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개인성격이 직무만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재혁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47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개인성격이 직무만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국문 요약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개인성격이 직무만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는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개인성격요인 중 안정성, 외향성, 개방성, 성실성, 친화성은 직무만족에 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친다. - 개인성격요인 중 안정성, 외향성, 개방성, 성실성, 친화성은 경력몰입에 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친다. 이 결과는 기존의 연구와 다소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경력몰입과 관련하여 친화성이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점이 다른 부분이다. 이러한 결과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경우 개인의 성격 중 친화성은 업무수행 뿐 아니라 조직 내 인간관계에 있어서도 매우 큰 장점으로 작용한다는 데에서 오는 것이라 할 것이다. 친화성은 대고객 서비스에 있어서 친근하게 대할 수 있는 바탕이 될 뿐 아니라 승무부의 경우 팀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팀구성원은 다른 조직에 비하여 매우 자주 바뀌는 편이다. 이럴 경우 친화성은 새로운 구성원과의 인간관계에서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편안하게 업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업무수행의 어려움까지 줄여줄 수 있을 것이다. 원만한 조직 내 인간관계와 고객만족도 향상에 기여하는 친화성은 직무만족은 물론 경력몰입에도 일조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와 관련하여 학력에 따른 직무만족에 대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즉, 학력 3(대학원 재학)과 학력 4(대학원 졸업 이상)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학력 3(대학원 재학)의 직무만족이 학력 4(대학원 졸업 이상) 보다 평균적으로 0.612만큼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정부조직법상 항공청 신설에 관한 법정책적 연구

        조정호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정부조직법상 항공청 신설에 관한 법정책적 연구 항공산업은 첨단기술과 자본 집약적인 고도의 성장산업이며 기술변 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빠르게 발전하는 분야이기도 하다. 특히, 1919 년 파리협약을 시작으로 국가간 항공서비스가 증대되면서 발전한 국제 민간항공체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민간항공서비스의 양적·질적 확대에 따라 1944년 국제민간항공협약 체제로 발전되었다. 국제조약의 국내 이행이라는 측면에서 국제민간항공협약 체제를 통해 마련된 국제 기준은 국내 입법의 형태로 국내 민간항공서비스 시장을 규율하고 있다. 한편 최근 코로나19(COVID-19) 팬데믹(Pandemic) 사태로 인한 국제 항공산업 네트워크 패러다임의 변화는 민간항공의 위기 돌파를 위한 근 본적인 경쟁력 확보의 필요성을 환기하여 주고 있다. 다시 말해, 항공운 송사업은 국제적인 인적 그리고 물적 이동을 담보하는 국가 기간산업인 만큼 그 전문성을 확보하고 책임행정을 구현해 나가는 것이 민간항공의 위기를 넘어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처럼 항공운송사업을 국가전략 산업으로 육성해나가는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는 일이라고 할 것이다. 살펴보건데, 한국의 현행 항공관계법과 조직체계는 역사적·시대적 요인으로 말미암아 경로 의존적 성격 측면에서 이웃 국가인 일본의 영 향을 받아왔다는 지적이 있으며, 이러한 경로의존성과 제도의 지속성은 법제와 조직체계의 유사성에서 보듯이 현재에도 이르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는 반대로 기존 경로 의존성에서 벗어나 민간항공 분야에서 정부가 한국에 걸맞은 독립적인 전문적인 정부조직과 제도를 마련할 필 요성을 일깨워주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한국 국내 항공법의 근간인 1961년- II - 단일 항공법체제가 2016년 항공법 분법으로 기능적 분리가 된 이후 최 근 국적항공사의 외국인 임원 문제, 국적항공사에 대한 역대 최대 과징 금 부과와 이에 대한 불복으로 인한 행정소송(심판) 등 사회적 논란을 겪으면서 현재의 민간항공 사무를 관장하는 정부조직은 점차 다양하고 복잡해지는 민간항공 분야에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행정 수행에 한계 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 이에 민간항공분야를 독자적으로 관장하는 항공청의 신설을 주요국 가의 항공당국 조직 및 국내 전문부처 발전사례와 비교를 통해 살펴보 고 국제성과 전문성이 요구되는 민간항공분야의 특성을 고려하여 포스 트코로나 시대에 맞춰 민간항공분야에서 근본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항공행정을 전담할 수 있는 독립적인 전문부처 신설에 대해 본 논문을 통해 제언하고자 한다. Reconstructing Civil Aviation Authority in Korea under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law and policy-oriented analysis The aviation industry is known as a high-growth industry with high technology and capital concentration, and it is also a rapidly developing sector that is sensitive to technological change.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System, which started with the Paris Convention in 1919, developed into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Convention in 1944 following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xpansion of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services after World War II. In terms of the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treaties in Korea, international standards set through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Convention system regulate the domestic civil aviation service market in the form of domestic legislation. Recent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aviation industry network paradigm due to the COVID-19 pandemic have been calling for the need to strengthen fundamental competitiveness to overcome the crisis of civil