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관지천식 환자에서 Furosemide, Disodium cromoglycate 및 Heparin 흡입이 고장액 식염수 기관지유발검사에 미치는 영향

        강천일,현상훈,남언정,김건우,윤종수,서영익,이종명,김능수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6 慶北醫大誌 Vol.37 No.3

        목적 : 기관지천식 환자에서 고장액 식염수의 흡입은 기도수축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운동유발성 천식반응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알레르겐 흡입이나 운동에 의해 유발되는 천식에 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disodium cromoglycate(DSCG), furosemide 및 heparin 흡입이 4.5% NaCl 기관지유발검사(BPT)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4.5% NaCl BPT에서 양성반응을 보이는 기관지천식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용된 약물은 furosemide 40㎎, DSCG 40㎎ 및 heparin 1,000μ/㎏이었다. 먼저baseline 4.5% NaCl BPT를 시행한 다음 이들 약물로 전처치후 다시 4.5% NaCl BPT를 시행하여 약물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결과 : Furosemide 40㎎, DSCG 40㎎및 heparin 1,000μ/㎏의 흡입 전처치는 고장액 식염수에 의한 기도수축 반응에 뚜렷한 예방효과를 보였다. Furosemide와 DSCG로 전처치한 군(n=6)에서 이들의 기도수축 방어율은 각각 100.6±6.6%, 91.1±17.2%였으며 furosemide와 heparin으로 전처치한 군(n=7)에서는 각각 58.7±29.2%, 59.0±51.1%로서 각 군에서 이들 약제간의 방어율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Furosemide(40㎎), DSCG(40㎎) 및 heparin(1000μ/㎏)의 흡입 전처치는 고장액 식염수에 의한 기도수축 반응에 뚜렷한 예방효과를 보였으며, 적어도 이 용량에서 기도수축 예방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Hypertonic saline (4.5% NaCl) inhalation is known to induce broncho-constriction by affecting mast cell, epithelial cell and vagal afferent pathway in some asthmatics. Disodium cromoglycate (DSCG) is known to have a preventive effect on allergic asthma and exercise induced asthma, and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furosemide and heparin had similar e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furosemide, DSCG and heparin on hypertonic saline provocation test in asthmatics. Methods: Thirteen asthmatics with a positive response to hypertonic saline challenge were enrolled. Hypertonic saline and test drugs were generated by ultrasonic nebulizer. After taking baseline 4.5% NaCl challenge, subjects were rechallenged with 4.5% NaCl after inhalation of furosemide 40㎎, DSCG 40㎎ or heparin 1,000μ/㎏. Results: 1.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C_20-methacholine and PTM-4.5% NaCl(r=0.5575, p = 0.024). 2. Furosemide, DSCG and heparin had no direct bronchodilating effects. 3. Premedication of furosemide and DSCG(n=6) showed significant protective effects on 4.5% NaCl induced broncho-constriction. The average protection rate were 100.6±6.6% and 91.1±17.2%, respectively. 4. Premedication of furosemide and heparin(n=7) showed significant protective effects on 4.5% NaCl induced broncho-constriction. The average protection rate were 58.7±29.2% and 59.0±51.1%. respectively. Conclusions: Furosemide(40㎎), DSCG(40㎎) and heparin(1.000μ/㎏) had significant protective effects on hypertonic saline induced broncho-constriction in asthmatic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otency of protection rate.

      • KCI등재

        지역별 국산밀 재배 현황 및 원맥 특성 평가. I. 국산밀 재배 농가의지역별 재배 현황 조사

        강천,김경훈,서용원,우선희,허무룡,추병길,현종내,김기종,박철수 한국작물학회 2014 한국작물학회지 Vol.59 No.1

        The cultivation situation of Korean wheat of175 farmers in nationwide for two years, 2010/2011 and2011/2012, was analyzed to obtain basic data for extensioncultivated area and enhancing the self-sufficiency ratio ofKorean wheat. Compared to the mean temperature andprecipitation in the normal year, the mean temperature waslower before the heading stage and higher amount ofprecipitation after the heading stage in 2010/2011 andhigher the mean temperature and lower amount ofprecipitation after the heading stage in 2011/2012. Averagecultivation career and area were 7.7years and 2.4~3.3ha,Keumkang cv. was mainly cultivated for two years andJokyung and Baekjoong cvs. were increased cultivationareas in southern part of Korea, Gyeongsangnam-do,Jeolllanambuk-do and Kwangju metropolitan city, includingin 2011/2012. Most farmers (144) sown wheat seeds fromlate October to the beginning November with broadcastingmethod and the other famers were sown using the drillmethod. Average amount for basal fertilizer was 29.7 kg/10awith complex fertilizer mixed for wheat and barleycultivation, which was higher amount compared torecommended rate of fertilizer amount by rural developmentadministration. Top dressing using nitrogen fertilizer wasapplied from in the late February to the beginning March. Heading date was the beginning May in 2011 and the lateApril in 2012, which the mean temperature fromregeneration stage to tillering stage in 2011 was higherthan that of 2012. Most farmers harvested wheat inmid-June and Pre-harvest sprouting and Fusarium headblight were occurred in 2011 due to the high amountprecipitation during grain filling period

