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연근해에 분포하는 고등어(Scomber japonicus) 난∙자치어의 분포특 성 및 초기 수송과정 연구

        김소라,중진,William T. Stockhausen,창신,강수경,차형기,지환성,장서하,백혜자 한국수산과학회 2019 한국수산과학회지 Vol.52 No.6

        The horizontal distributions of eggs and larvae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were extensively surveyed in the vicinity of Korean waters between 31°75'N and 36°50'N during May and June in 2016 and 2017 (total of four surveys). We used a coupled bio-physical model (DisMELS) that combines an individual-based model (IBM) incorporating vertical migration of larvae and temperature-dependent survival to understand transport processes in the early life stage. Using the distributions of eggs and larvae from surveys, the potential spawning grounds were estimated at the northwest and southeast of Jeju Island and the central East China Sea in May, and at the southwestern East Sea and southern West Sea in June by running the model backward in time. In forward experiments within 30 days from the backward results, most larvae were transported to both the Korean and Japanese sides of the East Sea through the Korea Strait. However, the larvae released in the central East China Sea were transported to the Japanese side only, while those released in the southern West Sea were retained within that region. The survival rates at 30 days after release based on the simulation incorporating temperature-dependent survival throughout May and June were 29.7% in 2016 and 28.8% in 2017.

      • 재영토화 과정으로서 문화적 도시재생 연구

        김소라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1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2

        본 논문은 질 들뢰즈(Gilles Deleuze)와 펠릭스 가타리(Félix Guattari)의 재영토화 과정에 대해 고찰하고, ‘문화적 도시재생 사업’의 사례를 분석을 통해 ‘문화적 도시재생’에 대한 개념 정립과 방향성에 대해 고찰한다. ‘유목적 사유’를 통해 본 ‘문화적 도시재생’은 정주민의 ‘욕망’을 끌어내어 사람과 사람, 나아가 공동체와 공동체, 그들이 살고 있거나 활동하고 있는 공간과 공간을 연결하고, 다양한 ‘문화’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지역 내 문제점을 해결하는 과정 자체가 ‘문화적 도시재생’ 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문화’를 통해 형성된 도시는 사회적 활성화를 이루고 그 과정에서 경제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

      • KCI등재

        Caffeic acid regulates LPS-induced NF-jB activation through NIK/IKK and c-Src/ERK signaling pathways in endothelial cells

        김소라,정유리,대현,안혜진,미경,남득,정해영 대한약학회 2014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Vol.37 No.4

        The redox sensitive, proinflammatory nucleartranscription factor NF-jB plays a key role in inflammation. In a redox state disrupted by oxidative stress, proinflammatorygenes are upregulated by the activation ofNF-jB via diverse kinases. Thus, the search and characterizationof new substances that modulate NF-jB aretopics of considerable research interest. Caffeic acid is acomponent of garlic, some fruits, and coffee, and is widelyused as a phenolic agent in beverages. In the present study,caffeic acid was examined with respect to the modulationof inflammatory NF-jB activation via the redox-relatedc-Src/ERK and NIK/IKK pathways via the reduction ofoxidative stress. YPEN-1 cells (an endothelial cell line)were used to explore the molecular mechanism underlying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caffeic acid by examiningits modulation of NF-jB signaling pathway by LPS. Ourresults show that LPS-induced oxidative stress-relatedNF-jB activation upregulated pro-inflammatory COX-2,NF-jB targeting gene which were all inhibited effectivelyby caffeic acid. Our study shows that caffeic acid inhibitsthe activation of NF-jB via the c-Src/ERK and NIK/IKKsignal transduction pathways. Our results indicate thatantioxidative effect of caffeic acid and its restoration of redox balance are responsible for its anti-inflammatoryaction. Thus, the study provides new information regardingthe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caffeic acid and theroles in the regulation of LPS-induced oxidative stressinduces alterations in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 20대 전반 여성의 기성복 맞음새에 관한 조사 연구

