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리순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특성

        김정미,Kim, Jung-Mi 한국식품영양학회 2015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8 No.5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mprised of various amounts of barley-sprout powder by analyzing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kies and investigating a sensory evaluation. For the study, the cookies were cooked with the following levels of barley-sprout powder: 0%, 3%, 6%, 9%, and 12%. The results show tha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ookies was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barley-sprout powder and this result is the same as the spreadability factor of the cookies (p<0.001). Also, the pH and brix values of the samples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barley-sprout powder (p<0.001). Regarding hunter's colors, the values of L (lightness), a (redness), and b (yellowness) are significantly decreased, increasing the quantity of barley-sprout powder (p<0.001). For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 that the hardness of the cookies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addition of the barley-sprout powder; furthermore, the results indicate a tendency whereby the DPPH-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cookies were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quantity of the barley-sprout powder (p<0.001). For the sensory evaluation, the cookies that were made with 6 % barley-sprout powder received the highest scores in terms of appearance,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p<0.05, p<0.001). This study suggests that barley-sprout powder is an excellent ingredient for improving the acceptability and functionality of cookies, and that, in relation to the flour quantity the ideal proportion of barley-sprout powder is 6%.

      • KCI등재

        HBeAg 음성 만성 B형 간염 소아청소년 환자에서 라미부딘의 적절 치료 기간 결정을 위한 장기 치료 경험

        김정미,홍석진,최병호,추미애,조승만,최병호,Kim, Jung-Mi,Hong, Suk-Jin,Choi, Byung-Ho,Chu, Mi-Ae,Cho, Seung-Man,Choe, Byung-Ho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2 No.1

        목 적: HBeAg 음성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라미부딘의 적절한 치료 기간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에 보고된 바 없다. 저자 등은 라미부딘의 장기 치료 효과를 분석하여 HBeAg 음성 소아 만성 B형 간염의 적절한 치료 기간을 결정하는데 예비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 법: 1999년 7월부터 2006년 8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하여 만성 B형 간염으로 진단받은 83명 중 HBeAg 음성 만성 B형 간염으로 진단되어 라미부딘 치료를 시작하였던 환자 7명 중 2년 이상 경과한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모두 혈청 ALT치가 정상 상한치의 2배 이상으로 증가되어 있었다. 라미부딘을 3 mg/kg (최대 100 mg)으로 매일 1회, 최소 2년 이상 경구 투여하였다. HBV DNA의 소실과 혈청 ALT 수치의 정상화를 1차 목표로 하였고 라미부딘 종료 후 관해 유지를 최종 목표로 하였다. 라미부딘은 HBV DNA의 음전화 및 ALT치의 정상화 후 2년 이상 추가 투여하기로 하였다. 치료 시작 후 매 2~3 개월 마다 HBV DNA, 혈청 ALT, HBeAg과 anti-HBe 역가의 변화 추이를 조사하였다. 결 과: 라미부딘 치료 기간은 평균 32.3개월(26~40개월)이었고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59.5개월(26~110개월)이었다. 라미부딘 치료를 받은 모든 환자에서 3개월 이내에 HBV DNA가 0.5 pg/mL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2005년 이후에 치료를 시작한 환자는 3명이었는데 3명 모두에서 3~23개월에 0.007 pg/mL (=357 IU/mL)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ALT치 정상화에 걸린 기간은 6명의 환자에서 평균 3.5개월(2~7개월)이었다. 라미부딘으로 치료한 환자 중 5명은 HBV DNA PCR에서 357 IU/mL 미만으로 유지되고 있으나 한 명의 환자에서 18개월에 생화학적 돌파현상(breakthrough)이 관찰 되어 28개월째에 투여를 중단하였다. 라미부딘 치료가 종료된 4명에서 평균 23.8개월(4~75개월)동안 추적 관찰하였지만 재발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결 론: HBeAg 음성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라미부딘은 효과적으로 HBV 증식을 저지할 뿐 아니라 혈청 ALT치를 정상화시켰다. 치료 종료 후의 재발률을 낮추기 위해 HBeAg 음성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라미부딘의 적절 치료 기간은 HBV DNA 음전 및 혈청 ALT치 정상화 후 2년 추가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나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o provide the primary data for reaching a consensus on the adequate duration of treatment of lamivudine in children with HBeAg negative chronic hepatitis B. Methods: Seven of 83 children/adolesc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were diagnosed with HBeAg-negative and HBV DNA-positive chronic hepatitis B and treated with lamivudine. Six children/adolescents were enrolled among 7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with lamivudine over 2 years. The primary goal of treatment was HBV DNA clearance and normalization of the serum ALT level; the final goal of treatment was the durability of the complete response after discontinuation of lamivudine. It was planned to continue lamivudine for more than two additional years after HBV DNA negativity and normalization of ALT. Results: The mean duration of lamivudine treatment was 32.2 months (range, 26~40 months) and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59.5 months (range, 26~110 months). HBV DNA levels became undetectable (<0.5 pg/mL) in 6 patients within 3 months of treatment. ALT levels were normalized in 3.5 months (range, 2~7 months) in all 6 patients. Biochemical breakthrough developed in 1 patient 18 months after the initiation of lamivudine treatment. No evidence of relapse could be found in 4 patients with a mean follow-up of 23.8 months (range, 4~75 months) after cessation of lamivudine treatment. Conclusion: Suppression of HBV replication and normalization of serum ALT levels were effectively achieved with long-term lamivudine treatment in children/adolescents with HBeAg-negative chronic hepatitis B. Two additional years of lamivudine may be needed after HBV DNA clearance and ALT normalization in HBeAg-negative chronic hepatitis B in order to decrease the relapse rate.

