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에서 QoS를 보장하는 새로운 타이머 매카니즘

        박선형(Sunhyung Park),최종원(Jongwon Choe) 한국정보과학회 199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Ⅲ

        인터넷의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MBone상의 새로운 응용들에 대한 연구 및 구현에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MBone상의 막연한 순서와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는 화상회의나 기타 공동작업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그래서, 메시지들을 송수신하기전에 어느 정도의 손실, 지연 등을 보장받는 메카니즘이 필요하다. 이런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는 대표적인 프로토콜로 RSVP가 있다. RSVP는 자원예약 정보를 유지, 운영하기 위해 상태(state)를 사용한다. 이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1)트리거 메세지(trigger message) 2)리프레쉬 메세지(refresh message)를 주고받는데 현재 RSVP에서는 이 메세지를 주고받는 주기(period)를 고정시켜 놓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고정 타이머는 네트워크의 빠른 변화에 적응을 하지 못하고 메시지의 손실을 가져 올 수 있다. 그리고, 리프레쉬 되어야 할 상태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제어 메시지의 양도 같이 증가하여 대역폭이 늘어나 링크 상태를 악화시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적용했던 확장성 타이머(scalable timer)를 기반으로 다이내믹한 리프레쉬 타이머 매카니즘을 이용하여 안정된 대역폭을 확보하고 패킷손실을 감소시켜 RSVP에서 좀 더 나온 QoS를 보장할 수 있는 R-scalable timer를 제안한다.

      • 지털 디바이스 내장형 스마트 전투복의 사용성평가 기술 개발

        박선형 ( Seon Hyung Park ),이주현 ( Joo Hyeon Lee ) 한국감성과학회 2007 춘계학술대회 Vol.2007 No.-

        미래의 ``정보전장``에서는 모든 전투 개체가 실시간 정보를 공유하면서 작전을 수행하게 되며, 병사 또한 하나의 체계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각종 디지털 디바이스가 내장된 스마트 전투복을 입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선진국들은 여러 해 전부터 스마트 전투복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에 동참하고 있다. 그러나, 각종 병사 구성품과 디지털 디바이스를 의복 내에 포함시켜 설계함에 있어서 병사의 동작과 체형에 적합한 설계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프로토타입을 착용한 후 그 사용성을 평가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미래병사의 전투력 향상을 위해 각종 디지털 디바이스를 내장한 스마트 전투복의 사용성을 평가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스마트의류의 사용성평가 척도를 이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 내장형 전투복 프로토타입의 사용하여 사용성평가의 척도를 새롭게 개발하고 스마트 전투복의 사용성 평가 척도와 기술을 개발하였다.

      • KCI등재

        교육정치학: 이론화와 과학철학 및 연구방법론 쟁점 분석

        박선형(Park, Sun-Hyu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22 敎育政治學硏究 Vol.29 No.1

        이론화과정의 성공적 수행과 관련 연구결과의 집적은 개별 학문의 위상과 지위를 결정하는 필요충분조건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차대한 필요성과 당위론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ㆍ외를 막론하고 교육정치학 분야 내에서의 이론화과정에 대한 활발한 학문 담론이나 관련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통상, 이론화과정은 출발 단계로서 이론의 정의와 유형 및 역할 기능 정립, 과정 단계로서 이론 생성 구축 방안 탐구와 연구전략 및 방법론 설계, 종착 단계로서 이론의 개선ㆍ발달 촉진을 위한 환류평가의 문제로 귀착된다. 본 논문은 이론화과정의 시작점인 이론의 정의와 유형 및 역할, 실행 단계인 이론 구축 방안 등에 논의의 주안점을 둔다. 추가적으로, 본 논문은 이론화과정의 참조기제의 역할을 담당하는 과학철학과 연구방법론 관련 쟁점도 확인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은 사회학, 경영학, 조직이론, 교육학, 심리학, 과학철학, 연구방법론 분야 등에서 전개된 다양한 이론화 관련 논의를 차용한다. Successful execution of the theorizing process and the accumulation of related research results ar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determining the status and position of individual disciplines. However, despite this critical necessity and justifiable importance, there is barely any proactive academic discourse or related research on theorizing proces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politics in Korea. This article focuses on analysing the definition, type and role of the theory,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theorizing process, and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theory, which is the stage of implementation. Also, this paper intends to identify debating issues related to the philosophy of science and research methodology, which play the main role of a reference framework in the theorizing process. To this end, this thesis borrows various theorization-related discussions developed in the fields of sociology, administration, organizational theory, education, psychology, philosophy of science, and research methodology.

