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국어 1학년의 연필 잡는 법 연구

        오판진(Oh, Pan-jin),유상언(Yoo, Sang-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o hold a pencil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Korean and to find ways to help students write correctly. Methods A case study method was used among the qualitative studies, and interviews with Yoo Sang-eon for a single case of how to hold a pencil, Hangul files related to his claims, YouTube materials, student handwriting materials, and testimonials were used in this study. Textbooks and teacher s guides were analyzed in a multi-layered manner, along with texts and letters. Res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position of the finger guiding in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e first grade textbook. In other words, if you look at the position of your fingers when writing, holding a pencil while holding your thumb and index finger in a circle is not the optimal way. Also, it is not appropriate to place your elbows on the desk when writing, so it is a guideline that needs to be corrected. On the other hand, Yoo Sang-eon s method of holding a pencil is a better way to help students write correctly. Here s how to hold a pencil correctly, as he suggests. First, put the tip of the thumb and middle finger together to make a round shape, and then place the pencil on the nail area of the middle finger and the area next to the bone where the index finger begins. Second, lift your thumb upwards, bend it at a right angle, and press the pencil gently from above. Third, bend the forefinger close to a right angle and put it lightly between the thumb and middle finger without straining. Fourth, write in such a way that the wrist or arm where you are writing extends slightly over the edge of the desk. Conclusions If you write according to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finger holding the pencil as suggested by Yoo Sang-eon, the force of the finger applied to the pencil is maintained evenly, so that you can write more correctly.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국어 1학년의 연필 잡는 법을 분석하고, 학생들이 바른 글씨를 쓰도록 돕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가운데 사례 연구라는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고, 유상언의 연필 잡는 법이라는 단일 사례를 대상으로 그와의 인터뷰 자료와 그가 주장하는 내용과 관련한 한글 파일, 유튜브 자료, 학생들의 글씨 자료, 소감문이나 편지글 등과 함께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를 다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 1학년 교과서에서 안내하고 있는 손가락의 위치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글씨를 쓸 때 손가락의 위치를 보면, 엄지와 검지를 둥그렇게 모으면서 연필을 잡는 방법은 최적의 방법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리고 글씨를 쓸 때 팔꿈치를 책상 위에 올리도록 한 것도 적절하지 못해서 수정해야 할 지침이다. 이와 달리 유상언이 제안하는 연필을 바르게 잡는 방법은 학생들이 글씨를 바르게 쓰는 데 도움을 주는 더 나은 방법이다. 그가 제안하는 연필을 바르게 잡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엄지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 끝을 맞잡아 둥글게 만든 후 가운뎃손가락의 손톱 부위와 집게손가락이 시작되는 뼈 옆 부위에 연필을 올린다. 둘째, 엄지손가락을 위로 들어서 직각으로 꺾은 후 연필을 위에서 지그시 눌러 준다. 셋째, 집게손가락도 직각 가깝게 꺾어서 엄지와 가운뎃손가락의 사이에 힘주지 않고 살짝 붙여만 준다. 넷째, 글씨 쓰는 손목이나 팔이 책상 모서리에 약간 걸치는 정도로 해서 글씨를 쓴다. 결론 유상언이 제안하는 연필 잡는 손가락의 모양과 위치에 따라 글씨를 쓰면, 연필에 가해지는 손가락의 힘이 균등하게 유지되어 편안한 자세로 글씨를 더 바르고 쉽게 쓸 수 있다.

