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경축제의 교재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성선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Today’s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emphasizes the affective aspect for cultivating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inducing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rather tha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bout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problems. Accordingly, getting out of conven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we need learning strategies that induce active learning through the personalization of environment by selecting integrated and localized teaching materials and promoting learning based on field experiences.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which use highly indigenous natural environments,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s intensively and provide compressed experiences, and by doing so, they can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 Taking note of thi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survey the current state of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and examine the possibility of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as teaching materials for attaining the goa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purpose, we classified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throughout the country,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the festivals, and designed a program for 3rd graders using a number of environmental festivals suitable in terms of time and contents selected among local festivals in Cheongwon-gun and examined the effect of the program. When local festivals in Korea were surveyed focused on festival name, theme(environmental resource), and the contents of major events, there were 256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and according to theme, the festivals were mostly related to weather, plants,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emphasizing the clean image of the locality, or local special products. Most of the festivals were held from March to May, the flowering season, or in October, the peak time for enjoying autumn leaves. Gangwon-do and Chungcheong-do had the largest number of environmental festivals, and every province except Seoul and other metropolitan cities had festivals every month. When representative environmental festivals Muju Firefly Festival and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were surveyed and investigated, they were composed of experiential and educational programs that provide various activities of ecological observation and inquiry based on their local natural environments and environment-friendly images. We designed a program using the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in Cheongwon-gun, and analyz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such as learners’ understanding of local environment, their interest and participation, and their change in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and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activity of investigating and experiencing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was effective in students’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local natural environment. Second, field experiences through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induced higher interest and active participation in the learners. Thus, this program can stimulate learners’ activeness and spontaneity. In addition, positive aspects were observed in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itself. This suggests that the program inducing learners’ activeness and spontaneity is a teaching material suitable for making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substantial. Third, learners, who had been indifferent to local environment and whose environmental sensitivity had been low, expressed their interest in and affinity for natural environment and showed an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based on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Thus, it was found that making learners take interest in the elements of natural environment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right attitude toward environment and such an effect is enhanced through activities experiencing environment directly. Accordingly, in order to practice substantial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we need to utilize local materials that induce interest and active participation in the learners through direct experiences, and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are considered meaningful teaching materials for attaining educational effects in environmental education. 근래 학교 환경교육은 환경과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습득 위주의 교육이 아니라 환경에 대한 감수성 함양과 친환경적 태도 변화를 유도하는 정의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환경교육에서 벗어나 통합적이고 지역화된 교재를 선정하고 현장체험학습을 실시하여 자기환경화 과정을 통한 능동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는 학습전략이 필요하다. 지역 환경축제는 지역의 향토성이 강한 대표적인 자연환경을 소재로 하여 지역 사회의 특징을 집약적으로 드러내며 압축적인 경험과 체험을 제공하여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지역의 환경축제의 실태를 파악해 보고 지역 환경축제를 환경교육 목표 실현을 위한 교재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국의 지역 환경축제를 유형화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한 후 그 중 청원군의 지역축제에서 시기와 내용이 적합한 환경축제를 선정하여 3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전국의 지역축제 중에서 축제명, 주제자원, 주요 행사 내용을 중심으로 파악해본 결과 지역 환경축제는 256개에 달하였으며 주제(환경)자원에 따라 기후, 식물과 관련된 축제와 지역의 청정 이미지를 살린 친환경농산물이나 지역특산물 축제가 가장 많았고, 개화시기인 3월에서 5월, 그리고 단풍이 절정기인 10월에 대부분 개최되고 있었으며 강원도와 충청도에서 환경축제가 가장 많이 개최되었고, 서울과 광역시를 제외하고는 전국에서 매월 축제가 개최되고 있었다. 