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천지역 고등학생들의 김치에 대한 인지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김복순,강근옥,Kim, Bok Soon,Kang, Kun Og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7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3 No.2

        Purpos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on Kimchi consum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by determining their recognition and preferences related to Kimchi. Methods: Our survey was administered to 450 high school students in the Incheon area from September 1 to October 30, 2015. A total of 41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Results: Most students (42.6%) consumed Kimchi every meal (more than 3 meals/day), and only 3.6% did not consume Kimchi at all. The most common reason for consuming Kimchi was 'tasty' (46.4%). On the other hand, those who did not consume Kimchi cited 'preference for other side dishes' (50.0%). 'Home-made Kimchi' was the most common source of consumed Kimchi (63.0%). With respect to recognition of Kimchi, most cited terms were 'traditional' ($4.64{\pm}0.58$), followed by 'healthy' ($4.30{\pm}0.77$) and 'prefer home-made' ($3.88{\pm}0.93$) (p<0.001). The average preference for Kimchi was $3.71{\pm}1.07$. The most common reason for preferences was 'crisp texture' (37.6%). The most popular flavor was 'spicy' (33.6%), and the most popular fermentation level was 'appropriate' (55.6%). When preferences for Kimchi were further analyzed, 'baechu Kimchi' (4.18) was the most popular. Further, Kimchi is a popular ingredient for many dishes, and the most popular dish was 'stir-fried pork with Kimchi' (4.50). Conclusion: In the future, positive recognition of Kimchi consumption can be promoted through nutrition education and various advertisements. Further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the principles of traditional Korean food for students.

