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영변부(寧邊府) 책판의 현황과 특징

        김정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4 규장각 Vol.64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view the list of the Yeongbyeonbu woodblocks housed at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and examine their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of woodblock research. Chapter 2 reviewed the list of the Yeongbyeonbu woodblocks housed at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The chapter did historical research and demonstrated that Yeongbyeonbu published two types of printing woodblocks for Saryak, Myeonggojip Chapter 3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ype area in the Yeongbyeonbu woodblocks. One of th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concerns the names of engravers and all kinds of patterns engraved in type area.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printing woodblocks published by Yeongbyeonbu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ir counterparts published by other regions.

      • KCI등재후보

        한국 개인정원의 시대별 일본정원 요소 적용과 영향요인 분석

        김정철,김도균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0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6 No.2

        Unlike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culture, the Japanese garden style has been long remained in the garden field, But it is time to differentiate the styles of Korean modern private gardens and escape from the Japanese garden style based on the influx and expansion of overseas gardening sty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tter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rivate gardens and to provide data on the application status and influencing factors of the Japanese garden style so that it can be developed into a unique garden style by grasping how much of the Japanese garden factors have been applied to Korean modern private gardens by period, and what are the factors that consistently remain. This study extracted and quantified Japanese garden factors applied to modern private gardens shown in garden magazines by planting type and facility type, and grasped the extent of application of the Japanese garden factors by period. Although Korean private gardens are developing with the diversification of garden styles and the expansion of garden materials such as planting trees and flowers compared to the past, it was shown that the influence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continues in the Korean garden culture. The application index of the Japanese garden factors was 40.0 points from postwar to 1970, 20.3 points from 1971 to 1980, 26.0 points from 1981 to 1990, 7.3 points from 1991 to 2000, 17.8 points from 2001 to 2010, and 16.3 points from 2011 to 2019. The application index tended to decrease with a slope of 4.1 from the Korean War to the present. It was shown that pruned pines such as Juniperus chinensis Kaizuka Variegata and pruned royal azaleas were frequently applied with an application frequency of 1.0 or higher among the Japanese garden factors. The frequency of application of facility factors such as laying stepping stone, intentional arrangement of natural stones, stone pagoda, or stone lanterns, was also high by 1.0 or higher. The reason for the continued application of Japanese garden factors in Korean private gardens was found to be largely influenced by the practical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Japanese garden factors at the garden construction site, in a situation where garden personnel who design and construct a garden have little clear understanding of garden culture and garden styles. Therefore, this study raised the necessity of fostering technical personnel for garden construction who should continuously escape from the Japanese garden factors remained in Korean private gardens, and apply an independent and unique Korean garden style. 우리나라는 일제 강점시대를 지나 광복 75주년을 맞이하고 있으나, 정원 분야는 급격하게 변화하는 사회문화와 달리 일본정원 양식이 길게 잔재하고 있다. 최근에는 해외정원 양식의 유입으로 한국 현대 개인정원의 양식과 정체성을 확립하고, 해외 정원양식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야 하는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 개인정원에 잔재하는 일본정원 요소가 시대별로 어느 정도 적용되었는가와 지속적으로 잔재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파악하여, 현대 개인정원이 가진 개성 표출을 강화하고, 고유한 정원양식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일본정원 양식 적용현황과 영향요인 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정원관련 잡지 등에 나타난 현대 개인정원에 적용된 일본정원 요소를 식재유형, 시설물 유형에서 추출하여 계량화하고, 시대별로 일본정원 요소의 적용 정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현대 개인정원의 설계 및 시공 과정에 참여한 주체에 따라 일본정원 요소 적용 영향요인을 선형 회귀분석으로 도출하였다. 한국 개인정원은 과거에 비해 다양한 정원양식이 전파되고, 정원소재의 다변화 방향으로 발전 중이나, 과거 일본 식민지 시대의 영향이 한국 정원문화에 잔재하여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정원 요소의 적용지수는 전후∼1970년까지 40.0, 1971∼1980년까지 20.3, 1981∼1990년까지 26.0, 1991∼2000년까지 7.3, 2001∼2010년까지 17.8, 2011∼2019년까지 16.3로, 한국전쟁이후부터 현재까지 일본정원 요소의 적용지수는 4.1의 기울기로 줄어드는 경향이었다. 일본정원 요소 중 가이즈까향나무와 같은 전정한 소나무류, 전정한 철쭉류의 적용빈도가 1.0 이상으로 즐겨 적용되었고, 징검돌 놓기, 의도적인 자연석 배치, 석탑, 석등 등 시설물 요소의 적용 빈도가 1.0 이상으로, 주로 도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개인정원에서 일본정원 요소의 적용이 지속되는 원인은, 정원을 설계하고 시공하는 정원 전문 인력이 정원문화 및 정원양식에 대한 명확한 이해도가 낮은 상황에서 정원시공 현장에서 관행적으로 일본정원 요소를 적용하는 영향요인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한국 개인정원에 담긴 일본정원 요소의 지속적인 탈피와 독자적이고 독특한 한국정원 양식을 개발하고 확산시키기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KCI등재