      • KCI등재후보

        2003년 국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진료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이진수,김은실,정문현,백제중,정선화,안주희,최영화,이선희,고철우,김성범,김민자,박승철,기현균,송재훈,최상호,김양수,이상오,조용균,박영훈,정숙인,김연숙,이흥범,손창희,장성희,정희진,김우주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목적 : 2002년 말 중국에서 SARS가 발생한 이후 국내에서도 2003년 10월까지 총 3명의 추정환자, 17명의 의심환자가 보고되었다. 향후 추가적인 SARS의 유행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그간의 SARS 환자 진료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준비사항, 진료 현황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더 나은 대비가 될 수 있도록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SARS로 의심되는 환자를 진료 경험이 있는 병원의료진을 대상으로 2003년 10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SARS 환자 진료 시의 실질적인 조치, 진료 현황, 병실, 응급실 및 외래에서의 격리 시설과 준비사항, 보건당국의 관리와 지원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였다. 결과 : 대상이 되는 22개 병원 중 17개(17/22, 77.2%) 병원이 설문에 응하였다. SARS 환자를 위한 격리실은 응급실, 외래, 일반병실 및 중환자실에서 각각 9개(9/17, 52.9%), 5개(5/17, 29.4%), 15개(15/16, 93.7%), 4개(4/16, 25%) 병원에서 음압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일인실 혹은 다인실이 사용되었고, 1개(1/16, 6.3%) 병원에서만 일반병실에서 음압격리실이 운영되었다. 입원환자의 진찰 시 개인보호구의 착용은 거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이루어졌다. 보건당국에서 SARS지정병원의 시설 등을 사전에 확인한 곳은 1곳(1/12, 8.3%)이였고, 14개 병원(14/15, 93.3%)에서는 보건당국에 의뢰한 검사결과를 통하 받지 못하였다. 결론 : 의료기관에서 SARS 환자용 격리실뿐만 아니라 기존의 격리실 설비 등이 미흡하였으며, 특히 중환자실 및 외래의 준비가 더욱 부족하였다. 보건당국의 의료기관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이 부족하였고, 병원과의 원활한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SARS 만이 아닌 격리를 필요로 하는 질환의 적절한 진료를 위해 향후 병원 시설의 정비와 정부차원에서의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Background : There was an worldwide outbreak of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originated from China in late 2002. During that period three cases of suspected SARS and 17 cases of probable SARS were reported in Korea. With the concerns about the reemergence of SARS-coV transmission, it is important to be prepared for any possibility. So,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is the past measures in managing SARS and propose the amendatory plans to improve the preparedness. Materials & Methods :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clinicians with any experience in managing the probable or suspected SARS cases in Oct. 2003. 17 out of 22 hospita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contents in the questionnaire were practical activities, personal equipments, response plans, isolation facilitie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and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sults : The dedicated isolation room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were prepared in 9 (9/17, 52.9%), 5 (5/17, 29.4%), 15 (15/16, 93.7%), and 4 (4/16, 25.0%) hospitals, respectively. Except for one hospital that newly made negative pressure room for SARS, single or multi-bed rooms without airborne infection control were used in all the other hospitals. The personal precaution principles were kept quite well in general wards. Before the designation of SARS hospital by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prior evalution to see if the hospital was suitable for managing SARS was conducted in only 1 (1/12, 8.3%) hospital. The results of laboratory diagnosis were reported back in 1 (1/15, 6.6%) hospital. Conclusions : The isolation facilities which can control airborne infection were almost deficient not only for SARS but also for other respiratory transmissible diseases. For the infection control of transmissible diseases including SARS, more investment is needed on medical facilities and comprehensive support from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quired.

      • KCI등재

        석탄회를 이용한 석탄광산 폐기물의 안정화 효율성 평가

        오세진(Se-Jin Oh),김성철(Sung-Chul Kim),고주인(Ju-In Ko),이진수(Jin-Soo Lee),양재의(Jae E. Yang) 한국토양비료학회 2011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4 No.6