그 중 전형적인 환경축제인 무주 반딧불축제, 함평 나비축제와 푸른청원생명축제를 답사하고 조사한 결과 지역의 자연환경을 그대로 축제의 장으로 활용하여 친환경적 이미지를 살린 다양한 생태관찰과 탐구활동이 가능하고 교육적 효과를 위한 체험 활동 프로그램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실제로 청원군 지역의 환경축제를 활용한 프로그램 적용에서는 지역 환경의 이해, 학생들의 흥미와 참여도, 환경적 감수성과 친환경적 태도변화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지역 환경축제에 대해 조사하고 체험하는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지역의 자연환경에 대해 이해하고 인식하는 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지역 환경축제를 통한 현장체험학습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높은 흥미와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이는 학습자의 능동성과 자발성을 이끄는 학습이 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자체의 평가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면을 나타내며, 학습자의 능동성과 자발성을 이끄는 프로그램은 학교 환경교육을 내실화 하는 데 적합한 교재임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주변 지역의 환경에 관심이 적고 환경적 감수성이 낮은 행동을 하던 학습자들이 지역 환경축제를 활용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자연 환경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친화감을 표현하였으며 친환경적 태도를 보이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즉, 자연환경 요소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게 하는 것이 환경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끼치며 환경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활동을 통해 더욱 활발하게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내실있는 학교환경교육의 실천을 위해서는 직접 체험을 통한 학습자의 흥미와 능동적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지역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지역 환경축제의 활용은 의미있는 환경교육 교재로서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 지역과 연계한 만화테마도시에 관한 연구 : 만화도시와 만화테마축제를 중심으로

        이지수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re is not any place flashed easily when comics thought. A typical example, Angoulême France held comic festival which is world famous, and many visitors from various countries of the world leave to there for seeing comic exhibition every winter. Now, contents of comics are positioning as a special culture merging specific districts. Inside it, many factors affect multiply. It is composed exhibition for introducing and showing various comics. Also, it moves with industries merging districts. For example, it could contact comics at exhibition spaces but also restaurant, cafe, souvenir shops, etc. easily because of cooperation of storekeepers surrounding the places. It is that visitors recognize one of comic city through that comic naturally pervaded the district. Likewise, it is necessary attracting visitors as well as keeping root and flow of Korean comic progressively by building the city of comic in Korea. We should make a content that visitors want actively to visit anytime through building a district as a mecca of comic, not just reading comics. Advanced researches that related this thesis are focusing on effective side of place marketing, and there are what range over the cases about participatory methods of community and the city activation strategies utilizable festivals. Moreover, the researches which is to develop as district branded festival have reported a greater part of it. In this thesis, I am going to analyze the thematic cities through some cases of abroad and our country, Korea. Also, I would like to estimate the way for development and the future of Korea by looking into international cases as well as domestic ones about comic festivals. Furthermore, I am going to provide a basic data for prospering city of comic in Korea to fit through the several cases that I mentioned above. And I chose the case of studying on the thematic city of comic choose Tottori in Japan and Namsan in korea which representative to build city of comic nowdays. In this paper, it will analyze the characteristic policy and system of Tottori which are pointed out as a typical successful case, and then I am also going to anticipate development ways in the future and expected effects so that could apply in our country, Korea. Meanwhile, in the case of thematic festivals of comic, I chose FIBD, Angoulême Festival international de Bande Dessinee, world-famous. I am trying to examine the basis which could grow up as local festivals, and interaction and connectivity between the festival and the region. In domestic case, it be chosen BICOF, Bucheon International Comics Festival, only comic festival in Korea. So, it will hav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festivals and awareness that comic festival has in Bucheon. Also, I am going to examine the way for vitalization that is a district where is used comic contents. So, I would like to check how much roles cooperation is done in success of thematic city of comic and that kinds of festivals to communit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한국만화가 100년이 넘게 역사성과 전통을 이어나가고 있지만 ‘만화’라고 했을 때 쉽게 생각나는 지역 또는 장소가 많지 않다. 대표적인 예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만화축제를 개최하는 프랑스의 앙굴렘에서는 매년 겨울, 만화전시를 보기위해 세계 각국의 관람객이 그 곳으로 향한다. 이제는 만화라는 콘텐츠가 특정 지역과 융합하여 하나의 특별한 문화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이다. 그 안에는 여러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다양한 만화를 보여주고 소개하기 위한 전시가 이루어지며, 지역과 연계한 산업이 함께 움직인다. 예를 들면 그 주변 지역 상인의 협조를 통하여 기존 전시실 뿐 아니라 음식점, 카페, 기념품 가게 등에서도 만화를 쉽게 접할 수 있다. 만화가 그 지역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관람객들은 지역 일대를 하나의 만화도시로 인식하는 것이다. 이처럼 우리나라에도 만화의 도시가 조성되어 관람객 유치는 물론이고 한국만화의 뿌리와 흐름을 계속해서 이어나갈 필요가 있다. 만화의 메카라고 할 수 있는 지역 조성을 통하여 만화를 단순히 재미있게 보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관람객이 능동적으로 언제든 찾아올 수 있는 콘텐츠로 만들어야 한다. 관련된 선행연구는 일본 돗토리현과 우리나라의 부천시를 비교 분석하여 지역마케팅의 효과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지역주민의 참여방법 및 축제를 활용한 도시 활성화 전략에 대한 사례를 집중적으로 다룬 것 등이 있다. 또한 축제를 지역 브랜드화하여 발전시키려는 측면의 연구가 다수 발표되었다. 본고에서는 만화테마도시에 관하여 해외 유명사례와 우리나라 사례를 들어 분석하고, 국제만화축제에 관한 국내외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우리나라의 만화테마도시의 발전방안과 미래를 가늠해 보려한다. 더 나아가 여러 사례를 언급하여 우리나라에 알맞은 만화테마도시 융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만화테마도시에 관한 연구의 사례는 일본 돗토리현과 최근 우리나라에서 만화도시를 조성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남산 만화의 거리를 택했다. 대표적 성공사례로 지목되는 돗토리현의 정책적, 제도적 특성 등에 대하여 분석하여 우리나라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향후 발전 가능성과 기대효과를 예측해볼 것이다. 한편 만화테마축제의 사례로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앙굴렘국제만화축제를 선택하여 축제와 지역 간의 상호작용 및 연계성, 지역축제로 성장할 수 있었던 근거를 살펴보려고 한다. 국내 사례는 우리나라 유일의 만화축제인 부천국제만화축제를 선택하여 부천시에서 만화축제가 가지는 인지도 및 축제의 고유한 특성 등을 파악할 것이다. 또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지역을 기반으로 한 활성화 방안을 검토하고, 지역주민과 정부 및 지자체와의 협력이 만화테마도시 및 축제의 성공에 있어서 얼마만큼 큰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웰빙축제 서비스품질이 방문객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2019 제천한방바이오 박람회를 중심으로