aviation. In other words, securing expertise and implementing responsible administration is in line with the trend of fostering air transportation as a national strategic industry, like the United States, beyond the crisis of civil aviation. It is pointed out that Korea's current aviation relations law and organizational system have been influenced by neighboring Japan in terms of route-dependent characteristics due to historical factors, and the influence of path dependence and system continuity is still reaching the present. Meanwhile, this reminds us of the need for the government to set up an independent professional government organization and system suitable for Korea in the civil aviation sector, away from existing route dependencies. The recent issues of foreign executives of national airlines, the imposition of the largest fine ever for national airlines, and administrative litigation (judgment) caused social controversy. Also, the single aviation law system was functionally separated in 2016,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current government organization in the civil aviation field has limited effective and systematic administrative performa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aper was to analyze the establishment of the Civil Aviation Administration, which independently oversees the civil aviation sector, through comparison with the aviation authorities of major countries, and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specialized administration that can secure fundamental competitiveness.

      • 한국항공사 승무원의 커뮤니케이션과 서비스 품질이 중국인 승객의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손새영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한국 항공사의 한국인 항공사 승무원이 제공하는 언어․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문화적 차이가 있는 중국인 승객이 지각하는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제시된 변수에 대한 집단별 만족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내항공사를 이용한 중국인 승객과 한국인 승객의 응답을 함께 표집하여 최종적으로 중국인 61명, 한국인 44명의 설문 데이터가 사용되었으며, 가설 검증은 SPSS 17.0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첫째, 한국인 승무원의 커뮤니케이션 하위 5가지 요인들(언어, 신체언어, 신체외형, 유사언어, 공간언어)은 중국인 고객의 지각된 서비스 품질에 모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인 승무원의 커뮤니케이션 하위 요인 중, 신체언어와 언어적 요인만이 중국인 승객의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한국인 승무원의 서비스 품질 모든 요인(신뢰성, 공손성, 신속성)은 중국인 승객의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하위 요인 중 신속성이 가장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커뮤니케이션 요인들과 서비스 품질 요인에 대한 중국인 승객의 평균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신체외형이 가장 높았고 언어적 요인이 가장 낮았다. 다섯째, 중국인 승객의 개인적 속성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성승객이 여성보다 평균 만족도가 높았고 비언어적 요인(신체언어, 신체외형, 공간언어)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언어에 따른 차이에서는 영어 사용이 가능한 중국인 승객이 중국어만 사용하는 승객의 평균 만족도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급증하는 중국인 승객에 대한 한국인 항공사 승무원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향후 개선 방안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한국의 공항슬롯(Slot)정책개선에 대한 연구 : 항공종사자 및 전문가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정성진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Although the airline industry is temporarily faltering due to the corona virus pandemic, the demand for air travel, which has been suppressed, is expected to explode if mass immunity through vaccination becomes a reality. On June 17, 2021.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began the era of four runways. As the number of runways increases, airport capacity will increase, but the peak capacity will still be limited. Therefore, it is time to improve airport capacity through improvement of slot policy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expand the capacity of airport facilities indefinitely, althoug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apacity of airport facilities.