      • KCI등재

        대구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및 학부모의 가공식품에 대한 영양표시 인식

        김정미,이미희,이난희,Kim, Jung Mi,Lee, Mi Hee,Lee, Nan Hee 한국식품영양학회 2014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anges in perception concerning nutrition labeling and students' availability of processed foods and is to investigate parents' awareness of nutrition labeling through the 'Education program on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dietary life' conducting directly to the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4,105 persons) by the nutrition teacher in each school. The part that checked when purchasing processed food before and after the students' education, the name of manufacturer (p<0.05), raw material and content (p<0.001), food additives (p<0.001), nutritive components (p<0.05) etc.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n idea about nutrition labeling has increased after the education, the question items in 'it is reliable' (p<0.001), 'satisfied' (p<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articularly. In spite of one time education, it showed positive changes such as it can be possible to get desired nutrition information. Thus, although it was one time training conducted in the situation that can not be carried out formal education due to school environment, a variety of practical education of children's dietary life is required targeting comprehensive senior students, the education is considered to be conducted for children as well as parents.

      • KCI등재

        Open API를 이용한 검색확장에 대한 만족도 평가 - D 대학을 중심으로 -

        김정미,서은경,Kim, Jung-Mi,Seo, Eun-Gyoung 한국비블리아학회 2011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2 No.1

        최근 도서관은 웹기술을 이용하여 이용자들의 참여와 만족을 이끌어 내는데 노력하고 있다. 이 연구는 Open API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정보원들을 검색할 수 있게 한 D대학 도서관시스템에 대하여 이용자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90명의 학생들에게 시사적 주제 2개와 학업관련 주제 2개를 가지고 검색하게 한 후, 홈페이지의 통합검색 기능 및 연계기능에 대한 만족도와 연계된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었으며 검색기능의 용이성과 미리보기의 유용성 면에서 가장 높은 만족을 보인 반면 디스플레이 방식에 대해서는 불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사진자료보기 및 동영상보기, 검색결과의 배열 및 브라우징, 검색결과의 양과 검색속도에 대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콘텐츠를 최신성, 적합성, 유용성, 활용성면에서 평가한 결과가 지식인, 도서관 소장자료, 학위논문/학술지, 이미지자료 순으로 만족하였다. 검색확장에 대한 불만족 사항은 유용성이 높은 검색 인터페이스를 구축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satisfaction level of users regarding the search and search results of D College Library system implemented by Open API. For the study, 90 students of D College searched the library system with 4 subjects regarding on current affairs and assignments, and then evaluated the satisfaction on search functionality and contents usability. In results, they satisfied search expansion in general. Especially, the satisfaction levels for the convenience of search method and preview was the highest, but that of level for the arrangement and browsing of search results and the searching speed was the lowest. In terms of currentness, relevance, usefulness and utilizability aspects, Naver was the most highly evaluated, followed by library’s database, dissertation/academic journals, Youtube and Flikr. The cause of the unsatisfactory could be reduced when the library system implements the useful and attractive search interface.