        『홍범연의(洪範衍義)』의 구성과 주자학적 특징 - 「계의(稽疑)」를 중심으로-

        김정철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3 한국학연구 Vol.- No.69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overall composition of Hongbeomyeonui洪範 衍義 and analyze its content to shed light on its nature in terms of Zhu Xi studies. Previous studies defined its nature in various ways with a focus on its nature as a book of practical science or its retro character. The present study set out to analyze in details its writing intention, overall composition, and cited annotations to demonstrate that it was a collection of annotations for Great Plan洪範, sincerely reflecting the viewpoint of Zhu Xi studies. The findings show based on the intentions of its authors that Hongbeomyeonui was written by Lee Hui-il and Lee Hyeon-il to supplement the lacking aspects of the old annotations and investigate with historical details the statecraft of the sages era to be delivered to later generations rather than presenting a new perspective or implementing a reform. Hongbeomyeonui places the Confucian classics offering detailed descriptions of sages’ statecraft and tries to provide historical researches on its specific content based on annotations from Han and Tang. It also includes opinions of scholars in Song along with Zhu Xi, trying to understand Great Plan in the viewpoint of Zhu Xi studies. Hongbeomyeonui represents the fruition of Yeongnam's intellectuals including Lee Hui-il and Lee Hyeon-il that arranged the statecraft science of sages in the viewpoint of Zhu Xi studies. 본 논문의 목적은 『홍범연의』의 전체 구성을 검토하고, 내용을 분석하여 그 주자학적 성격을 드러내는 것이다. 기존 연구들은 모두『홍범연의』가 경세서라는 점에는 동의하면서도, 성격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었다. 실학적 경세서 혹은 도학적 경세서로 보는 관점이 있고, 최근에는 고대 점복적 경세의 전형으로 평가하기도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저술 의도와 전체구성 및 인용된 주석을 상세히 분석하여『홍범연의』 의 주자학적 성격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홍범연의』는 이휘일과 이현일의 저술 동기로 볼 때,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거나개혁을 실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저술된 것이 아니라 기존 주석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성인시대의 경세를 상세히 고증하여 후세에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저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홍범연의』는 성인의 경세를 서술한 경(經)과 주석과 사례에 해당하는 전(傳)을 차례로 배치하였다. 전(傳)에는 한당대의 주소를 통해 그 구체적인 내용을 고증하고 주희를 비롯한 송대학자의 견해를 함께 배치하여, 주소의 내용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주자학의 관점에서 홍범 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황극」 구성에서 주소의 견해를 따르지 않고 철저하게 주희의 관점을 고수한 것이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오사」 「계의」 는 물론 별도의 장으로 편집된 「홍범연의변」 과 「홍범총론 」까지 홍범연의 의 내용은 주희의 관점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홍범연의』 는 홍범구주의 아홉 조목 별로 핵심 내용을 제시하고 고대 경서와 한당대의 주소를 통해 성인의 경세를 고증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분명 존고(存古)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개별 장마다 배치된 송대 학자들의 견해는 주자학의 관점에서 「홍범」 을 독해하는 방향으로 유도하고 있다. 그러므로 『홍범연의』는 이휘일과 이현일을 비롯한 영남의 지식인들이 주자학의 관점에서 고대 성인의 경세학을 이해하고 정리한 결실이라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홍범황극내편보해(洪範皇極內篇補解) 의 판본과 이순(李純)의 상수역학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홍범황극내편보해 를 중심으로-

