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 캐시 및 차별화된 핸드오프를 이용한 셀룰러 IP의 성능개선에 관한 연구

        서정화,김남,Seo Jeong Hwa,Kim Nam 한국통신학회 2004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9 No.12B

        셀룰러 IP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존에 제안된 페이징 및 루트 정보관리 캐시와 준-소프트 핸드오프 방식은 실시간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통합 캐시 (Combined Cache :CC)와 데이터에 따라 차별화된 핸드오프 방식의 운용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통합 캐시는 MH에서 핸드 오프상태모드를 운용하지 않고, 아이들/ 액티브 상태만 운용하며, 핸드오프 방식은 데이터에 따라 차별화된 핸드오프 방식을 사용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어패킷의 부하, 초기 수신시 데이터 패킷에 대한 트래픽 부하, 핸드오프시 패킷의 도착시간을 CIP, PRC와 비교하여 제안한 방식이 실시간 데이터 전송에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There are some problems with the methods of paging and routing cache(PRC) and quasi soft handoff that are propo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for the transmission of real time data. This paper proposed a reasonable solution of these problems by proposing a new method using a combined cache(CC) and applying a different handoff procedure according to each type of data. The combined cache dose not maintain the handoff state but the idlle/active state. The simulation results in a better performance than the above methods in terms of the control packet traffic load, initial recevied data packet traffic load and arrival tune of real time packet at the epoch of handoff.

      • 제23회 대학교육 정책포럼-대학경쟁력 강화와 대학의 인적 자원 개발

        서정화,Seo, Jeong-Hwa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7 大學敎育 Vol.150 No.-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11월 8일(목) 홍익대학교에서 대교협, 전국대학기획실(처)장협의회,한국고등교육정책학회의 공동주최로 제23회 대학교육 정책포럼을 개최하였다. 이 포럼은 차기정부의 고등교육경쟁력 제고방안이라는 주제로 서정화 홍익대 교수의 기조발표, 강병운 대교협 고등교육연구소장의 주제발표 및 신승호 강원대 기획처장, 김민구 아주대 기획처장, 신정철 서울대 교수, 서수용 한국대학신문 뉴스본부장, 정일환 대구가톨릭대 교수의 토론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학교육"에서는 이 중 기조발표 내용을 게재한다.

      • KCI등재

        실시간 데이터를 지원하는 통합 캐시 및 차별화된 핸드오프를 이용한 셀룰러 IP의 성능분석

        서정화,한태영,김남,Seo, Jeong-Hwa,Han, Tae-Young,Kim, Nam 한국콘텐츠학회 200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3 No.2

        본 논문은, 효율적인 실시간 데이터 전송을 위해 통합캐시(CC)와 차별화된 핸드오프를 결합한 방식을 제안한다. 기존에 제안된 페이징 및 루트 정보관리 캐시(PRC) 및 준-소프트 핸드오프방식은 경로 중복을 줄 일 수는 있으나, 이동호스트(mobile host : MH)의 핸드오프 상태 패킷의 운용으로 인하여 네트워크 내 트래픽 부하를 증가시키고, 데이터 구분 없이 동일한 핸드오프 방식을 운용한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MH에서 액티브/핸드오프 상태를 분리하지 않고, 페이징 캐시와 라우팅 캐시를 결합한 통합 캐시를 실시간 데이터일 경우 세미-소프트 핸드오프와, 비 실시간 데이터일 경우 하드-핸드오프와 운용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셀의 수가 20개 이하인 경우 기존의 방식보다 제어 패킷량이 감소하며,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패킷 손실과 패킷 도착시간이 감소하므로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the new scheme using a Combined Cache(CC) that combing the Paging and Routing Cache(PRC) and an alternative handoff method according to the type of data transmission for achieving the efficient realtime communication. The PRC and quasi-soft handoff method reduce the path duplication. But they increase the network traffic load because of the handoff state packet of Mobile Host(MH). Moreover the use the same handoff method without differentiating the type of transmission data. Those problems are solved by operating U with a semi-soft handoff method for realtime data transmission and with a hard handoff method for non-realtime data transmission. As a result or simulation a better performance is obtained because of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control packet in case that the number of cells are below 20. And the packet arrival time and loss of packet decreased significantly for realtime data transmission.