        본 연구는 다량의 중금속을 함유하는 폐석탄 광산에 적치된 폐석으로부터 발생하는 침출수의 안정화를 위해 석탄회를 안정화제로서의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석탄폐석에 석탄회를 적용하여 컬럼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석탄회의 pH는 비산재와 바닥재가 각각 11.1, 9.7의 강알칼리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강산성 조건의 폐석 (pH 3.5)를 교정하였으며 유기물을 비롯하여 식물생장에 필요한 영양소인 인산, 칼슘 등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나 폐석과 혼합할 경우 비옥도가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폐석만을 충진한 컬럼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pH는 3.5~4.0의 수준을 시험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석탄회의 처리량에 따라 40% (pH 5.0~6.0) 〉 20% (pH 4.5)로 나타나고, 동일 처리량 (40%)의 처리방법에 따른 효율성은 완전혼합 (pH& & 5.0~6.0) 방법이 층위처리 (pH 4.0~4.5)에 비해 pH 상승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침출수의 Ca과 Mg의 함량은 4 pore volume까지 빠르게 용탈되다 그 이후부터 안정화 되었으며 석탄회에서 용탈된 Ca과 Mg의 영향으로 폐석에 함유되었던 Cu, Pb, As, 및 Al 등이 탄산이온 (CO₃<SUP>2-</SUP>) 또는 수산화이온 (OH-)과 불용성 화합물을 형성하여 안정화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4) 철의 용존함유량에 대한 분석결과 석탄회 처리구의 용존량이 석탄회를 40% 층위처리한 처리구를 제외하고 대조구에 비해 약 8-74%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5) 석탄회를 이용한 폐석의 중화 및 철의 용존량 감소 효율성을 평가한 결과 폐석의 중화 효율성은 석탄회를 40% 완전혼합한 경우 가장 높았으며 철의 용존량 감소 효율성은 석탄회를 20% 완전혼합한 경우가 가장 좋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석탄회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폐석을 처리할 경우 약 20-40%의 석탄회를 처리해야 높은 효율성을 얻을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coal combustion ash (CCA) was evaluated for its stabilization effect on acidic mine waste with column experiment. Total of six treatments were installed depending on mixing ratio between coal wastes and CCA (0, 20, 40%) and mixing method (completely mixing and layered). Artificial acidic rain (pH 5.6) was used for feeding solution with flow rate of 0.05 mL min<SUP>-1</SUP>. Result showed that higher pH of leachate was observed as more CCA was mixed. The highest pH in leachate was measured when 40% of CCA was mixed with coal waste (pH of 5.8). Also, complete mixing with CCA and coal waste was more effective to increase the pH of leachate than layered treatment. Regarding the reduction of soluble Fe amount, the highest efficiency (78%) was observed when 20% of coal ash was completely mixed with mine waste. Based on those result, optimum mixing ratio of coal ash with mine waste can be ranged 20-40% depending on environmental circumstances in the field.

      • KCI등재

        제주도 지하수 질산염 농도의 시·공간적 변화 특성: 장기(1993-2015) 모니터링 자료의 평가

        김호림(Ho-Rim Kim),오준섭(Junseop Oh),도현권(Hyun-Kwon Do),이경진(Kyung-Jin Lee),현익현(Ik-Hyun Hyun),오상실(Sang-Sil Oh),감상규(Sang-Kyu Kam),윤성택(Seong-Taek Yu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8 자원환경지질 Vol.51 No.1

