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IM 기반의 건축법규검토를 위한 룰셋 정의서 개발 -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대상으로 -

        김유리,이상화,박상혁,Kim, Yuri,Lee, Sang-Hya,Park, Sang-Hyuk 한국건설관리학회 2012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3 No.6

        조달청은 2016년부터 공공공사 전 사업으로 BIM 발주를 확대할 계획이어서 BIM 설계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BIM 설계의 품질을 확보하는 방안 법규검토의 중요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을 대상으로 실무의 건축계획 과정에서 빈번하게 검토되는 항목을 중심으로 최적화된 룰셋 정의서를 개발하였다. 법규조항을 선정하는 과정으로는 프로젝트 법규검토서를 활용한 빈도 분석, 함수화 가능도 분석, 모델 검토 가능성 분석을 제시하였다. 모델 검토 시나리오 작성에 따라 룰셋 정의서를 개발하였으며, 실제 프로젝트에서 구현을 통해 적용성 및 정합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자동법규검토에서는 경제성 및 활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항목의 선정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법규 조항 선정의 항목 세분화가 필요하며, 실무자 검증을 통해 좀 더 실질적인 항목 도출이 요구된다. 또한 자동법규검토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델링 요구사항, 소프트웨어 간 호환성 문제 등의 변수를 확인하고 룰셋의 논리를 검증하는 사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As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announced the compulsory of BIM adaption in every public construction from 2016, the importance of BIM is increasing. Besides, automatic code checking takes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quality control for BIM based design. In this study, rule-sets were defined for Act on the Promotion and Guarantee of Access for the Disabled, the Aged, and Pregnant Women to Facilities and Information. Three analytic steps were suggested to shortlist the objective clauses from the entire code; the frequency analysis using project reviews for architectural code compliance, the clause analysis on quantifiability, and the analysis for model checking possibilities. The shortlisted clauses were transformed into the machine readable rule-set definition.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adaptiveness and consistency of rule-set definitions. In future study, it is required the methodologies of selecting objective clauses to be specified and its indicators to be quantified. Also case studies should be performed to determine the pre-conditions in modeling and to check interoperability issues and other possible errors in models.

      • KCI등재

        자폐범주성장애 학생의 식행동에 대한 특수교사, 영양교사, 전문의의 경험 및 지원요구 고찰

        김유리(Kim, Yuri),이숙향(Suk-Hyang Lee),김유리(Kim, Yu-Ri),오지은(Oh, Jieun),안혜신(An Hyesin),김나경(Kim, Nakyung) 한국자폐학회 2021 자폐성 장애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자폐범주성장애(ASD) 학생의 식생활 문제의 예방 및 지도를 위해 ASD 학생의 식행동에 대한 특수교사, 영양교사, 전문의의 경험 및 지원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위해 특수학교 특수교사 10명, 영양교사 7명, 정신과 전문의 5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면담 및 개별면담을 진행하였다. 모든 면담자료는 지속적 비교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이 6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1) 식행동 유형, (2) 식행동 관련 문제, (3) 식행동 영향요인, (4) 식행동에 대한 대처 및 지도, (5) 식행동 지도의 어려움, (6) 식행동지도 관련 지원요구. 도출된 대주제 및 하위주제를 바탕으로 ASD 학생의 식행동 문제 예방 및 지도,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이 제시되었다: 1) ASD 학생의 식행동 특성 및 예방적 지원, 2) ASD 학생의 식행동 지도를 위한 조기교육 및 교육자료 개발, 3) ASD 학생의 식행동 지도를 위한 정보제공 및 다학문적 접근.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nutrition teachers, and medical specialists regarding eating behavior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in order to prevent problems of eating behaviors among students with ASD.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special education teachers, 7 nutrition teachers, and 5 medical specialists.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Using qualitative analysis, the following six themes emerged: (a) types of eating behaviors, (b) problems related to eating behaviors, (c) factors influencing eating behaviors, (d) dealing with and teaching eating behaviors, (e) difficulties in teaching eating behaviors, (f) support needs regarding teaching eating behaviors. Our study findings provide information and may be used to guide future research in the following areas: (a) characteristics of eating behaviors of students with ASD and preventive supports for eating-related problem, (b) early intervention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s to teach eating behaviors, and (c) information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teaching eating behaviors.