      • KCI등재

        천상열차분야지도, 과거 천문역법 바이블(문자)과 현재 하늘(천상)의 조합

        서정화 ( Seo¸ Jeong-hwa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101

        천상열차분야지도의 각석 내용 전체를 통틀어 특정 시간 혹은 기간대를 알려주는 정보는 4가지이다. 도설에서 3개, 별 그림에서 1개이다. 그 도설의 대부분은 과거 천문역법 분야 바이블로서 회자된 역산 값을 담고 있다. 가장 이른 시기는 이른바 ‘견우 초도가 동지점’이었던 기원전 451년으로, 24절기의 성수 경도가 반영된 『한서』 「율력지」가 그것의 최초 전거이다. 다음은 서기 원년을 전후한 시기의 역산 값 2건이 있다. 「월수」 기록 중의 황도와 적도 양 교점 경도 및 「이십팔수 거극분도」가 그것이다.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최상단 정중앙에 배치된 원 안에, 24방향 방사 형태로 표기된 「24절기 혼·효 중성」의 계산 값만이 그것을 각석한 조선의 시간이다. 하단 쪽의 「발문」에 그 정황이 설명되어 있다. 별 그림 속에서의 12차(궁)이 그려진 외규와 28수 경선들은 중기 과궁 법칙이 적용되어 그려진 것이다. 그에 따른 개략적인 대응 시기는 7~8세기경이다. 천상열차분야지도는, 중앙에서부터 별자리들이 그려진 영역까지의 면적을 머릿속에서 다이얼 돌리듯 좌우로 ‘빙 돌려서’ 봄으로써, 바로 현재 절기의 하늘 모습, 특히 태양과 달의 위치를 그려볼 수 있는 실용적 면모까지 충실히 갖춘 걸작이다. 그것을 가능하게 해 주는 것은, 28수 경선과 더불어, 바로 외규에 촘촘히 붙어 있는 365개 눈금이다. 천상열차분야지도는 국왕이 조정의 문관들에게 제공한 우주과학의 인문교양적 실용 전시물이다. In the entire content of the engraved Cheonsang-Yeolcha-Bunyajido(天象列次分野之圖), there are four main kinds of information giving directions to particular time(or a range of time). There are three among the sentences which are in different square or circular boxes, and one in the star carving. Most of the sentences in the boxes are the bible of the past astronomical calendar, and have calculated values of the calendrical calculation system that was popular with many people. The earliest recorded time was B.C. 451 when the so-called ‘the first point of Altair was the winter solstice point’, and Hànshū Lǜ-lìzhì(漢書 律曆志) reflecting the longitude of the lunar mansions of all 24 solar terms was its first reference. Next, there were two calendrically calculated values in the A.D. period. They are the longitude at the intersection in the zodiac and the equator in Yuè-Xiù(月宿), one of the box sentences of Cheonsang-Yeolcha-Bunyajido, and one of other box sentences of Èrshíbāxiù-Qùjí-Fēndù(二十八宿去極分度). Only the calculated values of Hūnxiǎo-Zhōngxīng(昏曉中星) of solar terms, which are marked in the shape of 24-direction radiation in the round box sentences placed in the top middle of Cheonsang-Yeolcha-Bunyajido, are of the time of the Joseon Dynasty during which they were engraved. Its situation is explained in the epilogue; the box sentence at the bottom. The star carving occupying more than half of the whole area was drawn with the law of zhōngqì-guògōng(中氣過宮) applied to it. The rough time of the following action was around the 7th~8th century. Cheonsang-Yeolcha-Bunyajido is a masterpiece from the aspect of being practical enough to show the sky of the current solar term precisely, especially the location of the sun and the moon, by imagining the rotation in the area from the center to the place where constellations are engraved from side to side as if turning a dial. The practicality becomes possible because of the very '365 gradations densely attached to the big circle carving outside of the concentric circle’ along with the ‘longitude lines of the determinative stars of 28 lunar mansions’. Cheonsang-Yeolcha-Bunyajido is a humanistic and practical exhibition of astronomy provided by the king to the royal court officials.

      • KCI등재

        『춘추』 왕력(王曆)③ - 주력(周曆)에서 하력(夏曆)으로, 그리고 공자의 “행하지시(行夏之時)”