        문정옥 세명대학교 경영행정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As extended life span brings our attention to how to live a healthy and long life, we enter the era of "well-being life" tha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our food, culture, and industry. Moreover, the tourism industry, which considers health and wellness (healing) as tourist resources, has been rapidly growing while local festivals have been playing a key role in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the regions as important tourist products. Particularly among them, well-being festivals have been emerging, reflecting our growing interest in health, and promoting local characteristics and specialties. Along with the emergence of food tourism and medical tourism, herbal medicine festivals associated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have been attracting our attention. Thus, this article explores how the service quality of well-being festivals affects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to promote the Korean Medicine Bio Fair in Jecheon 2019. By examining their correlations, it aims to raise awareness of well-being festivals' success factors, such as service environment and facilities, while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revitalization of well-being festivals. To achieve this article's goal, it uses a mixture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methods and analyze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ervice quality of well-being festivals and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during the Korean Medicine Bio Fair in Jecheon 2019, held from October 2 to 7, 2019, for seven days. The visitors of the festival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in person. Out of the 380 questionnaires, a total of 347 were collected, and from which, this article analyzed 313 valid questionnaires. In this article, the factors determining the service quality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subcategories: connectivity, convenience, food marketability, information and promotion, and festival content.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reveals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the festival visitors' satisfaction and "connectivity," "convenience," "food marketability," and "festival content." Meanwhile, in terms of "information and promotion," this factor fails to communicate with the visitors and affect their level of satisfaction. It turns out that among the subcategories of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service quality of well-being festivals, "connectivity," "convenience," "food marketability," and "information and promotion" have an impact on the visitors' revisit intention. However, unlike our expectations, "festival content" does not bring about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in terms of its level of significance. As you can see from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on Korean medicine to satisfy the visitors' expectations of the fair.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put constant effort into developing and differentiating the fair content that would prompt a broader range of people to revisit the fair. Hopefully, this article can lay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a well-being (healing) festival that satisfies its visitors' needs, which could eventually become a tourist resource in the Korean medicine and wellness sectors. 평균 수명이 길어지고 ‘건강하게 오래 사는 법’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우리는 식품, 문화, 산업으로 확대되는 이른바 ‘well-being life'시대를 살게 되었다. 더불어 건강과 힐링(치유)을 관광자원으로 하는 관광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지역의 축제는 지역의 발전과 홍보를 위한 중요한 관광 상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중에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트렌드를 반영하여 지역색과 특산물을 살린 웰빙축제가 등장하였고, 식품 관광, 의료 관광과 함께 한국의 전통 의술인 한방과 관련한 한방축제가 각광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웰빙을 테마로 한「2019 제천한방바이오박람회」의 활성화를 위해 웰빙축제의 서비스품질이 방문객의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연구를 실시하고 이들의 영향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웰빙축제와 관련된 서비스 환경, 편의시설 등 웰빙축제의 시사점을 제공하고 웰빙축제 활성화를 위한 기초 연구가 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여 웰빙축제에 대한 방문객의 축제서비스품질의 만족도, 재방문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설문조사의 결과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 조사는 2019년 10월 2일에서 2019년 10월 7일까지「2019 제천한방바이오박람회」7일간의 축제 기간에 배포하였으며「2019 제천한방바이오박람회」에 방문하는 방문객이 직접 작성하는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으로 시행하였다. 총 380부를 배포하여 347부를 수거하여 그중 유효 설문지 313부를 분석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품질 요인을 연계성, 편의성, 음식상품성, 안내·홍보성, 내용성 차원으로 세분화하였다. 분석 결과 웰빙축제 서비스품질의 ‘연계성’, ‘편의성’, ‘음식상품성’, ‘내용성’이 축제 박람회를 방문하는 방문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내·홍보성’에 대한 부분은 방문객에게 충분히 전달이 되지 못한 부분에 따른 만족을 주지 못하여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웰빙축제 서비스품질의 하위 요인 가운데 ‘연계성’, ‘편의성’, ‘음식상품성’, ‘안내·홍보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대와는 다르게 ‘내용성’의 경우 유의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축제 박람회의 다양한 욕구에 맞출 수 있는 한방과 어울리는 특성을 살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하며 박람회의 차별화된 내용성이 다양한 방문객의 재방문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끊임없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방문객의 욕구에 부합하는 웰빙(치유)축제를 개발하여 한방의료와 웰니스(wellness)관광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지역축제의 실태분석과 활성화방안 : 경남 함양군을 중심으로

        임채숙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Festivals at local level have increased with the introduction of local autonomy. Local governments tried to use festivals as a strategy for boosting local economy by commercializing festivals. Regional festivals solidify local identity based on local history and traditions. They contribute to continuing and furthering local culture, because festivals are produced by local residents with their own will and idea. Local festivals have proliferated since mayors and governors were elected directly by the people. Local governments have introduced festivals as if they do races. The proliferation has at the same time caused problems. The most critical problem would be too much spending with little return. This study is looking at realities, finding problems, and suggesting directions for the future. To achieve this purpose, it reviews theoretical discuss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Next, the study does survey local residents in relation with six festivals done for the last three years. It also analyzes cases of each festivals. Finally, the study comes up with sugges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festivals in Hamyang County should be much more customized and differentiated with their own theme, variety, unique experience opportunity. Second, festivals should be able to meet economic requirements and accessibility to the region. Third, Hamyang festivals should be able to satisfy various needs of participants. Festivals should be themselves educational and interesting in nature. Fourth, local festivals need to commercialize festivals by developing various contents of festivals. Fifth, Festivals should provide festivities and enjoyment. Six, Hamynag County needs to create an administrative unit to exclusively deal with festivals and to strengthen program evaluation. Seven, publicity should be strengthened in relation with festivals. Eight, local residents should play more active role in producing festivals. Finally, administrative support should be increased to make festivals better. (초록) 지방자치제도가 실시됨에 따라 지역축제도 증가되기 시작했다. 