- 86 - With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not providing unified guidelines for slots, the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IATA), a collection of airlines, has established a slot guideline to classify airports around the world as level 1, 2, and 3 airports. However, the increase in air traffic initiated by the U.S. Open Sky policy to leave air transportation to supply-demand-based market functions has made it difficult for new airlines to enter due to existing airline vested interests. As a result, the UK, the US, and Europe began to introduce a market mechanism system, and the study found that slot exchanges and slot transactions led to a dramatic increase in supply seats, which in turn helped stable airport operations around the clock. An important fact that can be found in the literature study of this paper is that it is time to change. The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s (IATA) slot guidelines and European Union regulations 95/93 were both created before air transport liberalisation was activated and airports became as congested as they are now. Since then, a large number of new entrants, including low-cost airlines, have entered the market with new business models, lowering air travel prices, and increasing passengers significantly. Existing operators have also been able to operate more efficiently, partly thanks to alliances, mergers, and joint venture businesses. Despite these many changes, we are still facing the year 2030 with a vested slot policy that was established 28 years ago.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o keep pace with international trends, rather than just complacent with existing guidelines, this researcher proposes that Korea's airport slot allocation and coordination procedures are as follows. As 87.6% of the surveyed respondents said they needed improvement in slot policy and agreed with the introduction of congestion pricing, slot trading, and slot lease schemes, they propose to change policies so that slots can move efficiently. 87.6% of the surveyed respondents said they needed to improve their slot policy and supported the introduction of congestion pricing, slot trading, and slot lease systems. In particular, I propose the introduction of Congestion Pricing for stable airport operation through air traffic mitigation in peak hours. 공항은 특성상 매시간 많은 항공기가 진·출입한다. 그 중 제3종 공항이 라는 혼잡 공항은 주기장 부족 등 시설용량 부족이나 기상악화 등 비정상 상황 발생 시 항공기 운항이 제한됨에 따라 에어사이드 혼잡도가 극에 달 하기도 하여, 슬롯정책 개선이라는 주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인천공항 제2터미널이 개장하기 전 2017년 상반기 슬롯 초과운용 횟수 는 82회에 달해 항공기 지연운항이 일상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보고 정책 의 문제인지 운영절차의 문제인지에 대한 의문점을 가지게 되었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전 세계에 180개의 제3 종 슬롯통제공항이 존재하는데 그중 50곳이 아시아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고 한다. 따라서 네트워크로 가동되는 항공기 운항 특성상 각 국가의 슬롯정책은 타 혼잡공항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전반적인 검토와 연구가 필요하 다. 현재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슬롯에 대한 통일된 지침을 제시하 지 않는 상황에서, 유럽연합은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서 수립한 슬롯 가이드라인(WSG)을 초안으로 1993년 유럽위원회 슬롯규정(EEC No 95/93)을 공표하여 유럽공항 및 전 세계 공항의 비행지연을 합리적인 수 준으로 억제하는 데 활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 제도는 항공교통량이 혼잡 하지 않을 때 설계된 모델이라 2000년대 들어 항공교통량이 대폭 증가한 현 상황을 반영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슬롯배정시스템의 기득권 조항이 저비용항공사들에 대해 기존 항 공사에 유리하게 작용해 항공사 간 경쟁을 억제해왔다. 그로 인한 해결책으로 영국, 미국, 유럽의 항공선진국들은 시장 친화적 시스템 도입을 시작하였고, 가장 먼저 시작한 런던 히드로 공항은 모범적 으로 시장 매커니즘적 시스템을 도입하여 안정적으로 활용하고 있어 슬롯 정책의 발전방향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영국의 경우 정부 주도로 슬롯을 배분하는 것이 아니라,독립법인인 ACL(Airport Coordination Limited)에 의해 슬롯조정을 담당하게 함으로 써 투명성과 공정성을 기하고 있다. 또한 슬롯의 이차거래(Secondary Trading)을 허용하여 슬롯의 교환, 매 매, 리스(lease) 가능하도록 ACL의 웹포탈 "slottrade.aero"를 개설하여 슬 롯거래완료 정보와 각 항공사 간 한 주간 거래된 슬롯의 수 등 구체적 정 보를 제공 함으로써 모든 이해 관계자가 쉽게 슬롯에 접근하도록 하여 각 항공사 별 최적화된 슬롯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영국 민간항공국(CAA)에 따르면, 2016년 런던 히드로공항의 경우 슬롯 풀(pool)에는 22개의 슬롯만 있었지만, 이차 거래시장의 활성화로 10배인 224개의 슬롯이 거래되었다고 한다. 미국의 경우 대부분의 공항은 공역의 제한이 없는 관계로 선착순 (First-come, First-served)기반으로 공항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뉴욕 JFK, 뉴왁(Newwark) 공항 등 소수의 공항만 제3종 공항으로 지정되어 있어 영국처럼 활성화 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연방항공청 (FAA)도 Buy&Sell 규칙을 수립하여 적용하여 왔고 슬롯경매 제도 도입 을 추진하는 등 이차거래제도 도입에 적극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항공선진국들은 선제적으로 시장 매커니즘 적 시스템을 도입하여 실증적으로 운용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여 우리나 라도 곧 도래할 메가 교통량 시대를 대비하여 기존의 기득권 슬롯과 더불 어 시장매커니즘적 시스템 도입을 주장하고자 항공종사자 및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선호도를 조사한 후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조사결과, 설문대상자 중 87.6%가 슬롯정책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하 였다. 세부 변수로 혼잡가격제, 슬롯매매, 슬롯리스 제도 도입에 찬성하는 지 문의한 결과 제도 개선을 하자는 응답이 다수의 의견으로 나타났으므 로, 기득권 및 슬롯 풀(pool)제도를 기반으로 하고, 슬롯 교환, 양도, 매매, 리스 제도와 혼잡가격제(Congestion Pricing)를 도입하여 슬롯의 24시간 고른 분산효과를 이끌어 내고 효율적이고 안정적 자원관리를 통한 슬롯정 책이 도입되길 기대해 본다.

