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셜미디어를 통한 소비 표현 행동이 지속가능소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연결감의 매개효과

        박유현,황혜선 대한가정학회 2023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6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nsumer consumption behavior on sustainable consumption through social media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onnectedness on sustainable consumption. A survey comprising 222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as conducted in which their consumption expression behavior, sustainable consumption and social connectedness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Process Macro Model 4 and it was found that consumers who shared a considerable amount of personal information on their lifestyle on social media as a means of self-expression exhibited a higher level of sustainable consumption. It also became apparent that the degree of consumption expression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connectedness and that social connectedness had a positive impact on sustainable consumption by mediating the degree of consumption-focused self-expression on social media.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media can serve as a mechanism to lead consumers’ consumption behavior beyond providing a basis for forming a human network. Implications for the impact of social media on consumption behavior were presented, and proposals for exploring the environment in which sustainable consumption can be activated were suggested, together with ways in which new media can be utilized.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sharing consumption behavior and having a broad range of connections on social media can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sustainable consumption is promoted.

      • KCI등재

        비 공유 저장장치를 가지는 클러스터 기반 서버에서 다중 디스크립션 코딩을 이용한 스트리밍 방법

        박유현,김학영,김명준,김경석,Bak Yu-Hyeon,Kim Hag-Young,Kim Myung-Joon,Kim Kyong-So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3 No.3

        일반적인 비 공유 저장장치를 가진 시스템에서는 특정 컨텐츠에 대한 편향된(skewed) 요청 문제를 피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비 공유 저장장치 모델로 설계/구현된 클러스터 기반의 스트리밍 서버에서 사용자의 편향된 컨텐츠 요청에 대처할 수 있고 스트리밍 서비스 중인 서버 또는 NS 카드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스트리밍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다중 스트리밍 방법인 MDC(Multiple Description Coding)를 적용한 스트리밍 전송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단일 세션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MDC를 활용하여 다중 세션을 통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모든 서버의 부하가 같아지고, 특정 서버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스트리밍 서비스가 끊어지지 않으면서 MDC의 특성인 적응형 서비스도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The cluster system with shared-nothing storage cannot escape from the problem of skewed request toward specific contents. This paper, therefore, suggests streaming method using MDC (Multiple Description Coding) instead of using single original content; this method is able to cope with skewed request in shared-nothing storage server as well as to continue to provide services in case of the system failure. Also, the system can support adaptive streaming service according to user player type, network status, the load of server, and client.

      • KCI등재

        Biomarker-Based Seawater Temperatures of Winter Sinking Particles and Core-Top Sediment in the Ulleung Basin of the East Sea

        박유현,김형직,손주원,유찬민,김부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9 Ocean science journal Vol.54 No.3

        This study evaluates the application of biomarkerbased temperature proxy data (alkenone with its resultant U37 index and glycerol dialkyl glycerol tetraether (GDGT) with its resultant TEX86 index) in the Ulleung Basin of the East Sea. Based on the U37 and TEX86 indices from particles trapped for 10 days in December, 2015 and core-top sediment as well as the comparison of these indices to in situ seawater temperature data (from 2012 to 2016) from the Korea Oceanographic Data Center,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U37 index of core-top sediment indicates the annual mean SST of the surface water.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EX86 data of core-top sediment may represent the annual mean temperature of the subsurface water. However, a reliable calibration equation for GDGT will be required in this regional environment for the proper application of GDGT-based paleotemperature reconstruction.

      • KCI등재

        EU기후정책이 국내기업의 환경경영성과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유현,김지영,이윤 한국환경정책학회 2023 環境政策 Vol.31 No.4

