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실과 프로젝트 수업에 관한 질적 탐구

        노희찬,송현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1 實科敎育硏究 Vol.1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수업이 학습자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를 탐색해 보는 데 있다. 연구 주제는 첫째,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길러지는 능력은 어떤 것들이 있는 가? 둘째, 프로젝트 수업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효과는 무엇인가? 이다. 이 연구의 대상 은 경기도 고양시 B초등학교 5학년 1개 반으로 남자 18명, 여자 15명이다. 이 연구에 서 사용한 프로젝트 과제는 ‘콩’ 프로젝트이다. 자료 수집은 관찰, 면담, 소감 발표, 참 여 관찰을 이용하여 이루어졌고, 프로젝트 수업 과정 중에 학생들의 활동은 비디오로 녹화되어 전사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 자료 통합, 영역 분류, 코딩의 절차를 통해 분석하고 해석 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과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길러지는 능력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첫째, 학생들은 스스로 탐구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신장되며, 자기 스스로 연 구 과제에 대하여 계획을 세워 해결 할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 해 참여와 협력을 할 수 있으며, 토의 과정을 통해 의사 소통 능력을 지니게 되었다. 셋째, 프로젝트 수업에서 토의를 통해 자신의 역할 및 임무를 인지하고 실천하는 책임 감을 기르게 되었다. 넷째, 학생들은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의 증가로 내적 동기가 커졌으며, 프로젝트와 관련된 지식을 획득하여 다른 프로젝트에 적용할 능력을 지니게 되었다. 2. 실과 프로젝트 학습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효과는 무엇이 있는가? 학생들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과정을 통해 지식의 확대 및 재생산을 해내 고 있었으며, 유연한 개방적 사고를 지니게 되었다. 또한 프로젝트 수업 활동에서 학생 들은 어느 때 보다도 더욱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학생들의 내적 동기가 향상되어 적극 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노력한 땀의 가치를 체득하여 노작활동의 소중함을 알게 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through qualitive inquiry into project clas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abilities are developed through project class? Second, what effects does project class have on the learn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fifth‐grade class at B Elementary School in Goyang City, Gyeonggi‐do, and included 18 male and 15 female children. The project used in this study was the ‘Bean’ Projec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 interviews, impression presentation, an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students’ activities during each session of the project were videotaped and transcrib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through the procedure of transcription, data integration, area classification and co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had enhanc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to make research by themselves, and became able to plan and solve by themselves for a given research task. Second, they participated and cooperated through social interaction, and attained abilities to communicate through discussions. Third, they developed responsibility through recognizing and carrying out their roles and duties through discussions. Fourth, they showed internal motivation intensified by heightened interest in the project class, and attained knowledge related to the project as well as abilities to apply the knowledge to other projects. The students expanded and reproduced knowledge through the process of generating creative ideas, and came to do flexible open thinking. In the project class activities, moreover, they participated more voluntarily than in any other cases, and their intensified internal motivation induced them to participate in the class actively. From the project class, the students experienced the value of sweat and the importance of laborious activities. In conclusion, project class is considered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for enhancing learners’ ability and through improving their abilities and concentration on the class.

      • KCI우수등재

        교통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고속도로 유입연결로 가속차로 진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노희찬,김낙석 대한토목학회 202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2 No.3

        The length of the acceleration lane in the area of entrance terminals is calculated based on 13 PS/ton horsepower of a cargo truckin Korea, so it is generally overestimated compared with the capacity of most vehicles traveling on an entrance ramp. Most drivers have, therefore, an indiscreet tendency to enter the main lane in all sections of an acceleration lane, which affects the traffic flow of the main lane. Because of this tendency, measures are required to minimize the impact on traffic flow of the main lane. The operating speed, rate of entrance, and traffic volume for each vehicle were investigated at the entrance terminals of the interchanges (ICs) of Yangji IC, Suseok IC, Yongin IC, and Osan IC, and the level of improvement in traffic flow was analyzed via VISSIM simulation. From the VISSIM simulation analysis, 74.0 % of the total vehicles traveled over the specified speed from the nose point where drivers would be able to recognize the traffic condition of the main carriageway, or the point at which there is a simplification of the curve section. In addition, 88.6 % of the vehicles entered the main carriageway up to 0.8 points compared with the entire length of the acceleration lane. It was subsequently found that an improvement of average speed in the main carriageway and at the entrance ramp can be achieved from 60.1 km/h to 68.5 km/h by intentionally limiting the entrance point onto the main carriageway up to 0.265 points of the entrance ramp. 국내 연결로 가속차로 길이는 13 PS/ton 마력의 화물차를 기준으로 산정되어 연결로를 주행하는 대부분의 차량 성능에 비해 과다하게 산출되어있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고속도로로 진입하기 위해 가속차로 전 구간에서 본선으로의 무분별한 진입 경향으로 본선 교통흐름에영향을 미쳐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양지, 수석, 용인, 오산 각각IC의 연결로 유입부에서 차량의 속도와 진입률 및 차량별 교통량을 조사하여 VISSIM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교통흐름의 개선정도를 검토하였다. 조사결과 곡선부의 단순화와 본선 교통흐름의 인지가능 시점인 노즈부에서 부터 전체차량의 74.0 %가 연결로 규정속도 이상으로 주행하였고, 가속차로 길이대비 0.8 지점까지 88.6 %의 차량이 본선으로 진입하였다. 실측교통량을 기반으로 연결로 유입부를 0.265 지점까지 의도적으로 본선으로의 교통진입을 제한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 본선과 연결로의 흐름을 평균속도 60.1 km/h에서 68.5 km/h까지 개선할 수 있었다.