      • 창정비 결함분석을 통한 해상초계기 운영유지 및 감항성 개선방안

        박민수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actual depot level maintenance defects of military aircraft that are expected to be operated for a long time,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airworthiness maintenance for securing flight safety of long-term operation aircraft. In order to maintain continuing airworthiness of military aircraft considered for long-term operation, the establishment of follow-up military logistic support measures should first be considered, and the main focus of follow-up military resources is to establish effective maintenance measures using the resources (repairs, support equipment, personnel) to maintain the aircraft. Accordingly, each military has various aircraft management tools in the long-term operational perspective, such as cost-effect analysis, aging aircraft defect analysis, and total life cycle system management. Efforts are being made to maintain aircraft operation costs and operational performance requirements. The current maritime patrol aircraft operated by the South Korean Navy is a key force in naval aviation. Since its initial introduction in 1995, it is expected that further operations will be carried out through the life of the aircraft by 2024. With the extended life of the aircraft, the maritime patrol aircraft will be able to operate for an additional 15,000 hours of flight time and 20 years of additional operation beyond the design life of 29.5 years after the initial deployment. Accordingly, maritime patrol aircraft are required to establish operational measure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establish countermeasures to operate the aircraft from the viewpoint of long term operation. The long operational operating hours of the maritime patrol aircraft, and the continuous exposure environment of the sea salt, will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structural aspects of the aircraft from a long-term operational perspective. This study considered ways to improve airworthiness maintenance against the long-term operation of maritime patrol aircraft by utilizing the actual defect data of the depot level maintenance, which is the level of the overhauls that can confirm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aircraft.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ecuring flight safety for the long-term operation of not only maritime patrol aircraft but also aging aircraft. 본 논문에서는 장기운용이 예상되는 군용항공기의 실제 창정비 결함 사례를 분석하여 장기운용 항공기의 비행안전 확보를 위한 감항성 유지업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운용되는 군용항공기들은 수명주기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로 군용항공기의 장기운용을 고려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운영방안이 요구된다. 군용 항공기의 장기운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항공기 안전성 확보를 위한 감항성(堪航性)의 지속적인 유지일 것이다 장기운용이 고려되는 군용항공기의 지속적인 감항성 유지를 위해서는 후속군수지원 대책 수립이 먼저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후속군수지원에 있어서의 주안점은 항공기를 유지할 수 있는 보유자원(수리부속, 지원장비, 인력)을 활용한 효율적인 정비대책 수립이다. 