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ordyceps militaris 1일 복용이 태권도선수들의 운동 중 산화스트레스 및 항산화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지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Cordyceps militaris 1일 복용이 태권도선수들의 운동 중 산화스트레스 및 항산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지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지도교수 박 현 본 연구는 태권도 선수들의 C. militaris 복용 전과 후의 운동 중 산화스트레스 및 항산화능력 그리고 젖산농도의 변화를 측정하고, 이러한 변인의 변화에 따라 운동수행능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경기도 Y시에 소재한 K대학교에 재학 중인 20대 남자 태권도선수 7명의 동일 대상자를 대상으로 두 그룹(1차–placebo, 2차-C. militaris 복용 그룹: 4명 & 1차-C. militaris, 2차-placebo 복용 그룹: 3명)으로 무선 할당하여, 이중맹검법(double blind test)을 통해 C. militaris 와 placebo capsule을 각각 교차(cross-over) 복용시켰으며, 두 차례의 측정 사이 7일간의 wash-out기간을 두어 복용물의 체내 잔존에 따른 영향을 배제하였다. 1) C. militaris 와 placebo복용에 따른 산화스트레스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placebo복용에 비해 C. militaris 복용 시 종료 5분, 20분 후 각 각 시점에서 더 낮은 수치를 보였다. 2) C. militaris 와 placebo복용에 따른 항산화능력은 복용물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으나, 수치 상 운동종료 5분, 20분 시점에서 placebo복용보다 증가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C. militaris 복용물 내 시점 간 5분, 20분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항산화능력이 활성화됨을 알 수 있었다. 3) C. militaris 복용 시, placebo복용보다 회복기 5분 시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젖산 농도를 보였다. 4) C. militaris 와 placebo 복용에 따른 유산소 운동수행능력에서 VO₂max(ml/kg/min) 와 HRmax (beats/min) 그리고 하지근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안정 시 및 최대하 운동부하 측정 시 9분 시점에서 C. militaris 복용이 placebo복용에 비해 VO₂(ml/kg/min)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수치상으로도 대체적으로 증가함을 보였다. HR(bpm)은 C. militaris 복용이 placebo복용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태권도 경기특성에 알맞게 선수들의 C. militaris의 1일 복용에 따른 운동 중 산화스트레스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항산화능력에 있어서 시점 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태권도 경기 방식과 적합한 C. militaris 복용방법을 제시하고 운동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주요어: Cordyceps militaris, 산화스트레스, 항산화능력, 태권도. Effects of Cordyceps militaris Uptake for One Day on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Taekwondo Players Ji-Su, Le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d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prof. Hyon Park, Ph.D. Cordyceps militaris, an entomopathogenic fungus, which is traditionally called as ‘summer-plant winter-worm,’ is one of the most popular traditional medicine. It has a long history of use as a crude drug for tonic enhancement in China and Korea. It has multiple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tion and anti-inflammation effects which are considered to be applied as an ergogenic in sports. If the efficacies are guaranteed, a short term use of ergogenic supplements rather than chronic uptake may allow several benefits such as convenience, low-cost, and safety to athletes. Effects of cordyceps powder with maximum safety assurance dose within short duration were observed. Seven taekwondo players at K university were offered C. militaris and placebo capsules through double blind test and each subject was taking supplements with cross-over method having a week of wash-out period between takes. Measurements on exercise performance and oxidative stress related parameters were performed pre and post of uptakes. Oxidative stres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 militaris and placebo uptakes. In lactate concentration, C. militaris uptakes caused lower level during recovery process. More studies on the use of C. militaris as an ergogenic for a sport like taekwondo are needed to illuminate the working mechanism and detailed methods of use. Key words: Cordyceps militaris, oxidative stress, antioxidant capacity, taekwondo.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의 매개효과

        이지수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광주, 전북, 서울 지역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0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척도는 거부민감성 척도와 사회불안,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SPSS 23.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의 요약과 같다. 첫째,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증명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둘째, 거부민감성은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는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는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 사이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has an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anxiety among undergraduates. This research was done by conducting surveys from 304 undergraduates who are attending universities in Gwangju, Jeollabuk-do, Seoul area. The scales used in the study were The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RSQ,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IAS, Social Phobia Scale: SPS andScale for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in Social situation: SDSAS. The hypothesis of the study was verifi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Amos 23.0.