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재형 이안제의 설계외력 산정기법 검증을 위한 실해역 시험

        권혁민,권오균,한유식,윤강훈,Kweon. Hyuck Min,Kwon. Oh Kyun,Han. Yu Sik,Yoon. Kang Hun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1

        철재형 이안제는 구조형식이 단조롭고 설계가 용이하며 퇴적파랑을 통과시키는 등 장점이 많아 기존의 중력식 방파제의 대안으로서 기대된다. 철재형 이안제의 설계기법은 권혁민 등(2011), 권오균 등(2011), 이정렬 등(2011)이 보고한 바 있다. 권혁민 등(2011)은 철재형 이안제의 설계외력을 산정함에 있어서 유의파고에 상당하는 규칙파를 사용하고 말뚝의 심도설계를 위한 연직상향력은 수평판의 지점별 최대압력분포로부터 산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제안된 외력산정기법의 실해역 검증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설계상 가능한 구조물에 대하여 실해역 실험을 통하여 축조 과정 기술 확보, 파괴 여부 판정, 철거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철재형 이안제에 사용된 소파판은 <TEX>$9m{\times}12m$</TEX>(길이<TEX>${\times}$</TEX>폭)의 크기이고, 강관말뚝은 직경 711 mm, 두께 12 mm, 길이 23.2 m이다. 실해역 실험 결과, 본 구조물의 축조는 기존의 장비로 약 8시간 만에 1셀의 시공이 가능하고, 유의파고 5.83 m의 외력에 대하여 말뚝의 수평 및 수직 상호변위는 매우 작게 발생하였으며, 철거는 양호한 기후조건에서 2일이 소요되었다. 본 실해역 시험을 통하여 권혁민 등(2011)의 철재형 이안제에 작용하는 외력산정기법이 유용하며 말뚝의 인발력에 대한 마찰 안전율이 약 2.0에 상당하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철재형 이안제는 설계, 시공, 철거가 간단하며, 소파판의 착탈식 운영방식으로 해안의 사정에 따라 모래포집량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는 기대를 높이게 되었다. The steel-type breakwater has the merits of structural simplicity and passing the long period wave for beach accretion. So, it has been expected to be a key tool for the strategic beach protection technology. The design methodology of the steel-type breakwater was published by Kweon et al.(2011), Kwon et al.(2011), Lee et al.(2011). For the analysis of the resistant friction load acting on the pile, Kweon et al. proposed the estimation method of the design up lift force acting on the dual horizontal plate. With a train of regular wave corresponding to the significant one, they integrated the distribution of the biggest pressure at each point. For the verification of the estimation method of the load on the pile, the study is carried out the experiment in a real sea state. Moreover, the construction procedure, the displacement, joint checking and removal possibility of the steel-type breakwater are discussed. The constructed breakwater has the horizontal wave energy dissipator of <TEX>$9m{\times}12m$</TEX>(<TEX>$length{\times}width$</TEX>) and pile diameter of 711 mm, thickness of 12 mm, length of 23.2 m. The construction took about 8 hours for 1 cell composed of 9 piles and 1 horizontal dual plate. There is a little vertical and horizontal displacement of pile attacked by the maximum wave height of 5.83 m. The removal of 1 cell took about 2 days. This study shows the merits of the easier design, faster construction and simpler removal of the steel-type breakwater. The structure could be estimated as a stable one because it has the horizontal dissipator on which acting a little compression and a little uplift force due to the perforated holes. Moreover, the easier removal could make it possible to manage the coastal line as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erosion or accretion sand volume.

      • KCI등재

        공진형 전력부이의 상하변위증폭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권혁민,고혁준,김정록,최영환,Kweon, Hyuck-Min,Koh, Hyeok-Jun,Kim, Jung-Rok,Choi, Young-Hwan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2