      • KCI등재

        Seeking Gender Equality and Inclusivenes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 Korea: Focusing on a New Textbook Series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김유리(Yuri Kim) 한국사회언어학회 2021 사회언어학 Vol.29 No.2

        In this paper a new textbook series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in 2019 is analyzed for its three shortcomings in promoting gender equality and inclusiveness. First, the new textbook series are still assuming that women are the primary caretakers of the house and children. Second, the series questionably address people’s appearances in the text, in forms such as fat-shaming. Lastly, the new textbook series engage in trying to normalize Koreanness. An interview with a marriage immigrant was conducted to give insight about if these aspects are truly problematic in a perspective of the marriage immigrant.

      • KCI등재

        조선시대 여제(厲祭) 설행과 무사귀신(無祀鬼神)의 문제

        김유리(Kim, YURI) 한국역사민속학회 2016 역사민속학 Vol.0 No.50

        본 논문은 조선시대 여제의 대상인 무사귀신(無祀鬼神)에 주목하였다. 제사받지 못하는 귀신을 뜻하는 무사귀신에는 죽은 뒤에 후손이 없어 제사 받지 못하는 사자와, 불행한 죽음을 맞은 다양한 사자들이 포함된다. 무사귀신이라는 범주에 포함된 대상들 사이의 사소한 불일치의 문제를 확인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조선의 유자(儒者)들은 무사귀신을 제사하는 여제를 각각 고대 유교의 경서에 등장하는 여(厲)의 표현과 연결시켜 논의하였다. 왕족과 귀족들 중 후손 없는 사자에게 제사했던 의례의 연장으로 무사귀신을 제사하는 여제를 이해한 것이다. 무사귀신(無祀鬼神)이라는 표현 역시 고대 유교의 여(厲)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여기에 불행한 죽음이 포섭된 것은 명나라 초기의 일이다. 명나라 홍무제는 고대의 여(厲)에 관한 제사의 부활로서, 무사귀신을 제사하는 여제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여제는 제사받지 못하는 사자를 뜻하는 여(厲)에 불행한 죽음을 맞은 자를 포함한 무사귀신에 제사하는 사실상 새로운 의례의 발명이었다. 후손 없는 사자와 불행한 죽음을 맞은 자를 포함한 무사귀신을 제사하는 여제는 이들이 지니는 위험에 대응하는 의례로 설행되었다. 이때 제사받지 못하는 죽음과 불행한 죽음은 여제 안에서 재난을 가져오는 위험한 것으로 다뤄진다. 결국 무사귀신을 통해 불행한 죽음을 다루는 것은 불행한 죽음을 맞은 사자가 지닌 해결 불가능한 위험을 해결가능한 것으로 바꾸어 문제를 해결하려는 종교적 실천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This paper focused on “Musaguishin”(無祀鬼神), which is the subject of ritual named Yŏ-je (厲祭) during Chosŏn period. Musaguishin that means the ghosts having no ritual includes both the dead having no descendants and the dead having bad death. This paper illustrated the discordance in the tablets[神位] of Musaguishin from the understanding about Yŏ-je of Confucians in Chosŏn period. Confucians in Chosŏn regard Yŏ-je in which Musaguishin is ritualized as Yŏ(厲) that means the dead having no descendants displayed in ancient Confucians’ books. They considered Yŏ-je as the ritual for the dead having no descendants. The concept of Musaguishin is also related to Yŏ. Adding the dead having bad death is in the Ming dynasty. The Hongwu Emperor(洪武帝) held ritual ‘Yŏ-je’ as a revival of ancient Confucian ritual to Yŏ. However, Yŏ-je is an inventing ritual not only for the dead having no ritual, but for the dead having bad death. Yŏ-je, the ritual for Musakwishin including the dead, having no descendants and having bad death, is performed as the response of dangerous situation. Both of the death are regarded as a dangerous thing which brings disaster in ritual situation. Consequently, it is a religious practice to change insoluble danger caused by bad death to soluble danger caused by the dead having no ritual.

