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폴리올레핀 다공성 지지체를 이용한 고성능·고내구성 정삼투 분리막

        권순진,박상희,이정현 한국막학회 2017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7 No.05

        A porous polyolefin (e.g.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membrane has been commercialized as a lithium ion battery separator. The highly performing thin film composite (TFC) forward osmosis (FO) membrane was fabricated using the porous polyolefin membrane as a support via typical interfacial polymerization process. A very thin thickness (~8 μm) and highly interconnected pore structure of the polyolefin support can greatly reduce the internal concentration polarization, leading to high water flux, as evidenced by its low structural parameter (~168 μm). The prepared polyolefin-supported TFC membrane showed ~3.7 times higher water flux and ~33% lower specific salt flux compared to HTI-CTA commercial FO membrane with 1.0 M NaCl draw solution and DI water feed solution in FO mode. In addition, its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enables stable membrane operation.

      • 폴리도파민으로 개질된 폴리올레핀 다공성 지지체를 이용한 고성능⋅고내구성 정삼투 분리막

        권순진,박상희,김달용,이정현 한국막학회 2018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8 No.11

        A highly performing and durable forward osmosis (FO) membrane was prepared using a polydopamine-modified polyolefin (DPO) support via an aromatic solvent (toluene)-based interfacial polymerization (IP). The hydrophobic polyolefin support was uniformly hydrophilized by polydopamine coating, which provided long term operation stability. In addition, a highly permselective selective layer was prepared on the hydrophilic DPO support by the toluene-based IP, which promoted amine diffusion and the subsequent IP reaction. As a result, the prepared DPO-supported TFC membrane exhibited significantly high FO performance, which was ~4.9 times higher FO water flux and ~62% lower specific salt flux than those of a commercial FO (HTI-CTA) membrane in FO mode. Furthermore, its excellent mechanical and chemical stability enabled stable operation.

      • 폴리올레핀 다공성 지지체를 이용한 고성능⋅고내구성 역삼투 분리막

        권순진,박상희,전성권,이정현 한국막학회 2017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7 No.11

        The highly performing polyamide (PA) thin film composite (TFC) reverse osmosis (RO) membrane was prepared using the commercialized porous polyolefin (PO) membrane as a support. The PO-supported TFC (PO-TFC) membrane was fabricated via a conventional interfacial polymerization process. The highly permselective PA layer was formed by optimizing membrane fabrication parameters such as monomer/additive composition and post-treatment. The uniform pore structure and high surface porosity of the PO support are beneficial for improving the membrane permselectivity. As a result, the prepared PO-TFC membrane showed ~30% higher water flux and ~0.4% higher NaCl rejection compared to a commercial RO membrane. In addition, the PO-TFC membrane exhibited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organic solvent resistance.