      • KCI등재

        AI와 Big Data 쟁점 분석 및 교육정치학의 발전 과제

        박선형(Park, Sun-Hyu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21 敎育政治學硏究 Vol.28 No.3

        교육정치학은 “누가 무엇을, 언제, 어떻게 얻을 수 있는지”를 규정하는 권력ㆍ가치 배분의 문제를 학문 탐구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데이터 주도 경제시대에 있어서 Big Data와 이를 처리하는 AI 기술은 그 자체로 권력관계를 반영한다. 따라서 Big Data와 AI의 교육활용성과 적용가능성의 장점과 한계점 및 제도적 촉진ㆍ제어 방안 등에 대한 체계적 분석과 심층적 탐구는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외연 확장과 내용체계 강화를 위한 매우 중요한 신생 연구 분야로 간주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본 논문은 Big Data와 AI(& AIED)의 유사 개념(학습분석학, 정밀교육 등)을 확인하고 제반 정의와 쟁점 및 연구 방향을 체계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교육정치학의 발전 방향과 과제를 도출하기 위한 시론적 제언으로서 네 가지 영역(Big Data와 AI 및 AIED의 법적ㆍ제도 정비, 교육 데이터 정치학에 대한 비판적 연구 수행, 다학문적 협동연구 실행, 이론기반 Big Data 과학적 연구방법론 탐구)에 따른 세부적 논의와 관련 쟁점을 분석하였다. Educational politics takes the issue of power and value distribution that defines “who can get what, when, and how” as the starting point for academic research. In the era of data-driven economy, Big Data and AI technology reflect the power relationship itself. Therefore, systematic analysis and in-depth investigation dealing with the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the educational usage and applicability of Big Data and AI, and institutional promotion and control methods need to be regarded as a very important new research field for expanding the academic scope of educational politics. Considering these points, this paper critically analysed similar concepts (learning analysis, precision education, etc.) between Big Data and AI (& AIED), and systematically examined definitions, issues, and research directions. In addition, as suggestive ideas and related issues for deriving the future tasks of educational politics, four areas (big data, AI and AIED legal and institutional reform, critical research on educational data politics,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ve research, theory-based Big Data scientific research methodology) were explained in a detailed manner.

      • KCI등재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개념(槪念)을 기반(基盤)으로 한 디지털 패션상품(商品)의 디자인 가능성(可能性) 탐색(探索) 1

        박선형 ( Seon Hyung Park ),이주현 ( Joo Hyeon Lee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01 패션 비즈니스 Vol.5 No.3

        The purpose of part I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the definition of the wearable computer, the influential factors which led to its advent, the history of its progress and to prospect the figure of future research in fashion field of it. A qualitative analysis was applied to fulfill the research purpose, in which academic reports, professional journals, newspapers, magazines, books and sites were reviewed and analyzed in depth. The wearable computer which has been developed as a type of the portable hardware for computing during the first period, 1960s-1980s, has progressed into apparently softer and technologically advanced prototypes during the 2nd period, early-mid 1990s. From the beginning of the 3rd period since late 1990s, `really wearable` prototypes were developed as the results of efforts to invent the more comfortable and interactive `wearcomp`.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aning of wearable computer in fashion field was interpreted in this study, as a reflection of converged demand and tendency of this era. New issues for future research of the wearable computer were suggested in the viewpoint of fashion design.

      • KCI등재

        조직창의성 풍토 관련 개념 분석과 학교조직창의성 작업환경 측정도구로서의 한국형 KEYS 타당도 분석

        박선형(Park Sun Hyung),임성범(Lim Seong Bum)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6 창의력교육연구 Vol.16 No.3

        창의성에 대한 개인 심리학적 특질을 확인하던 전통적 연구 방향은 최근 들어 창의성 증진에 대한 제반 환경지원 여건의 영향력을 확인하는 조직 창의성 환경풍토로 전환되고 있다. 외국의 경우 조직창의성 작업환경 풍토를 측정하는 다양한 진단척도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반하여 국내의 경우, 창의성 조직풍토와 관련 환경변수를 확인하기 위한 도구적 수단이 부재한 상황이다. 교육현장 속에서 창의성 교육의 활성화와 창의성 발현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단위학교 환경변수로서의 조직풍토 요인에 대한 체계적 진단이 선행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조직창의성 작업환경 진단도구인 Amabile의 KEYS를 번안하여 한국형 학교조직창의성 풍토 진단척도로서의 적용가능성을 예비적으로 탐색하였다. 최초 66문항을 투입하여 최종 8개의 Construct에서 60문항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한 결과, 각각의 Construct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집중타당성, 판별타당성, 법칙타당성)에서 모두 만족할 만한 결과를 확보하였다. 이와 더불어 조직창의성의 중요 환경변수인 조직풍토와 관련된 개념적 정의와 이론적 쟁점을 확인함으로써 조직창의성 작업환경 진단도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Creativity is a fundamental resource for individuals, organizations and nations facing an uncertain and complex world that enables to have the successful survival and sustainable competitive power. Hence, organizational context variables, especially organizational climate, that affect the creativity in work environments have been the main target of numerous studies in the field of organizational science. Although there are usable instruments for assessing environmental factors for creativity, the KEYS, originally developed by Amabile, is the most representative instrument with scientific rigour and empirical evidence. This study aimed at researching the validation of a Korean translated version of the KEYS and explored some core issues regarding the definition of organizational climate and its analysis level in the proper way. Putting aside criteria scales of the KEYS including creativity and productivity, 66 items in 8 evaluative scales were empirically analysed and tested. It was indicated that the results mainly gained from CFA(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nomological validity) seem to satisfy essential requirements of the instrument.