        김정철 동양철학연구회 2023 東洋哲學硏究 Vol.115 No.-

        본 논문의 목적은 이순의 홍범황극내편보해 의 여러 판본을 비교하고 보해 가운데 이순의 견해가 직접 반영된 ‘석왈(釋曰)’ 등을 통해 그의 상수역학 이해와 특징을 고찰하는 것이다. 현전하는 홍범황극내편보해 3종을 분석하고 비교한 결과 필사본 보해 는 동산본 보해 와 같은 계열의 판본을 저본으로 삼고 여러 자료를 참고하여 만든 일종의 축약본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발견된 동산본 보해 는 현전하는 판본들의 내용을 확인하고 판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온전하게 남아있는 「범례」는 저술 의도와 기준, 참고 자료를 명시하고 있어, 보해 에 관한 정밀한 연구의 토대를 제공한다. 일부 결락된 부분이 있으나 조선시대 홍범황극내편 연구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박세채의 범학전편 수록 보해 는 구성과 체제가 다르고 일부 생략된 부분이 있으나 대부분 내용을 온전히 수록하였고, 중간본 성리대전 의 보주, 장품의 「황극내편수총명」, 한방기의 홍범도해 등 관련 자료를 아우르고 있다는 점에서 홍범황극내편 의 종합적 주해서로서 가치가 있다. 이순의 사상은 서문과 본편의 보해 외에도 「내편수총명보해」의 81 범수에 대한 ‘보해’와 ‘석왈(釋曰)’에서 파악할 수 있다. ‘보해’는 경학적인 전거에 충실한 해설이며, ‘석왈’은 이순의 독자적인 견해를 포함하고 있다. 또 이순은 채침의 상수역학적 사유를 계승하고 있으며, 81범수를 홍범구주에 배속하고자 하였다. 이순의 배속 방식은 독자적인 면모를 보이기도 하지만, 일관성이 부족한 지점도 나타난다. 동산도서관 소장 홍범황극내편보해 는 현전하는 판본 가운데 이순이 편찬한 모습에 가장 가까우며, 특히 온전하게 보존된 「범례」를 통해 각 판본의 특징을 드러내고, 이순의 사상이 드러난 곳을 더 정밀하게 고찰할 기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mpare Lee Sun李純's edition of Hongbeomhwanggeuknaepyeonbohae洪範皇極內篇補解 with other editions and examine his understanding of number and image theory of I-Ching based on the parts that reflect his opinions directly. The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ree remaining versions of the book.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Bohae補解 manuscript housed at the National Central Library is a kind of abridged edition that was created by consulting many different materials of later generations. Secondly, the Bohae version housed at the Dongsan Library of Keimyung University was recently discovered and played important roles to check and discriminate the different editions. The content of its "Introductory Remarks凡例" especially offers explicit records about Lee Sun's intention, criteria, and references for his book. It led to a chance to conduct a precise research on the understanding of Hongbeomhwanggeuknaepyeon among Joseon's scholars. Finally, the Bohae edition of Park Se-chae朴世采's Beomhakjeonpyeon範學全篇 is different from the other editions in composition and system and contains abbreviations in some parts, but it contains the content of Bohae as completely as possible and encompasses a wide range of related materials, thus claiming its value. Lee Sun inherited caichen蔡沈's understanding of number and image theory of I-Ching and tried to assign 81 Beomsu範數 to Great Plan with the Nine Divisions洪範九疇. His approach had independent aspects but lacked consistency in some aspects. His book, however, holds important significance as the first attempt to annotate the entire Hongbeomhwanggeuknaepyeon洪範皇極內篇 in Joseon.

      • KCI등재
      • KCI등재

        범용토양유실공식(RUSLE) 기법을 활용한 금호강 수변지역의 토양유실위험도 비교 분석

        김정철,윤정도,박정수,최종윤,윤종학 대한원격탐사학회 2018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risk of soil erosion before and after the maintenance of riparian area using th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model based on GIS and digitizing data. To analysis of soil erosion loss in the study area, land cover maps, topographical maps, soil maps, precipitation and other data were used. After digitizing the riparian area of the Geumhogang, the area is divided into administrative district units, respectively. Amount of soil loss was classified into 5 class according to the degree of loss. Totally, 1 and 5 class were decreased, and 2-4 class were increased. Daegu and Yeongcheon decreased the area of 5 class, and Gyeongsan did not have area of 5 class. The reason for this is thought to be the decrease of the 5 class area due to the park construction, expansion of artificial facilities, and reduction of agricultural land. Simplification of riverside for river dredging and park construction has increased the flow rate of the riverside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amount of soil erosion has increased. 본 연구는 하천 유역의 정비사업 전·후의 토양유실위험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GIS 및 디지타이징 자료를 토대로 수정범용토양유실공식(RUSLE)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토양유실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토지피복지도, 지형도, 토양도, 강수량 등의 자료들을 이용하였으며, 금호강 유역의 수변지역을 범위로 디지타이징한 후, 유역을 행정구역 단위로 분할하여 분석하였다. 하천 정비 전(’8)과 후(’16)로 토양유실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 지역(클래스 1)에서 심하게 일어나는 지역(클래스 5) 등 총 5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사업(’16) 후 전체지역에 대하여 1, 5 클래스는 감소, 2~4 클래스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와 영천은 5 클래스의 면적이 감소하였고, 경산은 5 클래스의 지역이 존재하지 않았다. 이러한 원인은 공원조성과 인공시설물 확대, 농경지 감소 등으로 인하여 5 클래스의 지역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되며, 수변지역의 준설 및 공원조성을 위한 하안선 단순화는 하천 유량 및 유속에 의한 토양유실량 증가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