        서정화 ( Seo Jeong-hwa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4

        선진시기에 고육력(古六曆) 등 다수의 역법 체계가 존재했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런데 그 중 특히 주력(周曆)과 하력(夏曆)의 논의들이 주가 된 것은, 공자가 지었다고 전해지는 『춘추』에서의 역수 체계와 공자가 직접제자에게 말했던 “행하지시(行夏之時)”에서의 역수 체계가 서로 다른 것에 따른 의혹으로 불거진 수많은 쟁론들에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동짓달을 세수(歲首)로 하는 주력은 태음력 체계이며 하력은 건인월(建寅月)을 세수로 삼은 절기력(節氣曆) 체계이다. 이 두 가지 역법은 그 세수와 계절명 그리고 태음력과 태양력이라는 분명한 차이가 존재한다. 공자가 위방(爲邦)의 방편으로 하력 이행을 권장했던 근본적인 이유는, 천정(天正)·지정(地正)·인정(人正)이라는 3정(三正) 중에서 사람이 중시된 인정을 기준해야 한다는 철학적인 우주관에서 출발한 것이 아니라, 농업생산성 향상이라는 현실적인 국가 경제 정책의 중요성을 말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는, 공자가 비록 위정자들에게는 이상적인 도덕적 무결점을 강조한 반면, 대민 정책에 있어서 그가 얼마나 위정자의 현실에 바탕을 둔 책무를 역설하고자 하였는지를 알 수 있는 척도가 되는 것이다. During the Pre-Qin(秦) Dynasty era, there were the records that there had been many calendar systems, such as gu-liu-li(古六曆: six ancient calendar systems). Then, the fact that particularly zhou-li(周曆) and xia-li(夏曆) were mainly discussed among them resulted from a lot of discussions from the differences in the calendar system in 『Chun-qiu(春秋)』 known to have been written by Confucius from the calendar system in “Xing-xia-zhi-shi(行夏之時: implement the calendar of Ha dynasty.)” that Confucius mentioned himself to his disciple. Zhou-li(周曆) with dongzhi-yue(冬至月: the 11th month of the lunar calendar) as the first month of a year had the system of the lunar calendar, and xia-li(夏曆) called as the calendar of Ha(夏) dynasty had the system of jie-qi-li(節氣曆: a kind of the solar calendar that divides one year of 365 days into 24 solar terms) with yin-yue(寅月:one month from the present Feb 5) as the first month of a year. These two calendars had definite differences in the first months of a year, names of seasons, and the lunar calendar and the solar calendar. The fundamental reason why Confucius recommended the performance of xia-li(夏曆) as a way to run the nation was not that it started from the philosophical view of the universe that among the `three zheng`(三正)` of tian-zheng(天正: the first month of a year with the heaven as the standard), di-zheng(地正: the first month of a year with the earth as the standard) and ren-zheng(人正: the first month of a year with humans as the standard), but that he want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actical national economic policies to enhance agricultural productivity. It becomes the criterion that even though Confucius emphasized that politicians should not have moral flaws ideally, with regard to public policies, he wanted to stress politicians` duties based on the reality a lot.

      • KCI등재

        주대(周代) 종묘(宗廟)의 기능과 그 의미에 대한 유교경전(儒敎經典)의 이해

        서정화 ( Seo Jeong-hwa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82

        漢代 이후 근세기까지 수많은 왕조를 거치는 오랜 세월동안 `宗廟는 임금의 祠堂이다`라는 관념이 고착화되었다. 본고에서는 『論語』ㆍ『孟子』ㆍ『荀子』ㆍ『禮記』 등의 종묘 관련 기록들을 통해 `宗廟는 원래 임금의 正殿이었다.`라는 논의를 전개하였다. 동시에 漢代 이후 겪었던 종묘의 기능적 변화로 인해, 이후의 중국과 우리나라의 유학자들이 고전에 수록된 그것의 본의 및 그 상징성과 乖隔된 해석을 하게 되었음을 논하였다. 先秦時期의 종묘는 爵位와 領土를 상속받은 통치자의 廟로서, 군주가 거처하면서 각종 儀禮를 진행하고 政令을 펼치던 곳이었다. 즉 그것은 天子와 諸侯 더 나아가 封地를 소유한 大夫 등의 治朝 공간인 正殿과 같은 역할을 하였다. 초대 군주로부터 작위와 영토를 상속받아 온 여러 세대의 天子 및 諸侯와 大夫들은 族의 종통으로서 `位`에 오른 자이기 때문에 자신들의 廟에서 선군에 대한 제사 의례를 이행하였고, 그에 따라 그들의 正殿인 廟에 `宗統이 되는 자의 廟`라는 의미의 `宗廟`라는 명칭이 형성되었다. 아울러 그러한 當代 君主의 宗廟나 初祖의 太廟가 아닌 특정한 廟는 廟主의 이름을 붙여서 일컬었다. For a long time while it going through many dynasties from Han(漢) dynasty to the last century, the idea that `the Jongmyo Shrine(宗廟) is a king`s shrine` had been fixed. In this paper, the argument that `the Jongmyo Shrine had been originally a king`s ruling place` was developed through the records related to the Jongmyo Shrines in 『the Analects of Confucius(論語)』, 『Mencius(孟子)』, 『Xunzi(荀子)』, 『Book of Rites(禮記)』 and others. And at the same time, it was explained that the later confucian scholars from China and Korea have incorrectly interpreted the meanings and symbolism of it that contained in the classic, because of the functional changes of Jongmyo Shrines experienced since the Han Dynasty. Jongmyo Shrines in the pre-Qin Dynasty era(先秦時代) were the Myo(廟, a house of the upper class) building of a ruler who had inherited a title of nobility and territory, and the place where a king resided, preformed a diversity of rituals and issued political orders. In other words, it played the same role as a ruling place where a king, feudal lords and furthermore, noblemen owning bestowed land governed and have an audience. A number of generations of kings, feudal lords and noblemen who had been inherited noble titles and land from the first king were those who were raised to their `position` as the leader of their nation, so they performed ancestral rituals for their late king in their Myo(廟) buildings. Accordingly, the Myo(廟) building as their ruling place came to have the name of `an Jongmyo Shrine(宗廟)`, which means `the Myo(廟) for the one, who is a leader of his nation.` In addition, the specific Myo(廟) rather than such an Jongmyo Shrine of that age ruler and Taemyo Shrine(太廟) of the first ruler was called by appending the name of the person who was the owner of the Myo.

