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리순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특성

        김정미,Kim, Jung-Mi 한국식품영양학회 2015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8 No.5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mprised of various amounts of barley-sprout powder by analyzing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kies and investigating a sensory evaluation. For the study, the cookies were cooked with the following levels of barley-sprout powder: 0%, 3%, 6%, 9%, and 12%. The results show tha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ookies was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barley-sprout powder and this result is the same as the spreadability factor of the cookies (p<0.001). Also, the pH and brix values of the samples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barley-sprout powder (p<0.001). Regarding hunter's colors, the values of L (lightness), a (redness), and b (yellowness) are significantly decreased, increasing the quantity of barley-sprout powder (p<0.001). For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 that the hardness of the cookies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addition of the barley-sprout powder; furthermore, the results indicate a tendency whereby the DPPH-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cookies were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quantity of the barley-sprout powder (p<0.001). For the sensory evaluation, the cookies that were made with 6 % barley-sprout powder received the highest scores in terms of appearance,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p<0.05, p<0.001). This study suggests that barley-sprout powder is an excellent ingredient for improving the acceptability and functionality of cookies, and that, in relation to the flour quantity the ideal proportion of barley-sprout powder is 6%.

      • KCI등재

        대구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및 학부모의 가공식품에 대한 영양표시 인식

        김정미,이미희,이난희,Kim, Jung Mi,Lee, Mi Hee,Lee, Nan Hee 한국식품영양학회 2014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anges in perception concerning nutrition labeling and students' availability of processed foods and is to investigate parents' awareness of nutrition labeling through the 'Education program on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dietary life' conducting directly to the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4,105 persons) by the nutrition teacher in each school. The part that checked when purchasing processed food before and after the students' education, the name of manufacturer (p<0.05), raw material and content (p<0.001), food additives (p<0.001), nutritive components (p<0.05) etc.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n idea about nutrition labeling has increased after the education, the question items in 'it is reliable' (p<0.001), 'satisfied' (p<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articularly. In spite of one time education, it showed positive changes such as it can be possible to get desired nutrition information. Thus, although it was one time training conducted in the situation that can not be carried out formal education due to school environment, a variety of practical education of children's dietary life is required targeting comprehensive senior students, the education is considered to be conducted for children as well as parents.

      • KCI등재

        Open API를 이용한 검색확장에 대한 만족도 평가 - D 대학을 중심으로 -

        김정미,서은경,Kim, Jung-Mi,Seo, Eun-Gyoung 한국비블리아학회 2011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2 No.1

        최근 도서관은 웹기술을 이용하여 이용자들의 참여와 만족을 이끌어 내는데 노력하고 있다. 이 연구는 Open API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정보원들을 검색할 수 있게 한 D대학 도서관시스템에 대하여 이용자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90명의 학생들에게 시사적 주제 2개와 학업관련 주제 2개를 가지고 검색하게 한 후, 홈페이지의 통합검색 기능 및 연계기능에 대한 만족도와 연계된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었으며 검색기능의 용이성과 미리보기의 유용성 면에서 가장 높은 만족을 보인 반면 디스플레이 방식에 대해서는 불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사진자료보기 및 동영상보기, 검색결과의 배열 및 브라우징, 검색결과의 양과 검색속도에 대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콘텐츠를 최신성, 적합성, 유용성, 활용성면에서 평가한 결과가 지식인, 도서관 소장자료, 학위논문/학술지, 이미지자료 순으로 만족하였다. 검색확장에 대한 불만족 사항은 유용성이 높은 검색 인터페이스를 구축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satisfaction level of users regarding the search and search results of D College Library system implemented by Open API. For the study, 90 students of D College searched the library system with 4 subjects regarding on current affairs and assignments, and then evaluated the satisfaction on search functionality and contents usability. In results, they satisfied search expansion in general. Especially, the satisfaction levels for the convenience of search method and preview was the highest, but that of level for the arrangement and browsing of search results and the searching speed was the lowest. In terms of currentness, relevance, usefulness and utilizability aspects, Naver was the most highly evaluated, followed by library’s database, dissertation/academic journals, Youtube and Flikr. The cause of the unsatisfactory could be reduced when the library system implements the useful and attractive search interface.