        본 연구는 국내 기후변화정책이 시행됨에도 불구하고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에 대한 합의가 국내 기업들의 환경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완전자본잠식 기업을 제외한 상장수출 법인 중 비금융권 12월 결산법인을 대상으로 2019년부터 2022년까지 패널자료를 구축하고, 성향점수 매칭 후 이중차분법으로 추정하였다. 제 3차 계획기간에 배출권 할당대상 기업과 비할당대상 기업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탄소국경조정제도의 발표 이후 기업들은 환경성과를 개선하며 특히 할당대상 기업의 환경성과가 미할당대상 기업과 비교하여 더 개선됨을 보였다. 이는 배출권거래제 규제대상 기업이 EU기후정책 입법안 발표 이후 환경문제에 대해 추가적인 노력을 함을 의미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agreement on the introduction of a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on firms’environmental management performance despite a Korean climate change policy. This paper organizes data from 2019 to 2022 for non-financial corporations’ December settlement among listed export corporations excluding firms with negative shareholders' equity and makes estimates using the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It further analyzes domestic firmsby dividing them into firms subject to allocation and those subject to non-allocations during the third planning period of the emission trading scheme, finding that the legislative announcement of the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improves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performance of firms and that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firms subject to allocation is further improved compared to those non-ETS firms. This implies that firms regulated by the emission trading scheme must take more action to mitigate environmental issues after the announcement of EU climate policy legislation.

      • KCI등재

        서사 텍스트 읽기 이해 능력의 측정 및 학습자 수준별 이해 양상의 탐색- 인물에 관한 추론적 이해를 중심으로 -

        박유현,허모아 한국어교육학회 2022 국어교육 Vol.- No.178

        This study develops a tool that can measure high school student learners' narrative text reading comprehension, and explores what type of narrative comprehension learners show through the developed test tool. Accordingly, the sub factors were set up around “inferential comprehension of character”, which can be viewed as a key element of narrative text reading comprehension. After developing a test paper to measure it, the level of learners' ability related to narrative comprehension was measured. Based on cognitive narratology and reading theory, the factual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of characters were embodied in five sub factors: “identifying facts about characters, reasoning deixis on characters, reasoning about events that characters have experienced, reasoning about mental states and thoughts of characters, and reasoning about characters’ actions.” The test paper collected three experts’ opinions and was secured its validity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using question response theory. Overall, the questions were found to be at a level of difficulty that was moderate to slightly easy level of difficulty, and the degree of discrimination was generally appropriate. K-average cluster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revealed three types of learners: upper group, middle group, and lower group, and it was confirmed that learners' comprehension was different in each group. In addition, the practice of learners' comprehension by group was qualitatively examined through the post-test activity paper and the novel appreciation activity paper. Based on this analysis, it was suggested that the approach of narrative text reading comprehension education should be different for each learner group, and that narrative reading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 hierarchy of factual, text-based inferential, and knowledge-based inferential comprehension. 이 연구는 서사교육적 관점에서 고등학생 학습자의 서사 텍스트 읽기 이해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한 검사 도구를 통해 학습자들이 어떠한 유형의 서사 이해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를 탐색하는 데에 주요한 연구 목적을 둔다. 이에 서사 텍스트 읽기 이해의 핵심 요소로 볼 수 있는 ‘인물에 관한 추론적 이해’를 중심으로 하위 구인을 설정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지를 개발한 후, 검사지를 활용하여 서사 이해와 관련한 학습자들의 능력 수준을 측정하였다. 인물에 관한 사실적·추론적 이해는 인지서사학 이론과 읽기 이론을 바탕으로 ‘인물에 관한 사실 정보 파악, 인물에 대한 직시 추론, 인물이 경험한 사건 추론, 인물의 심리 및 생각 추론, 인물 행위의 의도 추론’의 다섯 가지 하위 구인으로 구체화되었다. 검사지는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고 문항반응이론을 활용한 통계적 분석으로 그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문항들은 전반적으로 보통에서 약간 쉬운 수준의 난이도로 나타났으며, 변별도는 대체로 적절한 수준을 보였다. 이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k-평균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학습자 유형은 상위 집단, 중위 집단, 하위 집단의 세 가지로 나타났고, 학습자 수준별 서사 이해 양상에 있어 구인별로 이해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에 더하여 검사에 대한 사후 활동지와 소설 전문 감상 활동지를 통해 집단별 학습자의 이해 양상을 질적으로 살펴, 구인에 대한 이해도가 낮게 나타남이 구체적으로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학습자 수준별로 서사 텍스트 읽기 이해 교육의 접근이 달라져야 하며, 서사 읽기 교육이 사실적 이해와 텍스트 기반 추론적 이해, 지식 기반 추론적 이해의 위계에 맞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