      • KCI등재

        3차원 해저면 탄성파 탐사 자료에 대한 2차원/3차원 음향 전파형역산 비교

        노희찬,박세은,지형근,김석한,이향월,오주원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22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25 No.4

        To understand an underlying geological structure via seismic imaging, the velocity information of the subsurface medium is crucial. Although the full-waveform inversion (FWI) method is considered useful for estimating subsurface velocity models, 3D FWI needs a lot-of computing power and time. Herein, we compare the calculation efficiency and accuracy of frequency-domain 2D and 3D acoustic FWIs. Thereafter, we demonstrate that the artifacts from 2D approximation can be partially suppressed via frequency-domain 2D FWI by employing diffraction angle filtering (DAF). By applying DAF, which employs only big reflection angle components, the impact of noise and out-of-plane reflections can be reduced. Additionally, it is anticipated that the DAF can create long-wavelength velocity structures for 3D FWI and migration. 탄성파 탐사 자료의 영상화를 통해 지층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지하 매질의 탄성파 속도 정보가 필수적이다. 지하 매질의 속도를 추정하기 위해 전파형역산(Full waveform inversion)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지만 3차원 전파형역산은 방대한 컴퓨터 자원과 계산 시간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음향 전파형역산과 2차원 음향 전파형역산의 계산 성능과 정확성을 비교하고, 회절각 필터링 기술을 이 용한 주파수영역 2차원 전파형역산을 통해 2차원 근사의 한계점을 일부 보완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큰 반사각도의 성분만을 이용하는 회 절각 필터링 기술을 적용하여, 3차원 탐사자료를 통해 2차원으로 근사할 때 문제가 될 수 있는 2차원 단면을 벗어난 지역으로부터의 반 사파의 영향을 줄이고, 3차원 전파형역산과 구조보정에 필요한 장파장 속도구조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이방성을 고려한 4차원 탄성파 모니터링 자료의 구조보정 기술개발

        김석한,노희찬,박세은,오주원,민동주 한국자원공학회 2022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9 No.2

        Seismic anisotropy can be an obstacle when we interpret the seismic data from the seismic survey and monitoring in the sedimentary basins. In this study, we discuss the inaccuracy of the conventional isotropic monitoring algorithm in strong VTI media in causing reflectivity point differences because it offsets differences without considering anisotropic media. To mitigate its shortcomings, we propose a reverse-time migration algorithm for the 4D seismic data regarding vertically transverse isotropic (VTI) media and confirm that this proposed anisotropic monitoring algorithm based on elliptical anisotropy can properly correct the monitoring results. Finally, we improve the accuracy of reflectivity point depth by adapting the anisotropic equation in the pseudo-acoustic wave equation and controlling the offset distance. We compare the efficiency between elliptical anisotropy and VTI of the proposed monitoring algorithm using the synthetic monitoring data from a complex 3D geological model.

      • KCI등재

        Synthesis of o-carboranyl-acyl-substituted diazo compounds from B(4)-acylmethyl carboranes and 2-azido- 1,3-dimethylimidazolinium hexafluorophosphate

        맹찬영,고기훈,이경섭,노희찬,박대수,이필호 대한화학회 2023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44 No.8

        Reaction of B(4)‐acylmethyl o ‐carborane with 2‐azido‐1,3‐dimethylimidazolinium hexafluorophosphate (ADMP) in the presence of 1,8‐diazabicyclo[5.4.0]‐undec‐7‐ene (DBU) in acetonitrile at 25 °C for 3 h produced a wide range of o ‐carboranyl‐acyl‐substituted diazo compounds in high yields with good functional group tolerance.

      • KCI등재

        무역위험의 위험관리론적 고찰

        정홍주(Jung Hong joo),노희찬(Noh Heui chan),최경진(Choi Kyung jin),김기혁(Kim Ki hyuk)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2005 해양비즈니스 Vol.- No.6

          International trade that is a transaction between countries has features of internationalism, cultural difference, long distance and long term for the transaction, compared to domestic trade. It is riskier than domestic transaction and causes additional costs. As well, International trade has its specific risks, such as foreign exchange risk and country risk, and requires various active risk management skills. But it is difficult to get accumulated statistics, which are related to international trade risk and is not sufficient to identify and measure the contract risk, payment risk and transportation risk of international trade.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it is not easy for us to pursue a reasonable risk management, in terms of risk control and risk financing. Taking into account of these factors, this thesis tries to categorize the trade risks by each specificity and to suggest its systemicity and various counter-measures to control the trade risk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