      • KCI등재

        HBeAg 음성 만성 B형 간염 소아청소년 환자에서 라미부딘의 적절 치료 기간 결정을 위한 장기 치료 경험

        김정미,홍석진,최병호,추미애,조승만,최병호,Kim, Jung-Mi,Hong, Suk-Jin,Choi, Byung-Ho,Chu, Mi-Ae,Cho, Seung-Man,Choe, Byung-Ho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2 No.1

        목 적: HBeAg 음성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라미부딘의 적절한 치료 기간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에 보고된 바 없다. 저자 등은 라미부딘의 장기 치료 효과를 분석하여 HBeAg 음성 소아 만성 B형 간염의 적절한 치료 기간을 결정하는데 예비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 법: 1999년 7월부터 2006년 8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하여 만성 B형 간염으로 진단받은 83명 중 HBeAg 음성 만성 B형 간염으로 진단되어 라미부딘 치료를 시작하였던 환자 7명 중 2년 이상 경과한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모두 혈청 ALT치가 정상 상한치의 2배 이상으로 증가되어 있었다. 라미부딘을 3 mg/kg (최대 100 mg)으로 매일 1회, 최소 2년 이상 경구 투여하였다. HBV DNA의 소실과 혈청 ALT 수치의 정상화를 1차 목표로 하였고 라미부딘 종료 후 관해 유지를 최종 목표로 하였다. 라미부딘은 HBV DNA의 음전화 및 ALT치의 정상화 후 2년 이상 추가 투여하기로 하였다. 치료 시작 후 매 2~3 개월 마다 HBV DNA, 혈청 ALT, HBeAg과 anti-HBe 역가의 변화 추이를 조사하였다. 결 과: 라미부딘 치료 기간은 평균 32.3개월(26~40개월)이었고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59.5개월(26~110개월)이었다. 라미부딘 치료를 받은 모든 환자에서 3개월 이내에 HBV DNA가 0.5 pg/mL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2005년 이후에 치료를 시작한 환자는 3명이었는데 3명 모두에서 3~23개월에 0.007 pg/mL (=357 IU/mL)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ALT치 정상화에 걸린 기간은 6명의 환자에서 평균 3.5개월(2~7개월)이었다. 라미부딘으로 치료한 환자 중 5명은 HBV DNA PCR에서 357 IU/mL 미만으로 유지되고 있으나 한 명의 환자에서 18개월에 생화학적 돌파현상(breakthrough)이 관찰 되어 28개월째에 투여를 중단하였다. 라미부딘 치료가 종료된 4명에서 평균 23.8개월(4~75개월)동안 추적 관찰하였지만 재발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결 론: HBeAg 음성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라미부딘은 효과적으로 HBV 증식을 저지할 뿐 아니라 혈청 ALT치를 정상화시켰다. 치료 종료 후의 재발률을 낮추기 위해 HBeAg 음성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라미부딘의 적절 치료 기간은 HBV DNA 음전 및 혈청 ALT치 정상화 후 2년 추가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나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o provide the primary data for reaching a consensus on the adequate duration of treatment of lamivudine in children with HBeAg negative chronic hepatitis B. Methods: Seven of 83 children/adolesc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were diagnosed with HBeAg-negative and HBV DNA-positive chronic hepatitis B and treated with lamivudine. Six children/adolescents were enrolled among 7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with lamivudine over 2 years. The primary goal of treatment was HBV DNA clearance and normalization of the serum ALT level; the final goal of treatment was the durability of the complete response after discontinuation of lamivudine. It was planned to continue lamivudine for more than two additional years after HBV DNA negativity and normalization of ALT. Results: The mean duration of lamivudine treatment was 32.2 months (range, 26~40 months) and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59.5 months (range, 26~110 months). HBV DNA levels became undetectable (<0.5 pg/mL) in 6 patients within 3 months of treatment. ALT levels were normalized in 3.5 months (range, 2~7 months) in all 6 patients. Biochemical breakthrough developed in 1 patient 18 months after the initiation of lamivudine treatment. No evidence of relapse could be found in 4 patients with a mean follow-up of 23.8 months (range, 4~75 months) after cessation of lamivudine treatment. Conclusion: Suppression of HBV replication and normalization of serum ALT levels were effectively achieved with long-term lamivudine treatment in children/adolescents with HBeAg-negative chronic hepatitis B. Two additional years of lamivudine may be needed after HBV DNA clearance and ALT normalization in HBeAg-negative chronic hepatitis B in order to decrease the relapse rate.

