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기하렌즈 착용 전 요인들이 착용 후 시력에 미치는 영향

        김성훈,이정훈,김춘식,Sung Hoon Kim,Jung Hoon Lee,Chun Sik Kim 대한안과학회 2010 대한안과학회지 Vol.51 No.10

        Purpose: To determine whether patient factors (pre-fitting patient’s data) before reverse-geometry lens (RGL) use could be predicting factors for the increase in visual acuity after RGL use. Methods: The authors reviewed out patient records of 805 eyes of 423 patients wearing RGLs from March 2003 to May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 factors on UVA before wearing a RGL examined at follow-ups and the IVA after wearing a RGL were analyzed. Results: The spherical refractive errors and the cylindrical refractive err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p < 0.05). The lower was the refractive error, the greater were the UVA and IVA results. Correlations existed between the corneal astigmatism and UVA or IVA at three months (p < 0.05). The lower was the corneal astigmatism, the greater were the UVA and IVA results.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the initial visual acuity and IVA, although the initial visual acuity cannot be a predictor. The other factors evaluated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p > 0.05). Conclusions: The refractive error and the corneal astigmatism may be strong predictors of UVA and IVA after RGL use.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10):1305-1311

      • KCI등재

        홍바리, Epinephelus fasciatus 정자의 미세구조

        김성훈,이치훈,송영보,주해성,김형배,이영돈,Kim, Seong-Hoon,Lee, Chi-Hoon,Song, Young-Bo,Ju, Hea-Sung,Kim, Hyung-Bae,Lee, Young-Don 한국현미경학회 2012 Applied microscopy Vol.42 No.2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lacktip grouper, Epinephelus fasciatus spermatozoa were investigated using transmiss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spermatozoa of E. fasciatus consisted of a spherical head part, a midpiece with cytoplasmic canal entrance and a flagellum with lateral fins. Internal ultrastructurally, the nucleus contains high electron dense chromatin having granular particles and has no acrosome. The centriolar complex lies outside of the nuclear fossa and it is connected by the osmophilic filaments. Also the osmophilic filaments connect between the centriolar complex and the nuclear membrane. The midpiece contains eight to nine spherical mitochondria, cytoplasmic canal and necklaces. The flagellum has a typical 9+2 axonemal structure. The lateral fins contain vesicles and a typical 9+2 axonemal structure. Consequently this study contributes to comparative grouper spermatology and provide useful systematic taxonomic characters. 홍바리, Epinephelus fasciatus 정자의 미세구조적 특징을 주사형 및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홍바리 정자는 구형의 두부와 cytoplasmic sleeve와 고리형 cytoplasmic canal 입구 등으로 구성된 중편부 그리고 lateral fin을 갖는 1개의 편모로 구성된 미부로 구별된다. 정자의 핵은 구형이며, 첨체 구조물은 존재하지 않으나 이질 염색질이 과립상 덩어리 형태로 조밀하게 분포하였다. Proximal centriole과 distal centriole은 각각 수레바퀴형의 "9+0"의 축사구조를 보이며 서로 수직으로 osmophilic filaments 연결되어 있고, 핵막과도 연결되어 있었다. 중편부는 구형의 8~9개의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며, 빈공간인 cytoplasmic canal과 편모 원형질막에는 7~8개의 구형 입자를 갖는 necklace가 존재하였다. 미부는 1개의 편모를 갖으며 전형적인 "9+2"의 축사구조를 보였고, 편모에는 다양한 형태의 lateral fins을 관찰할 수 있었다. 홍바리 정자의 미세구조적 특징은 바리과 어류의 정자와 상이하여 계통분류학적 동정의 형질이 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정자 세포소기관의 기능적 및 생리학적 연구에 이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Q-행렬에 근거하는 치유교습 순서

        김성훈(Sung Hoon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20 교육평가연구 Vol.33 No.2