즉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특성개발과 지역발전을 위한 전략으로서 지역축제를 개최하기 시작하였다. 즉 축제를 관광상품화 하거나 각종 이벤트들을 기획・개발하여 활성화하고 있다. 지역축제는 지역의 역사와 전통을 바탕으로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으로서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어 연출하는 지역의 자존과 화합의 행사이기 때문에 지역문화의 계승, 발전에 크게 이바지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역축제는 1995년 민선자치단체장이 출범한 이후 급격히 늘어났다. 특히 한 개의 지역에서 여러 가지 축제를 경쟁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축제 본래의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그리하여 축제의 본질인 제의성과 유희성 보다는 유흥오락성만이 강조되기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이에 국내의 많은 연구들은 지역축제의 효율적인 수행방안에 관한 연구가 경쟁적으로 발표되기에 이른 것이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지역축제가 안고 있는 실태적 문제점을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향후 바람직한 지역축제가 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려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이론적 검토를 통해 기존의 우리나라 지역축제의 기능과 역할 및 한계와 문제점들을 재검토하고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시대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창조적 전략수단으로서 가치와 필요성을 인식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론의 바탕위에서 지난 3년간에 걸쳐 개최된 경상남도 함양군의 6개 축제를 대상으로 1차적으로는 지역주민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다음은 개별 축제별로 그 동안 지적되어온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검토함으로써 함양군의 지역문화축제가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대상에 선정한 축제는 함양군의 여섯 가지의 축제만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함양물레방아축제, 지리산천왕축제, 용추국제자연예술제, 함양산삼축제, 함양군 예총제, 함양고사리채취축제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 함양군의 축제가 지역축제로서의 가치와 지역발전의 견인차로서의 기능수행을 이해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함양군의 지역축제는 테마가 있는 다양화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고, 색다른 경험이 가능해야 하며, 나아가 차별화된 축제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둘째 함양군 축제는 앞으로 함양지역으로의 접근성과 함양군발전을 위한 경제성을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앞으로 함양군의 축제는 축제의 참여자 및 외래방문객이 원하는 각종의 수요에 부응하고 혜택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지역축제는 그 자체가 흥미롭고 교육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앞으로 함양군의 지역축제는 다양한 소재(컨텐츠)의 발굴을 통한 축제 자체의 상품화와 다양한 연계상품을 개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다섯째 앞으로 함양군의 축제는 제(祭)가 있어야 하고 신명나는 한판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즉 축제의 본질인 제의성(祭儀性)과 유희성(遊戱性)을 동시에 갖춰나가야 할 필요성이 높다. 여섯째 앞으로 지방정부 내외를 막론하고 지역축제를 전담하는 부서설치와 주체 측의 축제운영방식에 대한 분석과 개선노력이 강화되어야 한다. 일곱째 축제의 효과를 충분히 달성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대외홍보가 이루어져야한다. 따라서 함양군의 모든 축제는 축제기획과 추진 못지않게 국내외적 홍보전략도 중요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함양군의 지역축제는 지역주민들이 주체가 되어 축제를 만들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즉 주민들 스스로가 만들어 나가는 지역주민들의 축제가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아홉째 함양군의 축제가 보다 발전된 축제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지역축제에 대한 함양군 당국의 행정적 지원을 전향적으로 늘려나갈 필요가 있다.

      • 지역문화예술축제에 관한 연구

        김혜옥 檀國大學校 經營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역문화예술은 우리 문화예술발전의 모태이며 전통문화 속에 담긴 우리의 과거와 지역공동체의 현재적 삶을 유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며 존재하여 왔다. 그러나 오늘날의 일부 지역문화예술축제는 60년대 이후 불균형한 경제 개발정책으로 경제우선주의, 즉 도시화와 산업화 현상으로 인해 변질되어 문화가 경제에 종속된 채 지역문화예술은 문화예술의 중앙집중화 현상으로 소외되고 침체되어 있다. 본 논문은 그 문화예술의 올바른 보존과 활성화 방안의 검토, 그리고 문화의 지방분권화를 이루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출발했다. 연구방법으로 우선 현재 각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예술축제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각 시·도의 소식월간지, 전국의 지역문화예술축제에 대하여 기관에서 발행되는 각종 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기본 자료를 바탕으로 지역문화예술 발전에 관심과 열의가 많고 또한 지역민들의 호응도가 비교적 높으며 경력이 풍부한 것 등을 기준으로 전라북도 전주의 「전라예술제」와 경상남도 진주의 「개천예술제」를 우리 나라에서 열리고 있는 지역문화예술축제의 대표 사례로 선정하여 현재의 지역문화예술축제 실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고 또 외국의 사례, 즉 미국, 프랑스, 일본 등 그들의 문화에 대한 기본 정책과 축제 사례를 소개하여 본 논문의 연구목적에 좀 더 현실적으로 다가갈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문화예술축제가 전문적인 기획 인력의 부족으로 지역 발생과는 상관없는 이질적인 프로그램들이 나열식으로 축제를 구성하고 있는 등 오히려 전통문화를 훼손시키고 있다는 것과, 시·도의 예산삭감과 기업의 지역문화예술에 대한 투자의 소극성으로 인해 재정적인 면의 자립이 이루어지지 않아 불가피하게 운영기구를 축소 할 수 밖에 없게 되어 결국 문화예술활동을 위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는 것과 또 문화예술인, 문화예술활동, 문화시설등이 서울에 편중되어 지역문화의 자생력 부족으로 인해 중앙문화의 모방, 획일화 현상을 낳게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의 개선점으로 운영 조직 기구는 현 상태의 유지 관리 차원에 머물것이 아니라 전문인력을 조직하여 프로그램을 기획·제작하여 관객을 유치하고 운영예산의 확보대책과 자체 수입 증대에 힘써야 하며 지역 예술인들의 발표기회를 확대하는데 노력하여야 하며 국가와 지방정부는 문화의 생성을 돕고, 문화의 보존, 보급 전수를 지원하고, 좋은 문화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The local art of culture is the mother's womb of the development of our cultural art and has existed for the art which link naturally with our past which is contained in our traditional culture and the present life of the local community. However, the art festival of a local culture has been changed in quality because of the unbalanced economic policy of development since the last 1960's with the preferance of economy, that is, the phenomena of the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lienated and stagnated with the centralization of the cultural art of a region with the culture depended on the economy. This essay has been begun from the aim of study of keeping the cultural art right and making the culture the localization. For the method of study, the monthly news magazines, each city and district various kinds of data published by the authorites about the regional art festival of culture of the whole land and soon have been collected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local