        공진형 파동에너지 추출시스템은 권혁민 등(2010)에 의해 최초로 제안되었다. 본 시스템은 계류장치와 직렬발전기 그리고 발전기를 가진하는 부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직렬발전기의 운동자는 부이의 수직운동에 의해 내부 진동하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같이 파랑에너지가 비교적 적은 지역에서는 가진체인 부이의 수직운동 크기를 증폭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발전기를 탑재한 부이가 공진할 수 있도록 제원을 조절하고 이의 증폭효과를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모형부이는 공진주기 1.96 sec에 해당하는 흘수를 확보하도록 제원을 조절하였다. 부이공진 실험은 최대수심 6.0 m, 폭 8 m, 길이 110 m인 대형수조에서 규칙파 및 불규칙파에 대하여 수행되었다. 실험파는 평상파의 파형경사에 해당하는 약 0.01에 상응하도록 파를 선택하였다. 부이의 수직변위 관측시계열 자료는 규칙파의 진폭증폭율과 불규칙파의 스펙트럼 면적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규칙파실험은 모형 전력생산부이의 공진주기 1.96 sec에서 최대 진폭증폭율 5.66을 얻었으며 불규칙파의 경우는 첨두주기가 1.96 sec보다 약간 짧은 1.85 sec에서 최대 스펙트럼면적비 20.73을 얻었다. 본 실험성과로부터 부이의 공진설계가 전력생산의 증대에 유효하며 우리나라와 같이 비교적 파랑에너지가 적은 지역에서 상업적 전력생산을 위하여 필수불가결함을 알았다. In this study, laboratory experiments and numerical simulations were conducted to test the performance of resonance power buoy system proposed by Kweon et al.(2010). The system is composed of a linear generator and a mooring buoy. The mover of the linear generator mainly has heave motion driven by vertical oscillation of the buoy. In this system, the velocity discrepancy between the mover and the buoy makes electricity. However, ocean wave energy as a natural resource around Korean peninsula is comparatively small and the driving force for producing electricity is not enough for commercializ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buoy motion be amplified by using resonance characteristics. In order to verify the resonance effects on the test power buoy,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in the large wave flume (length of 110 m, width of 8 m, maximum depth of 6 m) equipped with regular and random plunger wave generator. The resonance draft of test power buoy is designed for the corresponding period of incident wave, 1.96 sec. Regular wave test results show that the heave response amplitude operator(RAO) by a test buoy has the amplification of 5.66 times higher compared to the wave amplitude at the resonance period. Test results of random waves show that the buoy has the largest spectrum area of 20.73 times higher at the point of not the resonance period but the shorter one of 1.85 sec.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resonance power buoy for wave power generation for commercial application in the case of the coastal and oceanic area with smaller wave energy.

      • 마약류 중독자를 바라보는 인식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 범죄자가 아닌 환자로의 인식 변화

        권혁민,이주현,최정아,최혜영,김영호 한국중독재활복지학회 2019 중독과 복지 Vol.3 No.2

        우리나라에서 마약류 중독자에 대한 처우는 현 형사사법시스템 상 치료가 필요한 중독자가 아닌 범죄자로 우선 인식하여 형사 처벌적 접근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마약류 중독자의 꾸준한 증가와 높은 재범률은 기존 시스템의 치료·재활 및 사회로의 복귀에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마약류 중독자를 범죄자가 아닌 환자로 인식하는 것이 치료 및 재활에 도움이 되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마약류 중독자를 환자로서 인식하는 것이 범죄자로 인식하는 경우에 비해 삶에 대한 태도, 치료에의 경험, 향후 치료 계획 등의 항목에서 더 높은 수준의 회복 요소 및 자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본 연구는 마약류 중독자의 치료 및 재활에서 마약류 중독자를 범죄자가 아닌 환자로 보는 인식의 변화가 중독자의 치료 및 재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침을 인지하였다. 그리고 그에 따라 마약류 중독자에 대한 현 사법시스템 및 사회적 인식의 개선 및 변화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향후 마약류 중독자의 치료 및 재활 모형 개발, 정책 수립 필요성에 대해 함께 제언하였다. The current criminal justice system recognizes the people with drug use disorder as criminals rather than addicts whom need treatment, and only criminal approaches are taken. However, the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with drug use disorder and the high recidivism rate show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treatment, rehabilitation and their return to society in existing systems. So, this study set the issue of 'Is it helpful to treat and rehabilitate the people with drug use disorder as patients rather than criminals?'. And recognizing the people with drug use disorder as patients has a higher level of recovery factors and resources in categories such as attitudes toward life, experience in treatment, future treatment plans, etc. This study recognizes that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people with drug use disorder as patients rather than criminal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addicts. And thu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improvement and change in the current judicial system and social awareness of the people with drug use disorder.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s the need of to develop a model for th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and to establish policies for the people with drug use disorder in the future.

      • KCI등재

        도시철도차량 공기스프링 횡변위 검사기준에 관한 연구

        권혁민,임원식 한국도시철도학회 2022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Vol.10 No.2

        Air springs for urban railway vehicles are products that satisfy both type approval and manufacturer approval prescribed by law. However, the airbag folding phenomenon occurred on the train of Seoul Metro Line 2. In this paper, we tried to find the test conditions under which the same phenomenon occurs for the air spring product of Line 2. The same phenomenon was reproduced in the lateral displacement test that was not included in the railway vehicle technical standards. By applying this, we tried to present additional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phenomenon of air spring folding. 도시철도 차량용 공기스프링은「철도차량 기술기준」의 제정 이후 법에서 정하는 형식승인 및 제작자 승인을 모두 만족시킨 제품이다. 그러나 서울교통공사 2호선 전동차 200편성 총 800개의 공기스프링 중 약 95% 이상에서 에어백 접힘 현상이 발생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술기준 통과 후 양산되고도 접힘현상이 발생된 2호선 전동차 공기스프링 제품에 대하여 동일 현상이 발생되는 시험 조건을 찾고자 하였고 철도차량기술기준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횡변위 시험에서 동일한 현상을 재현해내었다. 이를 적용하여 공기스프링 접힘현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추가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주문형 비디오 시스템을 위한 빠른 광범위한 비디오 배포 기법