      • KCI등재

        최치원의 역사인식 연구

        金福順(Bok-Soon Kim) 한국고전번역원 2010 民族文化 Vol.- No.34

        본고는 최치원의 역사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우선 그의 생애와 저술을 간략히 살피고자 한다. 이는 그가 유학자로서 현실적인 합리주의 사관을 형성하게 된 과정을 역사인식의 배경을 삼고자 하는 것이다. 그의 역사인식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첫 부분은 그의 역사인식이 끼친 영향 때문에 지속적으로 논의가 되고 있는 문제이다. 이는 김부식의 『삼국사기』와 일연의 『삼국유사』에 나오는 최치원 저술들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첫째는 한국 상고사에 관한 인식의 문제이다. 그는 한국 상고사에 있어 기자를 가장 멀리 인식하고 있었다. 『삼국사기』에서 기자를 상한으로 삼은 것과 같은 맥락으로, 김부식이 유학자로서의 최치원의 인식과 그 궤를 같이 한 때문으로 보았다. 반면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삼한을 마한-고구려’, ‘변한-백제’, ‘진한-신라’로 연계한 최치원설을 적극 수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둘째는 『제왕연대력』과 중국과 신라와의 관계 설정에 관한 문제이다. 『제왕연대력』에 보이는 왕호의 인식이 김부식에서는 사실주의에 입각한 진전된 모습으로 바뀐 반면에, 일연은 최치원설을 일부 따르고 있음을 비견해 보았다. 태종무열왕의 강조는 두 사서가 같은데, 『삼국사기』에서 문무왕의 당과의 결전을 특기하여 신라의 독자성을 크게 부각시킨 측면은 역사서술의 진전된 모습임을 밝혀 보았다. 셋째는 유학자로서 3교 회통적 인식과 효선쌍미적 인식에 관한 문제이다. 최치원은 유학자이기는 하지만 유불도 3교의 회통적 인식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고려조 전반을 거쳐 비슷한 유형의 학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모습이었다. 그는 효선쌍미적인 인식을 선사들의 비명에서 드러내고 있는데, 이는 일연이 『삼국유사』에서 「효선」편을 설정한 것과도 비슷한 맥락에서 인식할 수 있는 것이었다. 다음 부분은 『계원필경집』등 그의 저술에 보이는 현실적 역사인식이다. 하나는 당 중심으로 형성된 세계관으로 역사를 인식한 사실이다. 그는 합리주의를 표방한 유학자로서 매우 현실적인 역사인식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는 중국 연호의 중시, 당 중심의 외교관계 등에 주의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최치원과 김부식에 의해 杜撰된 수유 학승 안함의 귀국연대 기사를 정리해 보았다. 다음은 사회개혁론에 드러난 그의 인식이 인재등용에 초점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그 다음으로는 신라 불교와 풍속을 동아시아인들이 공유할 수 있는 한문문장으로 표기한 점이다. 그에 의해 한문 문장으로 채록된 많은 불교 관계 기사는 고대문화의 보존이라는 측면에서 일정한 역할을 한 것이다. 이상의 내용으로 볼 때, 그는 신라시대의 국제적 상황인식을 가지고 사실적인 역사서술을 남겨 놓음으로써 한국의 역사가로서 한 획을 그을 수 있을 정도의 역사인식을 소유한 인물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Choi Chi-Wons historical cognition. In order to fulfil the purpose, I mainly examined his life and writings. This approach is based on my opinion which regards the process where he, as a confucianist, formed realistic rationalism as the background of his historical cognition. I explained his historical cognition by dividing it into two aspects. First, I examined his historical cognition by focusing on his writings introduced in Samkuksagi by Kim Boo-Sik and Samkukyusa by Ilyeon. These writings have been continually studied because of their influences on other scholars after him. The discussions about this aspect are focused on the three parts. The first discussion is Chois cognition on the Korean ancient history. He put the period of Gija on the top of the history. This kind of understanding is same as that of Samkuksagi because Kim Boo-Sik s historical cognition is almost same as that of Choi Chi-Won. Also, Samkuksagi and Samkukyusa reflect Choirs histotical cognition which accepts the relation beween Mahan and Kokuryeo, between Byunhan and Backjye, and between Jinhan and Silla. The second discussion is the relation between China and Silla and Jyewangyeondaeryuk. Kim Boo-Sik changed Wanghos historical cognition showed in Jyewangyeondaeryuk into the realistic understanding. However, Samkukyusa by Ilyeon followed partly the Chois understanding. The above two historical books emphasize the role of Mooyulwang; however, Samkuksagi can be understood as some more advanced historical book, compared with the Chois understanding of history, in the sense that the book emphasizes the independency of Silla by mentioning Munmuwangs decisive battle against Dang. The third discussion is the understanding about relations among the three religions(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Hyosunsangmi (two main values, filial piety and Zen). Choi Chi-Won understood that the three religions could be communicated each other, although he was a confucianist. Most of scholars showed this kind of understanding during the first part of Koryeo dynasty. Choi explained the values of filial piety and zen in the epitaphs of the previous Buddhist priests. This is very similar as the fact that Samkuyusa includes the chapter of filial piety. Second,I discussed Chois historical cognition showed in his writings, including Gyewonpilgyungjip. In this part, I argued that he showed Dang-centered historical cognition. This wa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he, as a rationalist, realistically understood history. This kind of his understanding is showed in his emphasis of Chinese reign style and the foreign relations centered to Dang dynasty. Thus, I readjusted the year (reported by Choi-Chi-Won and Kim Boo-Sik) which Anham, a Buddhist priest, returned to Silla. In addition, I illustrated that Chois study on social reform was focused on the recruit system of the capable men. I also stated that he wrote in Chinese characters which the East Asian people could understand. Although he had Sillas nationality, he explained history in the international point of view. This reflects that he, as a historian, had a ground breaking historical cognition at that time.