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a result in the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rejection sensitivity,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social anxiet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was partially mediated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anxiety. This result implies that while high level of rejection sensitivity hinder social anxiety, undergraduates with high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capability can successfully overcome such impact and re-adjust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 비특이성 허리통증을 가진 성인에게 척추세움근 자가 스트레칭 방법에 따른 근활성도와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이지수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Adults with non-specific low back pain report that their spine’s dynamic functions are affected and the suffer from low back pain caused by a continuous state of tension around their low backs, as excessive power is imposed on their spines. The mechanism inducing pain disappears along with the relaxation of the muscles, if the tension of muscles was lowered or recovered to a normal state by stretching. Among stretching methods, self-stretching is a good exercise method not only for therapy but also for preven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at is the most effective one among self-stretching methods which have been frequently used as therapeutic and preventive interventions for reducing the muscle activity and increasing spinal flexibility in patients with non-specific low back pain. This study conducted the repeated measures design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stretching methods on the muscle activity and flexibility, by applying cat stretch, seated stretch and reclining stretch, as erector spinae self-stretching methods to adults with non-specific low back pain. A total of 39 subjects who spontaneous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mong male and female adults with non-specific low back pain in their 20s, who live in Busan, Gyeongnam provinc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13 subjects were randomly allotted to each group which was adequately trained to perform three kinds of stretching methods. Three sets of stretching methods were applied, with each set consisting of 10 sessions, and there was a 5-minute break between each motion maintained for 10 seconds. Each measuremen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stretching exercises, and the surface electromyogram (TM DTS, Noraxon, USA) was used to measure the muscle activity of erector spinae, and the test of trunk bending while standing was used to measure the spinal flexibility. For the data analysis, SPSS 26.0 was used, and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values before and after stretching exercises among three groups. The one-way ANOVA was used to compare differences in changes before and after stretching exercises among three groups, with the significance level(α) set at .05. This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uscle activity and flexibility among three groups before and after cat stretch, seated stretch and reclining stretch(p<.05). The changes in the muscle activity after three stretching exercises among three groups were compared to show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s(p>.05). A comparison of changes in the flexibility among three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5). A post-analysis comparing changes in the flexibility showed that the flexibility in the group with the seated stretch was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at in the group with the cat stretch(p<.05). All of erector spinae self-stretching methods including cat, seated and reclining stretching could b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muscle activity and flexibility.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hanges of the muscle activity among three group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ose of the flexibility. The seated stretching method would be usefully used as an exercise for intensively increasing the flexibility, and all of three stretching methods are thought to be properly selected and suggested as stretching exercises according to the pain patterns of patients with non-specific low back pain. 비특이성 허리통증을 가진 성인은 척추의 역학적 기능에 영향을 받고 척추에 과한 힘이 작용되어 허리주변의 계속되는 긴장상태로 허리통증을 호소한다.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의 긴장을 낮추거나 정상 상태로 회복시킬 경우 근육의 이완과 함께 통증의 유발기전이 사라진다. 스트레칭 방법 중에서도 자가 스트레칭은 치료방법 뿐만 아니라 예방목적으로도 좋은 운동방법이다. 본 연구는 비특이성 허리통증 환자의 근활성도를 감소시키고 척추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치료 및 예방적 중재로 많이 사용되는 자가 스트레칭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비특이성 허리통증을 가진 성인을 대상으로 척추세움근 자가 스트레칭 방법으로 고양이자세 스트레칭, 의자에 앉은 자세 스트레칭, 누운 자세 스트레칭을 적용하여 근 활성도와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처치집단의 반복측정설계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부산, 경남지역에서 비특이성 허리통증을 가진 20대 성인남녀 중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3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각 13명씩 무작위 배정한 후 연구대상자들에게 세가지 스트레칭 방법에 대한 충분한 훈련을 실시하였다. 스트레칭 방법은 각 동작 당 10초 유지, 5초 휴식하는 간격으로 10회 3세트 적용하였다. 척추세움근의 근 피로 예방을 위해 1세트 후 1분 이상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측정은 스트레칭 운동 전, 후에 시행하였으며 표면 근전도(TM DTS, Noraxon, USA)를 사용하여 척추세움근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고, 선 자세에서 몸통 굽히기 검사를 사용하여 척추 유연성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6.0을 사용하였고, 세 그룹의 스트레칭 운동 전후 값을 비교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시행하였으며 세 그룹의 전후 변화량 차이에 대한 그룹 간 비교를 위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유의수준(α)은 .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고양이자세 스트레칭, 의자에 앉은 자세 스트레칭, 누운 자세 스트레칭 세 그룹 내 근활성도와 유연성의 전후 비교에서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세가지 스트레칭 근활성도의 세 그룹 간 변화량에 대한 비교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하지만 유연성의 세 그룹 간 변화량에 대한 비교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유연성 변화량을 비교한 사후분석에서 의자에 앉은 자세 스트레칭 그룹이 고양이자세 스트레칭 그룹에 비해 유연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척추세움근 자가 스트레칭 방법인 고양이자세 스트레칭, 의자에 앉은 자세 스트레칭, 누운자세 스트레칭 방법 모두 근 활성도와 유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세 그룹의 근활성도 변화량에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유연성 변화량에서는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연성을 중점적으로 더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는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스트레칭 방법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고 세가지 스트레칭 방법 모두 비특이성 허리통증을 가진 환자의 상태와 통증양상 등 특징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스트레칭 운동을 적용하는 방법으로 제시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성교육 강사의 성인지적 학교 성교육 실천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이지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explores how gender-sensitive sexuality education is practiced in school and the possibility of gender-sensitive sexuality education as an alternative to biological, essentialist, gender-blind sexuality education.