cultural festival of art held in each region at present. And also with the basic data collected based, there were much interest and zeal in the development of the art of a regional art, the agreement of the local inhabitants is comparatively high, with the abundant experience based, Cholla art festival in Chonju Chollapuk-do district and Kae-Ch'on art festival in Chnju Kyongsangnam-do district were chosen the represntative example of the art festivals of the local culture held in our corntry, the actual condition of the art festival of the local culture was researched, the examples of foreign countryes such as America, France, Japan and so-that is to say the basic policy and the examples of the festkval about their culture were introduced and because of that, the study aim of this thesis could come closer to the realities. As a result of study, it was found that for lack of the professional plan makes, the local festival enumeratedly consisted of the foreign programs which had nothing to do with the local culture, spoiled the traditional culture, because of the budget reduction of the city and district and the passiveness of inrestment about the cultural art of a region of the enterprises, the local culture became independent financially, the management operation couldn't but be reduced inevitably, in the long run, the art activities of culture was withered, the artists, the art activities of culture, the cultural facilities concentrated on Seoul and for lack the independent power of the local culture, the imitaion of the central culture and the phenomenon of the standardization gave rise to. The conclusion could come out not that for the improvement of these problems, the operation and system stay in the dimension of keeping and controlling the present condition but that the professional man powers had to be organized, the program be planned and produced, the audience be lured, the security of the management budget and the increase of its own in come be achieved, the performance chance of the local artists be enlarged and the nation and local government help the creature of culture, keep the culture, support the inheritance of supply and make the good circumstances of culture.

      • 축제 경영 효율화를 위한 문화자원봉사 운영 전략 연구

        모영선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한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축제는 지방자치제 출범에 따라 지역의 가치를 알리는데 발전을 거듭해왔다. 축제는 지역의 홍보와 더불어 관광객 유입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과 지역소비 활성화 등의 효과로 축제는 운영의 시대에서 축제 경영의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축제는 보조금으로 지원되는 예산의 한계와 축제 운영 조직의 한정된 인력만으로는 축제 개최가 불가능하다. 이에 대부분의 축제를 자원봉사자 운영으로 개최되는 실정으로, 축제 경영의 도입을 통해 축제 자원봉사자 운영방안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로 축제 문화자원봉사 운영 전략의 축제 경영 효율화 영향에 미치는 중요한 요소를 파악하고, 축제 경영 효율화를 위한 축제 문화자원봉사 운영 전략을 제시한다. 당해 연구는 문헌조사와 기초통계 자료로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병행 활용했다. 연구결과 축제 문화자원봉사 운영에 대한 중요도를 순위별로 기술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원봉사자 운영 매뉴얼 구축 (2) 자원봉사 분야별로 각각 모집·선발하여 운영 (3) 자원봉사자에게 체험·행사·공연의 참여·관람 기회를 제공하는 것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문화자원봉사 활동을 위한 교육과정에 대한 중요도는 다음과 같다. (1) 안전교육 (2) 관광객(관람객)을 위한 응대교육 (3) 축제 안내를 위해 축제장 구성과 체험 프로그램 순으로 파악되었다. 축제 문화자원봉사 운영에 대한 중요도의 요인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업무 전문성 (2) 자원봉사자의 지속적 참여 (3) 자원봉사자의 이미지 강화 순으로 파악되었다. 축제 문화자원봉사 활동을 위한 교육과정의 요인분석 결과는 소양교육이 중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축제 문화자원봉사 운영 전략 방안에 관해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접근을 시도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축제 현장에서 축제 문화자원봉사자 운영을 통해 축제의 경영 효율화에 도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As the government started to become more localized, festivals have been constantly developing in order advocate the worth of the local area. As time passed by, the significance of festivals has grown because it not only advertises the area, it also stimulates the local economy. This pushes the trend to focusing more on efficiently managing festivals rather than just operating it. Unfortunately, majority of festivals are constrained by tight budgets earned from grants and limited manpower from organization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me up with ways to operate and manage festivals effectively by focusing on using volunteer as the main source of manpower. This research proposes to (1) layout strategies for effective festival management focused on incorporating cultural volunteers and (2) identify the main factors for utilizing cultural volunteers that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the festival management. This year’s research is conducted mainly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statistical analysis for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The following paragraph layouts the strategies by significance for utilizing culture volunteers to bring up the efficiency of festivals. After careful analysis, the proposed strategies are (1) to create a manual for volunteer administration, (2) to recruit volunteers based on their task and field, and lastly (3) to give the volunteers opportunity to experience and attend the festival themselves. Additionally, educating the cultural volunteers are significant as well. The top priorities are given in the following order: (1) safety precautions, (2) how to great and converse with guests, and (3) learning the layout and the activities in the festival to guide the guests. Based on my research, I have concluded that these are the most crucial factors in festival management based on cultural volunteers. The most crucial factor is their expertise in the given task, second is their consistent participation, and lastly is the enhancement of the image of cultural volunteer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it comes to educating the cultural volunteers for effective festival management is to focus on basic skills, knowledge, and mental attitude. I conclude that this research needs further investigation through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for any concrete takeaways for culture volunteer administration strategies for efficient festival management. I anticipate that there will be an improvement of the festival scene overall 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festival management through incorporating cultural volunteers into the administration.