      • KCI등재

        한국(韓國) 설화(說話)의 홀어미 화소(話素)에 나타나는 원형적(原型的) 상징(象徵)과 그 변이(變移) 양상(樣相) 고찰(考察)

        김복순(金福順) ( Kim Bok-su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2

        본고는 ‘홀어미’ 화소가 나타나는 설화 텍스트를 대상으로 홀어미의 원형적 상징을 탐색하고 이 원형적 이미지들이 담론의 전략과 양상에 따라 어떻게 재생산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홀어미의 원형성은 대지모신인 마고할미에게서 찾을 수 있는데, 마고할미는 왕성한 생식력과 위대한 창조성뿐 아니라 생물학적 종족보존이라는 모성애도 보여준다. 대모신적 홀어미들의 탈이념적 본질로서의 순수 모성 이미지는 이후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적극 수용하는 여신격으로 변이되는데, <오뉘힘내기>에서 그 변이 과정이 잘 드러난다. 또한 유화는 가부장에게 순종하며 태조의 혈통을 보증하고 매개하는 가부장적 모성의 전형으로서 모성 이데올로기가 고착화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후 전설이나 민담에서는 홀어미로 대별되는 모성의 독자적 생산성이 가계를 승계할 가부장을 재생산하는 피동적 육체로 전락한 모습을 보인다. 또 가부장 사회에서 아비 없이 자식을 키워야 하는 홀어미는 모성성을 포기하고 가부장을 대신해 엄한 부성의 역할로 변이된 모습이 나타난다. 자식에게 가부장의 권력을 회복시키기 위해 홀어미는 스스로가 또 다른 모성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는 아이러니가 나타나기도 하는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rchetypical symbols connected to widow mother images in which appears in the folk tales. And it identified how the images of the single mother are reproduced based on the strategies and aspects of the relevant discourse. The prototype of the widow mother figure can be found to Magohalmi, the great earth mother. Magohalmi's maternal shows a love of indicated through the biological activity of species preservation, along with vigorous fertility and great creativity. This image of pure motherhood as a deideological essence of the pure widow mothers is subsequently transformed into a goddess who actively embrace patriarchal ideology. In particular, the widow mother, of < Onui Himnaegi >, illustrates this mutation process well. The Yuhwa also obeys the patriarchy by connecting paternal lineage to maternal, and realizes the motherhood ideology of a patriarchy, thus showing the process of which maternal ideology becoming entrenched in discourse. In subsequently produced legends and folk tales, the single voluntary productivity of a Widow is reduced a proactiveness form and sacrificed by the coercive paternal authority to reproduce the heir to the family. Also, the previous archetypical benevolent motherhood is transformed into a strict Fatherhood instead by the patriarch. The widow mother thus had to suppresses and renounces her nature to order to restore the power of her heir, to inherit her husband’s lineage. This process demonstrates the inherent irony of motherhood reproducing another maternal ideology.

      • KCI등재
      • KCI등재

        HPLC/DAD를 이용한 대황의 Sennoside A와 Rhaponticin 동시분석

        김욱희(Ouk-Hee Kim),곽재은(Jae-Eun Kwak),정삼주(Sam-Ju Jung),김동규(Dong-Gyu Kim),한은정(Eun-Jung Han),한창호(Chang-Ho Han),김복순(Bok-Soon Kim),최병현(Byung-Hyun Choi),김민영(Min-Young Kim) 대한약학회 2010 약학회지 Vol.54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ennoside A and rhaponticin simultaneously according to sennoside A of Rhei Rhizoma determination in Korean Pharmacopoeia. NaHCO3 solution in KP was compared with methanol which usually used as solution to extract rhaponticin in Rhei Rhizoma. The method was validated through the guidelines of linearity, LOD, LOQ, specificity and accuracy. Two solution weren't different about validation parameter and passed. So this method were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6 commercial Rhei Rhizoma samples and 2 samples were suitable for the legal standards.