      • SCIESCOPUSKCI등재

        역류성 식도염과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에서의 Tropheryma whippelii DNA 유병률

        김정미 ( Jung Mi Kim ),전재범 ( Jae Bum Jun ),이오영 ( Oh Young Lee ),이항락 ( Hang Lak Lee ),나영인 ( Young In Na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7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3 No.1

        목적 : 휘플씨 병(Whipple`s disease)은 Tropheryma whippelii (T. whippelii)이 원인으로 체중 감소, 설사 그리고 관절병증이 나타나는 만성 감염성 질환이다. 휘플씨 병은 대부분에서 서서히 발병하고 매우 드물기 때문에 진단에 어려움이 있으며, 병인도 확실하지 않다. 최근에는 배양이나 혈청학적 검사 없이 T. whippelii 특정 유전자 증폭을 이용한 분자학적 진단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에 휘플씨 병의 증상이나 징후를 보이지 않는 역류 및 설사 등의 위장관 증상을 가지는 환자에서 T. whippelii DNA 유병률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여러 가지 위장관 증상을 가지는 환자 중 상부위장관내시경을 통해 진단된 역류성 식도염 53명의 환자와 로마기준 II 기준에 합당한 설사형 과민성 장 증후군 3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게 타액을 채취하여 특정 semi-nested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타액에서의 16S rDNA를 검출하였다. 결과 : 89명의 환자들 중에서 T. whippelii DNA 양성으로 나온 환자는 1명이며, 유병률은 1.1%로 매우 낮았으며, 이는 설사 우세형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였다. 정상 대조군 129명에서의 T. whippelii DNA 유병률을 직접 비교하였을 때 환자군은 1.1% (1/89), 대조군은 1.5% (2/129)의 유병률을 보였으며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휘플씨 병의 증상이나 징후를 보이지 않는 위산역류 및 설사 등의 위장관 증상을 가지는 환자의 타액에서 T. whippelii DNA 유병률은 매우 낮았다. Background/Aims: Tropheryma whippelii is the causative agent of Whipple`s disease, and it is difficult to diagnose this systemic illness. Little is known about the epidemiology of T. whippelii and its prevalence in people who are without any clinical signs of Whipple`s disease. Patients and Methods: We screened a total of 89 patients with reflux esophagitis (53 patients) and diarrhea-dominant irritable bowel syndrome (36 patients) for T. whippelii DNA and we compared them with 129 healthy controls in order to check whether T. whippelii might be a risk factor for common gastrointestinal diseases. We detected the 23S rDNA of T. whippelii in salivary samples with using a specific semi-nested PCR. Results: We found one patient to be PCR-positive in the saliva, so the prevalence rate of T. whippelii was 1.1%. Additionally, when compared with the 129 healthy contro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rate. Both reflux esophagitis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were not associated with a PCR-positive test for T. whippelii.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T. whippelii DNA in patients with reflux esophagitis or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in the healthy control patients is very low.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3:26-30)

      • KCI등재

        국내ㆍ외 인체중재연구를 통해 살펴 본 양파의 심혈관계 질환 개선효과에 관한 고찰

        김정미(Jung-Mi Kim),박은주(Eunju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10