      • 현대 지역축제 연구 : 충주세계무술축제를 중심으로

        김우각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local self-governing bodies from the mid 90s, the commercialization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and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have increased as a form of increasing regional competitiveness. This allows for increased employment following the opening of regional festivals as well as increased income for regional residents through funds inflowing with more tourists. As a result, in terms of a social cultural effect, this will provide a better integration of the economics of the region with regional residents, which in turn allows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t resources, which in turn, will instill a sense of love of own's hometown and inspiration. Therefore, continuous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m will provide opportunities to increase the level of cultural interest by regional residents. In terms of physical or environmental effects, we can expect effects such as improved facilities, improved city environment, improved accessibility to cities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Such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have allowed the regional festival to take shape as a new tourist resource and have become an important case study in establishing strategies for acquiring regional uniqueness and competitiveness within such era of a transitioning paradigm. Currently, regional festivals have exceeded from only being used as a way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ourist resources into an issue highlighting how existing resources can be used to create more value. The Chungju World Martial Arts festival, which has developed significantly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in the past 10 years, has raised the recognition of the city of Chungju through the popularization of Taekkyon. It has, as a result, provided an opportunity for not only regional development, but also raising the pride and affection from regional residents. In addition, The recognition of The Chungju World Martial Arts Festival, through connections with tourist sites and cultural resources of the region, have maximized the efficiency of publicity by helping to improve the image of regional festivals as a whole. However, as the standards of living and personal enjoyment continues to grow in additional to increased cultural desires from cultural consumers, a system which allows more opportunities for such cultural consumers to participate and experience cultural values must be provided. As of recent, regional festivals have become a new opportunity for regional development. The Chungju World Martial Arts Festival must establish a genuine identity and must continue to become a new framework of the festival culture industry through professional planning befit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a proper direction within regional culture. 90년도 중반에 실시된 지방자치제의 실시 이후 지역축제는 지역경쟁력 강화 수단으로 문화의 관광 상품화와 지역경제 발전을 앞세우며 급속히 증가했다. 이는 지역축제 개최에 따른 고용창출과 관광객 유입을 통한 지출과 지역주민의 소득효과로 이어지는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시회 문화적 효과로는 지역의 정체성과 지역주민의 화합의 장을 마련 할 수 있고 나아가 전통문화의 발굴로 중요한 문화관광 자원을 발굴해 애향심 고취와 함께 지속적인 관광문화를 개발하고 지역주민의 문화적 관심과 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회를 마련 할 수 있다. 물리적 환경적 효과로는 시설물 개선효과, 도시환경개선효과, 도시의 접근성 개선과 환경보전 등을 들 수 있다. 이처럼 지역에 산재한 유, 무형의 자원들은 지역축제를 새로운 관광자원으로 자리 잡을 수 있게 했으며, 지역의 특화된 소재를 개발해서 지역화 시대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지역 정체성과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 수립에 중요한 사안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제 지역축제는 관광자원을 경쟁력의 수단으로 삼는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기존의 자원을 어떻게 가치 있게 창조해 가느냐가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10여 년간 양적, 질적 면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한 충주세계무술축제는 택견의 브랜드화 통해 충주시의 대외적 인지도를 향상시키며, 지역시민의 애향심 고취와 더불어 지역경제 발전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또한 충주세계무술축제의 지명도는 인근 지역에 관광지와 문화자원의 연계를 통해 지역축제의 이미지를 확산시켜 홍보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생활수준과 여가생활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문화소비자들의 문화적 욕구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어 지역축제는 문화소비자들이 참여 할 수 있는 참여 시스템 구축과 문화가치를 체험할 수 있는 보다 폭 넓은 기회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제 지역축제는 지역발전에 있어 새로운 기회의 자원으로 부상하고 있다. 충주세계무술축제는 진정한 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역문화의 올바른 방향성을 바탕으로 지역의 특성과 참신하고 전문성 있는 기획으로 축제문화산업의 새로운 기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연등축제 기록화 방안 : 한마음 선원의 장엄등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박기태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연등축제는 한국을 대표하는 축제로서 참여자와 관광객이 하나되는 참여 지향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연등축제의 제등행렬은 불교계 각 종단에 속한 사찰들이 제작한 장엄등이 주요한 볼거리로 관광객의 이목을 사로잡는다. 그러나 매년 비슷한 장엄등은 볼거리 감소와 연등축제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 장엄등은 사찰별로 제작하는데 많은 사찰들이 제작 기술 및 지식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장엄등 제작과정의 경험과 기술이 공유되지 못함으로써 생기는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장엄등 제작에는 여러팀이 참여하고 이런 활동의 조합으로 장엄등이 완성된다. 이 행위과정은 매우 동적이며 기록을 생산하고 보관하기에 힘든 구조를 가지고 있다. 행위과정을 기록화 하는 것은 조직차원에서 경험을 형식지로 표출하도록 하며 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장엄등 제작과정의 기록화를 통한 지식의 공유는 향후 이루어질 행위에서 시행착오를 감소시키고 업무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기관에서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장엄등 제작은 개인의 자발적인 의지에 따라 이루어진다. 따라서 장엄등 제작과정의 기록화는 개개인이 필요성을 절감하여 자발적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기록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스스로가 적극적으로 기록을 생산하고 보존하려는 노력을 함으로써 조직 및 문화발전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은 나아가 개인이 속한 또 다른 집단의 기록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는 장엄등 제작활동의 기록화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기록화가 왜 필요한지에 대해 서술하였다. 이를 위해, 한마음 선원 초파일팀의 조직구조와 업무기능을 분석하였다. 기능분석을 통해 기능, 활동, 처리행위를 계층적으로 나타냈다. 이 연구는 한마음선원의 장엄등 제작 행위과정을 기록화는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기록화를 수행해지 않았고, 그에 따라 향후 이루어질 기록화에 대한 평가 작업을 할 수 없었다는 점, 장엄등 제작활동이 기록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일부 팀장들의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은 본고의 한계이며, 앞으로 보완해야 할 과제이다. As a representative festival in Korea, the Lotus Lantern Festival features a participation-oriented characteristic in which participants and tourists become one. The lantern procession of the Lotus Lantern Festival draws tourists' attention as a main attraction such as featuring the jangeumdeung (paper lantern) prepared by Buddhist's temples that belong to each denomination in the Buddhist circles. However, the jangeumdeung, which looks similar every year, may hurt the growth of the Lotus Lantern Festival as well as reduce attractions. The jangeumdeung is made by each Buddhist's temple, and not a few Buddhist's temples have experienced difficulty owing to the lack of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knowledge. This study began from a critical awareness for overcoming difficulties arising from a failure in the sharing of experiences and techniques during the manufacturing of the jangeumdeung. In the manufacturing of the jangeumdeung, the jangeumdeung is completed through the involvement of various teams and the combination of those activities. This process of the act is very dynamic and has a structure hard to produce and keep archive. To record the process