      • KCI등재후보

        학습자 중심 수업이 상,하위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김복순 ( Bok Soon Kim ) 경희대학교 언어연구소 2007 언어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on the high leveled and the low leveled students. For this purpose, I reviewed the theoretical foundations and various previous studies, and made 4 hypotheses. To prove the hypotheses, this study carried out an experiment with two groups of students. An experimental group students took th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A controled group students took the teacher-centered instruction. The results, based on a questionary and the analysis of two test scores, are given as follows: first, th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had more positive effects on the psychology of the low leveled students than that of the high leveled students. Second,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more than those of the controled group. Therefore, this suggests that th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scholastic improvement. Third,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the low leveled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lass more actively and their score improved much more than that of the high leveled students. So this suggests that th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had more positive effects on the low leveled students` scholastic improvement. Based on these results, I could conclude that th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is more effective than the teacher-centered instru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vers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models. And further studies are recommended for identifying the effects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on student`s practical communication ability, entrance exam and other abilities. (Kyungpook Nat`l University/Daegu High School)

      • KCI등재

        신라와 고려의 사상적 연속성과 독자성

        김복순(Kim Bok-Soon) 한국고대사학회 200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4

        신라는 935년 고려에 병합되면서 많은 부분이 계승되었다. 그 가운데 사상적 연속성은 가장 두드러진 특징으로, 고려말 조선초의 유불교체와는 전혀 다른 양상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신라와 고려의 사상이 연속되고 있으며, 그 시대적 차이로 인해 드러나는 독자성은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본 논문은 신라와 고려의 불교가 국교로서 지니고 있던 특성을 중심으로 그 사상적 연속성과 독자성을 살펴보려 한다. 먼저 국교로서의 공인과 국가적 행사에 관한 내용이다. 신라는 불교의 공인 이후 무속을 극복해 가는 과정이라 할 ‘前佛시대 칠처가람설’을 통해서, 고려는 태조 왕건의 불교통합정책에 의거하여 각각 그 특색을 띠게 되었다. 이들의 시대성을 비교해서 사상적 연속성을 짚어 보았다. 신라의 불교는 신사조로 유입되어 재래의 신앙체계를 극복하고 구유식과 신유식, 화엄종과 법상종, 선종 등이 뿌리내렸다면, 고려는 불교 내에 잡다한 신앙들을 포용해 나간 시대적 간격을 보이고 있다. 특히 불교를 최고의 지위에 두고 이들을 階序的으로 포용하였다. 때문에 고려는 불교국가라기 보다 다종교사회라고 하는 견해까지 있기도 하다. 한편 신라와 고려의 불교는 호국불교라는 공통분모 속에서도 독자성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백고좌법회, 팔관회, 연등회와 같은 호국도량법회의 개최를 의미한다. 신라에서 시작된 이 법회들은 고려에서 더욱 심화되었고 그 횟수가 잦아졌다. 또한 신라에서는 몇몇 고승들이 강경하던 행사가 고려에서는 經行과 같이 전 국민이 참여하는 축제로 되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신라불교가 많은 주석서를 낸 학파성을 띤 불교였다면, 고려는 종파성이 강한 종합불교적 성격을 나타내었다. 신라의 사찰은 왕명에 의해 그 소속업이 바뀐 사례가 많지만, 고려는 태조의 유훈으로 이를 금지한 점이 비견된다. 다음으로 신라와 고려의 불교가 가지고 있는 국제교류와 시대성에 관한 문제에 접근해 보았다. 신라와 고려로 유입된 불교경전을 통한 인도불교적 요소와 중국불교의 영향으로 구분해 보았다. 신라불교는 인도불교적 요소로서 『섭대승론』의 유행과 주석, 혜초의 『왕오천축국전』에 나오는 인도의 논서들에서 그 특징을 찾아 보았다. 고려불교는 신라 성덕왕 이래 유행한 중국불교적 요소가 더욱 번성하여 각 종파의 조사설로 나타난 특징이 보이고 있다. 고려는 중국 측의 요청으로 불경을 전해 주는 등 상호교류적인 측면을 보인다는 사실이다. 이를 시대성의 측면에서 보면, 신라의 불교가 고려로 이어져 그 연속성을 보이면서 사상적으로 난숙기를 연 반면에, 고려의 불교는 더 이상의 건강성을 유지하지 못해 주자학의 배불논리에 밀려 주도적 사상체계에서 밀려나게 되었다. Korye upheld many traditions from Silla when they were united in 935. Among them, the ideological continuation was remarkable. This was absolutely different from the change of leading ideology from Buddhism to Confucianism between the end of Korye and the early stage of Chosun. Thus, I focus my eyes on how Silla's ideology could be continued to Korye and what the ideological peculiarity of the two dynasties was. This study will illustrate the ideological continuity and peculiarity of the two dynasties as the Buddhistic countries. First, I analyzed the official recognition of Buddhism and the national events. The leading ideology of Silla was characterized through "Chilchegaramsul(seven temple story) of Pre-Buddhistic Era" which could be the process to overcome shamanism after official recognition of Buddhism. That of Korye was characterized on the basis of the integration policy of Buddhism. Accordingly, I analyzed the ideological continuity by comparing the indication of time between the two dynasties with each other. For instance, Silla overcame the existing religious system by accepting Buddhism as a new trend of thought; thus, the old-Vijnaptimatrata, the new-Vijnaptimatrata, Whaermjong, Bupsangjong, and Sunjong could be settled down. However, Korye tolerated the various traditional religions which could be survived in the name of Buddhism. Especially, Korye put the Buddhism on the top and recognized other religions hierarchically; therefore, some people argue that Korye allows many different religions. On the other hand, the Buddhism of Silla and Korye had its peculiarity despite the fact that Buddhism of both countries had the Buddhist service meetings, such as "Backgojwabupwhe," "Palgwanwhe," and "Yeondeungwhe," to protect the countries. These kinds of Buddhist meetings which was begun in Silla were more emphasized and frequented in Korye. For instance, the Buddhist lecture meetings directed by a few Buddhist priests in Silla became a festival in which people paraded by putting the Buddhist scriptures on their heads. In addition, the Buddhism of Silla showed an academic trend which produced lots of notes and commentaries about the Buddhist scriptures; however, the Buddhism of Korye showed a character of mixed Buddhism emphasizing the sects. Furthermore, The Buddhist temples in Silla could change their sects by the oder of king; however, this kind of change was prohibited in Korye, according to the first king's the teachings of departed. Finally, I have studied the role of international exchange and the trend of time which we can find in the Buddhism of Silla and Korye In doing so, I mainly focused on the elements of Indian Buddhism and the influences of Chinese Buddhism. I found the main characters of Silla Buddhism in the Buddhist meetings to lecture the "Supdaeseungron," which had the Indian Buddhist elements, including the publication of its notes and the Indian Buddhist books mentioned in Hecho's "Wangochunchukkukjeon". I also found the main character of Korye Buddhism in the fact that the elements of Chinese Buddhism had become popular since the era of the king of Sungduck of Silla and in the tradition which emphasized the succession to the leadership of Buddhist sects influenced by Chinese Buddhism. In fact, Korye exchanged the Buddhist scriptures with China. When we see these characters in terms of the trend of time, Silla Buddhism attained full maturity by continuing its thought to Korye, while Korye Buddhism was begun to be alienated from the leading ideology because of the anti-Buddhistic theory of Juja study, by not keeping its wholesome ideas.