      • KCI등재

        종실과 밀가루 특성이 국수 면대 색깔에 미치는 영향과 철 함량 간이 검정

        강천,김경훈,최인덕,신상현,손재한,정영근,이춘기,박광근,박철수 韓國作物學會 2014 한국작물학회지 Vol.59 No.1

        본 연구는 국내 밀 품종의 국수 색깔 및 이와 관련된 종실 및 밀가루 특성 평가를 통하여 국수 면대 색깔 향상을 위해 선발에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특히 철함량이 국수면대 밝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철 고함유 계통 선발을 위한 간이검정법의 적용을 위해 수행하였다. 국내 밀 품종의 밀가루 밝기는 회분(r =-0.634, P<0.01), 단백질 함량(r = -0.635, P<0.01)및 총 폴리페놀함량(r = -0.493, P<0.05)과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면대 색깔은 밀가루 명도(r = 0.684, P<0.001)와 정의 상관을 보였고, 종실특성에서 리터중, 천립중, PPO 활성 및 총 폴리페놀 함량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또한 밀가루 특성에서 회분, 단백질 함량과 총 폴리페놀함량은 면대 밝기와 부의 상관을 보였고, 연차간 및 품종간 변이에 영향을 받는것으로 나타났다. 철은 밀가루 색 및 국수 면대 밝기와 부의상관을 나타냈고, 간이검정법으로 Potassium hexacyanoferrate(II) trihydrate(PHT) 처리를 한 결과 푸른색으로 염색되었다. 종실을 PHT로 염색하여 측정한 색도와 종실의 철함량은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종실을 분쇄한 통밀가루에서는 PHT로 염색된 통밀가루의 적색도(r = -0.665, P<0.001)와 황색도(r = -0.658, P<0.001)와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PHT로 염색된 밀가루의 밝기는 종실의 철함량(r = -0.640, P<0.01)과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haracterize the color of noodle sheet made from Korean wheat cultivars, which were then evaluated on grain and flour properties, in order to enhance the breeding-line selection for noodle wheat. In particular, a rapid method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ron (Fe) contents on the lightness of noodle sheet for the selection of breeding-lines with high Fe contents. Wheat flour lightness of Korean wheat cultivar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sh (r = -0.634, P<0.01), protein (r = -0.635, P<0.01) and total polyphenols (r = -0.493, P<0.05). The noodle sheet color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ightness, but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est weight, 1000 kernels weight, PPO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Also, upon the wheat flour properties, the ash, protein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lightness of noodle sheet, and this relation varied depending on the year and cultivars. The Fe content had a negative relation with the color of wheat flour and the lightness of noodle sheet, and the potassium hexacyanoferrate(II) trihydrate (PHT) test resulted in blue colo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Fe contents and the color of grains with PHT treatment, but after grounding the whole grains,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e contents and redness (r = -0.665, P<0.001) and yellowness (r = -0.658, P<0.001) of whole wheat flour with PHT treatment. On the other hand, the lightness of wheat flour with PHT treatment showed a negative relation with Fe content.

