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수의무정죄(non-condemnation) 선언: 용서인가? - ‘간음한 여인 이야기’(요한복음 7:53-8:11), 그 장구한 표류의 역사 -

        김형근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3 신약연구 Vol.12 No.3

        The so-called “PA” that is short for 'Pericope of Adulteress' (John 7:53-8:11) has long been floating since the early church. It is widely agreed that PA, for it's generous attitude toward sexual sin, has been ruled out from canonical text of the Gospel of John until at least 4th century. This means PA has so far been construed as referring to Jesus' forgiveness of adultery,which is a long-held assumption. However, there can be very little reason that Jesus Himself in PA acquitted the woman of the adultery charge, because His saying “let him throw a stone at her”(8:7) clearly indicates Jesus agreed with the Mosaic law's condemnation on the adultery. Jesus' long-lasting silence to the accusers' continuous offensive, on the one hand, has the offensive lead to its climax and maximizes the effectiveness of the condemnation,on the other hand, creates the maximum effectiveness of Jesus' saying of execution of stoning punishment. Some scholars argued that Jesus' declaration of non-condemnation (v. 11)is equivalent to that of forgiveness in the Synoptic traditions (Matt 9:1-6//Mark 2:1-10//Luke 5:17-24; Luke 7:36-50). This opinion, however, may turn out to be unpersuasive because of the following three reasons; (1)While in the Synoptic traditions Jesus' forgiveness is to be declared on the basis of one's faith or repentance, in PA Jesus' non-condemnation is to be declared to the adulteress with no sign of repentance or faith. (2) While in PA and the pericope of healing in Bethesda pool (John 5:2-9) Jesus' declaration of non-condemnation and that of healing are accompanied by Jesus' saying “sin no more”(5:14; 8:11) that implies the acquittal and the healing are in some sense conditional, in the Synoptics Jesus' declaration of forgiveness is given with no condition and is even repeated one more time (Matt 9:6;Mark 2:11; Luke 7:50). (3) While Jesus' declaration of forgiveness puts emphasis on the present fact of forgiveness (Matt 9:2, 5; Mark 2:5, 9),Jesus' saying “sin no more” does more on the future situations than on the present non-condemnation or healing. Jesus' declaration of non-condemnation,therefore, denotes not so much abandonment of condemnation or declaration of forgiveness of sin as the essence of identity and works of Jesus as the Saviour (John 3:17; 8:15; 12:47). Through the saying of execution of stoning punishment PA's Jesus gave His consent to the Law's condemnation on the sin of the adulteress (aspect of 'truth through Jesus Christ' in John 1:17), and through the declaration of non-condemnation with the saying “sin no more” He saved her life and gave her opportunity to inaugurate a new beginning (aspect of 'grace through Jesus Christ' in John 1:17). A hypothesis that the adultery in PA could correspond to an unavoidable cohabitation or prostitution for a livelihood because of an invalid certificate of divorce or being with no certificate may support it. Finally, this article shows that PA is to be construed as referring not to forgiveness of sin but to forgiveness of sinner. This is the very reason why the longheld assumption about PA should be amended, and thus PA should be put into the spotlight again.

      • 기동 표적에 대하여 요격능력 향상을 위한 리드각 기반 유도법칙

        김형근,김현진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11

        본 논문에서는 기동하는 표적에 대하여 요격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리드각 기반 유도법칙을 제안한다. 표적과의 충돌삼각형 형성을 위하여 유도탄의 리드각과 관련한 조건이 제시되며 이를 만족하도록 슬라이딩 모드 제어 기법이 적용되어 유도 명령이 산출된다. 설계된 유도법칙은 외란으로 간주되는 표적기동에 강건한 특성을 가지며 기존의 시선각 변화율 기반 법칙과 비교하여 향상된 요격 능력을 보인다. 기존 유도법칙과의 성능비교를 위한 수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결과를 통해 유도법칙 제안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This paper presents a lead-angle-based guidance law for high capturability against a maneuvering target. In order to form the collision triangle with the target, a condition related to the missile lead-angle is suggested, and then sliding mode control is applied to satisfy the condition. The proposed guidance law has robustness against the target maneuver regarded as a disturbance and ensures high capturability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line-of-sight-angle-based approaches. Numerical simulations show that the proposed guidance law has satisfactory performance in comparison with other guidance law in terms of capturability.