      • KCI등재

        설화 속 ‘떡’의 서사적 의미와 원형상징

        김복순(Kim, Boksun)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2 No.-

        본고는 설화 속에 등장하는 ‘떡’의 서사적 의미를 원형상징과 관계된 신화적 구조의 차원으로 확장하여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원형이란, 근본적인 이미지, 집단적 무의식의 한 부분, 같은 종류의 무수한 경험의 심리적 잉여라는 점에서 우리 설화 속 ‘떡’의 서사적 상징과 문화적 상징은 본질적으로 하나의 원형과 상징의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무속제의 등 민간신앙에 나타나는 ‘떡’의 원형을 ‘축원’, ‘신탁’, ‘은덕’, ‘나눔’으로 규정할 수 있었다. 이 네 가지 ‘떡’의 원형들은 각각 하나의 개별 상징이 텍스트에 전위되어 담론화되기도 하였고, 둘 이상의 상징이 하나의 담론을 형성하는 제재의 역할을 하면서 설화 텍스트의 심층 층위에서 서사적 의미 구조를 이루는 기본 의미소로 작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tteok, which appears in tales, by extending it to the mythical dimension related to the archetypal symbol. An archetype has been defined as an image that is part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a psychological model uniting countless, similar experiences. In this regard, the epic and cultural symbols of the tteok in our tales can be essentially interpreted in a single archetypal and symbolic context. The archetype of the tteok in Korean folk rituals such as shamanism, which this paper analyzes, is as “a prayer to gods,” “oracle,” “grace, the result of oracle,” and a “doctrine of sharing.” Each of these four types of the tteok is represented by a single individual symbol that is transferred to the text to form a discourse or two or more symbols forming a single discourse, serving as the basic semantics of the in-depth meaning structure of the narrative text.

