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앙 집중형 네트워크 제어 플랫폼에서 SNMP 연결 관리의 고속화 방안 및 성능 분석

        고영석,권태현,김춘희,남현순,정유현,차영욱,Ko, Young-Suk,Kwon, Tae-Hyun,Kim, Choon-Hee,Nam, Hyun-Soon,Jeong, You-Hyeon,Cha, Young-Woo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4 No.6

        차세대 네트워크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하여 트래픽 엔지니어링이 보장되는 중앙 집중형 제어 및 관리 기술이 네트워크 제어 플랫폼인 NCP(Network Control Platform)와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스위치인 QSS(Quality of Service Switch)로 실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NCP와 QSS 사이의 SNMP 인터페이스에서 고속의 연결 관리를 위하여 병렬형 기법과 쓰레드 및 객체 풀을 도입하였다. 연결 관리의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본 논문에서 도입한 고속화 방안을 실험실 환경에서 확인하였으며, 연결 설정의 지연과 완료율을 측정하여 성능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NCP와 QSS 사이의 SNMP 인터페이스에서 연결 관리의 고속화를 위하여 병렬형 방식과 객체 풀의 사용이 중요한 성능 파라미터임을 확인하였다. Network Control Platform(NCP) and Qualify of Service Switch(QSS) are being developed to realize centralized control and management technology, which is essential for guaranteeing traffic engineering and service quality in a next generation network. This paper adopts a parallel mechanism, and a thread and object pool to achieve high-speed connection management in the existing SNMP interface between NCP and QSS. We built up a connection management test-bed in laboratory environment to validate the functionality of high-speed connection management. We also measured and analyzed a performance of connection setup delay and a completion ratio using the test-bed. We ascertain that the parallel mechanism and the object pool are the most important performance parameters to achieve high-speed connection management in the SNMP interface between NCP and QSS.

      • KCI등재

        캡슐형 내시경 구동을 위한 무선 에너지 전송

        서민성(Min-Sung Seo),고영석(Young-Suk Ko),박시홍(Shihong Park) 대한전자공학회 2008 電子工學會論文誌-SC (System and control) Vol.45 No.3

        기존의 캡슐형 내시경은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약 30㎽ 용량의 1차 전지를 사용한다. 그러나 1차 전지를 사용하는 방식은 배터리 용량의 한계와 1회용 소모품으로 가격이 비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체 외부에서 캡슐형 내시경에 무선으로 에너지를 전송 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식은 송ㆍ수신측 양단에 LC공진 회로를 이용하여 10~20㎝의 공극을 통해 송신측 코일에서 캡슐형 내시경으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위치와 방향성에 상관없이 에너지 효율의 증가를 위해 수신측 코일은 페라이트 코어를 이용한 3축 권선 방식을 이용하였다. 실험에 의한 측정 결과 제안된 방식은 수신측 회로에 안정적으로 30㎽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apsule endoscopes generally use primary cells as a power source due to its limited space. However, the primary cells have several limitations such as high cost, limited power and no reuse. To solve these problems, a new wireless energy transmission method is proposed. The proposed approach uses air-gap transformer concepts and LC resonance to transmit energy from transmitter(primary side) to capsule endoscopes(secondary side). The ferrite core with 3-axis winding is used to increase energy transfer efficiency regardless of direction and loca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stably supplies 30㎽ power to secondary circuit.

      • 캡슐형 내시경 구동을 위한 무선 에너지 전송

        서민성(Min-Sung Seo),고영석(Young-Suk Ko),김윤명(Yoon-Myoung Gimm),박시홍(Shihong Park) 대한전자공학회 2007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7

        Capsule endoscopes generally use primary cells as a power source due to its limited space. However, the primary cells have several limitations such as high cost, limited power and no reuse. To solve these problems, a new wireless energy transmission method is proposed. The proposed approach uses air-gap transformer concepts and LC resonance to transmit energy from transmitted primary side) to capsule endoscopes(secondary side). The ferrite core with 3-axis winding is used to increase energy transfer efficiency regardless of direction and loca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stably supplies 3㎽ power to secondary circuit.