      • KCI등재

        분산적 지도성: 학문토대와 개념정의 및 국내 연구동향 분석

        박선형(Park, Sunhy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3

        분산적 지도성은 서구의 학문공동체에서 21세기를 대표하는 가장 강력한 지도성 이론모형으로서 연구 범위와 적용 수준을 확대해가고 있다. 분산적 지도성 시각은 지도자 개인의 내생적 특성보다는 학교현장 상황에서의 조직구성원 전체의 지도성역량과 상황 요인 및 다양한 교육도구들 간의 상호작용의 총체적 활용을 주창한다. 신뢰와 협력 등의 사회적 자본이 학교공동체가 지향해야할 조직문화로서 새롭게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학교조직의 탈집중화와 지도자의 권한위임이 부각될 수 있는 개념기제로서의 분산적 지도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은 교육지도성 연구체계 확립과 학교운영의 이론적 기초 확대 및 향후 발전 방향 탐색을 위한 시의적절한 교육적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국내·외 관련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분산적 지도성의 학문토대와 개념정의 및 관련 쟁점(분산적 지도성 구인영역 설정의 적절성, 연구동향의 편향성, 양적 연구 만능주의 등)을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분산적 지도성이론 발전에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였던 서구학자들의 이론체계와 학문적 토대를 확인하고 국내 관련 선행연구의 내용체계를 분석하였다. This article discussed the main ideas of distributed leadership, recently being emerged in the field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s a new alternative framework of leadership studies. Disciplinary foundation, such as distributed cognition and expanded cognition largely developed by Hutchins, conceptual definitions and research trends in distributed leadership were explored in a detailed mann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whole feature of leadership, the distributed perspective argues, all the situational factors by which leadership happens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since the practice of leadership is "stretched over" school leaders, followers and symbolic artifacts in the situation. The article also found that only 34 papers regarding distributed leadership, manly quantitative research, are available to date since 2003 the first paper written by the author, dealing with the notion of distributed leadership, was introduced in Korea. It was pointed out that empirical evidence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is shown to be remarkably thin and to be derived from an inadequate conception of distributed leadership. In order to capture comprehensively dynamic aspects of social and situational distribution of leadership especially in schools, it was suggested, the employment of various research models includ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mixed methods research are essentially required further, as a promising avenue that substantially broadens the field of leadership studies.

      • KCI등재

        정치교육(과 시민교육)의 쟁점과 발전 과제

        박선형(Park, Sun-Hyu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20 敎育政治學硏究 Vol.27 No.4

        정치교육은 근본적으로 가치배분(또는 배제)의 문제를 다루기 때문에 관련 이해당사자의 이념적 스펙트럼과 정치철학적 관점에 따라 지속적인 논쟁과 뜨거운 쟁점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크다. 정치공동체에 대한 상이한 철학적 관점은 민주주의 운영형태, 사회문화 가치체제,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 개인의 존재양식 등에 대한 다양한 세계관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정치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쟁점(민주주의와 정치철학의 주요 관점, 정치교육과 시민교육 및 교육정치의 관계)을 확인하면서 정치교육 활성화를 위한 예비적 논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주제와 관련된 핵심개념(민주주의, 정치교육)과 유사 동의개념(시민성, 시민교육, 시민참여, 교육정치 등)을 중심으로 국내외 선행연구물과 관련 논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민주주의에 대한 다양한 개념 숙지, 상이한 정치철학적 관점에 대한 포괄적 이해, 시민교육과 유사개념의 비교 분석, 시민성의 개념 확인, 시민교육 교수학습 모델 개발의 필요성, 다학문적 시각에서의 정치(시민)교육 연구 등이 정치교육의 발전적 확산을 위한 예비적 아이디어로 확인되었다. Since political education fundamentally deals with the issue of value distribution (or exclusion), it is highly likely to be the subject of constant debate and issues depending on the ideological spectrum and political philosophy of the related stakeholders. Because the different philosophical perspectives on the political community provide a variety of worldviews on the mode of operation of democracy,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 syst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This paper attempted to present a preliminary discussion for revitalizing political education while analysing various issues related to political education(the main viewpoints of democracy and political philosophy,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education and citizenship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 systematic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core concepts(eg: democracy, political education) related to the research subject and similar concepts(citizenship education, civic education, civic engagement, educational politics, etc.). Some ideas including familiarity with various concepts of democracy,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different political philosophical perspectives, comparative analysis of civic education and similar concepts, critical examination of the concept of citizenship and necessity of developing civic education teaching-learning model were suggested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교원전문성 개발을 위한 인지과학적 연구 : 쟁점, 이론적 기제 및 개발실천 과제