      • KCI등재

        동물담의 웃음 유발 방식과 특성

        김복순(Kim, Bok-sun)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2 No.-

        본고는 동물담의 기법적 자질의 핵심 요소라 할 수 있는 웃음에 대한 성격을 밝히기 위해 바보 호랑이담을 중심으로 설화에 나타나는 웃음의 유발 방식과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고에서는 바보 호랑이 설화를 그 웃음의 대상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첫 번째 유형은 겁쟁이 호랑이를 웃음의 대상으로 삼는 이야기이다. 여기에 등장하는 호랑이들은 처음 접하는 대상을 두려운 존재로 간주하는데, 이는 동물 중 최고의 힘을 가진 호랑이가 모든 것을 힘의 논리로 판단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 유형은 탐욕을 부리는 호랑이를 웃음의 대상으로 삼는 이야기이다. 여기서 호랑이는 먹을 것에 대한 지나친 욕심 때문에 웃음거리가 되고 있다. 최상위 포식자인 호랑이를 어리석은 탐욕자로 규정하여 웃음거리로 삼은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인간담의 경우 사람의 약점이나 사회적 문제 등 웃음의 대상이 다양한데 반해 호랑이 설화의 경우에는 웃음의 대상이 지극히 제한적으로 나타난다. 호랑이 설화에서 웃음을 유발하는 방식은 의인화를 기본으로 한다. 인간담은 현실을 가시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지만, 호랑이 설화에서는 현실을 뒤집는 방법으로 웃음을 유발한다. 호랑이의 지위를 최대한 아래로 격하시키는 방법 또한 호랑이 설화가 지닌 웃음 유발 방식의 한 특징이다. 호랑이 설화에서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는 공포의 대상인 호랑이를 이렇게 우스꽝스런 바보로 형상화한 것은 인간이 호랑이에 대한 심리적 두려움의 극복 방식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호랑이를 친근하게 여기도록 기능하기도 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겠다. This study focused on tales in which the point of the narrative is to induce laughter by the behavior and characteristics of animals.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folktales involving a silly tiger who characteristically induces laughter. The tiger folktales were categoriz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way in which laughter was induced. The first type involves stories in which the tiger is a coward, and the laughing stock of the story. In these stories, the tiger is an unseen object, and is regarded as something scary. This is in contrast to the fact that tigers, being among the most powerful animals, are generally logically judged as being very strong. The second type of tiger folktale identified in this study involves stories in which a silly and greedy tiger is the laughing stock. In these stories, tigers’ excessive gluttony makes them the object of ridicule; the tiger, a top predator, is defined as a silly due to his greed. In tales involving humans, the laughing stock of a story is generally one of various human weaknesses or social problems. In contrast, in tiger folk tales, the object of laughter is somewhat limited. In tiger folk tales, the humor is based on personification. Whereas human tales cause the reader/listener to visualize humorous events in reality, tiger folktales reverse reality. Furthermore, downgrading the perceived status of tigers is a characteristic of tiger folktales. In tiger folktales, describing tigers, generally regarded as threatening objects of fear, as silly is a way for humans to overcome their psychological fear. Furthermore, this allows people to consider tigers as familiar th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