      • KCI등재

        지역별 국산밀 재배 현황 및 원맥 특성 평가 1 : 국산밀 재배 농가의 지역별 재배 현황 조사

        강천,김경훈,서용원,우선희,허무룡,추병길,현종내,김기종,박철수 韓國作物學會 2014 한국작물학회지 Vol.59 No.1

        국산밀을 재배하는 전국 175농가를 대상으로 2년 동안 재배 현황에 대한 자료를 수집· 분석한 결과, 평균 재배 경력과 재배면적은 7.7년과 2.4~3.3 ha였으며, 재배 품종은 금강밀이 주로 재배되었고 조경밀과 백중밀이 남부지역에서 재배 면적이 늘어나고 있다. 파종은 대부분 농가에서 10월 하순에서 11월 상순에 휴립광산파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비는 2종 복합비료를 이용하여 평균 29.7 kg/10a이상 기비로 시용하였으며, 추비는 2월 하순~3월 상순에 질소비료를 1회 시용하는 농가가 주를 이루었는데, 농가 현장에서 표준시비량에 비해 과량의 비료가 시용되고 있기 때문에 적정 시비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재배 밀의 출수는 기상 영향으로 2011년은 5월 상순, 2012년은 4월 하순에 이루어졌으며, 밀 수확은 대부분 농가에서 6월 중순에 이루진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 면적 확대와 밀 재배 농가 소득 향상을 위하여, 수발아 및 붉은곰팡이병 저항성 증진과 기상이변에 대응할 수 있는 재해저항성 증진 품종 개발이 이루어져야하며, 국산밀 품질 향상을 위한 보급종 생산 및 확대가 필요하며, 지역별 밀 재배 농가의 규모화에 대한 지원과 재배 관리 체계 확립과 현장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The cultivation situation of Korean wheat of 175 farmers in nationwide for two years, 2010/2011 and 2011/2012, was analyzed to obtain basic data for extension cultivated area and enhancing the self-sufficiency ratio of Korean wheat. Compared to the mea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the normal year, the mean temperature was lower before the heading stage and higher amount of precipitation after the heading stage in 2010/2011 and higher the mean temperature and lower amount of precipitation after the heading stage in 2011/2012. Average cultivation career and area were 7.7years and 2.4~3.3ha, Keumkang cv. was mainly cultivated for two years and Jokyung and Baekjoong cvs. were increased cultivation areas in southern part of Korea, Gyeongsangnam-do, Jeolllanambuk-do and Kwangju metropolitan city, including in 2011/2012. Most farmers (144) sown wheat seeds from late October to the beginning November with broadcasting method and the other famers were sown using the drill method. Average amount for basal fertilizer was 29.7 kg/10a with complex fertilizer mixed for wheat and barley cultivation, which was higher amount compared to recommended rate of fertilizer amount b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op dressing using nitrogen fertilizer was applied from in the late February to the beginning March. Heading date was the beginning May in 2011 and the late April in 2012, which the mean temperature from regeneration stage to tillering stage in 2011 was higher than that of 2012. Most farmers harvested wheat in mid-June and Pre-harvest sprouting and Fusarium head blight were occurred in 2011 due to the high amount precipitation during grain filling period.

      • KCI등재

        지적재조사를 위한 지적기준점 일원화 구축 방안

        강천중(Kang, Cheon Joong),박종오(Park, Jong Oh),홍성언(Hong, Sung Eon) 한국지적학회 2011 한국지적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에서는 충북지역을 대상으로 지적재조사측량에 있어 가장 중요한 지적기준점 일원화 구축 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들을 분석해 보고 이에 대한 구축방안을 고찰하여 봄으로써 지적재조사사업 추진 시 전국 통일망을 구축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충북지역의 중부원점 지역과 동부원점 지역을 GPS관측 실험지역으로 선정하고 지적기준점에 대하여 관측을 실시한 결과 기존 성과와의 차이는 중부원점지역의 경우 X좌표의 RMSE는 ±0.2972m, Y좌표의 RMSE는 ±0.2699m로 나타났고, 동부원점지역은 X좌표의 RMSE는 ±0.4329m, Y좌표의 RMSE는 ±0.5399m로 나타났다. 중부원점지역과 동부원점지역 모두 성과는 비교적 양호하지는 않았으며, 특히 동부원점지역이 더 큰 오차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도해지역에서의 세계좌표 전환의 한계성과 전국적인 통일망 구축시 문제점으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고 본다. 다만, 관측 전 예상했던 오차 수준 보다 전체적으로 m단위의 큰 오차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이는 현행 도해지역에서 현형에 의한 조정방법으로 충분히 소거될 수 있는 범위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세계좌표 전환과 전국적인 통일망 구축은 어렵다 해도 지적재조사를 대비한 국지적인(지역별) 지적기준점망 구축의 일원화는 물론 현장 적용 가능성은 있다고 판단된다. Our study aimed at analyzing problems in unifying cadastral control poin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cadastral re-surveying of Chung-Buk, and suggesting the solution of the problems, so providing basic data in unifying cadastral control point of South Korea. The results of our study are as follows. By observing cadastral control point after setting the central datum area and eastern datum area of Chung-Buk as GPS observed target areas, there are differences with the existing results in RMSE ±0.2972m of X-coordinate and RMSE ±0.2699m of Y-coordinate at the central datum area, and in RMSE ±0.4329m of X-coordinate and RMSE ±0.5399m of Y-coordinate at the eastern datum area. All results are not good, and especially the results at the eastern datum area show greater error. This shows the limit of converting global coordinate system at graphical map based area, and there can be problems in building a nation-wide standard network. Nevertheless, the scale of errors is below 1 meter and small, and this means that the error can be resolved by the current adjusting methods at the current graphical map based area. Therefore, the regional standardization of cadastral control point network for cadastral re-survey is feasible although converting global coordinate system and building a nation-wide standard network are difficult.