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as used to listen to the voices of four school sexuality education instructors and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deeply. Three research questions regarding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did research participants begin to be interested in gender-sensitive sexuality education and how do they understand the concept of gender-sensitive sexuality education? Second, how do research participants practice gender-sensitive sexuality education in school? Third, what hinders or promotes gender-sensitive sexuality education in school? Major findings indicate that the way of practicing and understanding gender-sensitive sexuality in school is deeply related with the lif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One of the important features that motivated their teaching sexuality education was the fact that they were born and raised as women. Throughout their lives, the four sexuality education instructors confronted numerous obstacles and oppressions that were originated from misogyny and gender-blindness. After they learned about feminism, they began to feel free from the male-centered patriarchal power relations and finally understood those oppressive experiences. Research participants argued that youth sexuality education should be practiced based on gender-sensitive perspective and feminist pedagogy in order to make more democratic and gender-equal society. After being informed by the school health teacher about the content areas that are needed to be included in the class curriculum, research participants focused on creating curriculum materials and developing teaching methods that suit gender-sensitive sexuality education. Some of them constructed a study group to share teaching methods and give feedbacks with other sexuality education instructors. Also, they tried to apply ‘experience-based education’ in classes, encouraging students to share their experiences related to gender inequality, misogyny and oppression of sexuality as teenagers. Even though the class evaluation was not done regularly, the research participants listened carefully to the response of each student or other teachers after class and attempted to reflect these feedbacks for their next classes. On the one hand, there seemed to be several hindrances to run gender-sensitive sexuality education in school. First, the class time allocated to sexuality education class was insufficient to cover diverse topics related to gender, sexuality, and sex. Since school sexuality education instructors were considered as part-time workers, not as full-time teachers, they also suffered from lack of salary. Moreover, due to the gender-blindness of the school teachers, research participants were sometimes forced to follow the 'school sex education guideline'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ch was repleted with misogynic and gender-blind information and metaphors. On the other hand, in-depth interviews showed that institutional support including financial support would help run quality school sexuality education class and stimulate sexuality education instructors' professional growth. In addition, research participants argued that the school teachers and related agents who are gender-blinded need to attend special education program. In conclusion, major findings indicate that the way of practicing and understanding gender-sensitive sexuality is deeply related with the lif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One of the important features that motivated teaching gender-sensitive sexuality education was the fact they were born and raised as women. Throughout their lives, these sexuality education instructors confronted numerous obstacles and oppressions that were originated from misogyny and gender-blindness. Due to the training program of the three agencies (i.e., Sexuality Center for Youth, Women’s associations, and Gender Equality Center) and the effort of each research participant, they began to re-interpret their thoughts and experiences through the feminist lens. Also, the interviews revealed that provisions from the agencies as well as feedbacks from school faculties and advices from colleagues would further promote gender-sensitive sexuality education in schools.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성인지적 성교육이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생물학적, 본질주의적, 성차별적 성교육의 대안으로 성인지적 성교육이 어떠한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 드러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이 성인지적 성교육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무엇이며 성인지적 성교육에 대하여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어떤 식으로 학교에서 성인지적 성교육을 실천해나가고 있는가? 셋째, 연구 참여자들이 생각하는 성인지적 학교 성교육 실천의 어려움, 그리고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이들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 연구방법을 활용해 성인지적 청소년 성교육 기관에서 양성된 강사들로부터 심층면담 자료, 문헌 자료 및 참여 관찰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내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 참여자들은 각자 경험한 삶의 맥락에 따라 다양한 이유로 학교 성인지적 성교육 강사로 활동하게 되었다. 그들은 공통적으로 불평등한 섹스, 젠더, 섹슈얼리티 체계 아래 여성으로 살아오면서 억압적인 경험을 겪었다고 이야기했으며 여성주의를 통해 그 경험을 재해석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성인지적 학교 성교육을 성인지적 관점과 여성주의 교육학을 토대로 “청소년을 성적 주체로 인정하며 불평등한 성 체계를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하는 인권 교육”이라고 이해하고 있었다. 