        김소라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06 디자인포럼21 Vol.9 No.-

        본 연구는 중년여성이나 노년여성보다 체형이 다양하지는 않으나 체형의 변화가 민감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다른 집단에 비해 피트성 있는 의복을 선호하는 경향을 갖고 있는 20대 전반 여성들의 기성복 맞음새를 높이기 위하여 연구되었다. 이들 집단의 기성복 맞음새 정도를 파악하여 사이즈 커버율이 높은 기성복을 생산하고 상하의 간 생산 사이즈 비율에 대한 조절로 의류업체의 재고부담을 줄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설문대상은 의복구성에 대한 지식이 있어 일반인에 비해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있는 의상디자인전공 2, 3학년 여대생으로 제한하였다. 연구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기성복 착용 사이즈에 있어서 상의인 재킷과 하의인 스커트 팬츠를 동일 사이즈로 착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나 재킷과 스커트, 팬츠 간에 차이가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그 차이는 재킷과 스커트보다 팬츠를 한 사이즈 크게 착용하는 경우, 재킷보다 스커트와 팬츠를 한 사이즈 크게 착용하는 경우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기성복 인체부적합 부위와 상태에서도 나타난 결과로 20대 전반 여성들의 체형특성에 따라 나타난 결과로 패턴 제작 시 영덩이둘레와 넙다리둘레의 여유분을 증가시켜 인체적합도가 높은 기성복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재킷 구입 시의 사이즈 선정 기준에 있어서 가슴둘레가 아닌 어깨사이길이가 가장 많이 나타난 것(43.1%)은 20대 전반 여성들 중 어깨가 넓고 마른 체형의 출현이 두드러진 것과 더불어 타이트 실루엣의 선호에 따른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체형의 여성들을 타켓으로 하는 브랜드의 경우 이들을 위한 사이즈를 개발하여 새로운 체형집단에 대한 수요창출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재킷에서 나타난 또 다른 주요 인체부적합 부위는 기존 중년여성이나 노년여성에서 나타나던 현상인 굽은 어깨형상에 따른 뒤품 여유분 부족(28.5%)을 들 수 있다. 재킷 제작에 있어서 인체적합도 및 기능성을 고려하여 뒤품의 여유분을 증가시켜야 할 것이다. 하의인 스커트와 팬츠의 인체부적합은 엉덩이둘레와 허리둘레 드롭차가 크고 넙다리둘레가 커서 나타난 현상으로 엉덩이둘레와 넙다리둘레의 여유분 보충으로 높은 인체적합도와 착용 사이즈의 균형을 가져와 의류업체의 수선에 따른 비용 절감 및 재고 감소의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ready-to-wear fit of early 20s women and thus it enables clothing manufacturers to make well-fitting clothes and lower stock leve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early 20s women of 130, their sizes, the first selecting measurement of jacket, skirt, and pants, and their fit problem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1. Their sizes of a skirt and pants were bigger than the size of a jacket because their hip circumferences and thigh circumferences were bigger as compared to the waist circumferences. 2. The fiacromion length was the first selecting measurement of a jacket because the early 20s women's fiacromion lengths were longer as compared to other aged-women and they preferred fitted clothes. 3. The ease of the back interscye length of a jacket was insufficient because their shoulders were a little bent.

      • KCI등재

        음주로 인한 소프트콘택트렌즈의 단백질 및 지질 침착양 변화

        김소라,임신규,배석천,최정현,박상희,박미정 한국안광학회 2012 한국안광학회지 Vol.17 No.2

        Purpose: In the study, the change of protein and lipid deposits on soft contact lens by drinking was investigated. Methods: Fifty male subjects wearing soft contact lens were surveyed whether they felt any discomfort induced by drinking or not. Further, 32 male subjects who has no ocular disease drank 190 mL alcohol. The protein and lipid deposits on soft contact lens (etafilcon A material) of subjects were measured after 4 hours later and compared with those of non-drinking subject. Results: When subjects drink alcohol with soft contact lens on,58% of subjects answered they experienced the change of lens awareness such as stiffness, blurry sight, dryness and so on. The protein deposit on soft contact lens increased an average of 59.3 μg/lens by drinking and the case of more than double in protein deposit was reached in 9 eyes. However, the protein deposited on soft contact lens was lysozyme which was unchanged by drinking. The amounts of cholesterol and methyl oleate after drinking were 85.5% (p=0.25) and 52.6% (p=0.002) of non-drinking’s indicating some change of lipid deposit on soft contact lens by drinking.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the composition of protein and lipid deposited on soft contact lens was changed due to drinking. Thus, it is suggested that wearing soft contact lens when drinking might be one of the reasons to feel discomfort.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음주에 의해 소프트콘택트렌즈에 침착되는 단백질 및 지질 양의 변화가 있는 지 알아보고자하였다. 방법: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50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콘택트렌즈 착용 상태에서 음주 시 불편감이초래되었는지 여부를 설문조사하였다. 또한, 안질환이 없는 32명의 성인에게 etafilcon A 재질의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시킨 후 각각 음주(190 mL)시와 비음주시로 나누어 4 시간 후에 렌즈에 침착되는 단백질 및 지질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음주를 할 경우 응답자의 58%가 착용감의 이상을 경험하였다고 하였으며, 뻑뻑함, 시야 흐림, 건조감 등과 같은 증상들을 경험하였다고 답하였다. 음주에 의해 소프트콘택트렌즈의 단백질 침착양은 평균 59.3 μg/lens 증가하였으며, 2배 이상 증가한 경우도 9안에 달하였다. 그러나 소프트콘택트렌즈에 부착되는 단백질의 종류는 라이소자임(lysozyme)으로 변함이 없었다. 음주에 의한 콜레스테롤 양은 비음주시의 85.5%였으며(p=0.25), 메틸 올레인산의 양은 52.6%에 불과하여(p=0.002) 알코올 섭취로 인해 소프트콘택트렌즈에 침착되는 지질양에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음주로 인하여 소프트콘택트렌즈에 침착되는 단백질 및 지질 성분의 조성이 달라졌으며 이러한 변화가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 시 음주에 따른 불편함의 원인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芸術祭が地域活性化にもたらす効果と今後の課題 - 瀬戸内国際芸術祭と豊島を中心に-

        김소라 대한일어일문학회 2020 일어일문학 Vol.85 No.-

        This study uses Teshima, the Setouchi Triennale as a research example, to clarify the effects of the art festival in Teshima, and to clarify the effect of the art festival in the regional revitalization of Teshima. Although Teshima is a depopulated, it can be said that holding an art festival has been effective in revitalizing the island. The effects of art festivals in Teshima include an increase in visitors, economic benefits, and an increase in migrants. It can be said that the art festival has contributed to the regional revitalization of Teshima, but at the same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problems caused by the art festival and the creation of tourist destinations by art works have become issues for the future. It is true that art festivals contribute to regional revitalization, but there are limits to the overall resolution of the island's regional issues and the improvement of the settlement environment.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create a synergy effect by properly harmonizing the island promotion measures. The valu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clarified the effect of the art festival in Teshima, and that it has clarified the part that the art festival can contribute to solving regional issues and revitalizing the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