        1993년부터 2015년까지 관측된 제주도 지하수 장기모니터링 관측정(N = 4,835)에서 수집된 지하수 수질자료(N = 21,568)를 기반으로 질산성질소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을 평가하였다. 제주도 지하수의 질산성질소 농도의 중앙값은 2.5 mg/L로서 다른 국가나 대륙의 조사 결과에 비해 다소 높거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하수 용도, 행정구역 및 고도 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산간 지역에 비해 저지대 해안가에 위치한 농업 및 주거지역에서 농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Mann-Kendall 및 Sen’s slope 분석을 활용한 질산성질소 농도의 추세 분석 결과, 하류 저지 대에 비해 중산간지역에서의 질산성질소 농도 증가 경향이 뚜렷하였다. 제주도 내 토지 피복의 시계열 변화 특성과 결부 지어 보면, 중산간지역의 오염 증가 추세는 농업지역의 확장 등 인위적 활동 증가에 기인한 결과로 판단된다. 반면,기지정된 지하수자원특별관리구역에서는 전반적으로 질산성질소 농도의 감소 경향이 나타났는데, 이는 지하수 관리 측면에서 수질관리를 위한 적극적인 정책이 유효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하수의 질산성질소 오염관리를 위한 적정 방안을 제안한다. The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nitrate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of Jeju Island were evaluated by an analysis of time series groundwater quality data (N = 21,568) that were collected from reg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umber of wells = 4,835) for up to 20 years between 1993 and 2015. The median concentration of NO 3 -N is 2.5 mg/L, which is slightly higher than those reported from regional surveys in other countries. Nitrate concentrations of groundwater in wells tend to significantly vary according to different water usage (of the well),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opographic elevations: nitrate level is higher in low-lying agricultural and residential areas than those in high mountainous areas. The Mann-Kendall trend test and Sen’s slope analysis show that nitrate concentration in mid-mountainous areas tends to increase, possibly due to the expansion of agricultural areas toward highland. On the other hand, nitrate concentrations in the Specially Designated Groundwater Quality Protection Zones show the temporally decreasing trend, which implies the efficiency of groundwater management actions in Jeju. Proper measures for sustainable groundwater quality management are suggested in this study.

      • 서울의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 발생빈도(1996)

        김재홍,황동규,전재홍,김윤석,김중환,김용준,이창균,임동진,김현수,조창근,김경문,박상훈,전우형,김희성,이호정,차명수,김갑형,김형석,김석우,황지환,박병순,권오상,이민수,송기훈,성소영,이인섭,부태성 대한화학요법학회 1999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7 No.2

        Background : In recent years, gonorrhea has been panedemic and remains one of the most commom STDs in the world,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Objective &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a more effective therapeutic regimen and assessing the prevalence of PPNG, we have been trying to study the patients who have visited the VD Clinic of Choong-Ku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since 1980 by means of the chromogenic cephalosporin method. Results: In 1996, 139 strains of N. go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53(39.0%) were PPNG.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s that after a peak of 74.3% in 1993, the prevalence of PPNG in Seoul is gradually declining.

      • KCI우수등재

        한국인 당뇨병 및 비당뇨병 환자에서의 뇌혈관 질환 유무에 따른 PAI-1 촉진자 유전자형과 인슐린저항성에 관한 연구

        오승준,김영설,박철영,김덕윤,김성운,양인명,김진우,최영길,팽정령,정경천 대한비만학회 2000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9 No.2

