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위 궤양병 효율적 관리를 위한 매뉴얼

        고영진,김경희,정재성,Koh, Young Jin,Kim, Gyoung Hee,Jung, Jae Sung 한국식물병리학회 2017 식물병연구 Vol.23 No.1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the causal agent of bacterial canker, is currently causing severe economic losses to kiwifruit production worldwide. The pathogen has affected green-fleshed kiwifruit cutlivars and yellow-fleshed kiwifruit cultivars since 1988 and 2006 in Korea, respectively. In recent years, the biovar 3 strains of P. syringae pv. actinidiae were introduced through imported contaminated pollens and have rapidly spread to neighboring kiwiruit orchards by secondary infection, leading to outbreaks of bacterial canker and tremendous damages on yellow- and red-fleshed kiwifruit cultivars. In this review, we summarize the various management practices of bacterial canker of kiwifruit such as disease escaping, cultural practices, blocking of dissemination, early diagnosis, eradication of inoculum sources, chemical control, and trunk injection on the basis of our research works and field experiences and important research products conducted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in the world. Finally, we propose a manual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disease that can be practically utilized at the farmers' orchards in order to keep kiwifruit vines healthy in the future. 키위 궤양병균인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는 최근 전세계에서 심각하게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궤양병균은 우리나라에서 그린키위와 골드키위 품종들을 각각 1988년과 2006년부터 침해해왔다. 최근에는 오염된 수입꽃가루에 의해 유입된 궤양병균 biovar 3 (Psa3)가 주변 키위 재배 농가로 2차감염에 의해 급속하게 확산되어 골드키위와 레드키위 품종들에 대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다. 이 총설에서는 지난 30년간 수행한 연구 업적과 현장 경험 그리고 세계적인 주요 연구 산물들을 기초로 하여 궤양병 발생 회피, 경종적 방제, 궤양병균의 전파 차단, 조기 진단, 전염원 제거, 침입 차단, 약제 방제, 나무 치료 등 다양한 키위 궤양병 관리방법들을 요약하여 장차 키위나무를 건강하게 재배할 수 있도록 농가에서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매뉴얼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Occurrence of a New Type of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Strain of Bacterial Canker on Kiwifruit in Korea

        고영진,Gyoung Hee Kim,Hyun Seok Koh,Young Sun Lee,Seong-Cheol Kim,정재성 한국식물병리학회 2012 Plant Pathology Journal Vol.28 No.4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strains, the causal agents of bacterial canker on kiwifruit, were isolated from Korea and Italy in 2011. Among 87 isolates, a total of six representative strains, three from Korea and three from Italy,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tests. Identities were confirmed by PCR using P. syringae pv. actinidiae-specific primers PsaF1/R2, which amplified a 280-bp DNA fragment. The strains isolated from Korea in this study displayed BOX-PCR patterns similar to those isolated from Italy but different from those isolated previously in Korea or the pathotype P. syringae pv. actinidiae strain. The effector hopA1 and hopH1 genes, which are known to be present in strains isolated recently from France and Italy, were also present in P. syringae pv. actinidiae strains, SYS1, SYS2 and SYS4, isolated from Korea in this work. However, no amplicons of the expected size were obtained from strains previously isolated from Korea and Japan. In addition, the Korean strains isolated in this work belonged to haplotype I for the cts gene identical to those strains isolated from recent outbreaks in Ita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 syringae pv. actinidiae strains isolated from Korea and examined in this work are a new type of strain similar to those found from recent outbreaks in Italy.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occurrence of cts haplotype I strains of P. syringae pv. actinidiae affecting kiwifruit plants in Korea.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장성지역의 유학 전통과 특징