      • KCI등재후보

        국내 밀 품종 및 재배 환경이 Arabinoxylan 함량 변이에 미치는 영향

        강천,김경훈,신상현,손재한,현종내,김경호,박철수 한국육종학회 2013 한국육종학회지 Vol.45 No.2

        밀의 대표적인 식이성 섬유소인 아라비노자일란에 대한 국내 재배 환경에서 국내 밀 품종의 아라비노자일란 함량 변이를 조사한 결과 품종에 따른 함량 변이도 있지만 년차간, 재배조건 및 재배지역에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작 조건에서 재배된 밀 품종의 아라비노자일란 함량이 답리작 조건에서 재배된 품종 보다 높았으며, 익산 지역에서 재배된 품종이 진주에서 재배된 밀 품종 보다 아라비노자일란 함량이 낮았다. 외국 계통인 CIMMYT 계통과 비교한 결과 국내 밀 품종은 아라비노자일란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실의 아라비노자일란 함량은 밀가루의 아라비노자일란 함량과 정의 상관을 나타내어 아라비노자일란 함량에 따른 계통 선발에 있어서 종실 함량으로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제빵적성이 양호한 국내 밀 품종인 금강밀과 조경밀은 다른 품종에 비하여 아라비노자일란 함량이 낮았으며, 은파밀, 진품밀, 서둔밀과 신미찰 1호는 다른 품종에 비하여 아라비노자일란 함량이 높았다. 아리비노자일란 함량은 제빵 적성에 적합한 단백질 함량, 반죽 최고 높이 및 빵 부피와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어 국내에서 빵용 밀 육성을 위해서는 아라비노자일란 함량이 낮은 계통으로 육성을 해야 하는데, 이러한 결과는 국내 밀 품종의 등숙 과정과 품종의 글루텐닌 조성 등의 영향으로 보여진다. 최근 들어 밀의 영양성 증진을 위하여 통밀을 이용한 가공제품 개발에 대한 연구가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아라비노자일란 함량 관련 표지인자 개발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 밀 품종 역시 아라비노자일란 함량이 환경이나 재배 조건에 영향을 받지만 유전적인 특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제빵 적성이 양호하면서 식이성 섬유소인 아라비노자일란 함량이 높은 품종 개발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Arabinoxylans (AX) are hydrophilic nonstarch polysaccharides found in wheat grain that affects end-use qualities, including bread-making qualit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1) investigate the effects of wheat cultivar, growing conditions and locations on AX content; (2) evaluate AX content on the comparison of the ten Korean and CIMMYT wheat cultivars; and (3) deter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AX content and bread-baking quality to improve nutrition of baking quality. Water-extractable arabinoxylan (WE-AX) contents, total arabinoxylan (TO-AX) contents, and the percentage of WE-AX contents over TO-AX contents (WE-AX/TO-AX) were analyzed. Twenty-six Korean winter wheat cultivars were cultivated in two locations for three consecutive yea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WE-AX, TO-AX, and WE-AX/TO-AX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genotypes, year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year and genotype. Keumkang showed lower WE-AX content (3.25 mg/g) than other Korean wheat cultivars. Eunpa, Jinpoom, Seodun, and Shinmichal 1 exhibited the higher TO-AX content (>18.65 mg/g) than other cultivars and Jokyoung and Keumkang (<12.71 mg/g) showed the lower TO-AX content. WE-AX/ TO-AX of wheat flour ranged from 25.48% (Keumkang) to 51.20% (Anbaek). Wheat cultivars grown in upland field showed lower WE-AX and TO-AX contents than those of paddy field. Wheat cultivars grown in Iksan had the lower WE-AX and TO-AX content, and WE-AX/TO-AX than Jinju. Korean wheat cultivars had similar levels of WE-AX contents in comparison with CIMMYT wheat lines whereas higher levels of TO-AX content. WE-AX, TO-AX and WE-AX/TO-AX of wheat flour were a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ose of wholemeal of 41 Korean wheat cultivars and advanced lines. AX content, protein content,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and bread-baking qualities of Korean wheat cultivars were analyzed. AX cont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tein content, bread volume, and dough maximum he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