        이 연구는 인지진단 결과로 주어지는 미성취 인지요소의 치유교습 순서에 Q-행렬이 어느 정도로 어떻게 결정하는지 탐색하였다. Tatsuoka(2009)가 소개한 인접행렬, 도달행렬, 그리고 영향도표를 이용하여 Q-행렬에 내재하는 인지요소 간의 인과관계를 치유교습의 순서로 개념화하였다. 이 연구 결과로 제안한 Q-행렬의 치유교습 순서 기여도는 그 행렬에 포함된 K개의 인지요소 간 있을 수 있는 모든 인과관계의 수에 대한 실제 Q-행렬에 내재하는 인과관계 수의 비율로 정의하였다. 분석 대상 Q-행렬은 이 이론적 배경에 사용된 예시적 Q-행렬과 실제 Q-행렬 2개다. 후자는 성태제(2018) 연구와 박세진·이현숙(2018) 연구에서 인용하였다. 연구 결론으로서 Q-행렬은 치유교습 순서 결정을 위한 보편적 출발점이 되며; 지식의 위계가 분명한 검사일수록 Q-행렬의 치유교습 순서 기여도는 높을 것이며; 인지진단 결과로 주어지는 인지상태는 Q-행렬의 가정과 충돌할 수 있음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and how much does a Q-matrix contribute in deciding the sequence of remedial instruction of the unattained attributes being identified from cognitive diagnostic assessment. Applying the adjacency matrix, reachability matrix, and influence diagram introduced in cognitive assessment context by Tatsuoka (2009), the sequence was defined as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attributes forming a Q-matrix. Three Q-matrices were gone under analysis. They were an example one, one from Sung’s(2018) study, and the other from Park & Lee’s(2018) study.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to three conclusions. Firstly, the Q- matrix could provide a objective starting point for a whole sequence of remedial instruction; secondly, the more hierarchical a Q- matrix was the more it helped deciding sequence of remedial instruction; thirdly, knowledge states from cognitive diagnosis might contradict the causal relationship assumptions implied by the Q-matrix.

      • KCI등재

        홍바리, Epinephelus fasciatus의 인공수정 전.후 난문의 미세구조적 변화

        김성훈,이치훈,주해성,김형배,이영돈,Kim, Seong-Hoon,Lee, Chi-Hoon,Ju, Hea-Sung,Kim, Hyung-Bae,Lee, Young-Don 한국현미경학회 2011 Applied microscopy Vol.41 No.2

        홍바리, Epinephelus fasciatus 난의 인공수정 전 후 난문의 미세구조적 특징을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홍바리 난문($6.6{\pm}0.41\;{\mu}m$)은 원통형의 분화구형으로 동물극에 1개가 존재하였다. 난문의 vestibular ridge는 시계방향성을 갖는 6~7개의 나선형의 내벽구조로 구성되었다. 난문의 내벽구조물인 나선형의 vestibular ridge는 인공수정 후 부풀어 올라와 돔(dome)형의 수정구로 분화 형성되었다. 홍바리 난은 부상란으로 난막표면에는 pore 가장자리에 고리형의 nodule과 pore 사이에 돌기형의 nodule이 관찰되었으나, 부착사와 유사한 보조 구조물은 관찰할 수 없었다. 난문 주변부에는 동심원상으로 크기가 다른 pore (0.15~0.55 ${\mu}m$)들이 개구된 형태로 혼재하였고, 수정 후 돔(dome)형의 수정구가 분화 형성되면서 pore들이 닫히는 현상을 보였다. 홍바리 난문의 미세구조적 특징은 바리과 어종간에 형태학적으로 상이하여, 바리과 어류의 계통분류학의 형질로 이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e micropyles on the prefertilized and artificial fertilized eggs of Epinephelus fasciatus were investigat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he micropyles ($6.6{\pm}0.41\;{\mu}m$) of E. fasciatus eggs were found in the animal pole and theirs shape were observed as a flat crateriform of cylindrical shape. The micropylar vestibule arranged by 6~7 thickened spiral annuli on the ridge and contributed to differentiate and form fertilization cone for blocking to polyspermy by presenting swollen vestibule structure. As E. fasciatus eggs was pelagic, so chorionic surface was an uneven structures such as circular and fillar form nodules. Especially, various pores (0.15~0.55 ${\mu}m$, 230~270 pores) distributed at the only around micropyles, those pores radiately exhibited regular projection structures showing gill filament-shape. These ultrastructural characters of E. fasciatus eggs can be utilized in a taxonomical cue of grouper species.