그리고 성교육 강사가 그에 걸맞는 역량을 갖추기 위해 다양한 자료를 접하고 성교육에 적합한 교수학습방법을 연구해야 한다고 보았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일반적으로 학교에 의해 성교육 수업을 요청받았으며 보건교사의 의견을 참고하여 성교육 수업 목표를 설정하게 된다고 밝혔다. 수업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책, 통계자료, 동영상, 논문 등 다양한 자료를 참조해 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활용하고 있었으며 몇몇 연구 참여자의 경우 학습 동아리를 만들어 동료 성교육 강사들과 함께 교안을 작성하고 피드백을 주고받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의 수업 모습과 교수학습방법을 살펴본 결과, 일방적인 강의가 아닌 학생 참여를 중심으로 하는 문답식, 체험식 수업을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수업에 대한 평가의 측면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시간 관계상 서면 평가를 받기 힘들기 때문에 수업 후 개별 학생들이 제공하는 피드백에 의존하고 있다고 밝혔다. 셋째, 성인지적 학교 성교육 실천의 어려움과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 참여자들이 밝힌 성인지적 학교 성교육 실천의 어려움은 부족한 성교육 수업 시수, 상호작용이 힘든 열악한 수업 환경, 성교육 담당 교사나 학교의 성인지적 관점 부재, 그리고 성교육 표준안에 의한 강사의 자율성에 대한 침해, 성교육 강사의 열악한 처우로 정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성인지적 학교 성교육 실천의 어려움에 대한 개선방안은 교육청 및 정부의 제도적인 지원, 성인지적 성교육의 연장으로 학교 프로그램 구성 및 실시,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성인식 교육의 확대, 그리고 성교육 표준안에 대한 재고와 더불어 성인지적 성교육을 위해 강사의 자율성을 얼마나 반영할 것인지에 대한 사회적인 합의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성인지적 성교육 강사가 되기 위해서는 성인지적 관점 내면화 및 여성주의 교육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년간의 훈련과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성인지적 학교 성교육은 최대한 학생들의 경험과 목소리를 반영하는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교 현장에서 성인지적 성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수업을 진행하는 강사 개인의 역량뿐만 아니라 학교와 정부, 교육청 차원의 지원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본 연구를 토대로 앞으로 성인지적 성교육 강사에게 필요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 보다 다양한 배경을 가지고 있는 성교육 강사들이 성인지적 성교육을 어떻게 이해하고 경험하는지에 대한 연구, 또한 학생, 교사를 비롯한 다양한 주체들의 시각에서 성인지적 성교육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드러내는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제언하였다. 이 연구는 학교 성인지적 성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현실에서 기존에 이루어지고 있던 학교 성교육의 대안으로 성인지적 성교육을 제안하고 이를 실천하고 있는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분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분석 과정에서 연구자는 성인지적 학교 성교육 강사들의 실천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그들의 성인지적 성교육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았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개인적인 삶의 맥락과 성교육이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드러내었다. 또한 학교에서 성인지적 성교육이 드물게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에서의 실천의 어려움을 다룸으로써 앞으로 성인지적 학교 성교육이 현장에서 실천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구체화시켰다는 특징이 있다.

      • A Study on Identifying the Factors in the Adoption of Web-Based Education Focu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and Innovation Resistance of 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

        이지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lead users to use MOOC, the web-based education platform, by using the concept of technology acceptance and innovation resistance. The UTAUT2 model is adopted to provide explanation on the basic premise of users’ acceptance towards emerging technology, and afterwards, modifications on the existing model of UTAUT2 is done by adopting the concept of innovation resistance. Innovation resistance is considered as a form of construct affecting the users’ intention to use, which is thought to have influence on human ’s behavior towards new technology. The survey is conducted on the usage of the web-based education platform by collecting the data from 427 respondents, and the data is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s the methodolog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llustrates that performance expectancy (PE), effort expectancy (EE), social influence (SI), facilitating condition (FC), hedonic motivation (HM), habit (HB) are the potential constructs which can affect the innovation resistance (IR) and intention to use (IU). After proceeding wit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 hedonic motivation, and habit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innovation resistance, and habit, facilitating condition and innovation resistance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intention to use. Also, respondents with experience on using MOOC and those do not have been separated to carry out the comparison between groups. Tests highlight that the total sample results follow the results from the experienced group. By identifying the significant factors of technology acceptance, this paper presents implication and insights to those interested in utilizing MOOC. MOOC는 기존의 학습관리시스템 상위에 공개교육자료,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를 추가하여 강의를 수많은 대중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로 2010년 이후 전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MOOC 서비스 내의 강좌 수강을 완료하는 인원 비율이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그 실효성에 대한 토론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맥락에서 학습자의 MOOC의 수용의도를 조사하는 여러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이 연구는 동일한 맥락에서 MOOC 서비스를 중심으로 하여 웹 기반 학습의 기술수용의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기술수용모델(TAM)과 혁신저항을 차용한다. 본 연구는 이용자의 MOOC에 관한 사용의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총 427명의 설문 데이터를 확보하였으며, UTAUT2 모형을 기반으로 성과기대, 노력기대, 촉진조건, 사회적 영향, 오락적 동기, 습관 등의 요인이 혁신저항 및 사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잠재변인이 혁신저항 및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쳤지만, 성과기대의 경우 혁신저항에 대하여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온라인 공개강좌에 대한 과거 경험에 따라 모형의 해석이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경험이 있는 경우 전체 모형을 더욱 잘 따른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 칼 뢰베와 로베르트 슈만의 「여인의 사랑과 생애」(Frauenliebe und Leben) 반주부에 대한 이해 및 비교분석 : 곡 1,2,3,8,9번을 중점으로