        고영진 ( Young Jin Koh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5 No.-

        이 글은 호남 유학의 형성과 발전 과정의 전형이라고 할 정도로 그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는 장성지역의 유학 전통과 그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장성지역의 유학은 약간의 차이가 없지 않았으나 전체 호남 유학의 흐름에서 크게 벗어나는 것은 아니었다. 즉 고려 말부터 16세기 전반까지 장성지역의 유학 전통은 서릉과 송흠ㆍ박수량에서 볼 수 있듯이, 향촌교화적인 성격을 가지고 기묘사림의 도학사상, 지치추의유학과 크게 다르지 않으면서도 효와 청렴, 지행합일의 강조 등 수기적이고 실천적인 측면을 중시하였다. 16세기 중반 이들의 사상을 계승하여 학문적으로 더욱 발전시킨 김인후는 향촌 교화에 대한 열망과 사심 없고 청렴한 지방관의 중요성, 지나치지 않음과 겸손함에 기반한 삶의 태도 등을 선배 학인들로부터 이어받았다. 여기에 성리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천명도」, 「주역관상도」, 「서명사천도」 등을 저술하였으며 서경덕ㆍ정지운ㆍ이항ㆍ기대승ㆍ노수신 등과의 수준 높은 학술논쟁을 통해 성리학의 이론적 심화와 이이학파의 학설이 정립되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그의 학문적 위상은 문인들에 의해 발전적으로 계승되어 송시열과 정조에 의해 ‘도학과 절의ㆍ문장을 다 갖춘 사람’, ‘동방의 周子’, ‘호남의 공자’로 평가받으며 호남지역에서는 유일하게 문묘에 배향되었다. 또한 효와 충, 청렴과 절의, 지행합일을 강조하는 이 지역의 유학 전통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장성 남문창의 등 활발한 의병활동으로 나타났으며, 여기에 민본적 성격까지 덧붙여져 한말 기정진의 위정척사상과 문인들의 사회경제 개혁책, 의병활동 등을 통해 다시 한번 구현되었다. 따라서 장성의 유학 전통과 특징은 호남 유학의 성격과 발전 과정의 전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나아가 조선 사상계의 전체적인 흐름과도 궤를 같이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looks into the tradition and the characteristic of Confucianism in Jangseong Region. Confucianism in Jangseong region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stream of Confucianism in Honam province. From Goryo Dynasty to the mid-sixteenth centry in Joseon Dynasty Confucian tradition in Jangseong region had emphasized the sides of self-discipline and practice like Seo Reung, Song Heum and Park Soo-Ryang. Kim In-Hoo who much developed their thought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oretical deepening of Confucianism and a formulating of Yi I school’s theory. His thougths was succeeded by his disciples developmentally and he was considered as ‘the man who has a moral philosophy, fidelity and a literature’, ‘Zhou Dunyi(周子) of the East’ and ‘Confucius of Honam province’. He was only canonized into Confucian shrine among the Honam scholars. Confucian tradition in Jangseong region which emphasized filial piety and royalty, integrity and fidelity, uniting knowledge and conduct were succeeded to the Righteous Army as Jangseong Namun Changui(長城南門倡義). Futhermore It was realized as Ki Jeong-Jin’s expulsion of wickedness theory, his disciples’ socio-economic reformation and Righteous Arm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it is no exaggerating to say that Confucian tradition and the characteristic in Jangseong region was a model of Confucianism in Honam province. It also had a same way of the general stream of the thinking world in Joseon.

      • SCOPUSKCI등재

        수포성 피부 병변을 보인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2예

        고영진(Young Jin Koh),이광훈(Kwang Hoon Lee),강원형(Won Hyoung Kang) 대한피부과학회 1986 대한피부과학회지 Vol.24 No.6

        l6-year-old male and 48-year-old female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and renal disease presented with vesiculobullous eruptions during severe attack of the disease. They showed hypocomplementernia, and high ANA titers. Histopathologic findings revealed subepidermal blister and leukocytoclastic vasculitis, Direct immunofluorescence demonstratedlinear deposits of IgG, IgA and lgM at the dermoepidermal junction. The vesiculobullous eruption of SLE may be an important marker reflecting disease activity and prognosi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호남남인 윤선도의 관계망

        고영진 ( Koh Young-ji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8 民族文化硏究 Vol.81 No.-