        본 총설에서는 동물실험에 이어 인체중재연구에서 양파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단편적인 효능 검색 외에 활성물질의 분리, 동정 및 작용기작에 대한 구명연구를 위해 양파의 심혈관계 질환 및 항산화 효과에 대한 기존 중재연구를 종합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양파의 심혈관계 질환 개선 효과는 대부분의 인체중재연구에서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저하 또는 혈소판 응집 저해 및 혈전 용해 활성 촉진 작용을 통해 입증되었다. 특히 이러한 유효성은 이미 혈중 지질 농도가 높아 혈액 유동성이 낮아진 대상자에게 약 300 g의 양파를 최소 12주 이상 제공할 때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공급되는 양파의 산지, 시료 제조 방법, 공급되는 시료양 및 기간과 중재 기간 동안 개인의 식사 조정과 같은 다양한 실험 조건의 차이가 결과에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되므로 이에 대한 엄격한 기준 및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양파는 LDL 산화 억제에는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쿼세틴이 단백질과 친화성이 높은 특성에서 기인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양파의 항산화 효과를 전적으로 부인하기보다는 항산화 효과를 반영할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분석 지표 선정 혹은 항산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는 등 새로운 분석 기술의 적용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nion (Allium cepa L.) production in Korea has increased gradually over the past 15 years, placing second in food consumption survey with 20.6 g daily intake in 2006. Onions, used as an ingredient in many dishes and accepted by almost all traditions and cultures, have been reported to have a range of health benefits which include anticarcinogenic, antiasthmatic, antibiotic, and antioxidative effects. These effects may be attributable to a powerful flavonoid pigment-containing compounds, such as quercetin and alk(en)yl cysteine sulphoxides (ACSOs). Although antiplatelet and antithrombotic activities of onion have been confirmed by many of in vitro or animal studies, only a few human intervention studies have been examined. The majority of human studies identified that onion improves some cardiovascular markers such as lipid profile and platelet coagulant. With regard to antioxidative effects, somewhat positive effects are confirmed through strengthening the resistance of oxidative DNA damage in lymphocyte and urine, while most studies failed to find inhibitory effects on LDL oxidation. The discrepancies among studies might be ascribed to producing area, processing methods of onion, dosage, subject characteristics, study duration, and measurement methods. In this review, we focused on the preventive effect of cardiovascular disease through onion consumption in human intervention studies.

      • KCI등재

        RBL-2H3 세포에서 차조기씨 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김정미(Kim Jeong Mi),김대중(Kim Dae Jung),김태혁(Kim Tae Hyuk),김현숙(Kim Hyun Sook),최면(Choe Myeon) 韓國營養學會 201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3 No.4

        RBL-2H3 세포에서 차조기씨 물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DNP-IgE와 HSA로 세포를 활성화시켰다. 활성화된 비만 세포에서 분비되어 나오는 히스타민을 효소적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 IL-4과 TNF-α의 생성량은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차조기씨 물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되었으며, 1,000 ㎍/㎖농도에서 DPPH와 hydroxyl radical 소거능이 각각 38.9, 93.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차조기씨에 함유된 130.7 ㎎/g의 높은 페놀 함량에 기인하여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차조기씨 물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서는 현저히 높은 양의 히스타민을 분비하였지만, 각 추출물의 농도로 처리시킨 세포에서의 분비량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IL-4와 TNF-α의 분비량 모두 차조기씨 물 추출물을 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은 생성량을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차조기씨 물 추출물은 비만세포에 항원-항체 반응으로 인해 발병되는 제1형 알레르기 반응의 약학적 효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용되며, 향후 이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erillae semen in RBL-2H3 basophilic leukemia cells. Inhibitory effect of Perillae semen onto free radical generation was determined by measuring DPPH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 vitro. Anti-inflammatory actions of Perillae semen extracts (100, 250, 500 ㎍/㎖) were assessed by testing their effects on the degranulation of mast cells. For this, β-hexosaminidase released from RBL-2H3 cells was used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were measured by an ELISA kit. Our results indicated that Perillae semen water extracts effectively inhibited free radical generation. At the concentration of 500 ㎍/㎖ of water extract, the degranulation of RBL-2H3 cells were inhibited by 42.1%. The IgE-antigen complex increased the accumulation of IL-4 and TNF-α secretion in RBL-2H3 cells and treatments with 250 and 500 ㎍/㎖ of Perillae semen extracts suppressed the IgE induced secretion of IL-4 and TNF-α protein by 20.5, 26.9% and 14.5, 16.5% respectively. We observed that Perillae semen water extract reduced β-hexosaminidase, IL-4, and TNF-α secretion in RBL-2H3 cells. These results provide that Perillae semen may be beneficial in the treatment of allergic inflammatory disease.