        이지수 목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19C의 독일가곡 중 샤미소(Adalbert von Chamisso, 1781-1838)의 시 「여인의 사랑과 생애」 (Frauenliebe und Leben)를 작곡한 칼 뢰베(Johann Carl Gottfried Loewe, 1796-1869)와 로베르트 슈만(Robert Schumann, 1810-1856)의 연가곡을 비교, 연구하기 위함이다. 19C 독일문학의 발달은 음악사에 큰 영향을 끼친 시기라고 말할 수 있다. 자유스러운 표현적인 형식들, 서정적인 시행 등 이러한 시문학들은 작곡가들에게 가곡을 향한 작곡의 의욕을 부추겨 주었다. 또한 19C에 독일 음악사에 영향을 끼친 것은 독일에서 산업화가 시작되고 사회적인 변화가 일어났는데, 이러한 산업화의 영향으로 피아노가 중산층에 많이 보급 되었고, 자연스럽게 중산층 가정에서 노래부르기, 피아노 연주, 그림 그리기 등 문화 활동으로 많은 시간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로 인하여 중·하류계층이 사회적으로 기동력을 얻었고, 극장이나 연주회장으로 여흥을 찾아다니기 시작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19C의 음악사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가곡이 예술가곡이라는 한 장르로 발전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고 19C는 많은 독일가곡들과 하나의 주제로 이루어진 연가곡도 많이 작곡되어 졌다. 본 논문에서 다룰 주제는 샤미소의 시 「여인의 사랑과 생애」 (Frauenliebe und Leben)를 연가곡으로 작곡한 칼 뢰베와 로베르트 슈만이 동일한 시를 가지고 어떻게 다르게 작곡 하였는지 반주부와 가사를 중심으로 비교, 연구하기 위함이다. 먼저, 서론에서는 연구 배경 및 목적과 연구 내용 및 방법에 대해 제시 하였으며, 본론에서는 19C의 독일 가곡이 발전하게 된 계기와 가곡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여인의 사랑과 생애」를 지은 샤미소의 생애와 각 시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또한 비교, 연구 하려는 작곡가인 칼 뢰베와 로베르트 슈만의 생애와 그들 각자의 작곡 특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동일한 시를 가지고 작곡한 두 곡을 비교, 연구하기 위하여 각 곡의 구조, 화성, 조성, 빠르기, 형식을 알아보고 가사에 따른 반주부에 대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결론에서는 두 작품의 분석 및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였다.

      • 항공사 서비스 품질과 고객충성도의 관계에서 고객가치, 고객만족의 매개효과 연구

        이지수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항공사를 이용하는 승객들이 인식하고 있는 항공서비스 품질과 고객충성도의 관계에서 고객가치와 고객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항공사를 1회 이상 이용한 일반승객 총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중 384부가 회수되었다. 응답이 불성실한 16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68부를 활용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의 경우 여자는 198명(53.8%), 남자는 170명(46.2%)으로 나타났다. 여자가 남자보다 28명(7.6%)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의 경우 20대는 108명(29.3%), 30대는 133명(36.1%), 40대는 58명(15.8%), 50대는 36명(9.8%) 그리고 60대 이상은 33명(9%)로 나타났다. 월 평균 소득의 경우 100만원 미만은 44명(12%), 100만원∼200만원은 27명(7.3%), 200만원∼300만원은 84명(22.8%), 300만원∼400만원은 101명(27.4%), 400만원∼500만원은 58명(15.8%) 그리고 500만원 이상은 54명(14.7%)으로 나타났다. 자주 이용하는 항공사의 경우 대한항공이 121명(32.9%), 아시아나항공이 107명(29.1%), 티웨이가 42명(11.4%), 에어부산이 42명(11.4%), 제주항공이 36명(9.8%) 그리고 진에어가 20명(5.4%)으로 나타났다. 둘째, 측정변수 중 서비스 품질척도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5개의 요인 22개 문항에 대한 적합도가 측정모형에 잘 부합되었다. 최종 모형에서 측정변수와 요인 사이의 표준화된 회귀계수 및 공분산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또한 표준화 회귀계수의 적재량은 모두 .50이상으로 나타났다. 이에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서비스품질척도는 총 5개 요인 22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 항공사 유형)에 따른 서비스 품질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확신성에서만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자일 경우 확신성에 대한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공감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F값은 정(+)의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연령이 높을수록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사후분석 결과 다른 연령에 비해 20대가 품질에 대한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사 유형(대형, 저가)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형성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F값은 정(+)의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대형항공사를 이용할 때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인식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조모형의 검증을 통해 변수들 간의 경로 및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항공서비스품질이 고객충성도로 가는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즉, 항공서비스 품질이 고객충성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서비스 품질이 고객가치와 고객만족도로 가는 경로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항공서비스품질에서 고객가치로 가는 경로계수는 .85(p<.001), 항공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도로 가는 경로계수는 .06(p<.001)로 나타났으며, 이는 항공서비스 품질의 향상은 고객가치와 고객충성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객가치와 고객만족도가 고객충성도로 가는 경로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고객가치에서 고객충성도로 가는 경로계수는 .16(p<.001), 고객만족도에서 고객충성도로 가는 경로계수는 .06(p<.001)로 나타났다. 변수들 간의 경로계수값과 통계적 유의미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항공서비스 품질과 고객충성도의 관계에서 고객가치와 고객만족도는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서비스 품질에서 고객충성도로가는 직접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기 때문에, 고객가치와 고객만족도는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사를 이용하는 승객의 고객가치와 고객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항공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항공사는 노력해야 한다. 항공사를 이용하는 승객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 개선방안 등을 조사하여 실질적으로 서비스 제공에 활용하는 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모든 조사는 형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에 현장에서 적용되는 부분은 크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항공서비스 품질 향상은 승객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적용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게 된다면 고객가치와 고객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항공사 이용 승객이 인식하는 고객가치와 고객만족도는 고객충성도를 향상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승객은 한번 이용한 항공사가 본인이 느끼는 고객가치(경제적, 사회적, 감정적, 품질기능)에 부합하게 되면 충성도가 향상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승객이 만족하게 된다면 고객충성도가 향상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고객충성도에는 승객의 가치와 만족도가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그렇기 때문에 항공사와 승무원은 승객의 고객가치에 부합하는 서비스제공, 고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t is the aim of this study to examine and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customer value and satisfaction in relation with airline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loyalty perceived by customers patronizing airline service. A survey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and distributed to a total of 400 customers using an airline service at least once. Out of 384 responses collected, 368 questionnaires were finally used for a further statistical analysis.