        이 글은 17세기 대표적인 호남남인(남인계 호남사림)이었던 윤선도의 관계망을 살 펴본 것이다. 윤선도의 관계망은 다양하지만 크게 혈연적, 지역적, 학문적, 관료적 관계망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윤선도집안은 고조인 윤효정 대 해남에 사회경제적 기반을 마련하고 호남의 대표적인 사족가문으로 성장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해남윤씨는 윤선도 대에 와서 문중을 형성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 1702년 족보가 편찬되기도 하였다. 윤선도의 혈연적 관계망은 중기에서 후기로 넘어가는 조선사회의 과도기적 모습을 친족관계의 측면에서 잘 보여준다. 윤선도집안은 호남의 서남해안지역에 강력한 재지적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서울 중앙과의 지역관계망을 구축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려고 노력하였다. 윤선도와 그의 가문의 지역적 관계망은 조선 중기에서 후기에 걸친 지방 재지사족들의 생존 전략과 변천 과정을 잘 보여준다. 윤선도의 학문·사상적 맥은 북인 또는 북인계 남인과 연결된다. 그러나 그의 학문적 관계망은 이들 뿐만 아니라 이황학파와 당색이 옅은 서인계 인물까지 연결되었는데 이는 호남남인의 학문적 특징이기도 하다. 윤선도는 집안과 문중의 재산을 유지·경영하고 지방 재지사족으로서의 기반을 다져나가는데 지방관들과의 관계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중앙과 지방에 걸친 윤선도의 관료적 관계망은 조선 중기 향촌에 기반 한 재지사족들이 어떠한 방법으로 자신들의 지배적 위치를 유지·발전시켜 나가려고 했는지를 잘 보여준다. 조선시대 혈연적, 지역적, 학문적, 관료적 관계망 등 이 4개의 관계망은 서로 중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 다양한 관계망들은 윤선도의 삶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윤선도는 학문적 관계망을 통해 호남남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혈연적 관계망을 통해 해남윤씨집안의 결집을 도모하였고 지역적 관계망을 통해 서울 중앙과의 관계를 유지하였으며 관료적 관계망을 통해 집안의 재산을 유지하고 지방 재지사족으로서의 기반을 다져나갔다. 또한 윤선도와 그 집안의 관계망을 통해 우리는 중기에서 후기로 넘어가는 조선사회의 과도기적인 모습을 여러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으며, 향촌에 기반 한 지방의 재지사족들이 어떠한 방법으로 자신들의 지배적 위치를 유지·발전시켜 나가려고 했는지, 그 생존전략과 변천과정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This study looks into the Yun Seon-do’s networks who is the typical Honam namin in 17th century. Yun Seon-do’s networks are various and we can study his networks in terms of kinship, regional, academic and bureaucratic networks. Yun Seon-do’s family established a socio-economic foundation by succeeding the great property from the wife’s father, Jeong Gui-young who was a landed proprietor in Haenam region. Hereafter from his three sons as Yun Gu and Yun Haeng, Yun Bok until Yun I-hoo who was Yun Seon-do’s grand son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Yun’s family became a typical noble family in Honam province. Based on this Haenam Yun’s family made an effort to form a clan and compiled the genealogy in 1702. The kinship network of Yun Seon-do showed the transitional figures of Joseon society from mid Joseon to late Joseon period. Yun’s family builded a strong regional base and prepared the hous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uthermore Yun’s family made a regional network and tried to maintain by marrying noble families of Seoul area. But Yun’s family was expelled from Yangban domination network in late 18th century becausing of cutting the regional network with Seoul. The regional network of Yun’s family showed a surviving strategy and a process of change of local noble family from mid Joseon to late Joseon period. Yun Seon-do studied without a teather but his learning and thoughts was rooted in Gimyo sarim. He rated Jeong Gae-cheong high. So his academic line was related with Bukin or Namin affiliated with Bukin. This fact was identified by that most persons to whom Yun Seon-do was related politically and academically were Geungi namin or Honam namin who were rooted in Bukin. But his academic network was related with Yi Hwang school and Seoin of few partisan coloring. This is the academic characteristic of Honam namin. Yun Seon-do had a few persons to associate with during his incumbency because he had filled a government post for ten years. But keeping company with local governors was more than central bureaucrats. Yun seon-do used bureaucratic network positively to manage his family’s great fortune. Yun’s bureaucratic network from central to local area showed how local noble families maintained their dominant power. Four networks as kinship network and regional network, academic network, bureaucratic network had multi-level characteristics. And these various networks had much effect on Yun Seon-do. Yun established his identity as Honam sarim affiliated with Namin (Honam namin) through the academic network. He made an effort to unite Yun’s family and maintained the relation between Seoul and local area through the regional network. And he maintained his family’s property and established the foundation as local noble family through the bureaucratic network. We look into transitional figures of Joseon society in many ways through networks of Yun Seon-do and Yun’s family. And we also look into the surviving strategy and a process of change how local noble families maintain and develop their dominant power.