        권혁민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1 No.7

        The performance of video-on-demand(VOD) systems is known to be mainly dependent on a scheduling mechanism which they employ. Broadcast-based scheduling schemes have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as an efficient way of distributing popular videos to very large client populations. The main motivations of broadcasting scheduling mechanisms are that they scale up extremely well and they have very modest bandwidth requirements. This paper studies this issue and proposes a new broadcasting scheduling mechanism, named fast universal video distribution(FUVD). FUVD scheme dynamically constructs a video broadcasting schedule in response to client requests, and broadcasts video segments according to this schedule. This paper also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FUVD on the basis of a simulation approach. The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FUVD protocol shows a superior performance over UD, CBHD, and NPB in terms of the average response time. 주문형 비디오 시스템의 성능은 그들이 채택하고 있는 스케쥴링 기법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방송에 기초한 스케쥴링 기법은 방대한 규모의 클라이언트에게 인기 비디오를 배포하기 위한 효과적인 기술로서 큰 관심을 끌고 있다. 방송 스케쥴링 기법의 주된 동기는 그들은 확장성이 매우 좋으며 아주 적당한 수준의 대역폭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 주제를 연구하여 FUVD로 명명된 새로운 방송 스케쥴링 기법을 제안한다. FUVD 기법은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동적으로 비디오 방송 스케쥴을 구성하고 이 스케쥴에 따라 비디오 세그먼트를 방송한다. 본 논문은 시뮬레이션 방법을 통하여 FUVD 기법의 성능을 평가한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하면 FUVD 기법은 UD, CBHD, 그리고 NPB 기법보다 평균 응답시간에 있어서 더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 KCI등재

        Heaving displacement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of a power buoy in shoaling water with insufficient draft

        권혁민,조일형,조홍연 대한조선학회 2013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 Vol.5 No.4

        The resonance power buoy is a convincing tool that can increase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wave energy. The buoy needs a corresponding draft, to move in resonance with waves within the peak frequency band where wave energy is concentrated. However, it must still be clarified if the buoy acts as an effective displacement amplifier, when there is insufficient water depth. In this study,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a circular cylinder-type buoy was calculated,with the spectrum data observed in a real shallow sea as the external wave force, and with the corresponding draft, according to the mode frequency of normal waves. Such numerical investigation result, without considering Power Take-Off (PTO) damping, confirmed that the area of the heave responses spectrum can be amplified by up to about tenfold,compared with the wave energy spectrum, if the draft corresponds to the peak frequency, even with insufficient water depth. Moreover,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buoy varied, according to the seasonal changes in the wave spectra.

      • RxW${\alpha}$: 풀 기반의 데이타 방송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방송 스케쥴링 기법

        권혁민,Kwon, Hyeok-Min 한국정보기술전략혁신학회 2004 情報學硏究 Vol.7 No.1

        데이타 방송은 방대한 규모의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타를 전파하기 위한 효과적인 기술로서 큰 관심을 끌고 있다. 데이타 방송 시스템의 주된 동긴ㄴ 자신이 지원하는 클라이언트의 수는 시스템의 성능에 전혀 영향을 미치니 않고 임의로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방송 시스템의 성능은 클라이언트 캐슁 전략과 데이타 방송 스케쥴링 기법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은 후자의 문제를 취급하여 데이타 방송 시스템에 적합한 RxW${\alpha}$로 명명된 새로운 방송 스케쥴링 기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모의 실험 모델을 통하여 RxW${\alpha}$ 기법의 성능을 평가한다. 성능 평가 결과에 의하면 RxW$^{\alpha}$ 기법은 적당한 수준의 응답시간 성능을 보이면서도 응답시간의 분산 성능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 KCI등재

        TLDP: 다중 방송 채널 환경을 위한 새로운 방송 스케쥴링 기법

        권혁민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1 No.2

        방송 기반의 데이터 전파는 모바일 컴퓨팅 환경에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통신 방식이다. 그러나 많은 데이터를 방송해야 할 경우에 방송 채널의 순차성으로 인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까지의 예상 지연시간이 증가한다. 이 대기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본 논문은 다중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방송하는 문제를 연구한다. 기존의 기법들은 각 채널의 평형 방송을 가정하고 데이터들을 액세스 확률에 근거하여 분할하고 다중 채널에 할당한다. 만일 동일 채널에 할당된 데이터들도 그들의 액세스 확률에 근거하여 방송빈도를 다르게 한다면 성능은 더 향상될 것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논문은 동일 채널에 할당된 데이터들의 액세스 확률의 차이를 방송 스케줄에 반영할 수 있는 두 단계 동적프로그래밍 기법으로 명명된 새로운 방송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한다. Broadcast-based data dissemination has become a widely accepted approach of communication in the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However, with a large set of data items, the expected delay of receiving a desired data increases due to the sequential nature of the broadcast channel. With the objective of minimizing this wait time, this paper explores the problem of data broadcast over multiple channels. In traditional approaches, data items are partitioned based on their access probabilities and allocated on multiple channels, assuming flat data scheduling per channel. If the data items allocated on the same channel are broadcast in different frequencies based on their access probabilities, the performance will be enhanced further. In this respect, this paper proposes a new broadcast scheduling scheme named two level dynamic programming(TLDP) which can reflect a variation of access probabilities among data items allocated on the same chann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