      • 프로그램 합성을 사용한 테이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랭글링 프로그램의 학습

        김유리 ( Yurie Kim ),서인 ( In Seo ),한욱신 ( Wook-shin Ha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1

        데이터 랭글링은 원시 데이터를 분석하기에 더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프로세스를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램 합성 기술을 이용하여 테이블 데이터에 대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만족하는 데이터 랭글링 프로그램을 자동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입/출력 테이블 예시를 명세로 받아 연산자 시퀸스를 탐색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이 빠른 시간 안에 정확한 데이터 랭글링 프로그램을 학습할 수 있음을 보였다.

      • KCI등재

        도시와 농촌노인의 식행동, 식품섭취 및 식생활만족도 비교 연구

        김유리(Kim Yuri),서선희(Seo Sunhee),권오란(Kwon Oran),조미숙(Cho Mi Sook) 韓國營養學會 2012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5 No.3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dietary behavior, food intake, and satisfaction with food-related life regarding the elderly residing in different regions of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on 631 individuals over 55 years old in either urban or rural areas. The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a questionnaire including dietary behavior, mini dietary assessment, and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he average age of the rural elderl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rban elderly whereas, education level and economic status were higher in the urban elderly compared to the rural elderly. The intake of dairy products, meats, instant foods, snacks, and the use of nutrient supplement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rban elderly than those of the rural elderly (p = 0.000). The intake of vegetabl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ural elderly (p = 0000). Furthermore, the rural elderly were more satisfied with food-related life and had better balanced diets than those of the urban elderly.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customized nutritional management and education for adequate meals in different region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healthy living for the elderly.

      • KCI등재

        미취학자녀를 둔 남성근로자의 일가정양립지원 정책에 대한 태도

        김유리(Kim, Yuri),김은정(Kim, Eunjeong) 서울행정학회 2015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6 No.2

        일가정양립지원 정책을 지지하고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남성들과 그렇지 않은 남성들 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가? 본 연구는 현재까지의 연구들이 이러한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지 못했다는 문제의식 하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일가정양립지원 정책에 대한 지지도와 참여의향을 기준으로 기혼남성을 구분(적극지지?적극참여, 적극지지?소극참여, 소극지지?적극참여, 소극지지?소극참여 집단)하고 집단 간 차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소극지지?소극참여 집단을 기준으로 기혼남성의 정책태도별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극지지?적극참여형’과 ‘소극지지?소극참여형’은 휴가급여의 적정 소득대체율 수준 인식에서 가장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적극지지?적극참여형은 적정 소득대체율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성역할태도도 더 진보적이고 부모역할갈등도 더 많이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극지지?소극참여형’과 ‘소극지지?소극참여형’은 배우자의 맞벌이 여부와 직무몰입도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배우자가 맞벌이를 하거나 직무몰입도가 높으면 ‘적극지지?소극참여형’에 속할 가능성이 상당히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소극지지?적극참여형’과 ‘소극지지?소극참여형’간에는 본 연구가 고려한 개인적, 가족적, 직무환경적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What are the major differences between fa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who support and/or use the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y and those who do not? Previous studies have not drawn on vali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seeks to answer this question by dividing male workers with preschool children into four different groups: The positive supporting and positive participating group, the positive supporting and passive participating group, the passive supporting and positive participating group, and the passive supporting and passive participating group. Assigning the passive supporting and passive participating group as the reference group, this study analyzed the major differences between this reference group and the three other groups. First, the critical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ve supporting and positive participating group and the reference group is the level of income substitution as policy benefit. Also, both gender role attitude and parent role stress level influence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positive supporting and positive participating group. Second, the major differences between the positive supporting and passive participating group and the reference group are whether their wives are working or not and the level of work-involvement. Male workers with working wives and with high levels of work involvement are apt to be members of the positive supporting and passive participating group rather than the reference group. Thir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assive supporting and positive participating group and reference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