        연구배경 : 혈전현상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에서는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AI-1) 이 높은 활성도를 보이는데, PAI-1 치는 당뇨병, 심근경색증, 비만 등에서 높다고 밝혀진 바 있다. 또한 당뇨병 환자들의 합병증의 주요한 병인은 죽상경화증으로 혈전현상이 특징인 질환에서 증가하는 PAI-1이 당뇨병 환자에서 높다. 목적 : 정상인에서의 PAI-1 유전자 촉진자의 유전자형의 분포 및 혈액농도를 관찰하고, 당뇨병 및 뇌혈관 질환 환자군에서의 PAI-1 유전자 촉진자 유전자형의 분포 및 혈액농도를 측정하여 정상인과 차이점을 알아본다. 당뇨병 환자군에서의 혈장 PAI-1 치와 인슐린 저항성, 전구 인슐린 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인슐린저항성과 대혈관질환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 대상으로는 정상인 76명, 제2형 당뇨병 환자 56명, 뇌혈관질환이 동반된 제2형 당뇨병 환자 48명, 뇌혈관질환 환자 51명을 선택하여, 환자의 혈액에서 인슐린, 공복시 혈당, 전구인슐린,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기타 생화학 검사 및 이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환자의 DNA를 채취하여 전사개시 -675bp를 포함하는 대립형질 특이 시발체를 사용하여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실시하여, 그 유전자형을 판독하였다. 결과 : 정상 대조군 76명 (46.4±11.1세), 2형 당뇨병 환자 56명 (58.3±12.6세), 뇌경색증 환자 51명 (63.1±13.2세) 대상으로 하였다. PAI-1 촉진자 유전자형의 (4G/4G, 4G/5G, 5G/5G)빈도는 정상 대조군이 각각 23.7%, 75.0%, 1.3%, 뇌경색 환자군이 19.6%, 66.7%, 13.7%, 뇌경색이 동반된 당뇨병 환자군이 33.3%, 58.3%, 8.3% 였다. (X2=12.6, p=0.05). 이러한 사실은 서구인에 비해 4G/4G, 5G/5G 동형 유전자형이 낮은 결과였다. 각 군별 혈장 PAI-1 농도는 정상 대조군 13.4, 1.8 ~ 65.2 ng/mL (중앙값 , 범위 ) 2형 당뇨병 환자군 14.4, 2.9 ~ 47.8 ng/mL, 뇌경색 환자군 21.9, 6.2 ~ 154.7 ng/mL , 뇌경색이 동반된 2형 당뇨병 환자군 28.8, 3.2 ~ 139.3 ng/mL 로 차이를 보였다 (p=0.000). 전체 대상에서 PAI-1 촉진자 부위의 유전자형에 따른 PAI-1 활성도와 항원 농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PAI-1 활성도는 혈중 중성지방, 전구인슐린, 체질량지수와 독립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00, p=0.000 and p=0.005). 결론 : 결론적으로 PAI-1 촉진자 부위의 유전자형은 뇌경색증의 지표는 아니며, PAI-1 활성도를 결정짓는 인자는 유전적 요인보다는 혈중 중성지방, 전구 인슐린, 체질량지수와 같은 대사적 요인으로 생각된다.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AI-1) is known be related to insulin resistance and several components of the large vascular disease. Notably, the high frequencies of diseases such as coronary heart disease or stroke are related to type 2 diabetes complications. We studied to find out whether the PAI-1 promother genotype could be a marker for cerebral infarction in type 2 patients. Subject patients were; 56 type 2 diabetics (age 58.3±12.6), 51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age 63.1±13.2), 48 type 2 diabetics with cerebral infarction (age 64.8±9.3) , and 76 healthy control (age 46.4±11.1). The 4G/5G genotype of PAI-1 promoter was evalua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endonuclease digestion. PAI-1 promoter genotype frequency (4G/4G, 4G/5G, 5G/5G) was 23.7%, 75.0% and 1.3% in healthy control, 17.9%, 67.9% and 14.3% in type 2 diabetes patients, 19.6%, 66.7% and 13.7% in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33.3%, 58.3% and 8.3% in type 2 diabetics with cerebral infarction (X^2=12.6, p=0.05). This finding is lower in frequency of 5G/5G homozygote than that reported in Caucasians. The plasma PAI-1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he disease were 13.4, 1.8 ~ 65.2 ng/mL (median, range) for healthy control, 14.4, 2.9 ~ 47.8 ng/mL for type 2 diabetes, 21.9 6.2 ~ 154.7 ng/mL for cerebral infarction , and 28.8, 3.2 ~ 139.3 ng/mL, for cerebral infarction with type 2 diabetes (p=0.000). In the all subjects, PAI-1 concentration and activity of PAI-1 promoter genotyp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PAI-1 activity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serum triglyceride level, plasma proinsulin and BMI (p=0.000, p=0.000 and p=0.005 respectively). We concluded that PAI-1 genotype is not a marker for the cerebral infarction ; however, the genotype is related to PAI-1 concentration , and therefore it seems to be that metabolic factors such as triglyceride level or plasma proinsulin or BMI are more in relations with determining the PAI-1 concentration than the genotype.