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respondents’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female showed slightly higher with 198 persons(53.8%) compared to male with 170 persons(46.2%). In terms of age group, respondents in 20’s showed with 108 persons(29.3%), while 30’s with 133 persons(36.1%), 40’s with 58 persons(15.8%), 50’s with 36 persons(9.8%) and 60’s with 33 persons(9%). 44 respondents(12%) marked with their average monthly salary under 100 million won while 27 respondents(7.3%) between 1M won and 2M won, 84 respondents(22.89%) between 2M won and 3M won and 101 persons(27.4%) between 3M and 4M and the remaining 54 persons(14.7%) between 4M and 5M won. Korean airline was chosed with the most frequently used airline with 121 persons(32.9%), followed by Asiana with 107 persons(29.1%), Tway with 42 persons(11.4%), Air Busan with 42 persons(11.4%), Jeju Air with 36 persons(9.8%) respectively. Secondl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amine validity of service quality dimension. As a result, 5 factors were extracted from 22 variables which coincided with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factor loadings of all variables were showned above .5 and the final model was prove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ly, t-test, AVOVA were carried out to check if there is any significant difference exited among service quality based on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such as gender, age, capacity of airlines. Results showed that service quality based on gender only existed in assurance factor and service quality based on age showed difference exited in all areas except empathy. Further analysis on age showed that the older respondents were, the more acknowledged in service quality. In terms of capacity of airlines(full service carrier and low cost carri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ther than in tangible factor. It suggeste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in service quality got higher when using full service carriers. Fourthly, the result from path analysis showed that airline service quality did have a statistical significance on customer’s value and satisfaction but not on customer’s loyalty. It implies that airline service quality could affect on customer’s value and satisfaction but it may not guarantee loyalty from customers. However, both customer’s value and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s loyalty. As airline service quality did not have any effect on customer’s loyalty, it could be assumed that both customer’s value and satisfaction did have a full mediating effect on customer’s loyalty. Following suggestions could be made: Firstly, an airline company should focus on improving airline service quality to enhance the level of customer’s value and satisfaction. Frequent surveys need to take place to check the customers’ satisfaction and any area of improvement if there is any so that changes can be made in time and any time. What’s important in any form of customer survey is that it has to be serious and sincere all the time. Every single comment or suggestion raised by a customer should be dealt with attention and whenever possible, should be considered for practical application to improve customer value and satisfaction. Secondly, it was found from this analysis that customer’s value and satisfaction perceived by customers were a significant cause of improving customer’s satisfaction. A customer who feels a rapport with an airline company would become a loyal customer as he or she feels service quality of the airline goes well with their value(economical, emotional, functional). It all implies that customer’s value and satisfaction are some of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to customer’s loyalty. Every effort should be made by airline crews to offer a high quality of service to meet and exceed the customer’s value.

      • 직장인의 일-삶 균형과 희망이 만족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이지수 대전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의 일-삶 균형과 희망이 그들의 만족과 행복에 어떻게 그리고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보고자 하는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일-삶 균형과 희망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일-삶 균형과 희망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만족과 행복에 대한 일-삶 균형과 희망의 상호작용효과에 관하여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질문지를 작성하여 대전/충남/서울의 직장에 근무하고 있는 163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일-삶 균형과 희망은 만족과 행복에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냈다. 즉, 일-삶 균형과 희망이 만족과 행복을 높여주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만족과 행복에 대한 일-삶 균형과 희망이 상호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ork-life balance and hope of employees how they feel and effect. For this purpose, the effects of work-life balance and hope on satisfaction as well as on happiness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interactive effects of work-life balance and hope on satisfaction and happiness were analyzed. A survey was conducted in 163 employees in Daejeon, Chungnam, Seoul to collect data. work-life balance and hop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tisfaction and happiness: work-life balance and hope raised their satisfaction and happiness. However, it turned out that there i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hope on satisfaction and happines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e this study were discussed.