      • KCI등재

        스마트폰을 이용한 저가 VR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임은수(Eun-Su Lim),윤성의(Sung-Yi Yun),고영석(Yong-Suk Ko),정하영(Ha-Young Jung),최홍섭(Hong-Sub Choi)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8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7

        Currently the bottleneck in virtual reality’s commercialization might be that high cost VR equipment is needed and interesting VR contents are not enoug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olve these problems by implementing low-cost VR system with wireless controller and HMD(Head Mounted Display) using a smart phone and PC. The functions of real HMD are simulated by utilizing the display and embedded sensors of a smart phone. In that situation PC is in charge of processing huge data and is communicated with smart phone. And wireless controller is designed to make VR user’s movement to be free. In addition, we made the several VR contents for testing our prototype system directly. Easy access to VR equipment could induce increasing number of users and investment. And it will be a big step toward improving VR technology and its commercialization.

      • KCI등재

        역행적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을 이용한 대퇴골 골절의 치료

        송경원 ( Kyung Won Song ),이승용 ( Seung Yong Lee ),신성일 ( Sung Il Shin ),이진영 ( Jin Young Lee ),김갑래 ( Gab Lae Kim ),최대은 ( Dae Eun Choi ),고영석 ( Young Suk Ko ),오형석 ( Hyung Suk Oh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3

        목적: 역행적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로 치료가 편리하였던 대퇴골 골절의 예들을 후향적으로 연구하여 치료의 효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3년 3월까지 역행적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 후 최소 18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대퇴골 골절 환자 32명(34예)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골절의 분류는 골절의 해부학적 위치에 의하면 대퇴골 간부 골절 6예, 원위부 골절 28예였으며 AO 골절 분류에 의하면 대퇴부 간부 골절의 경우 A1골절 1예, A2골절 1예, A3골절 2예, C1골절 2예였고 대퇴부 원위부 골절의 경우는 A1골절 11예, A2골절 7예, A3골절 7예, B1골절 1예, C1골절 2예였다. 그 중 개방성 골절은 5예로 Gustilo 등의 분류에 의하면 type I 3명, type II 2명이었다. 방사선 검사를 통해 골유합 시기 및 불유합, 부정유합 등을 평가하였고 임상적 검사를 통해 동통 및 보행 장해를 평가하였다. 특히 슬관절 기능은 술 후 18개월 후에 Knee score를 통해 평가하였다. 결과: 평균 골유합 기간은 16주(범위 12∼20주)였고 총 34예 중 골유합 30예, 불유합 4예였으며 나사못 부전이 3예 있었으나 이외의 합병증은 없었다. 슬관절의 기능은 29예에서는 정상적으로 슬관절 운동 범위가 회복되었으나 5예에서 슬관절 운동이 제한되었으며 Knee score8)에 의한 슬관절 기능 평가는 우수 28예, 양호 1예, 불량 5예였다. 결론: 대퇴골 골절에 있어서 역행적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은 수술 시 슬관절에 손상을 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으나 동측 하지의 동반된 골절이나 다발성 골절이 있는 환자, 전신 상태가 불량한 환자, 그리고 대퇴골 원위부 골절 환자 등에 있어서 수술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마취 및 수술시간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수술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alyze the result after retrograde intramedullary (IM) nailing in femoral shaft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Thirty-four femoral shaft fracture (32 patients) were operated with retrograde IM nail and followed the result for more than 18 month from march 2001 to march 2003. There were 6 of femoral mid shaft fractures and 28 of distal femur fractures. According to AO classification, there were 1 of A1, 1 of A2, 2 of A3, 2 of C1 in femoral mid shaft fracture and 11 of A1, 7 of A2, 7 of A3, 1 of B1, 2 of C1 in distal femur fracture. They included 5 open fracrures. By Gustilo classification there were 3 of type I, 2 of type II. Through radiologic study we evaluated the time of union, nonunion, malunion. And in clinical evaluation we checked knee function in 18 month after operation. Results: It took 16 weeks (range 12∼20 weeks) for average bone uion period. 30 cases out of 34 cases had the bone union but 4 cases showed nonunion. There were not any complication except 3 cases of screw migration. Full rage of motion was gained in 29 cases. However knee stiffness occurred in 5 cases. The knee function through knee score was assessed by showing 28 of excellent, 1 of good, 5 of poor. Conclusion: Even though the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ing may have some defect to be able to damage to knee joint in operating, It can be useful surgical technique for femoral shaft fracture in such as ipsilateral fracture or multiple fracture, poor general condition, and so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