      • KCI등재

        인터넷 쇼핑몰에서 서비스 회복 공정성이 고객의 만족과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오픈마켓과 종합 인터넷쇼핑몰을 중심으로

        김정미 ( Jung Mi Kim ),채나리 ( Na Ri Chae ),황선진 ( Sun Jin Hwang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14 패션 비즈니스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service recovery fairness of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 depending on the type of shopping mall into 3 levels, and analyze their influence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purchase. Data were collected from 271 customers who had made a complaint or raised a question about service among the customers, and was analyzed through AMOS 7.0. For hypothesis testing, a research model was set up in the form of structure equation model, and its suitability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the service recovery fairness at internet shopping mall, only the consequential fairness has a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higher the customers` satisfaction with internet shopping mall, the more positive influence it has on intention to repurchase. Third, it has been shown that the influence of service recovery fairness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purchase has a meaningful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internet shopping mall. In other words, it has been shown that customer satisfaction is higher at open market than general internet shopping mall. Inaddition, it has been shown that in open market, only the consequential fairness has a meaningful influence, therefore it will be more effective to strengthen a strategy focused on economical rewards than other fields.

      • SCOPUSKCI등재

        식이 Capsaicin이 마우스의 주요 장기조직에서의 Proto - oncogenes Expression에 미치는 영향

        김정미(Jung-Mi Kim),한인섭(In-Seob Han),김병삼(Byung-Sam Kim),유리나(Rina yu)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5 No.6

        매운맛 성분(capsaicin, CAP)이 암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자적인 수준에서의 기초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식이 CAP의 투여가 동물 조직 중 proto-oncogene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ICR mouse를 4group으로 분류하여 각각 식이 CAP 농도가 0, 5, 20, 100ppm이 되도록 조제한 먹이로 4주 동안 사육하였다. 사육기간 종료 후 동물들의 중요장기를 적출하여 total RNA를 분리하고, proto-oncogene(c-jun, c-myc, H-ras, erbB, p53)의 발현 수준을 slot blot hybridization assay를 통해 살펴 보았다. 이때, control probe로는18SrRNA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c-jun proto-oncogene의 발현은 각 주요 장기조직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는데, 식이 CAP 투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간과 신장에서 그 발현이 증가하며, 위에서는 CAP 20ppm까지는 c-jun의 발현이 증가하다 100ppm 투여시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장에서는 식이CAP 투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tumor suppressor gene인 p53의 경우, 간에서만 CAP 20, 100ppm 처리시 약하게 발현되었다. 이들 결과로 보아, 식이 CAP에 의한 proto-oncogene의 발현은 CAP 투여량에 따라 그 정도를 달리하며, 그 발현 정도는 조직 특이성을 나다내는 것으로 평가된다. Capsaicin(8-methyl-N-vanillyl-6-nonenamide: CAP) is a major ingredient of hot pepper that has been used as a spicy food additive, preservative, and medicin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dietary CAP on the selected proto-oncogene(c-jun, c-myc, H-ros, erhB, P53) expressions in various tissues of mice. Male ICR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fed the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CAP at the levels of 0, 5, 20 and 100ppm for four weeks. Steady state RNA levels in various tissues were measured by slot blot hybridization assay. C-jun expression level was enhanced in stomach tissue from mice fed 20ppm CAP and significantly reduced from mice fed l00ppm CAP. The c-jun expression levels were differentially altered in organ-specific manner. Tumor suppressor gene p53 expression level appeared to be slightly increased in the liver from mice fed 20ppm CA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dietary CAP differentially modulates c-jun and p53 expression in various organs.