이를 위해 각 군에서는 장기운용 군용항공기의 비용대 효과분석(Cost-Effect Analysis), 노후 항공기 결함분석, 총수명주기관리(Total Life Cycle System Management) 도입 등, 장기적 운용관점에서 다양한 항공기 관리도구를 통해 항공기 운영유지비용, 작전 요구성능 관리 등에 노력하고 있다. 현재 한국 해군이 운용중인 해상초계기는 해군 항공의 핵심전력이다. 1995년 최초 도입 후 현재까지 지속 운용중으로 2024년 경 항공기 수명연도가 도래하며 항공기의 기체수명연장사업을 통해 추가적인 운용이 예상된다. 항공기의 수명연장을 통해 추가 운영시, 해상초계기는 최초도입 후 설계수명인 29.5년을 넘어 비행시간 15,000시간, 20년의 추가운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해상초계기는 장기운용 관점의 항공기 운용대책 수립이 요구되는 바이다. 해상초계기의 장시간 작전 운용시간, 지속적인 해상 염분의 노출환경은 장기적 운영 관점에서는 항공기의 구조적 측면의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기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기체 오버홀(Overhaul) 수준의 정비단계인 창정비의 실제 결함데이터를 활용하여 해상초계기의 장기적 운용을 대비한 감항성 유지업무의 개선방안을 고찰하였다. 이는 해상초계기 뿐만 아니라 노후 항공기의 장기운영을 대비한 비행안전성 확보 방안으로 기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의 연구 범위는 다음과 같다. ● 국내외 군 감항성 유지업무 현황 조사 ● 한국 해군 해상초계기의 운용 데이터 수집 ● 해상초계기 창정비 결함현황 분석 ● RCM(Rea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분석을 위한 실제 운용데이터의 정량적 매개변수 설정 ● 해상초계기 창정비 결함데이터의 매개변수(결함심각도, 결함빈도, 정비소요비용)화 수행 ● 결함데이터의 결함심각도, 결함빈도, 정비비용 기반의 항공기 시스템 RCM 분석절차 수행을 위한 정량적 기준 제시 ● 정량적 기준에 의해 분류된 분석시스템에 대한 RCM 수행절차 제시 ● 한국군 감항성 유지업무의 제도적 미비점 도출 및 개선방안 제시 본 논문에서는 수명연장을 통해 장기운용중인 해상초계기의 창정비시 발생한 실제 결함데이터를 활용하여 RCM(Rea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분석 수행을 위한 고장심각도, 고장발생빈도, 정비소요비용 등을 정량화시켜 이를 수준화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RCM 분석대상을 식별하고 향후 장기운용이 예상되는 노후 항공기의 기술적 측면의 감항성 유지업무의 개선를 위한 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도적 측면에서의 무기체계 장기운용을 위한 감항성 유지업무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첫째로 국내외 군 감항성 유지업무 현황에 대한 주요 항공 선진국 사례들을 조사하여 한국군에 적용이 가능한 기술감항과 연계된 감항성 유지업무 정책수립의 세부적 방안과 조직구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과 발맞춘 선진 군수체계 수립을 위해 빅데이터 기반의 항공기 예측정비 강화를 위한 세부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 항공서비스관련학과 교육과정 경험이 신입교육훈련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하수현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우리나라 국민의 소득이 상승함에 따라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주5일제로 접어 들면서 여가시간의 증가로 인해 항공여행객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저가 항공사(LCC, Low Cost Carrier)의 등장과 기내에서 전화뿐만 아니라 와이파이까지 되는 최신형, 초대형 항공기의 도입에 따른 항공 산업의 규모도 눈에 띄게 커지고 있다. 항공 산업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자연스럽게 객실 승무원의 수도 증가를 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대학별로 항공사 승무원을 배출하기 위한 항공서비스관련학과들이 속속들이 생겨났다. 서비스 산업의 대표 분야인 항공 산업은 무엇보다 인적자원의 역할이 크기 때문에 서비스 마인드를 기본으로 한 인적 자원을 뽑는 일이 가장 중요한 일일 것이다. 따라서 보다 일찍 승무원이 되고자 하는 학생들이 더 많은 준비를 한다는 점에서 항공서비스관련학과의 경험은 매우 중요할 수 있다. 항공 산업의 이해도가 높고 서비스에 대한 적응력 수준이 높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A항공사의 12주3일간의 신입승무원 교육훈련중인 신입훈련생을 대상으로 신입직무교육과정에서 느끼는 과정 이해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항공관련학 졸업생과 비전공자의 차이에 대해 연구해 보고 자기향상감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함께 연구하고자 한다. 한가지 더, 만약 항공서비스관련학과의 경험자가 비 전공자에 비해 이해도와 만족도가 높을 경우 그 결과는 당연히 항공서비스관련학과에서 배우는 교육의 결과일 것이라 판단 되어 그 교육경험이 아닌 기내 안전 상황 발생시 갑작스런게 겪게되는 긴급상황 대처역량 교과목에서는 그 차이가 좁혀지지 않을까 하는 합리적 의문을 가지고 연구해보고자 한다.