      • KCI등재후보

        학습주기를 활용한 유아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정미 ( Jung Mi Kim ),안지영 ( Ji Young Ah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5 열린부모교육연구 Vol.7 No.4

        본 연구는 학습주기를 활용한 유아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검토, 보건교육 실무자 협의 및 요구조사, 그리고 유아교육전문가와 식품영양 전문가와의 협의 과정을 거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영양에 대한 지식, 기술, 태도를 학습하므로 건강생활을 위한 식습관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영양과 관련된 지식, 기술, 태도가 포함되도록7개의 주제를 중심으로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교수-학습과정은 ``학습주기(learning cycle)``를 활용한 구조로써, 관심가지기-이해하기-실천하기의 3단계가 순환적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관심가지기’의 단계는 대소집단활동, ‘이해하기’의 단계는 자유선택활동, ‘실천하기’의 단계는 가정연계활동의 구조로 구성하였다. 영양교육의 특성상 부모의 식생활에 대한 협조가 매우 중요하므로, 가정의 부모 역시 유아의 건강한 영양생활에 대한 정보와 인식을 습득하고,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영양교육의 내용을 가정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정연계활동을 강조하였다. 평가는 교육현장에서의 프로그램 운영 적합성에 대한 프로그램 평가와 유아의 지식, 기술, 태도 등에 대한 변화를 평가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applying the learning cycle as the means to promote children``s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about healthy eating habit and nutrition. In order to design the program, the process of studying literature, consultation and investigation of practical needs with the person in charge of health eduction from the healthcare center, and deliberation with kindergarten teachers and professors was gone through. The contents consist of 7 topics including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This study adopted ``Learning Cycle`` as a teaching method which consists of 3 steps: ``taking interest`` ``understanding``, ``practicing``. ``Taking interest`` phrase consists of group activities, ``understanding`` phrase consists of free choice activities, and ``practicing`` phrase consists of family related activities. In terms of characteristic of nutrition education, participation and support from parents in the children``s families is very essential through the program, Therefore, parents would learn information and importance of childhood healthy nutrition ahead of the program execution as well. The assessment consists of the feasibility of the program in kindergartens and the transformation of knowledge, skill, attitude of children.

      • KCI등재

        ADHD 초등학생 대상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메타분석

        김정미(Kim Jung-mi),박은선(Park Eun-seon),정옥현(Jeong Ok-hyun) 한국미술치료학회 2018 美術治療硏究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을 대상으로 적용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출간된 연구논문 중 분석에 적합한 26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2.0 버전을 사용하여 효과크기 분석, 효과크기 이질성 분석, 출간오류분석 등을 실시하여 효과크기뿐만 아니라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미술치료 중재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는 Hedges’g=1.40으로 나타나 큰 효과크기에 해당되었다. 종속변수 중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인 것은 과잉행동으로 Hedges’g=1.53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주의력결핍 1.34, 정서 및 사회성 1.16, 자아성장 1.11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효과크기의 이질성 탐색을 위하여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 설계유형, 참여자들의 학년, 출간유형, 매체유형, 표본크기, 중재시간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중재회기의 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회기가 길수록 효과크기가 크다는 결과가 나왔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출간오류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전체 연구를 번복할 정도의 오류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일차적 증상뿐 아니라 이차적 문제에 대한 미술치료의 효과성을 검증하였으며 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programs used for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Twenty-six articles were selected from theses and journals from 2000 to 2017 and meta-analysis was performed adopt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 version 2.0. The validity of the study result and the size of the effect were verified by analyzing the effect size, the effect size heterogeneity, and the publication error.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overall effect size of art therapy interventions was large (g=1.39). The largest effect size caused by the dependent variables was hyperactivity (g=1.53) followed by attention deficit (g=1.34),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ity (g=1.16), and self-growth (g=1.11). A modera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heterogeneity of the overall effect size and it showed that design types, grades of participants, publication types, object types, sample sizes, and lengths of session tim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number of sessions provided was, however,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longer the session, the greater the effect size. Finally, a publication bias analysis was undertaken to verify the validity of this study, but no significant bias was found to overturn the entire study. These results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for both secondary problems and primary symptoms of ADHD children and provide the basis for more effective art therapy programs