        박선형(Park Sun Hy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05 敎育行政學硏究 Vol.23 No.2

        본 논문은 뇌과학과 인지과학의 학습원리에 입각하여 교원전문성 개발을 위한 미시적 실천과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문성의 개념, 전문성의 인지 과학적 구성요인을 논의하였고, 전문성 개발을 위한 이론적 쟁점(명시지와 암묵지의 통합, 전이의 문제)과 분석기제(연결주의, 분산인지)의 주요 내용을 고찰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교원 전문성 개발연구 수행을 위한 미래적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Largely based on recent views of cognitive science, namely connectionism and distributed cognition, this paper has tried to unravel the notion of expertise in education by comparing the similar conceptions of it such as professionalism and specialization. It has been maintained that expertise does not reside in individual skulls, but depends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dividual's brain function and the context in which they operate.<br/> The point the paper has emphasized is that learning is not a linear of processing symbols and rules, but of a neural pattern's recognition by configuration synaptic connections between neurones. This means that human cognition such as expertise might consists of pattern recognition rather than manipulation of rules and propositions. Hence, from some views of connectionism and distributed cognition, acquiring expertise is an essentially biological phenomenon which must be researched by the scientific approach, not by speculation or declaration.<br/> Given that teachers' expertise is mediated by cognitive and perceptual motor skills and domain-specific physiological adaptations, teachers training programs need to move beyond an exclusive rules/propositions based learning program. If we extend the focus of research for expertise beyond rules based learning programs, we may be able to understand the kind of knowledge that underlies perceptual capabilities as well as phenomenon of knowing how. From my point of view, it can be found not only in a connectionist account of how cognition is embodied in the brain but also in an account of distributed cognition of how cognition is embedded in environment and cultural artifacts.

      • KCI등재

        AI 거버넌스의 정의와 쟁점 및 발전 과제: 비판적 관점

        박선형(Sun Hyung Park) 한국교육정치학회 2024 敎育政治學硏究 Vol.31 No.1

        데이터 기반 경제시대에 있어서 AI 알고리즘은 결국 ‘누가, 무엇을, 언제, 어떻게 얻을 수 있는지’에 관한 권력 이해관계와 희소자원에 대한 가치배분을 주도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알고리즘 기반의 AI 의사결정 진행과정과 내부 작동기제는 여전히 미지의 ‘black box’로 남아 있다. 따라서 AI의 현실 활용성과 적용 가능성의 이점과 한계점 및 알고리즘 설계의 투명성 제고를 위한 법적・제도적 촉진・제어 방안 등에 대한 비판적인 체계적 분석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디지털 자본주의 시대에서 기술공학 기반의 사회 혁신・발전이라는 미명 아래 AI 권력에 의해 인간이 억압・통제・지배되는 현재의 구조적 상황은 정치학과 교육(정치)학 및 비판이론 시각 등이 다양하게 활용되는 다학문적 기반의 거버넌스 융합연구를 필요로 한다. 이에 대한 현실적 해결책은 AI 거버넌스에 대한 비판적 심층 탐구를 통해서 발견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AI 거버넌스 정의와 쟁점 및 발전방안을 비판적 관점에서 포괄적으로 검토・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data-driven economy, AI algorithms will eventually drive power interests and value allocation of scarce resources in terms of who gets what, when, and how. However, to date,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internal mechanisms of algorithm-based AI remain “a black box”. Therefore, a critical systematic analysis of the benefits and limitations of AI’s practical utility and applicability, as well as legal and institutional promotion and control measures to enhance transparency in algorithm design, is needed now more than ever. The current structural situation of human oppression, control, and domination by AI power in the name of techno-engineering-based social innovation and development in the age of digital capitalism require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governance that utilizes political science, educational politics, and critical theory perspectives. This paper aims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emerging AI governance definitions, issues, and development plans from critical persp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