of the act makes it possible to express experiences as being explicit knowledge and to share them at an organizational level. The sharing of knowledge through the recording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jangeumdeung will reduce trial and error in the forthcoming act, and propose a direction to efficiently proceed to the works. In general,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improve a perception about records management in public institutions. The manufacturing of the jangeumdeung is carried out according to a voluntary individual will. Therefore, the recording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jangeumdeung is voluntarily accomplished when each individual feel it is keenly needed. This is an effective method in enhancing the perception about the importance of records management. Provided that each individual may be committed to his organization and cultural advancements by making an effort to produce and keep records actively on his own, thi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further records management of another group to which the individual belongs, This study delineated the need for recording in order to deduce some solutions in record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jangeumdeung. With this aim, the study analyzed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job functions of a chopail (Buddha's birthday) team of Hanmaum Seonwon. Through a function analysis, the study stratified its functions, activities, and processing activity. This study aimed to seek detailed solutions in the recording of the manufacturing activity process of the jangeumdeung of Hanmaum Seonwon. Nevertheless,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did not perform recording in reality; thus, it was unable to make evaluations of forthcoming recording, and conducted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some team chiefs regarding the need for recording of the manufacturing activity of the jangeumdeung. Therefore, these should be made up for in the future.

      • 지역축제의 선택속성과 방문자 만족 및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 김제 지평선축제를 중심으로

        이정해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ous motivation attributes of event attendance at the 2009 Horizon Festival at Gimje, South Korea and to empirically verify their overall relationship with visitors satisfaction, behavioral intentions and activity characteristics. Stemming from this purpose, the following hypotheses will b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first hypothesis is that motivation attributes associated with festival participation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overall visitors' satisfaction. The second hypothesis is that visitors' satisfaction will exert its positive influence on their behavioral intentions, including their own revisit and recommendation to others. The third hypothesis is that motivation attributes of the festival will exert their positive influence on visitors' behavioral intentions. And the fourth and last hypothesis is that there will exist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isitors' activ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motivation attributes of the festival. In order to achieve the proposed research objectives, a self-complet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survey visitor motivation attributes for attending the five-day Horizon Festival in October 2009, containing scales for measurement of visitors' satisfaction, behavioral intentions and activity characteristics tested in the study. Subjects were asked to rate their level of agreement/disagreement or appropriateness with each statement presented on 5-point Likert-type scales.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total 40 questions of four main scopes: 25 for motivation attributes, 1 for visitors' satisfaction, 2 for visitors' behavioral intentions, 5 for visitors' activity characteristics and 7 for socio-demographic profile. As for motivation attributes of the festival, this study selects 7 attributes: educational benefits, on-the-spot experience, rest and relaxation, convenient access, novelty and uniqueness, festival specialty and fun, and gregarious socialization. Visitors' satisfaction only asks 5-scaled level between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Behavioral intentions includes visitors' own royalty to revisit and their intention of recommending others to visit the festival. And visitors's activity characteristics were related to average expenditure per person, number and composition of the group of visitors, sources of information, frequency of visits, and amount of knowledge in advance. Finally socio-demographic profile consists of sex, age, average monthly income, academic career, vocation, marriage, and place of residence. The survey interviews were carried out at festival venue during five days from October 9 to October 13, 2009.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00 attendees and 300 acceptable valid responses were obtained, representing a response rate of 100%. The data was manually entered into the analysis package SPSS 12.0 and checked for coding errors, missing data, and normality of the data. The main findings from the analysi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both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is study were demonstrated as highly significant through Cronbach's Alpha and factor analysis respectively. Second,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wo-tailed ANOVA(analysis of variance) test conducted, the study delivered proof that all the four hypotheses, except for a few variables, are verified on the high level of significance, and compared variables could mutually be accepted. Three attributes such as rest/relaxation, specialty and socialization in hypothesis 1, and rest/relaxation and socialization in hypothesis 3 didn't show their significance. And analysis of hypothesis 4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motivation attributes and activity characteristics. This study also indicates that some of the limitations should be addressed to provide productive avenues for future research. First, the sample/sampling was drawn exclusively, though not by intention, from foreign visitors and was mainly comprised of people who came only from Jeollabuk-do residents. This may cause possible non-representation issues and, thus, the results should not be generalized to some extent. Second, some questions of the questionnaire failed to identify and secure more concrete attitudes or opinions of the respondents, because of their ambiguity and comprehensiveness in content. And more attributes were sufficiently developed in analyzing and testifying relationship between visitor satisfaction and activity characteristics. And finally, this study didn't, from analytic outcomes, suggest desirable theoretical orienta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including prearranged planning and practicing of the festival, public relations and service quality, mor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to generate behavioral intentions post-visitation such as word-of-mouth recommendations and repeat visitation and so on. In spite of such limitations, however, as a future line of research, this study can provide some positive contributions to more refined empirical research of regional festivals in South Korea.