      • KCI등재

        유교의 禮學的 탐구를 통한 孝 사상 고찰

        서정화 ( Seo Jeong-hwa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3 No.-

        유교 예학에서, 계승자를 의미하는 宗子·宗孫은 孝子·孝孫과 같은 말이며, 제왕이라 해도 자신이 부모를 계승하지 않았다면 孝心의 유무와 상관없이 공식적으로 孝子가 되지 못한다. 受命·創業之君의 자리에 오른 것이, 부모나 선조의 뜻을 받들어서 오른 것인지 온전히 스스로의 힘으로 오른 것인지에 따라, 사망 후 부여되는 諡號에 ‘孝’ 자가 포함되기도 하고 제외되기도 한다. 효도와 선조 제사는 ‘유교 사상’과 ‘유교 의례’의 관계이고, 효도와 삼년상은 ‘유교 사상’과 ‘인륜적 정서’의 관계이다. 즉 효는 본질의 문제이고, 제사는 그가 진정한 후계자 다운 사람임을 나타내는 외형적·대외적 표현의 수단일 뿐이다. 또, 3년의 喪은 자식이 끈끈한 親의 관계 속에 있었던 부모를 잃은 충격과 상심을 조금씩 진정시켜 가는 과정의 시간들이다. 자녀가 부모를 가깝고 극진하게 봉양하며 사랑하는 것은, 부모의 품속에서 받은 사랑과 보살핌에 의한 자연스러운 감정으로, 상호적인 인륜(윤리)의 영역에 있는 것이다. 부모가 품었던 대의적인 뜻과 일삼았던 일을 계승한 계승자를 의미하는 효는, 개개인의 신념에 의한 선택으로 수용되는, 사상의 영역에 있는 것이다. In study of Confucian Rites, the words of Jongja (宗子: the eldest son of the head family) and Jongson (宗孫: the eldest grandson of the head family) meaning a successor are the same as filial son and filial grandson, and even a king cannot become an official filial son regardless of whether he has filial love or not if he hasn't succeeded his parents. Depending on whether one becomes crowned as a king beginning a new regime, such as Yi Seong Gye (李成桂), following the will of one's parents or ancestors or just on one's own, ‘Hyo (孝: filial piety, filial son)’, is included into or excluded from the posthumous name granted after one's death. Filial piety and ancestral rites are in the relationship of Confucian ideology and Confucian rites, and filial piety and three years of mourning (三年喪) are in the relation of Confucian ideology and the emotions of humanity. In other words, Hyo is the matter of essence, and ancestral rites are just the means of external expression that he is a true inheritor. In addition, the three years of mourning is the time as the process for a son or a daughter to gradually relieve the shock and pain of heart from losing their parent with whom they were in a close relationship of qīn (親: associating with, cherishing and loving). A son's or a daughter's feeling close to one's parents, supporting them sincerely and loving them are natural emotions from the love and care from their parents, and are in the area of reciprocal ethics. Hyo, which means a successor inheriting the will of one's parents for great cause and what they used to do, is in the area of ideology accepted by the choice following each individual's belief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