      • KCI등재

        학습주기를 활용한 건강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건강 인식, 지식 및 실천에 미치는 효과

        김정미(Jung Mi Kim),안지영(Ji Young Ah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학습주기를 활용한 건강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건강 인식, 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5년 1월부터 7월까지 문헌검토, 보건교육 실무자 협의 및 요구조사, 그리고 영양, 운동, 구강, 흡연예방과 관련된 전문가 심의의 과정을 거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건강교육프로그램은 영양, 위생, 운동, 구강, 흡연예방의 다섯 영역의 교육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교수-학습과정은 인식, 탐색, 탐구, 적용의 학습주기에 따른 순환적 구조로 이루어진다. 실험 및 비교집단에 대한 사전 및 사후검사 자료를 t검증과 ANCOVA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학습주기를 활용한 유아 건강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건강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운동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건강지식은 다섯 개의 모든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의 실천적 측면에서도 역시 전반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pplied to apply the health education program using the learning cycle on a kindergarten, and to show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children``s health perception, knowledge, and practice. The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studying literature, consultation and investigation of practical needs with the person in charge of health education from the healthcare center, and deliberation with kindergarten teachers and professors from January to July 2015. The program contents consist of nutrition, sanitation, exercise, oral hygiene, and smoking prevention. The teaching-learning method follows the reciprocal learning cycle which has 4 phrases: awareness, exploration, inquiry, and utilization. The program was applied in the ‘J kindergarten’ for 4 weeks,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program has positively influenced the children``s health perception, knowledge, and practice.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d ANCOVA on the pre-score and post-score to find ou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t was found that health education program using learning cycle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health perception; particularly, health perception about exercise score was higher than other factors. Th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health knowledge including all factors, and it had a positive effect on overall children``s health practice as well.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일반어린이집과 장애 통합어린이집 비장애 남ㆍ여 유아의 색채 인식 정도에 관한 비교분석

        김정미(Kim Jung Mi),김유선(Kim Yoo Sun) 한국색채학회 2011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5 No.1

        일반교육을 받은 유아들과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비장애 유아들간의 색채인식을 비교분석하여 통합교육이 색채인식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서울시 중랑구에 위치한 생활환경과 경계수준이 비슷한 일반어린이집은 3곳, 장애 통합어린이집은 2곳으로 2010년 12월동안 어린이집을 방문ㆍ조사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유아들의 수는 일반어린이집이 총 103명(남아: 52명, 여아: 51명), 통합어린이집은 87명(남아: 44명, 여아: 43명) 조사에 참여하였고 참여수가 두 집단이 차이가 있어 분석 시 퍼센트(%)로 표현하였다. 설문조사는 먼셀 10색상환과 KS톤표에서 vivid, strong, light, pale, dull, deep, dark 총 10개의 톤을 선별하여 선별된 70개의 색상칩을 색채판으로 만든 후 선호색, 감성색, 평가성, 압도성, 활동성, 연상색을 총 12문항 나누어 질문 후 색채판에서 색상칩을 선택하도록 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일반, 통합어린이집 비장애 유아들의 선택 비율이 높았던 색채 유형이 유사하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통합어린이집의 비장애 유아들의 유형은 여러 색상이나 톤으로 분포되어 있는 일반어린이집의 유아들의 유형에 비해 좀 더 높은 비율과 좁고 뚜렷한 그래프 형태를 보여 통합교육이 사회적 행동과 기술의 발달 및 정서와 언어발달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통합교육을 받은 유아들의 색채인식 수준 정도는 일반교육을 받은 유아들과 큰 차이는 아니었지만 다르게 나타나 통합교육에 의한 색채인식 효과의 발전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각 유아들 마다 성향이나 질문에 응하는 태도 등 여러 요인들이 또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좀 더 환경이나 요인들이 제어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통합교육에 의한 색채교육 효과를 제시하여 더 많은 유아들이 통합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inclusive education on color perception by comparison with the level of children"s Color perception between the common kinder gardens and the inclusive education. The survey performed at 2 inclusive day care centers and 3 child care centers on Jungrang-gu, Seoul for 30 days in December, 2010. Total participant in common education are 103 children (boys: 52, girls: 51) and the children kinder gardens are 87 participants (boys: 44, girls: 43). Due to a different number of subjects, the research was compared by percent. This study was based on the questionary consists of 12 questions (preference, emotion, activity, association, judgement, dominance etc.) with the color chips of Munsell color system and KS color tone. 70 color chips from 10 Munsell hue and 7 KS color tones of vivid, strong, light, pale, dull, deep, dark were selected. The result asked subjects as follows: Result found that the range of colors picked by children in both child care centers is similar. However, the result of color perception in inclusive daycare center is more clear than another. It means that (non-disabled) children in inclusive day care centers are possessed of great concentration.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inclusive education improved sociality and emotional, language ability. Also, there is a certain limit as to what observer is able to control many variables because each participants has a different character or personality. But, this result shows that inclusive education has a possibility of effectiveness in field of chromatology.