      • 항공기 조종사 수급시장의 특성 및 양성방안

        김학재 한국항공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항공우주 관련 기술의 발달, 생활 소득수준의 향상, 보다 빨리 소비시장에 제품을 출시해야 하는 산업계의 변화 등으로 항공운송산업은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비행기 제작 기술의 발전은 많은 사람을 먼 거리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우리나라의 항공운송산업도 1969년 대한항공이 탄생한 이후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국적기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사세를 확장하여 왔고 특히, 1980년대 해외여행 자유화, 1988년 제2 민항인 아시아나항공의 설립 등으로 급격한 발전이 이루어 졌다. 최근에는 지방을 근거지로 한 저가항공사가 취항을 하였거나 취항을 준비 중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항공운송산업의 외형적 성장과 함께 항공기를 조종하는 조종사에 대한 확보가 이슈화 되고 있다. 항공사의 다른 직종과 달리 양성하기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교육기간이 장기간이라는 점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는 비행교육학교나 관련기관, 양성을 위한 제도 등이 아직 선진화 되어 있지 않아 연간 항공사가 필요로 하는 인원 만큼의 조종사를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조종사를 양성하는 기관으로는 군과 대학이 있는데 군은 공군과 해군에서 비행기 조종사를 양성하고 있고, 한국항공대학교와 한서대학교에서 대학교 재학생을 상대로 조종사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공군과 해군은 임관 후 약 10여년 후에 전역이 가능하고 군대라는 특수 조직에서 양성하는 관계로 민간항공사의 수요를 고려하여 인원을 조절하지 않는다. 대학교에서 양성된 조종사는 공군의 학사장교로 임관하거나 항공사로 입사하여 민간항공기를 조종하고 있다. 과거에는 항공사에서 자체 교육기관을 운영하여 소요되는 조종사를 양성하였지만 최근에는 예전과 같은 양성 프로그램 운영은 하지 않고 있다. 오히려 항공사의 조종사 입사 기준이 변경되어 운영되고 있으므로 개인이 비행 교육을 이수하고 기본자격증명을 취득한 사실 만으로 민간 항공기 조종사가 되기 위한 충분 조건을 갖췄다고는 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현실과 항공운송산업의 미래를 고려하여 조종사를 원활히 수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종사 교육은 많은 요소가 투입되어야 한다. 그러나 제반 자원의 투입 외에 더 중요한 것은 현재의 항공관련 각종 제도와 정책이 조종사양성을 위해 적극적이고 합리적인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비행교육여건이 좋지 않은 우리나라에서 비행교육을 활성화하여 조종사를 양성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하고 관계자들이 인지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우리나라의 항공우주산업이 발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자원인 조종사를 보다 더 많이 양성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항공사에게는 원활한 수급이 가능하도록 자격과 경험을 갖춘 조종사를 공급하고, 개인에게는 일자리 창출, 적절한 비행교육 제공, 그리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개인의 경력을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자는 것이 이 논문의 취지다. 우리나라에서 조종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항공관련 정부기관은 기본적인 교육과 자격을 취득할 수 있도록 비행교육기관을 설립하고 항공 관련 각종 체제를 정비하며 기업은 필요로 하는 수준의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Air transport industry have been made a remarkable progress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aerospace-related technologies, improvement of income level, and industrial changes trying to launch new products to market more quickly. The development of aircraft manufacturing technology enables many people to move in the distance quickly and safely. Air transport industry in Korea has been expanded since Korean air inaugurated its business in 1969 and implemented a key role as national flag carrier. Especially it had made rapid development in the 1980s due to the liberalization of overseas travel and the foundation of Asiana airline which is the 2nd civil aviation company of Korea. In recent years, some LCCs (low cost carriers) based on local airports have started service and others have been preparing service; therefore the continuous growth of low cost carrier will be expected. Currently, securing pilot resources are very important issues with the physical growth of air transport industry. Unlike other occupations in the airline company, pilot training requires much costs and long term education period. Moreover flying school and its related organization, training system are not yet advanced to the needs of airline’s annual requirement. There are two institutions to secure pilot resources; militaries and universities. Both air force and navy have been training pilots, meanwhile Korea Aerospace University and Hanseo University have been performing pilot training for their students respectively. Approximately 10 years are required to get out of the air force and navy, and the demand for pilots to the private sector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because they have been trained in the special military organization. Pilots trained in the university either join the air force after graduation as an officer or enter into the civil aviation company. In the past airline company established training organization for pilots; however the training program is not valid anymore. Furthermore becoming pilot in civil aviation company is more difficult even though he/she completed pilot training at his/her own expenses because the company adopts more difficult conditions when he/she joins as a pilot. I would like to suggest an idea to facilitate the supply and demand of pilots in consideration of the reality of our country and the future of air transport industry. Pilot training should be put more resources,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review airline related system whether it is active and rational for the training of airline pilots. I would like you to know what is needed and what officials need to aware of in order to train pilots by activating flight training in our country which flight training conditions have not been good. I do not mention that all of airline’s pilots must be Korean in the globalization era. By establishing effective policies to train more pilots who are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our aerospace industry, airlines could plan for a smooth supply and demand of qualified and experienced pilots, individuals could find more job opportunities such as flight training for pilots as well as manage job career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Both government and airlines are responsible for pilot training. To establish better training system and organization in order to acquire basic training and qualification are for the government officials, otherwise airlines should take every necessary action to ensure the appropriate level of resources. Finally the goal is to establish policies to facilitate core resources which are needed to the development of air transport industry.

