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험마케팅 유형에 따른 VMD 특성 - 중국 패션 멀티브랜드 스토어의 유형 중심으로 -

        손중원,이지현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7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중국 패션마켓에서 확대되고 있는 패션 멀티브랜드 스토어 대상으로, 체험마케팅 유형에 따른VMD 특성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으며, 유형별로 글로벌 패션 멀티브랜드 스토어(GFMS)와 내셔널 패션 멀티브랜드 스토어(NFMS)의 VMD 특성 차이를 규명하였다. 사례조사를 위해 중국 상하이 5대 상권에 속하며, 현재 운영 중인 패션 멀티브랜드 스토어 43개 사례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체험마케팅을 활용한 37 개 중국 패션 멀티브랜드 스토어 중, 감각, 감성과 인지마케팅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현재 주로 사용되는마케팅 전략으로 보인다. 그 중 GFMS는 11개였으며 NFMS는 26개였다. GFMS는 고품질을 가진 고가 해외브랜드 혹은 디자이너 상품들을 다루며, 고객 편익을 고려해 고가/가격인하 상품구역을 설치하고 상품의 색채와 재질의 다양성을 강조하였다. 브랜드별 정보습득에서 판단, 구매로 이어지는 진열방법을 활용하여 다채로운 상품을 연출하고, 브랜드나 상품 관련 정보를 사인물을 통해 제공하고 있었다. GFMS는 회원에게 특별한 가격 혜택 등을 제공하고, QR코드 간판을 통해 표적 집단 간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제공하였다. 주로 인구 유동량이 큰 현대적 백화점 및 쇼핑센터에 입점하고 있으며 판매원은 매장 콘셉트에 맞는 통일된외모 이미지와 인적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에게 브랜드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고 있었다. NFMS는합리적 가격과 차별성을 가진 브랜드/디자이너 상품들을 취급하며, 매장의 콘셉트에 맞게 전통적 문화·예술적 분위기가 강한 장소에 입점하였다. 맞춤형 상품과 한정 상품을 강조하고 전통적 건물을 이용해서 공간구성을 차별화하고 색다른 진열도구나 사적 인테리어를 통해 아이템/콘셉트별 상품들을 복합적으로 진열하되, 감성적/문화적 가치를 제공하고 있었다. 판매원은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소개하고 다양한 인적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와의 유대감을 형성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 패션 멀티브랜드 스토어를 이해하고, 체험마케팅을 활용한 중국 패션 마켓에 대한 이해 증진 및 중국 진출 시 VMD 관련 마케팅 전략의 수립에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VM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experiential marketing in fashion multi-brand stores. The differences in VMD characteristics between Global fashion multi-brand stores(GFMSs) and national fashion multi-brand stores(NFMSs) were identified by type. Data for 43 fashion multi-brand stores belonging to five Shanghai commercial area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a case study. Among the 37 Chinese fashion multi-brand stores using experiential marketing, a distribution ratio of application from most to least-i.e. ‘sense’, ‘feel’, ‘think’, ‘act’, and ‘relate’-was established. Among them, 11 stores were GFMSs, and 26 were NFMSs. The GFMSs focused on high-quality and high-price brand/designer products. They were divided into high-price and price-cut product areas for customer convenience, and they emphasized product color and material variety. In the stores, various products were presented using a display method that led to judging and purchasing based on the acquisition of brand-specific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was given by signs. They were located in department stores and shopping centers. The salesmen showed a good appearance by dressing in a way that matched the store’s concept, and provided a human service to consumers to promote positive perceptions. The NFMSs focused on quality and differential brand/designer products with reasonable prices. They were located in streets that presented a traditional cultural and artistic atmosphere. Emphasizing customized and limited products, they created a different space structure using traditional building features. They displayed multiple products according to the products/concepts using different display tools and an individual decor. The salesmen introduced the online communication space and formed a bond with consumers by providing various human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Chinese fashion multi-brand stores and provide some inspir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ies related to VMD in China.

