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속이온에 의한 CdSe 나노결정의 형광 소광 및 회복 특성

        방지원,김봄이,구은회,김성지,Bang, Jiwon,Kim, Bomi,Koo, Eunhae,Kim, Sungjee 대한화학회 2016 대한화학회지 Vol.60 No.2

        CdSe 기반 나노결정의 구리이온에 의한 형광 소광 특성 및 아연이온에 의한 형광 회복 특성을 관찰하였다. 구리이온이 첨가되었을 경우, CdSe 양자점에서는 매우 빠르고 급격한 형광 소광 특성을 보이는 반면에 CdSe 나노라드의 경우에서는 형광이 서서히 소광되는 특성을 보인다. 구리이온으로 형광을 소광시킨 CdSe/CdS(핵/껍질) 양자점에 아연이온이 첨가되면 소광된 양자점의 형광이 회복된다. 용액 내 1 μM의 아연농도에서 양자점의 형광이 50% 증가됨을 확인하였으며, 아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양자점의 형광세기가 증가되며 이는 Langmuir binding isotherm 모델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CdSe 기반의 나노결정을 이용한 형광 화학 센서를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opper ion induced photoluminescence (PL) quenching dynamics and recovery of the PL by zinc ions were investigated for CdSe based nanocrystals. When copper ions were added, CdSe quantum dots showed fast and dramatically PL quenching whereas PL of CdSe nanorod gradually decreased. In the presence of zinc ions, the PL of CdSe/CdS (core/shell) nanocrystals that have quenched by copper ions was efficiently recovered. It showed that the PL intensity of nanocrystals increased by 50% in a solution containing 1 μM zinc ions. The PL intensity was increasing with increasing zinc ions, and could be described by Langmuir binding isotherm model. We showcase that the CdSe based nanocrystals can be used as fluorescence turn-on sensor.

      • KCI등재

        역사 교과서 도입 주제 구성, 어떻게 할까?

        방지원(Bang jiwon)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41

        역사 교과서의 도입 주제는 지금까지처럼 ‘역사란 과거와 현재의 대화’라는 평면적인 정의와 역사를 배우는 이유를 나열하는 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역사 교과서의 도입 주제는 교과서 첫머리에 등장하는 짤막한 ‘학습주제’이지만, 그 의미는 하나의 학습주제 그 이상이다. 역사교육이 존재하는 사회문화적 맥락, 현재에 발 딛고 과거를 탐구하는 역사의 내재적 가치로서의 역사적 비판적 사고와 논쟁성, 학생의 자기 형성을 돕기 위한 교육적 이상 사이에 존재하는 다층적 긴장을 끊임없이 의식하며 구성되는 역사교육 개념의 실천적 표현이다. 역사교과서 도입 주제는 오늘날 학교 역사교육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 기초하여 구성되어야 한다. 학교 역사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일상의 현실로 경험하는 여러 형태와 내용의 역사‘들’을 식별하고 평가할 수 있는 자기 기준을 가질 수 있어야 하고, 그 역사‘들’이 가지는 힘, 즉 역사로부터 나오는 ‘과거의 힘’이 무엇이며, 어떤 식으로 작동하거나 행사되는지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학생 자신이 어떤 역사의식을 가지고 역사‘들’을 만들고 타인과 소통하는 주체가 될 수 있다는 것도 깨달아야 한다. 또한 과거의 힘에 기대어 현재를 비판적으로 통찰하면서 지금과 다른 변화된 사회를 상상하고 만들어가는 주체가 바로 자기 자신이고 곁에 있는 동료 학생들이라는 점을, 서로에 대한 연대와 책임을 느끼며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도입 주제는 이와 같은 학교 역사교육의 역할에 기초하여 학생 스스로 역사를 배우는 과정과 배움의 결과를 성찰하고 의미화할 수 있는 지적 도구를 제공해야 한다. 이 글의 제안은 일차적으로 교사의 교육과정을 염두에 두었다. 국가 교육과정이나 교과서도 중요하지만, 시시각각 달라지는 학생들, 학생들 각자가 처한 환경과 그들이 역사과목을 배우게 되는 맥락을 총체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 주체가 교사라고 보기 때문이다. The ‘introduction topic’ of history textbooks should deviate from the way of listing the reasons for learning history and the flat definition of ‘history is a conversation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as before. Introduction topic is a short ‘learning topic’ that appears at the beginning of the textbook, but its meaning is more than a learning topic. It is a practical expression of the concept of history education consisting of constant awareness of the socio󰠏cultural context in which history education exists, historical critical thinking and controversy as an intrinsic value of history to step into the present and explore the past, and educational ideals to help students form themselves. The introduction topic should be constructed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role of school history education today. Through school history education, students should be able to have their own standards to identify and evaluate the history of various forms and contents experienced in everyday reality. It should also be able to recognize the power of the history, that is, the power of the past from history, and how it works or is exercised. It should also be realized that students themselves can be the subject of creating and conveying history to others. In addition, it should be possible to feel solidarity and responsibility for each other and accept that it is oneself and fellow students who are next to each other who imagine and create a changed society different from the present while critically giving insight into the past. Based on this role of school history education, the ‘introduction topic’ should provide intellectual tools for students to reflect on and meaning the process of learning history and the results of learning on their own.