      • 중학교 특수학급에서 실행된 SIA를 활용한 자기관리 전략이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과제 수행 행동 및 독립적 과제 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지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applying self-management strategy using SIA to middle school aged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has on on-task behavior and independent task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For this,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ree autism spectrum disorder students attending a special class of a middle school in Seoul while they were working independently in their special classroom. First of all, the target students' individual SIAs were selected through pre-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the special instructor in charge. In addition, the tasks student could perform independently within the curriculum of the class they belong but they usually depend on instructors or facilitators in was organized. Self-management in this study included self-monitoring, self-evaluation and self-reinforcement. The participating students were required to perform the target behavior, then check whether they had accomplished mentioned behavior or not, through self-monitoring sheets, and finally record the results on self-evaluation forms. This study used a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with three participants to check the effect of intervention. The on-task behavior was measured by using partial interval recording and independent task achievement was measured through the worksheets they had worked on based on a scoring criteria. To examine whether the intervention effect was maintained, the maintenance itself was measured again 9 weeks after termination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baseline. The key findings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n-task behavior of all three autism spectrum disorder students improved through the intervention of self-management strategy using SIA. Second, on-task behavior improved through the self-management strategy instruction using SIA was maintained for two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fter the withdrawal of intervention. Third, the independent-working achievement of all three autistic students was improved through the intervention of self-management strategy using SIA. Fourth, independent-working achievement improved through the self-management strategy instruction using SIA was maintained for two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fter withdrawal of intervention.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elf-management strategy using SIA has a positive effect on task performance behavior as well as independent-working achievement and the effects can be maintained when applied to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is study can b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tudies on self-management strategies in that it used each student's SIAs to organize its self-management strategy. Moreover, it has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proposed the necessity and directions of using SIA in various educational environments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the future by using SIA in order to improve learning ability of students with autism. Lastly, this study proves that the self-management strategy using SIA which promotes independent-working by inducing interest and attention can be useful in the future where they will be combined into general education class. 자폐 범주성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는 최근 출현율이 급증하면서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이들의 독특한 특성에 대해 파악하고 이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지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은 시각적 정보 처리에 강점을 보이나 어떤 일을 계획하고 조직화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인다. 또한 낮은 학습 동기와 주의 집중의 어려움으로 인해 과제를 완수하거나 독립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들의 원만한 학업 생활을 유지를 위해 장애의 독특한 특성을 고려한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이 가진 특별한 흥미 및 관심 영역은 SIA(special interest area)로 지칭되면서,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을 지원하기 위한 모든 영역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로 강조되고 있다. 이는 SIA가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동기를 유발시키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이를 교수적 지원의 매개 요소로 활용할 경우 학업 및 발달적 성취와 사회적 능력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 또한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 외부의 도움 없이 독립적이고 자립적으로 자신의 행동을 관리하는 것임을 감안할 때,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이 중재의 주체가 되어 스스로의 행동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들이 스스로의 행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개발시키는 자기관리 전략에, 동기 유발을 통해 행동을 습득시키고 이를 일반화 및 유지시키기 위한 요소로서 SIA를 활용하는 것은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에게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생 연령의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에게 중학교 특수학급에서 실행된 SIA를 활용한 자기관리 전략을 실행하는 것이 이들의 과제 수행 행동 및 독립적 과제 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중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 3명을 대상으로 대상학생의 특수학급 교실에서 개별 과제 수행 시간에 실시되었다. 먼저 사전 관찰과 담당 특수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대상학생의 개별적인 SIA를 선정하고, 소속된 학급의 교육과정 내에서 학생이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지시나 촉진에 의존하는 과제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관리 전략 중 자기점검과 자기평가, 자기강화를 사용하였고 대상학생은 자기점검 기록지를 통해 각 목표행동을 수행하고 스스로 수행 여부를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자기평가 기록지에 기록하도록 하였다. 중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고, 과제 수행 행동은 부분 간격 기록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독립적 과제 성취는 그들이 수행한 과제 활동지를 바탕으로 채점기준에 따라 측정되었다. 중재 효과가 유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중재가 종료된 9주 후에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에서 유지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세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 모두 중학교 특수학급에서 실행된 SIA를 활용한 자기관리 전략 중재를 통해 과제 수행 행동이 증진되었다. 둘째, 중학교 특수학급에서 실행된 SIA를 활용한 자기관리 전략 중재를 통해 증진된 과제 수행 행동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두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에게서 유지되었다. 셋째, 세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 모두 SIA를 활용한 자기 관리 전략 중재를 통해 독립적 과제 성취율이 증진되었다. 