      • 能力別 小集團 協力學習을 通한 數學科 學力伸張에 관한 硏究

        吳厚鎭,李相球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8 과학교육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능력별 이동수업이 실시되고 있음에도 학급내의 학생들 사이에 수학과 학력에 많은 우열의 차이가 있어 학습에 애로가 발생하고 있어 이를 조금이나마 해소하고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를 유도하기 위하여 능력별로 소집단 협력학습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수학과 학력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계획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하여 기존의 학습방법과 소집단 협력학습을 각각 실시하여 두 학급간에 학력의 차이를 비교하여 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능력별 소집단 협력학습을 실시한 학급은 실시하지 않은 학급보다 수학과의 학력이 많이 향상되어 능력별 소집단협력학습이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둘째, 능력별 소집단 협력학습은 특히 상위권 학생들에게 효과적이며 중위권 학생이나 하위권 학생들도 장기적인 지도를 한다면 의미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셋째, 능력별 소집단협력학습은 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인식, 흥미, 태도에 영향을 주지는 못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ooperative learning of small ability level groups influences the enhancement of their scholast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The students which participate in cooperative learning in small ability level groups demonstrate academic improvement over those that participate in non-cooperative learning groups. 2. In particular, this method is more effective for high-level classes, than for middle or low-level students. 3. The learners' perception, interest and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has not changed through their placement in small ability groups involved in cooperative activities.

      • 변형된 미끄럼 탐색 기법을 이용한 고속 프랙탈 영상압축

        오우진,권상근 金烏工科大學校 1998 論文集 Vol.19 No.-

        Fractal image coding applies the self-similarity of image. But it takes long time to search for the self-similarity block. To shorten the searching time. we proposed the modified sliding search algorithm which employs the classification of variance of range and domain blocks. For some blocks which have small variance, only mean value of range block is transmitted without searching. Compared with sliding search algorithm, our algorithm shows 15% lower in bit rate and 21% gain in searching time, but PSNR decreases only 0.05 dB.

      • SCOPUSKCI등재

        절골술을 이용한 안면교정

        오석희,한기환,강진성 大韓成形外科學會 1989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16 No.5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beauty of the face is the harmony of the facial skeleton and soft tissue. The postoperative result is not always satisfying after only classic soft tissue surgery. The reason for dissatisfaction is disharmony of the facial skeleton. Recently, the development of maxillofacial surgical techniques enable disharmony of the facial skeleton to be successfully corrected. The authors have had experience with 33 cases of congenital and acquired facial deformities, from March of 1986 to February of 1989, and have followed them from 6 months to 2 years. We used an intraoral approach in most cases and got good results. There were four wound disruptions which were treated conservatively and resolved without sequelae.

      • 재구성 가능한 구조를 위한 HW/SW 분할 및 스케쥴링 알고리즘

        오세준,김남섭,김진상,조원경 경희-다반 ASIC 설계교육센터 2002 경희-다반 ASIC센터 논문집 Vol.3 No.-

        동적 재구성 가능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알고리즘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 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시스템의 수행 성능은 기본적으로 HW/SW 분할 문제에 의존한다. 이 논문은 동적 재구성 가능한 하드웨어를 위한 새로운 HW/SW 분할 알고리즘을 제안했다. 알고리즘은 초기해 얻기 후 그 해를 다시 최적화하는 단계적인 접근방법이다. 알고리즘은 분할 과정에서 FPGA를 재구성하는 과정을 고려했고 이를 최적화하기 위해서 부분적인 재구성(partial reconfiguration) 방법과 prefetching 재구성 방법을 사용했다. 이 휴리스틱(heuristic) 알고리즘을 통하여 JPEG 부호화기가 다른 접근 방법에 비하여 최적의 수행 성능을 얻음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