      • KCI등재

        $^{13}C$ Nuclear Magnetic Resonance Study of Graphite Intercalated Superconductor $CaC_6$ Crystals in the Normal State

        김성훈,강기혁,민병진,이무희,김준성,Kim, Sung-Hoon,Kang, Ki-Hyeok,Mean, B.J.,Ndiaye, B.,Lee, Moo-Hee,Kim, Jun-Sung The Korean Superconductivity Society 2010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Vol.12 No.1

        $^{13}C$ 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 measurements have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local electronic structure of a superconducting graphite intercalation compound $CaC_6$ ($T_c$ = 11.4 K). A large number of single crystals were stacked and sealed in a quartz tube for naturally abundant $^{13}C$ NMR. The spectrum, Knight shift, linewidth, and spin-lattice relaxation time $T_1$ were measured in the normal state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down to 80 K at 8.0 T perpendicular to the c-axis. The $^{13}C$ NMR spectrum shows a single narrow peak with a very small Knight shift. The Knight shift and the linewidth of the $^{13}C$ NMR are temperature-independent around, respectively, +0.012% and 1.2 kHz. The spin-lattice relaxation rate, $1/T_1$, is proportional to temperature confirming a Korringa behavior as for non-magnetic metals. The Korringa product is measured to be $T_1T\;=\;210\;s{\cdot}K$. From this value, the Korringa ratio is deduced to be $\xi$ = 0.73, close to unity, which suggests that the independent-electron description works well for $CaC_6$, without complications arising from correlation and many-body effects.

      • SCOPUSKCI등재

        PPP-MO를 이용한 Fluorane계 색소의 흡수 스펙트럼

        김성훈,황석환,송한철,권태선,도명기,Kim, Sung Hoon,Hwang, Seok Hwan,Song, Han Chul,Gwon, Tae Sun,Doh, Myung Ki 대한화학회 1996 대한화학회지 Vol.40 No.2

        감압.감열용색소인 fluorane계 색소의 발색기구를 .pi. 전자계의 계산에 유용한 Pariser-Parr-Pople분자궤도(PPP-MO)법을 사용하여 검토했다. 이들 색소의 발색기구는 PPP-MO법에 의해 이론적으로 설명이 가능하며 색소의 흡수스펙트라와 계산치간에 일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천이에 수반되는 .pi.전자밀도 변화와 HOMO-LUMO 에너지준위의 변화로부터 흡수스펙트라에 미치는 치환기 효과를 검토했으며 이들을 응용한 fluorane계 색소의 합성디자인에 대해 검토했다. The PPP-MO method has been used to calculate the $\pi$ electronic excitation energy of fluorane dyes. A good correlation between the absorbed and calculated values for the ${\pi}{\rightarrow}\pi*$ transition was found for fluorane dyes. The effect of substituents on the color of fluorane dye was studied on the basis of these calculated results, i.e. HOMO-LUMO energy levels and $\pi-electron-density$ changes accompanying the first excitation.

      • KCI등재

        6 MeV 전자 빔의 교정에 원통형 이온함의 사용에 관한 연구

        김성훈,허현도,최상현,최진호,김혁주,임천일,신동오,Kim, Seong-Hoon,Huh, Hyun-Do,Choi, Sang-Hyun,Choi, Jin-Ho,Kim, Hyeog-Ju,Lim, Chun-Il,Shin, Dong-Oh 한국의학물리학회 2009 의학물리 Vol.20 No.4

        6 MeV 전자빔과 같은 저메가전압 전자빔 교정 시에 물흡수선량에 기반한 선량측정 체계에선 평행평판형 이온함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에너지 범위에선 원통형 이온함을 정기적 기준 선량측정으로서 사용되어서는 안되지만, 사용자 편의상 임시적 사용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선 빔 선질 $R_{50}=2.25\;g/cm^2$인 명목 에너지 6 MeV 전자빔의 경우에 원통형 이온함인 PTW30013 이온함의 사용가능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2차 표준기관인 식품의약품안전청(KFDA)으로부터 10개 이온함에 대해 물흡수선량 교정인자 $N_{D,W,Q_0}$를 받았다. 교차교정된 평행평판형 ROOS 이온함으로 6 MeV 전자빔에 대해 측정한 선량값을 사용하여 "임시적" $k_{Q,Q_0}$값을 구하였다. 10개의 이온함에 대해 평균한 값인 "0.9352"를 해당 선질에 대한 이온함의 $k_{Q,Q_0}$로 간주하여 흡수선량을 계산하였다. ROOS 이온함으로 측정한 선량값과 최대 2% 범위 안에서 일치하였다. 사용자 편의상 원통형 이온함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 이 "0.9352" 값을 본 연구의 빔선질과 이온함에 대한 빔선질보정인자로서 임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The standard dosimetry systems based on an absorbed dose to water recommend to use a planeparallel chamber for the calibration of such a low-megavoltage electron beam as a nominal energy of 6 MeV. For this energy ranges of an electron beam a cylindrical chamber should not be used for the routinely regular beam calibration, but the feasibility of the temporary use of a cylindrical chamber was studied to give temporary solutions for special situations users meet. The PTW30013 chambers and the electron beam quality of $R_{50}=2.25\;g/cm^2$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10 PTW30013 chambers, a cylindrical type of chamber, were calibrated in KFDA, the secondary standards dosimetry laboratories, and given the absorbed dose-to-water calibration factors, respectively. A "temporary" $k_{Q,Q_0}$ for each chamber were calculated using the absorbed dose determined by a cross-calibrated planeparallel chamber, with the result of an average 0.9352 for 10 chambers. This value for PTW30013 chamber was used to determine an absorbed dose to water at the reference depth. The absorbed doses determined by PTW30013 chambers were in an agreement within 2% with that by ROOS chamber. In a certain situation where a cylindrical chamber be used instead of a planeparellel chamber, the value of 0.9352 might be useful to determine an absorbed dose to water in the same beam quality of electron beam as this study.