      • SCOPUSKCI등재

        이식 후 12 개월이 지난 신 이식 환자에서 Cyclosporine Trough Levels 과 2 - Hour Postdose Blood Level 사이의 상관 관계 및 적정 C2 Level

        김정미(Jung Mi Kim),김동한(Dong Han Kim),김태우(Tae Woo Kim),조규향(Kyu Hyang Cho),박종원(Jong Won Park),도준영(Jun Young Do),윤경우(Kyung Woo Yoon),최준혁(Jun Hyuk Choi)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3

        배 경: Cyclosporine은 탁월한 면역 억제 작용으로 인해 이식 환자에게 널리 사용되는 약제이나 약물 농도의 치료 범위(therapeutic window)가 좁다. 따라서 체내 cyclosporine의 약물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급성 거부반응과 이식 장기의 소실 빈도를 증가시키고 cyclosporine의 약물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각종 부작용을 야기한다. 또한 cyclosporine은 약물 흡수의 변동이 심하여 만성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각종 부작용은 피하면서 면역 억제 작용은 극대화하고자 cyclosporine의 체내 적정 약물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C0 농도(cyclosporine trough level)가 임상에서 비교적 간편하게 cyclosporine의 체내 적정 약물 농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C2 농도(2-hour postdose blood level)를 통한 cyclosporine의 혈중 농도 감시가 AUC0-4h(area under the concentrationtime curve 0-4 hr)와 연관성이 높고 한번의 채혈 결과만으로도 체내 약물 농도를 비교적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 이식 환자를 비롯한 각종 장기 이식 환자에서 점차 C2 농도가 C0 농도를 대신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식 후 12개월이 지난 안정된 신 이식 환자에서 체내 cyclosporine의 적정 C2 농도 기준은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식 후 12개월이 지난 안정된 신 이식 환자에서의 cyclosporine의 체내 적정 약물 농도 기준 으로서 C2 농도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C0 농도와 C2 농도간의 상관 관계 유무 및 적정 C2 농도를 알아보았다. 방 법 : 2001년 5월 현재 영남대학교병원 신장내과에서 추적 관찰 중인 신 이식 환자 중 이식 후 12개월이 지난 안정된 신 이식 환자 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에게서 cyclosporine을 투약하기 전 혈중 C0 농도와 투약 후 2시간째 혈중 C2 농도 및 혈청 크레아티닌을 측정하였고 투약 받은 cyclosporine의 용량을 기록하였다. 결 과: 전체 C0 농도와 C2 농도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으나(r=0.313, p=0.004), C0 농도의 평균값(mean±SD)을 기준으로 하여 세 군으로 나누었을 때 각 군에서 C0 농도와 C2 농도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는 없었다. 그러나 정상 C0 군에서 환자 체중에 따른 cyclosporine의 용량과 C2 농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r=0.269, p=0.039). 결 론: 따라서 저자들은 이식 후 12개월이 지난 안정된 신 이식 환자에서 C0 농도가 정상 범위인 경우 적정 C2 농도는 724.7±210.1 ng/mL로 제시하였다. Background : Cyclosporine dosing is traditionally based on trough levels(C0 level) rather than area under the concentration-time curve(AUC), although AUC correlates better with post transplantation acute rejection and acute toxicity. It is reported that C2 levels(2-hour postdose blood levels) are single sampling point that best reflects AUC0-4. But there has been no recommended C2 levels for patients after 12 months post kidney transpla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C0 levels and C2 levels and define recommended target C2 levels in patients after 12 months post kidney transplantation. Methods : Seventy three patients after 12 months post transplantation were studied. 83 data were obtained from 73 renal transplant patients. Blood C0 levels, blood C2 levels, body weight and serum creatinine level were measured. Blood cyclsporine levels were measured by monoclonal fluorescence polarization immunoassay(mFPIA)(TDX, Abbot). The data of C0 level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low group (<mean-SD, 119.3 ng/mL), normal group(mean±SD, 158.2±38.9 ng/mL), high group(>mean+SD, 197.1 ng/mL). Results :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0 levels and C2 levels, but no correlation between C0 levels and C2 levels when C0 level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yclosporine/body weight and C2 levels in normal C0 group. Recommended C2 levels in normal C0 group is 724.7±210.1 ng/mL. Conclusion : It is assumed that cyclosporine doses can be individualized by using C2 levels rather than C0 levels in renal transplant patients. However, prospective study may be needed to confirm the improvement of longterm renal allograft survival by individualizing cyclosporine doses based on C2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