      • KCI등재

        가상대학에서 교수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위한 지식기반형 문자-얼굴동영상 변환 시스템

        김형근,박철하,Kim, Hyoung-Geun,Park, Chul-Ha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5 No.3

        In this paper, knowledge based text to facial sequence image system for interaction of lecturer and learner in cyber universities is studied. The system is defined by the synthesis of facial sequence image which is synchronized the lip according to the text information based on grammatical characteristic of hangul.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the transformation method that the text information is transformed into the phoneme code, the deformation rules of mouse shape which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de of phonemes, and the synthesis method of facial sequence image by using deformation rules of mouse shape are proposed. In the proposed method, all syllables of hangul are represented 10 principal mouse shape and 78 compound mouse shape according to the pronunc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basic consonants and vowe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iculation rules, respectively. To synthesize the real time facial sequence image able to realize the PC, the 88 mouth shape stored data base are used without the synthesis of mouse shape in each frame.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the various synthesis of facial sequence image transformed from the text information is accomplished, and the system that can be applied the PC is implemented using the proposed method. 본 논문에서는 가상대학에서 교수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위한 지식기반형 문자-얼굴동영상 변환(TTFSI : Text to Facial Sequence Image) 시스템에 관해 연구하였다. TTFSI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 한글의 문법적 특징을 기반으로 가상강의에 사용된 자막정보에 립싱크된 얼굴 동영상 합성하기 위하여 자막정보를 음소코드로 변환하는 방법, 음소코드별 입모양의 변형규칙 작성법, 입모양 변형규칙에 의한 얼굴 동영상 합성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한글의 구조분석을 통해 기본 자모의 발음을 나타내는 10개의 대표 입모양과 조음결합에서 나타나는 78개의 혼합 입모양으로 모든 음절의 입모양을 표현하였다. 특히 PC환경에서의 실시간 영상을 합성하기 위해서 매 프레임마다 입모양을 합성하지 않고, DB에서 88개의 해당 입모양을 불러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텍스트 정보에 따른 다양한 얼굴 동영상을 합성하였으며, PC환경에서 구현 가능한 TTFSI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KCI등재

        Bone-forming peptide-2 derived from BMP-7 enhances osteoblast differentiation from multipotent bone marrow stromal cells and bone formation

        김형근,이준식,김지현,선종근,박경순,정명호,윤택림 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17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Vol.49 No.-

        Strategies for efficient osteogenic differentiation and bone formation from stem cells would have clinical applications in treating nonunion fracture healing. Many researchers have attempted to develop adjuvants as specific stimulators of bone formation for therapeutic use in patients with bone resorption. Therefore, development of specific stimulators of bone formation has therapeutic significance in the treatment of osteoporosis. To date, investigations of the mature forms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s (BMPs) have focused on regulation of bone generation. However, we previously identified new peptides from the immature precursor of BMP, and further analysis of these proteins should be performed. In this study, we identified a new peptide called bone-forming peptide-2 (BFP-2), which has stronger osteogenic differentiation-promoting activity than BMP-7. BFP-2 treatment of multipotent bone marrow stromal cells (BMSCs) induced expression of active alkaline phosphatase. In addition, BFP-2 enhanced CD44 and CD51 expression levels and increased Ca2+ content in BMSCs. Moreover, radiography at 8 weeks revealed that animals that had received transplants of BFP-2-treated BMSCs showed substantially increased bone formation compared with animals that had received BMSCs treated with BMP-7. Our findings indicate that BFP-2 may be useful in the development of adjuvant therapies for bone-related diseases.