      • SCOPUSKCI등재

        감압 감열 기록용 Fluorane계 색소의 합성과 전기변색성

        김성훈,배진석,황석환,송한철,권태선,도명기,Kim, Sung Hoon,Bae, Jin Seok,Hwang, Seok Hwan,Song, Han Chul,Gwon, Tae Sun,Doh, Myung Ki 대한화학회 1996 대한화학회지 Vol.40 No.3

        Fluorane계 색소는 감압 감열 기록용 색소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Bamberger 반응에 의해 중간체를 손쉽게 합성할 수 있는 법을 개발했으며 이를 이용해 Fluorane 색소를 고수율료 합성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 Fluorane계 색소의 전기 변색특성에 관해서도 조사했다. ODBⅠ, Ⅱ는 전압 인가에 의해 각각 흑색과 적색의 색상을 나타냈으며 전압 off에 의해 재빨리 무색상태로 소색됨을 알 수 있었다. 합성한 ODBⅠ, Ⅱ의 소색반응은 1차 반응에 따르고 있으며 소색속도에 있어서는 빠른 소색속도 상수 $k_1$과 늦은 소색속도 상수 $k_2$가 관찰되었다. Fluorane dyes has been widely used for pressure and heat sensitive recording system as color forming materials. A new method of synthesizing fluorane dye by the Bamberger reaction has been developed. Electorchromic properties of fluorane dyes was discussed. The fading reaction kinetics follow a first-order relationship and resolved in two kinetics of first-order reaction with rate constant $k_1$ and $k_2$.

      • 혈청내 유리지방산의 비색정량법

        김성훈,박항균,모기철,허린수,Kim Sung Hoon,Park Hang Kyun,Mo Ki Choul,Huh Rhin Sou 대한수의사회 1983 대한수의사회지 Vol.19 No.1

        The present paper describes a simple colorimetric determination method of serum or plasma free fatty acids in various animal for those who are in the laboratories unequiped with high-cost newer analysing equipments and for those clinicians with low-cost a

      • KCI등재

        LDPC 부호화를 위한 효율적 알고리즘

        김성훈,이문호,Kim, Sung-Hoon,Lee, Moon-Ho 대한전자공학회 2008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5 No.2

        Although we can make a sparse matrices for LDPC codes, the encoding complexity per a block increases quadratically by $n^2$. We propose modified PEG algorithm using PEG algorithm having a large girth by establishing edges or connections between symbol and check nodes in an edge-by-edge manner. M-PEG construct parity check matrices. So we propose parity check matrices H form a dual-diagonal matrices that can construct a more efficient decoder using a M-PEG(modified Progressive Edge Growth). LDPC 구조는 1개의 개수가 적은 구조의 패리티 체크 행렬을 구성하여도, H행렬의 역행렬을 구하는 과정 중에 가우시안 소거법으로 인하여 H 행렬은 1의 개수가 적은 성질이 없어지고 계산량도 블록 크기 당 $n^2$의 계산량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LDPC 패리티 체크 행려인 H는 좀 더 효율적인 부호화에 초점을 두고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dge-by-edge 방법으로 체크 노드와 심볼 노드사이를 연결하거나 연결선을 정하는 것으로 큰 girth를 가지는 Tanner 그래프를 구성할 수 있는 PEG 알고리즘을 변형 시킨 M-PEG를 패리티 체크 행렬인 H를 구성하고 좀 더 효율적으로 부호화기를 구성할 수 있도록 dual-diagonal 형태를 지니는 H를 구성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