현해 낼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 line is not only the base forming a plane but also the core formative element that could provide a variety of visual effects. Therefore, cultivating the ability of fully understanding and applying a line in space can be the essential process required to students who major in space design. In this study, students will directly experience the process of the transition of a line from two-dimensional area to three-dimensional space and learn how the line in three-dimensional space is expressed and applied with a detailed formative practice program. For this experience, the concepts of perception and recognition have been thoroughly examined, and theoretical contemplation has been put on properties of form(position, orientation, visual Inertia) and spatial organizations(Centralized organizations, linear organizations, Radial organizations, Clustered organizations, Grid organizations), as the basics of spacial formative. The practice is basically carried out based on the study above by utilizing a paper that is easy to change dimensions. Three-step basic formative education(Step 1: line in two dimensions, Step 2: From two dimensions to line in three dimensions, Step 3: organization in three dimensions) has been suggested. In the three-step basic formative education, the line of two-dimensional cube is formed in a blueprint, the manipulating process of folding and gluing the blueprint is followed, and lastly the changed line within three-dimensional space is verified. Furthermore, its meanings and visual effects are to be explored for considering its continuity.

      • 스마트폰 사용패턴 분석을 위한 원격 로그데이터 수집 시스템 구현

        송현지 ( Hyun-ji Song ),이민경 ( Min-kyung Lee ),정희원 ( Hee-won Chung ),유석종 ( Seok-jong Yu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1

        다수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패턴을 협업적인 방법으로 분석할 경우 모바일 기기에 대한 선호도 분석, 과몰입 정도 판단 등 다양한 관련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의 사용패턴 분석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개발을 위하여 로그데이터를 추출하여 서버에 저장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용자의 스마트폰 로그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모바일앱을 개발하고 모바일앱을 통해서 추출된 로그데이터를 저장할 서버 DB 를 구축하고 유사성 분석을 위한 협업필터링 엔진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일부 사용자에 대한 사용패턴 데이터셋 구축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실험 환경을 설계하였다.

      • KCI등재

        시행 분절과 이미지의 상관관계 연구 ― 박용래의 시를 중심으로 ―

        송현지 ( Song Hyun-ji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0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80

        본 연구는 박용래의 시를 대상으로 시행 분절과 이미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시행 분절은 시의 리듬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는 까닭에 운율론적 맥락에서 논의되었으나 박용래 시의 시행 분절은 시의 이미지와 밀접하게 조응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에 본 연구는 그의 시에서 이루어지는 특징적인 시행 분절의 방식을 유형화하고 그것이 이미지와 어떻게 조응하여 시적 효과를 만들어내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박용래 시에서 행은 어절을 기본 단위로 삼을 만큼 자주 분절된다. 이 때 시행의 분절 지점은 시선의 분절 지점과 일치하는데, 각각의 행들이 시인의 시선이 움직일 때마다 포착하는 이미지들로 이루어져 있는 까닭에 행을 읽어 내려갈수록 이미지는 중첩되며 시에는 부차적 이미지와 여러 겹의 감각들이 남는다. 둘째, 박용래는 통사적 체계에 어긋나는 지점에서 시행을 분절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앙장브망을 통해 이미지들은 독립적으로 배치된다. 특히 이러한 행갈이는 비유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는데 원관념과 보조관념이라는 두 비유 항이 행갈이를 통해 분리됨으로써 각각의 이미지는 효과적으로 충돌하고, 시에는 그러한 충돌이 아니고서는 경험되지 못하는 감각들이 돌출된다. 마지막으로 박용래는 시의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시행을 분절하기도 하는데 이는 앙장브망의 보다 적극적인 사용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분절로 인해 결정된 시의 형태는 시의 의미를 시각화하여 의미가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하는데, 이때 여백 역시 이미지의 일종으로 기능하며 대상을 재현하는 데 기여한다. 이와 같은 박용래 시의 낯선 시행 분절 방식은 그의 시가 전통적 서정을 담으면서도 현대성을 띠는 이유이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look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line segment and image in the poetry by Park Yong-rae. Normally, line segment is a poetic technique of forming poetic rhythm but it is interesting in the sense that Park Yong-rae attempted line replacement in various styles and had them correspond with image of poems. In this regard, this study categorized unfamiliar styles of line segments and aimed to identify which poetic effects such styles generated based on image. First of all, Park Yong-rae sensitized detailed movements of attention through frequent segmentalization by having word segment as a basic unit. Thus, image becomes something new continuously while being reiterated after every line. Poetic subject gets to have ample meaning network through it. Second, Park Yong-rae had readers sense image as it is by independently placing images through enjambement which segmentalize lines at points totally different from grammatical system. In particular, such a method was effective in making figure of speech more vivid. Lastly, Park Yong-rae segmentalized lines to create figure and this is more active using method of enjambement. Figure of poem which has been decided by segmentalization effectively delivers meaning of poem by visualizing meaning of poem. At this point, space is used as an image and the essence of target is revealed. This is why such unfamiliar line segmentalizing method by Park Yong-rae has both traditional lyrical character and moder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