      • KCI등재

        아트 콜라보레이션 유형에 따른 패션 상품기획 프로세스 비교분석

        손중원,설백교,이지현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9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9 No.3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 product planning process of art collaboration in the fashion industry by analyzing the art collaboration planning process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To this end, we designed a collaboration process analysis frame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collected art collaboration cas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ooperation, and analyzed the step-by-step product planning process. As a result, Christian Louboutin& Taller Maya's collaboration from a sustainable social design perspective was a craft-intensive product planning process that organically combined various crafts without the same prototyping. To enhance the popularity of new artists and generate differentiated brand identity, Dior & Anselm Reyle's collaboration was evaluated as the design process of close communication with artists. The collaboration of Uniqlo UT&Kaws, as well as Supreme& Andy Warhol, which emphasize the integrated identity of artistic and cultural values, are all evaluated as separate and standalone product planning process. Altogether, we categorized the general art collaboration types in fashion into closed/flat and closed/ hierarchical types. The closed/flat collaboration for the spread of artistic value and efficient operation of brand identity could complement aspects such as efficient identity management and series consistency, product diversity and story building through the participation and evaluation of stakeholders in the design application phase. The closed/ hierarchical collaboration type had the characteristics of ensuring efficient management and economic feasibility. The open/flat type was conducted based on the flexible stages and scope of artists and fashion companies and had the characteristics of pursuing diversity and differentiation of the produ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 fundamental study for product planning of art collaboration and the systematic process of collaboration planning in the fashion field. 본 연구는 패션 산업에 나타난 아트 콜라보레이션 상품기획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유형에 따른 특성을 도출하여 패션산업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상품기획 프로세스를 체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콜라보레이션 프로세스 분석 프레임을 설계하고, 협력 목적에 따른 아트 콜라보레이션사례를 수집하여 단계적 상품기획 프로세스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지속가능 디자인 관점의 크리스찬 르부탱과 톨러 마야의 콜라보레이션 사례는 다양한 공예를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공예 집약형 상품기획 프로세스였으며, 신진 예술가 인지도 제고 및 차별적 브랜드 아이덴티티 강화를 위해 진행된 디올과 안젤름 라일레의콜라보레이션 사례는 예술가와의 의사소통 밀착형 상품기획 프로세스로 분석되었다. 예술의 문화가치를 내포한 통합적 아이덴티티를 강조한 유니클로 UT와 카우스의 사례, 슈프림과 앤디 워홀의 콜라보레이션 사례는 분리 독립형 상품기획 프로세스로 평가되었다. 종합하면, 패션에 나타난 대표적인 아트 콜라보레이션 사례 유형들은 폐쇄/수평형과 폐쇄/수직형으로 구분되었다. 예술적 가치 확산과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효율적운영을 위한 폐쇄/수평형 콜라보레이션은 초기 단계에서 예술 장르와 예술 콘텐츠의 범위를 보다 명확히 하고, 디자인 적용 단계에 다양한 관계자 참여와 평가를 통해 효율적 아이덴티티 관리 및 시리즈의 일관성, 상품의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는 보완적 방법으로 나타났다. 폐쇄/수직형 콜라보레이션 유형은 효율적 관리와 경제성을 확보하는 특성을 가졌다. 개방/수평형은 예술가와 패션 기업의 유연한 단계와 범위를 기반으로진행되었으며 결과물의 다양성과 차별성을 추구하는 특성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아트 콜라보레이션 상품기획을 위한 기초 연구로 의미가 있으며, 콜라보레이션 상품기획 프로세스 체계화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있을 것이다.

      • KCI등재

        생리팬티 디자인개발

        손중원(Sohn, Jungwon),김선화(Kim, Sun-Hwa)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생리기간 뿐 아니라 평상시에도 입을 수 있는, 그리고 힙본 바지 스타일에도 입을 수 있는 기능적인 생리 팬티를 디자인 개발하는 것이다. 10대에서 20대 중반까지를 타깃으로 하는 각각 두 개의 로맨틱 스타일과 두 개의 심플 스타일, 총 4개의 생리 팬티가 디자인 개발되었다. 스판덱스 면과 레이스가 로맨틱 스타일 팬티 디자인에 사용되었고, 흰색과 검정색이 주색채로 생리 팬티 디자인에 사용되었다. 팬티 밑쪽에 방수패드를 넣었다 뺐다 할 수 있게 이중 원단으로 디자인되었다. 이는 수면 시에도 샐 염려가 없이 충분히 길게 디자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이들 팬티는 방수패드를 고정하지 않아 평상시에도 착용할 수 있으며 힙본 스타일로 신축성이 좋은 소재로 만들어 힙본 팬츠 속에 입을 수 있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항상 더 나은 기능성과 함께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나이 별로 추구하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생리 팬티 디자인에도 시장 세분화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sign functionally menstrual panties to be worn not only during menstrual period but also in normal time, and also for hipbone pants. Four menstrual panties, such as two romantic and two simple styles were designed and made for teenagers and middle of twenties. Spandex cotton was mainly used and lace also used for romantic style. Black and white were main color for making those. Dual fabrics was used at the bottom of the panty in order to be able to remove the waterproof pad. It was designed to be long enough for back to prevent from being leaking even during the sleeping. In conclusion, these panties were able to be worn in normal time, too because the waterproof pad could be removed for normal time and it was made in very elastic cotton with hipbone style. However, the consumers require always better aesthetic and functional products and these criteria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es, so market segmentation will be also needed for menstrual panty.

      • SCOPUSKCI등재

        춘계학술대회 : 포스터발표 ; 간세포암 환자에서 문맥 혈전증과 응고인자와의 상관관계

        중원,조용균,유태우,오세용,박정호,김홍주,박동일,정일,전우규,김병익 대한간학회 2005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1 No.3(S)

        배경/목적: 문맥 혈전증은 간경변증의 중요한 합병증이며 간세포암을 포함한 비대상성 간 질환에서는 약 35%까지 발생률이 높아진다. 특히 간세포암의 예후 인자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간세포암 환자에서 문맥 혈전증의 주된 원인으로 종양의 문맥침범에 의한 문맥종양혈전이 주된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고 그 외 응혈촉진 인자와 항 응고 인자와의 불균형도 원인으로 판단되나 이에 대한 보고는 미비한 편이다. 이에 연자 등은 문맥혈전증을 동반한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