      • KCI등재

        한국의 불교그림과 공연 – 삼척 안정사에서 연행되는 땅설법을 중심으로 -

        김형근 한국공연문화학회 2020 공연문화연구 Vol.0 No.41

        This article was triggered by Victor H. Mair's book 'Painting and performance'. The book explained that Buddhist paintings are common in the area where Buddhism was spread, and there are also performances using them. And although it has nothing to do with Buddhism, it has been shown that this form of performance can be global. However, the problem was not 'Korea'. It was because there was no record or transmission of the corresponding performance soon. In this situation, the landing method of Samcheok stable temple was announced in 2018. On the one hand, the academic community is very pleased, but on the other hand, it is troubled. The worries are summed up as 'synchronic and diachronic universality'. Is the landing method inherited from the Samcheok stable temple a unique type of temple? Otherwise, it is a question of whether it has been passed down or is it universal at the national level. However, prior to this essential question, we do not yet know the full picture of the stable landing method. So this article was prepared to show the overall outline of the stable landing method. There is a ‘picture’ in common throughout the landing method, and understanding how to operate it in various ways is the first step in understanding the landing method. There are five repertoires (which are called main halls) that are considered important, and more than that. What these repertoires have in common is the narrative structure of a Buddhist character. In this narrativ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revised figure, and it was the earthly method to inform the contents of the revised figure in various ways. In the case of Byeonsangdo, which serves as a clue to the narrative,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not be seen in the evening without light, which required special design. It is the way of shadow play and Yeongdeung. In other words, there are three types of performances in the landing method. The first is the method of using reparation, and the second is the method of using shadow. The third is the way of eternity. This method is not a selection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repertoire, but a selection based on the performance environment. If there is light and you can see the picture, use reparation. However, in the evening, it was impossible to see it dark (when there was no electricity in the past). The use of the visual method as a tool in this method is to confirm the transition to a visual culture that is a step further from the level of culture. Moreover, unlike the epic narrative, the power of the implied image provided an opportunity for viewers to experience the mystery of Buddhism through emotional stimulation. 본고는 빅터 메어(Victor H. Mair)의 용어 ‘Painting and performance’에서 촉발되었다. 그 책에서는 불교가 전파된 지역에 불교그림이 공통적으로 있고, 또한 그것을 활용한 공연이 있음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불교와는 관련 없지만 이러한 공연 형식은 세계적일 수 있음을 밝혔다. 그러나 문제는 ‘한국’은 다루어지지 않았다. 그것은 곧 그에 해당하는 공연의 기록과 전승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2018년 삼척 안정사의 땅설법이 알려졌다. 학계는 한편으로 매우 반가워하면서도, 또 한편으로 고민을 하게 된다. 그 고민은 곧 ‘공시적, 통시적 보편성’으로 요약된다. 과연 삼척 안정사에서 전승하고 있는 땅설법이 그 절만의 특이 유형인가? 아니면 전승이 안되었을 뿐 전국적인 단위에서 보편적인가 하는 문제이다. 그러나 이런 본질적 질문에 앞서 우린 아직 충분히 안정사 땅설법의 전모를 알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본고는 안정사 땅설법의 전체적인 윤곽을 보이기 위해 마련되었다. 땅설법 전체에 공통적으로 ‘그림’(변상도)이 쓰이며, 그것을 어떠한 방식으로 운용하는지 다양한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땅설법을 이해하는 첫걸음이다. 땅설법은 본전으로 5개의 레퍼토리, <석가모니일대기(釋迦牟尼一代記)>, <선재동자구법기(善財童子求法記>,<목련존자일대기(目連尊者一代記)>, <성주신일대기(成造神一代記)>, <신중신일대기(身衆神一代記)>를 가지고 있다. 또 별전으로 <만석중득도기(曼碩衆得道記)>, <안락국태자경(安樂國太子經)>, <태자수대나경(太子須大拏經)>, <심청효행록(沈淸孝行錄)>, <삼한세존일대기(三韓世尊一代記)>,<위제희부인만원연기(韋提希夫人滿願緣起)> 등이 있다. 공통적으로 불교적 인물의 일대기 서사구조를 취한다. 이 서사를 진행하는데 있어 가장 중심이 되는 것이 변상도이며, 이 변상도의 내용을 다양한 방식으로 알려주는 것이 땅설법이다. 서사의 실마리가 되는 변상도의 경우 빛이 없는 저녁에는 볼 수 없는 문제가 생겨 특별한 고안이 필요했다. 그렇게 만들어진 것이 그림자극과 영등(影燈)의 방식이다. 즉, 땅설법은 세 가지 방식의 공연 방식이 있다. 첫 번째가 변상도를 이용하는 방식이고, 두 번째가 그림자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세 번째가 영등의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레퍼토리의 내용에 따른 선택이 아닌 공연 환경에 따른 선택이다. 빛이 있어 그림을 볼 수 있으면 변상도를 이용한다. 그러나 저녁이 되면 어두워 볼 수 없으므로(과거 전기가 들어오지 않았던 시절) 그림자나 영등의 방식을 취했다. 이렇게 땅설법에서 시각적인 방식을 도구로 활용한 것은 단순히 구비문화 차원에서 한단계 진일보한 시각문화로의 이행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구비서사와는 달리 함축되어 있는 이미지의 힘은 감성적 자극을 통해, 보는 이로 하여금 불교의 신비함을 체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 KCI등재