      • KCI등재
      • Apache Kafka에서 효율적인 과부하 측정을 위한 모니터링 도구

        방지원 ( Jiwon Bang ),손시운 ( Siwoon Son ),문양세 ( Yang-sae Moon ),최미정 ( Mi-jung Cho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2

        실시간으로 빠르게 발생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Apache Storm, Apache Spark 등 실시간 데이터 스트림 처리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대부분의 실시간 처리 기술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데이터 스트림의 입출력을 위해 메시징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Apache Kafka는 대표적인 분산 메시징 시스템으로써,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대용량의 로그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특화된 시스템이다. 현재 Kafka를 위한 다양한 성능 모니터링 도구들이 존 재한다. 이러한 모니터링 도구들은 Kafka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양 이외에도 유입 데이터의 크기, 수집 속도, 처리 속도 등 다양한 데이터들을 관찰할 수 있다. 본 논문은 Kafka에서 제공하는 도구와 오픈 소스로 제공되는 여러 개의 도구들을 비교하여, 향후 Kafka의 로드 쉐딩에 대한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모니터링 도구를 선별하고자 한다.

      • KCI등재

        역사교육에서 생태환경적 접근의 의미

        방지원(Jiwon Bang) 한국역사교육학회 2022 역사교육연구 Vol.- No.44

        인류의 장구한 경험을 여러 각도에서 들여다보고 탐구하는 역사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들이 가진 다양한 ‘렌즈’에 따라, 인류의 과거에 관한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그런 이야기를 바탕으로 개인과 사회적 삶과 미래에 대한 상상력이 풍부해질 수 있다. OECD와 UN이 제시한 새로운 교육론을 통해서도 이와 같은 역사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두 국제 문서가 강조한 학생 행위주체성, 변혁 역량 등의 개념은 학생의 자기 형성 과정으로서의 역사교육에 관한 기왕의 논의를 진전시키는 데 유용하다. 또한 ‘손상된 지구를 위한 교육과정’과 같은 아이디어에 담긴 교육 패러다임의 생태적 전환은 역사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오랜 서사적 전통을 반성하도록 한다. 역사교육에서 교육 패러다임의 생태환경적 전환은 ‘생태적 시민으로서의 학생의 자기 형성’에 관한 문제이다. 인간이 세계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에 대한 역사교육의 인식론적이고 존재론적 전제를 성찰하고 동시에 역사와 인간을 생태적 관계성 속에서 사유하도록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교육적 질문을 만들어내자는 절박한 제안이기도 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스스로 아득한 과거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생태적 존재로서의 인간이 환경 속에서 어떻게 살아왔는가를 역동적으로 살피도록 돕는 역사학습주제를 찾고 개발해야 한다. 이러한 역사학습은 학생들이 생태적 감수성을 깨우고, 오늘날 환경위기를 극복하는데 나서는 주체로서의 의지를 진작시킬 수 있다. 역사학이 담당하고 회복해야 할 공적 역할을 생태환경사와 역사교육의 적극적 제휴와 그것을 통한 교육적 실천으로부터 찾을 수 있을 것이다. In the history class, students explore the long experience of mankind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the process, students will be empowered to look at the past and present, and to imagine possible futures for individuals and society. The new education theory proposed by the OECD and the UN supports the importance of such history education. Two international documents proclaimed the eco-environmental turn of the educational paradigm based on the student's agency and transformative competency. And this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advance the discussion of history education that helps students in the process of self-formation. The long narrative tradition of history curricula and textbooks should be reflected in the light of ideas on the curriculum proposals of the UN report. In the end, the eco-environmental turn of the educational paradigm in history education is a matter of ‘self-formation of students as ecological citizens’ It is also an urgent proposal to reflect on the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premise of history education on how human beings relate to the world, and at the same time create educational questions necessary to change history and humans to think in ecological relationship.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find and develop a history learning topic that helps students to dynamically examine how humans as ecological beings have lived in the environment from the distant past to the present. Such history learning can awaken students' ecological sensibility and boost their will as subjects to overcome today's environmental crisis. The role that history studies should play and restore for the public can be found in the active alliance between eco-environmental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and educational practice through it.

      • KCI등재

        나노-마이크로 하이브리드 3차원 적층 패턴의 제조

        박태완,정현성,방지원,박운익,Park, Tae Wan,Jung, Hyunsung,Bang, Jiwon,Park, Woon Ik 한국표면공학회 2018 한국표면공학회지 Vol.51 No.6

        Nanopatterning is one of the essential nanotechnologies to fabricate electronic and energy nanodevices. Therefore, many research group members made a lot of efforts to develop simple and useful nanopatterning methods to obtain highly ordered nanostructures with functionality. In this study, in order to achieve pattern formation of three-dimensional (3D) hierarchical nanostructures, we introduce a simple and useful patterning method (nano-transfer printing (n-TP) process) consisting of various linewidths for diverse materials. Pt and $WO_3$ hybrid line structures were successfully stacked on a flexible polyimide substrate as a multi-layered hybrid 3D pattern of Pt/WO3/Pt with line-widths of $1{\mu}m$, $1{\mu}m$ and 250 nm, respectively. This simple approach suggests how to fabricate multiscale hybrid nanostructures composed of multiple materials. In addition, functional hybrid nanostructures can be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various next-generation electronic devices, such as nonvolatile memories and energy harveste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