      • KCI등재

        와송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소시지의 품질 특성

        김정미(Jung Mi Kim),이미희(Mi Hee Lee),이종숙(Jong Suk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10

        본 연구는 와송 분말 첨가량(1, 3, 5%)에 따른 소시지의 품질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pH와 경도를 포함한 조직감에서는 와송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수분 함량은 증가하였다. 와송 분말 첨가 소시지의 색도는 와송 분말 첨가량에 따라 명도는 감소하는 반면에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와송 분말을 첨가한 소시지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대조구(46.33±9.35 μg GAE/g)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P<0.05), 특히 와송 분말 5% 첨가구는 185.15±10.09 μg GAE/g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4배로 높았다. 항산화 활성에서도 와송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이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와송 분말 첨가 소시지의 저장기간별 품질 변화를 조사한 결과, VBN 함량은 저장 초기에는 시료구 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VBN 함량이 모든 시료구에서 증가하였다. 그러나 와송 분말을 첨가한 시료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VBN 함량의 증가폭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BARS는 저장 0일째에는 대조구와 시료처리구는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와송 분말 첨가구의 TBARS는 대조구에 비하여 낮았다. 와송 분말 첨가 소시지의 일반세균수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와송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세균 증식이 감소하는 것으로 와송 분말이 항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와송 분말의 첨가 소시지는 와송 분말 첨가로 인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증가와 항산화 활성 등의 효과를 부여함과 동시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효능은 증가하였고, 저장기간(28일) 동안 단백질 변패 및 미생물 증식 억제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와송 분말의 첨가가 소시지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tential role of Orostachys japonicus powder [1, 3, and 5% (w/w)]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 of sausages. The results showed a concentration-dependent reduction in pH and texture properties of sausages supplemented with O. japonicus powder. A concentration-dependent significant enhancement in moisture, total polyphenol content,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noticed in sausages supplemented with O. japonicus.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46.33±9.35 μg gallic acid equivalent (GAE)/g) a fourfold higher polyphenol content was quantified in 5% O. japonicus supplemented sausages (185.15±10.09 μg GAE/g). Furthermore, the L* value decreased whereas a* and b* value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added O. japonicus powder. A time-dependent (0∼28 days) enhancement of volatile basic nitrogen (VBN) content was found in all sausages. However, the enhancement rate of VBN in O. japonicus supplemented sausage was less as compared to without O. japonicus supplemented sausages. Moreover, the effect of different amounts of O. japonicus on the relative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was observed by TBARS assay. A time-dependent increase in the aerobic bacterial count was recorded in all sausages samples. Nonetheless, the bacterial growth was diminished in 1%, 3%, and 5% O. japonicus supplemented sausages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results suggest that O. japonicus may have an impact on the physiochemical and functional quality of sausages, which can thus be utilize as a food additive to make sausages with improved 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