        울산 마두희(馬頭戱) 줄다리기의 무형유산적 가치

        김형근 한국공연문화학회 2022 공연문화연구 Vol.- No.45

        이 글은 울산의 전통 줄다리기인 ‘마두희’의 무형유산적 가치를 규명하는 글이다. 마두희 또한 일제 강점기에 전승이 단절되었고, 그에 대한 복원 작업이 최근에서야 어느 정도 마무리 되었다. 단순히 지역문화 내지 지역무형유산으로 전승하는 데는 문제가 없지만, ‘문화재’라는 정책으로 그 보호조치를 받기 위해서는 심사를 받아야 한다. 그런데 그간 무형문화재 제도의 종목 지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히 여겨온 것은 ‘행위의 지속성’ 문제였다. 그런 점에서 한 때 단절되었던 종목들은 늘 그 전통성에 대한 비판들이 제기된다. 바로 이 부분이 최근에 어느 정도 규명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역사성’ 대신 ‘대표성’이라는 기준에서 마두희의 가치를 분석하였다. 무형유산의 대표성이라 함은 일정 공간과 사람의 정체성을 오롯이 담고 있는지, 그래서 그것이 그들의 문화적 상징이 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이다. 이 글에서는 이를 위하여 다른 지역 줄다리기와의 비교를 통해 마두희가 갖는 보편성과 특수성을 드러냈다. 특수성은 다섯 가지로 요약되는데 1) 이른 시기의 문헌 기록(학성지 1749년), 2) 풍수비보의 목적으로 행해졌다는 유래, 3) 정월대보름이 아닌 단오, 4) 줄수염, 남녀 복색을 통한 남녀 교합 시각화, 5) 놀이 이후의 처리 과정의 독자성이 그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마두희는 울산을 대표하는 무형유산인 동시에, 한국 줄다리기의 다양성을 규명할 수 있는 좋은 지역사례임을 드러냈다. 울산 마두희는 현재 대표적인 울산 축제이다. 아울러 축제에 대한 시민의 참여와 관의 지원이 어우러지면서 한국에서도 이름난 축제로 발돋움하고 있다. 줄다리기가 전승되고 있는 지역들이 인구소멸의 위기에 놓여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울산은 지속가능성에 있어 매우 희망적인 것이다. 이 부분 또한 마두희가 갖는 무형유산적 가치라고 할 수 있다.

      • 신라인의 항해술에 관한 연구

        김형근 木浦海洋大學校 2003 論文集 Vol.11 No.-

        In this study the writer would like to study the art of navigation in the Era of Sill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writer studied ship's log book of Ennin's Diary, the ancient ship's structures of Korean, Chinese, Japanese, winds and ocean currents around Korean Peninsular which effect the navigation of sailing ship, and ancient reference books and materials. The result of this study, in the ship's structure in the Era of Silla, bottom structure is considered Flat and V-Shaped type, and sailing ship had anchor, sail, oars, considerable deckhouse, keel, transverse bulkhead. And the ship's main materials of sailing ship was wood, partially used, irons in the panting structures. In the art of navigation, Silla Navigators used winds, ocean current, anchor, sail, oars, depth and color of sea water, lights, ballast. And especially the writer think that Silla Navigators should be used astrologers, geomancers and magnetic compass for asronomical observation. weather forecast, natural phenomena in the art of navigation.

      • KCI등재후보

        잔여지(殘餘地) 매수청구제도(買收請求制度) 개선방안(改善方案)에 관한 연구(硏究)

        김형근,김부성,Kim, Hyeong-Geun,Kim, Boo-Su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1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7 No.3

        최근 잔여지 매수 관련 고충민원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잔여지 매수규정'을 보다 구체화 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잔여지는 공익사업에 편입되고 남은 토지로 '잔여지 매수청구'에 의해 사업시행자가 손실보상을 하고 있다. 본 논문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수용재결한 잔여지 사례를 중심으로 시사점을 제시하는 한편, 피 수용자에게 정당한 손실보상으로 권익 보호와 효율적인 보상행정을 하기 위함이다. In the situation where the number of anguished people are increasing recently related to the remained lot purchase, there occurs the need for the specification of the 'regulation on the remained lot's purchase'. The remained lot is the remained land that is left after the allocation to the public business, and is compensated for its loss by the business implementor through the 'remained lot purchase request' by the people accommodated. This thesis presents issues based on the case studies on the remained lots that was accommodated and adjudicated in the local autonomous entity, and has the objective of implementing the protection of rights and effective compensation administration through the just compensation of the loss to the people who are accommod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