      • KCI등재

        한국사 교과서에서 보이는 전근대 일본

        고영진(Koh,Young-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6 역사문화연구 Vol.25 No.-

        2001년 일본 후소샤의 『새로운 역사교과서』의 검정통과와 2003년 중국의 동북공정으로 촉발된 동북아시아 역사 갈등은, 3국의 양식 있는 학자와 교사, 시민단체들의 역사인식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해결의 실마리를 보이지 않고 오히려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중국과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에 대응하기 위해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과정 개편 작업에서 역사교육을 강화하기로 하였다. 그 결과 사회교과에 통합되어 있던 역사과목이 다시 독립하게 되고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계 교육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역사교육의 강화와 더불어 고려해야 할 것이 있으니 바로 역사교과서의 내용이다. 동북아시아 역사 갈등은 기본적으로 중국과 일본 역사교과서의 자민족중심주의와 국가주의적 경향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한국 역시 여기서 자유스러운 것은 아니다. 한국의 역사교과서도 이전보다 나아졌지만 아직도 자민족 중심의 일국사적인 관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 제8차 교육과정에 의해 새로 만들어질 역사교과서는 중국과 일본 등 동북아시아 주변국들에 대한 서술이 인류의 보편된 가치를 지향하며 상호 이해와 협력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 역사교과서에서 중국과 일본등 주변국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 위에서 기존의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에서 일본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전근대시기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전체적으로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에 보이는 전근대 일본의 모습은 문화후진국으로서 선진문화의 수혜자, 침략자, 약탈자의 모습이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은 근현대의 식민지수탈론으로 그대로 이어진다고 볼 수 있다. 수혜자, 침략자, 약탈자로서의 전근대 일본의 모습은 일면 타당한 점이 없지 않으나 정확한 것은 아니다. 더욱이 이러한 일본의 이미지가 교과서 발행과 서술제도 등 우리 내부의 잘못에서 비롯된 측면이 적지 않다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일본을 하나의 관계 주체로 보지 않는 『국사』교과서의 일방향적인 인식은 한반도를 둘러싸고 현재진행되고 있는 난제들을 해결하고 바람직한 한일관계를 만들어 나가는데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바람직한 한일 관계 서술은 과거 역사의 전개가 그랬듯이 일국사가 아닌 동아시아 전체의 넒은 시각에서 관계사적인 측면에서 서술할 필요가 있다. 말하자면 ‘경계의 역사학’이 아닌 ‘관계의 역사학’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서양의 국제 역사교과서 협력 운동을 모범으로 삼아 한·중·일 3국의 양식 있는 학자와 교사, 시민단체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역사교과서의 교류와 협력 활동은 앞으로도 더욱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s the observation of the image of Japan portrayed in the 6th edition and 7th edition of the high school course book『Korean History』, mainly during the in the premodern era. Compared to the 6th edition, the 7th edition of the high school textbook『Korean History』has less nationalistic factors in the narration, subjectivity has diminished in the word selections, and the narration has become more objective. Likewise, this is true for the relationship narrations with Japan. However, the narrations of the relationships with Japan have been in many circumstances, referenced fragmentarily in the process of narrating the Korean history. To be exact, they are being narrated as objects, rather than as equal subjects. Accordingly, even though the quantity of narrations is not small, in the Korean History books, the recognition of the two countries is superficial most of the time.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the image of Japan is simple. For most of the periods, Japan is acknowledged as a culturally underdeveloped nation that was accepting Korea's advanced culture, a cultural beneficiary, a looter who was continuously plundering Korea, and invader. Overall it can be observed that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China is positively acknowledged and Japan is absolutely acknowledged in a negative way. This can be easily seen through the fact that, even if they were same invasions, in the case of China, our conflicts were emphasized rather than the invasions, however, in the case of Japan; the plunderous parts were emphasized for the invasions. It can be said that, cultural exchange can not be one-sided, but it goes underway because it is mutually necessary and it is a reciprocal thing.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when narrating a cultural exchange from the perspective of a superior and benefactor. An example is that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China's culture acceptance is emphasized in the subjective perspective; however, Japan is emphasized in the perspective of a one-sided beneficiary. This kind of one-sided acknowledgement is not only narrated for the cultural exchanges but it appears in the narrations for Japan's invasions, and the plundering process. It is because there are only explanations about the disputes and invasions, there are almost no explanations on the domestic and foreign circumstances,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political status, causes or characteristics for the outbreak of wars. These kind of one-sided and superficial acknowledgements of nearby nations are hindrances in solving the difficult problem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For a desirable Korea-Japan relationship there is a need for the narration of the past to be narrated in the view of the entire Southeast Asia in a relational point of view rather than as one nation's history. In other words, it should be the ‘history of relationships’ rather than the ‘history of bounda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