      • 지역축제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 칭다오 국제맥주축제를 중심으로

        부첨첨 신라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중국은 1979년 개혁개방을 시작하면서 문화, 정치 측면에서 빠른 속도로 커다란 변화를 시도해 왔다. 30년간의 발전을 거쳐 오면서 제1, 2차산업중심 패턴이 서비스산업인 제3차산업중심으로 바뀌었고 제3차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관광분야에서도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노력이 시도되었다. 현재 중국 전국에는 약7000여 개의 크고 작은 지역축제가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지역축제가 개최되면서 충분한 사전조사 없이 급조된 지역축제가 양산되고 과도한 예산의 책정과 무리한 지출로 인한 예산낭비에 대한 문제점이 나타났다. 지역 활성화를 위한 인력 확보가 어렵고 정책 능력이나 주민의 참여도가 낮은 것이 현실이다. 많은 중국 지역축제들이 이러한 문제점으로 일회성 행사로 그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본 연구자는 축제가 성공해야만 지역축제가 지역문화를 전승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 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으며, 축제의 방문객들이 느끼는 축제만족의 요인이 여러 가지 있겠지만 본 논문은 서비스 품질이 축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보았다. 즉 접근방법으로 축제의 서비스가 미치는 축제만족도를 먼저 알아보고, 그 만족이 재방문 의도와 권유의사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중국칭다오 국제맥주축제' 중심으로 연구를 했다. 이를 위하여 축제 참가자의 서비스품질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축제와 서비스품질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한 설문문항을 측정변수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2012년4월28일부터 5월7일까지 10일간에 걸쳐 인터넷을 통해 ‘2011중국 칭다오 국제맥주축제’ 참가했던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 하게 응답을 한 설문지 분석에서 제외하고, 실제 유효한 설문지166부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수행함에 있어 분석기법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관계의 영향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고, 보조 분석기법으로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분석 등을 활용 하였다. 첫째 ‘축제 서비스품질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1은 축제 서비스품질의 5가지 요인은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축제 만족이 축제 재방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2는 고객만족이 축제 참가자 참가 후에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방문객의 만족이 재방문의도 사이에서 연관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축제 서비스품질 관리를 통해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축제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다. After China 1979 reform opening the culture and politics is changing at a rapid-fire pace. During the past three decades of reform and opening up, there has been a shift of emphasis from primary, secondary industries to service industries. In addition, attempts are being made to Development of Sustainable Tourism. Approximately 7000 local festivals are being held annually in China. However The festival which strengthen the festival true identity characteristic which is specific will be rare, cultural value of festival compared to the logic of the commercialization which considers seriously an economic value follows an example in the spread and the connection characteristic of festival and area culture and is falling. Also it compares in budget and manpower commitment and economic the area expects, social cultural effect hereupon cannot go mad the banking are mass produced. Specially the discriminational result creativity of festival developmental strategy, subject and program is being insufficient yet. It was postulated in this study that the festivals have ambilaterality in nature and they are useful to conserve the local cultures and to stimulate the local economy only when successful. There are presumably many factors which may have the visitors feel satisfied. However,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the effects of the service quality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festivals. The specific approach includes the investigations on how much the service quality of a festival affects the customer satisfaction level and how significantly the satisfaction level has a correlation with the intention to revisit or recommend it based on the case study of Qingdao international beer festival. Surveys with respect to the satisfaction level on the service quality were conducted with a group of festival visitors, and the valid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questionnaire, i.e. measurement parameters extracted from previous studies regarding festivals and service quality. The surveys were carried out with a group of random subjects who visited Qingdao international beer festival from April 28 to May 7, 2012 using the internet. Among the returned copie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since they included either non-answered questions or unreliable answers. Therefore, conducted an analysis the number of valid survey 166 copies. The validation analysis method was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parameters using multiple regression method, and additional analytic methods used in this study include occurrence analysis, reason analysis, reliability estimation, correlation analysis, etc. "Assumption I: the service parameters of a festival may affec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festival" has been proved to be valid such that certain service parameters hav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level. It has been shown that the higher satisfaction 5 kinds of service quality factors; tangibles,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and empathy lead to the increased overall satisfaction level of the festival. "Assumption Ⅱ-1: the satisfaction level of a festival may significantly affect the intention to revisit the festival"has been demonstrated to be valid with positive correlation, which means that higher satisfaction level of a festival indicates stronger intention to revisit the festival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festival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visit and recommend it. In conclusion, increased service quality of a festival is expected to elevat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visitors and consequently the visitors are more likely to revisit the festiv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