넷째, 중학교 특수학급에서 실행된 SIA를 활용한 자기관리 전략 중재를 통해 증진된 독립적 과제 성취율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두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에게서 유지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중학교 특수학급에서 실행된 SIA를 활용한 자기관리 전략은 중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에게 적용하였을 때, 과제 수행 행동과 독립적 과제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그 효과를 유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SIA를 학업 기술 향상을 위해 사용함으로써, 향후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다양한 교육 환경에서 SIA 활용의 필요성 및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자기관리 전략 구성에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SIA를 개별적으로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자기관리 전략과 차별화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동기와 주의 집중을 유발시켜 독립적인 과제 수행을 촉진하는 중학교 특수학급에서 실행된 SIA를 활용한 자기관리 전략을 학교라는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실행함으로써, 추후 이들이 통합될 환경에서도 유용하게 활용할 가능성이 있다는데 의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 식품 알레르기 아동의 보호자를 위한 식품 정보 검색 서비스 디자인 연구

        이지수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식품 알레르기 아동의 보호자가 식품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품 정보 검색 서비스를 디자인하였다. 식품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식품 알레르기 아동의 보호자 11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마켓에서 맥락적 탐구 조사(Contextual inquiry)를 진행하였다. 맥락적 탐구 조사에서 정의한 문제는 총 7가지였다. 첫째, 알레르기가 함유되지 않은 식품 탐색에 많은 시간과 노력 필요 둘째, 불안하고, 불편한 식품 정보를 확인하는 환경 셋째, 이해하기 어려운 식품 원재료와 식품 알레르기 성분명 넷째, 식품 원재료 정보의 표기 오류 다섯 째, 익숙한 식품은 정보 확인 없이 무의식적 구매 여섯 째, 식품의 맛과 실제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한 구매한 식품에 대한 불만족 일곱 째, 사회적 소외감 경험 맥락적 탐구 조사에서 파악한 문제를 2가지 기준으로 문제의 우선순위를 정하였다. 2 가지 기준은 식품 알레르기 아동의 보호자 개개인이 가장 큰 문제라고 인식한 문제와 공통적으로 가장 많이 언급한 문제였다. 우선순위가 높은 문제일수록 가장 해결되어야 할 문제라고 인식하여, 이를 앱의 주요 기능에서 해결하고자 하였다. 맥락적 탐구 조사에서 파악한 문제 및 인사이트(insight)를 바탕으로 서비스 디자인 컨셉을 정의하였다. 친화도 기법(Affinity diagram)으로 모바일 앱의 주요 기능을 정의하였다. 주요 기능 간의 정보 구조, 사용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설계하여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프로토타입으로 두 번의 사용자 평가를 진행하였다. 초기 사용자 평가(Initial User Test)에서는 식품 알레르기 아동의 보호자 5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목적은 서비스의 타깃 유저인 식품 알레르기 아동의 보호자가 앱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바를 파악하고, 보호자와 함께 앱의 보완점 논의하는 것이었다.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에서는 식품 알레르기 아동의 보호자 24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목적은 초기 사용자 평가(Initial User Test)에서 보호자와 함께 논의했던 보완점을 반영하여 리디자인한 앱의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식품 알레르기 아동의 보호자가 기대하는 서비스 사용 경험을 파악하였다. 인간-음식 상호작용(Human-Food Interaction)연구 관점에서, ‘식품 알레르기’라는 특수한 도메인에 대한 서비스를 디자인하여, 사용자의 안전한 식생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식품 알레르기 환자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디자인 시 고려해야 할 ‘정보에 대한 신뢰도’, ‘정보에 대한 이해도’, ‘AR 검색에 대한 인식과 태도’, ‘사회적 소외감 완화’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a food information search service wa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that parents of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face in the process of identifying food informa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problems that guardians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checking food information, a contextual inquiry was conducted in the online / offline market for 11 guardians of children who have food allergies. A total of seven problems were defined in the contextual inquiry: First,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to find foods that do not contain allergenic ingredients. Second, a worrying, inconvenient environment where guardians search for food information. Third, raw materials and food allergy terms that are difficult to understand. Fourth, errors in labeling the information of raw materials used in food. Fifth, guardians that tend to purchase familiar food without searching for food information. Sixth, dissatisfaction with purchased food due to taste and actual allergic reaction. Seventh, social alienation experienced by food-allergic children and their guardians. The priority of the problem was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two criteria of the problem identified in the contextual inquiry. The two criteria include the problem that each guardian of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perceived as the biggest problem, and the problem that was most commonly mentioned. As more weight was given to solving higher priority problems, these were intended to be solved in the main function of the app. The concept of the service design was defined on the basis of the problems and insights identified through the contextual inquiry. The main function of the mobile app was defined using the Affinity diagram. A prototype was created by designing the information structure between the main functions of the app, and the user interface. I conducted two user evaluations with the prototype that was created. In the initial user test,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five guardians of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was to identify what the guardians of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the target users of the service) are aware of in terms of the app, and to discuss the matter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with the guardians. In the usability test,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24 guardians of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app re-designed after reflecting the supplementary matters discussed with the guardians in the initial user test. Moreover, the experience of using the service expected by the guardians of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was identified. From the view of Human-Food Interaction research, I intended to design a service for a special domain called ‘food allergy’ to contribute to the safe food life of the user. In addition, it suggests implications on ‘reliability in information’, ‘understandability in information’,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AR search’ and ‘social alienation of alleviation’ which in the view of the study need to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services for patients and guardians of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