      • KCI등재후보

        철원지역 신라산성의 성격

        권순진 육군군사연구소 2013 군사연구 Vol.- No.135

        WeexaminedCharacteristicsoftheSillamountainfortressaroundCheorwonarea Firstly,theShillamountainfortressofCheorwonareawerelocatedatanaltitude around200~400m whereisnormallythetopofamountainandvalley.Theywere builton amajortransportation pointwith good visibility,and the fortresswere locatedonmaneuverwhichacrossfrom southtonorth. Secondly,inthecaseofthestructuralfact,thefortresscanbedividedintotwo types, Temoe type and Pogok type mountain fortress. Sung fortress and DongjusansungfortresscouldbeclassifiedasPogoktype.However,Halmisansung fortressisTemoetype.ThecircumferenceoftheHalmisansung fortressisabout 250m, so the fortress is relatively small, but Dongjusansung fortress's circumferenceis591m sothefortressismidsizeandSungfortress'scircumference is982m sothefortressislarge. Thirdly,materials forconstruction were mainly stones.Halmisansung fortress wasconstructedsidedirection method.Sung fortressand Dongjusansung fortress were made depend on the geographicalfeatures.In addition,we can figure the specialfeatureoftheSillafortresssuchasKidanbochuk. Fourthly,facilitiesofinnerareaofthefortressweregatesite.Therearemany buildingsintheSungfortressandDongjusansungfortress.Sungfortresshasthree Chiwhichisaperimetertypewall.Inaddition,therearealsocollecting wellsin thefortress. fifthly,themostspecificartifactsoftheCheorwonareaSillamountainfortressis Dankakgobae ofsilla's Advancing-north period.In the case ofrooftiles,lotus flowerpatternrooftilewasfoundinDongjusansungfortresswithlinepatterntype ofunifiedsilla. Lastly, Cheorwon area Silla mountain fortress was built around silla's Advancing-northperiod.Moreover,thefortresseswereusedduring unifying wars ofSillaandbattlesbetweenSillaandtheTang(唐).Afterunification,thefortresses usedasadministrationandmilitarycontrolpointandshelterfor inhabitantsduring militarycollisionandemergency 신라는 6세기 중반 한강유역을 점유한 후 철원지역을 경유하여 함경도지역까지 진출하고 있다.이러한 결과물로 나타난 것이 철원지역의 신라산성으로파악하였다.철원지역 신라산성의 특징과 성격을 살펴본 결과,첫째,철원지역 신라산성의 입지와 분포는 해발 200~400m 내외의 산 정상부와 계곡부 일부를 둘러쌓았으며,교통의 요지에 축조되었고 視界의 양호함을가장 우선순위로 두었다.또한 분포상의 특징은 남과 북이 서로 교차하는 기동로상에 위치하고 있다. 둘째,구조적 특징을 보면,테뫼식과 포곡식으로 나눌 수 있다.규모가 큰 성산성과 동주산성은 포곡식 산성이며,할미산성은 테뫼식 산성이다.규모는 할미산성은 둘레 250m 내외로 소형이며,동주산성과 성산성은 각각 591m,982m 로 중대형급에 속하는 산성이다. 셋째,축조재료는 모두 석축이며,축조방법은 할미산성은 편축식,동주산성과성산성은 지형에 따라 협축식과 편축식을 적절히 활용하여 축조하였다.또한신라산성의 특징적 축조수법인 기단보축이 성산성과 동주산성에서 확인된다. 넷째,성내부의 시설물은 성산성과 동주산성에서 현문식의 문지가 조사되었다. 다만 할미산성에서는 문지의 형태로 보이는 곳은 확인되지 않았으나,구조상 현문식의 문지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건물지는 동주산성과 성산성에서 확인되었으며,치성은 성산성에서 3곳,물을 구할 수 있는 용수처 등도 조사되었다. 다섯째,수습유물 가운데 가장 특징적인 것은 3개 산성 모두에서 신라 북진기의 유물인 短脚高杯가 수습되었다.기와는 동주산성에서 연화문와당을 비롯하여 통일신라시대의 선조문이나 태격자문이 타날된 기와들이 출토되었다. 여섯째,철원지역의 역사적 배경 및 고고자료를 검토해 본 결과 철원지역 신라산성은 신라 북진기에 축조되어 사용되어졌으며,신라의 통일전쟁과 나당전쟁시 활용되어졌다.통일이후에는 지역의 군사·행정적 치소로서 역할을 하면서有事時주민들의 入保處로 군사적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철원지역 성곽의 특징과 성격

        권순진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과학연구 Vol.- No.75

        철원지역 성곽의 규모와 구조, 축조기법, 유물과 역사적 배경을 통해 특징과 성격을 살펴보았다. 첫째, 성곽은 한탄강에 인접한 구릉성 대지와 43번도로 중심으로 평야에 인접한 교통로 연변에 분포하고 있다. 둘째, 유형은 산성이 4개소로 가장 많으며, 평산성 3개소, 평지성 4개소이다. 셋째, 높이는 해발 800m 정도에 위치한 명성산성을 제외하고 대부분 200〜500m 내외이다. 규모는 태봉국도성이 외성 12.5km, 내성 약 7.7km, 명성산성은 약 1.65km이다. 동주산성과 성산성, 고석성은 각각 591m, 982m, 784m로 내부에 건물지를 비롯하여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水源이 있어 치소성으로 활용되다 유사시 입보농성이 가능하다. 넷째, 축조기법은 동주산성, 고석성, 성산성, 어음성, 내대리성지, 명성산성 등이 석축성이며, 동주산성과 성산성은 성벽 모두 협축으로 조성한 것으로 생각된다. 신라 석축성 특징인 기단보축과 현문식 문지도 파악되었다. 이외에 태봉국도성, 성모루토성, 토성리토성, 월하리토성은 토석혼축성이다. 다섯째, 유물은 원삼국시대부터 고려〜조선시대에 걸치 다양하게 파악된다. 특히 동주산성, 성산성 등에는 신라 북진기 표지적 유물인 단각고배 등이 수습되었다. 또한 월하리토성 내부에 대한 발굴조사에서 통일신라기에 해당되는 팔각복련석등하대석과 함께 동일시기 유물이 출토되었다. 여섯째, 동주산성, 성산성, 내대리성지, 어음성은 신라 북진시에 축조되어진 것으로 보이며, 태봉국도성은 한시적으로 도성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월하리토성, 고석성, 중어성은 도성방어 및 거관적 성격일 것으로 보인다. 명성산성은 고려〜조선시대에 사용된 피난성, 성모루토성은 고구려에서 한시적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토성리토성은 철원지역에서 가장 이른시기에 축조된 평지방형토성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