      • 국내 조종사 양성 전문교육기관 제도 분석 및 개선방안연구

        김욱현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조종사 양성을 위한 전문교육기관(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부속서 1(항공종사자 면허) 국제표준 및 권고사항과 1983년 제정된 ‘Manual o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Aviation Training Centres(ICAO Doc 9401-AN/921) 그리고 Manual on the Approval of Training Organizations(ICAO Doc 9841.)를 근거로 운영되는 항공종사자 양성 교육제도로서 항공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부족할 것으로 예상하는 항공종사자를 체계적인 교육을 통하여 우수한 인력을 항공산업 분야에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제도이다. 우리나라는 1986년에 최초로 한국항공대학교가 조종사 양성을 위한 전문교육기관을 지정받았고 그 이후 항공운항학과가 설치된 일부 대학교들이 지정받아 전문교육기관 제도를 통해 조종사를 양성해왔다. 2017년 10월에 조종사 양성을 위한 훈련기관은 전문교육기관 제도에서만 비행훈련이 가능하도록 항공안전법 48조(전문교육기관의 지정 등)가 개정되어 전문교육기관으로 지정받지 않은 대학교 소속 비행교육원과 사설 비행교육원 전체가 전문교육기관으로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종사 양성 훈련기관이 일원화된 전문교육기관 제도로 운영됨에 따라 교육 체계 및 조종사 자격증명 취득을 위한 학과교육 및 실기교육에 관련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사항을 제시할 수 있도록 비교적 전문교육기관 제도가 잘 정착된 국가인 미국. 유럽, 캐나다, 호주와 인접 국가인 일본과 중국과 동남아 국가를 연구 대상에 포함하여 전문교육기관 현황과 국가별 법·규정, 전문교육기관에서 조종사 자격증명에 따른 수료 및 취득 조건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전문교육기관 제도의 차이점을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해당 분야 종사자에게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첫 번째, 전문교육기관 법·규정 및 운영과 관련된 개선사항으로 조종사 양성 훈련제도를 전문교육기관에서만 가능하도록 법·규정이 개정됨에 따라 조종사 양성 훈련기관과 교육생은 전문교육기관 제도에 따른 훈련을 진행할 수 없어 훈련에 따른 제한사항이 대두되고 있어 이를 해소할 방안이 필요하다. 두 번째, 전문교육기관 운영과 관련된 규제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국토교통부와 조종사 양성 훈련기관과 상호 의사소통을 강화하여 전문교육기관의 운영과 관련된 불필요한 규제를 확인하고 해소할 수 있도록 상호 노력해야 한다. 세 번째, 과도한 학과교육 시간에 관련된 개선사항으로 우리나라 전문교육기관은 자가용 및 사업용 조종사 학과교육 시간이 다른 국가에 비해 많은 교육 시간을 요구하고 있다. 조종사 자격증명 취득에 따른 필요한 학과교육 시간을 분석하여 현행 학과교육 시간을 변경해야 할 필요가 있다. 네 번째, 조종사 자격증명에 따른 실기교육 과목의 비행경험과 관련된 사항으로 조종사 자격증명에 따른 실기교육 과목마다 동승비행시간, 기장 또는 단독비행시간으로 구분되어 실기교육의 융통성을 저해하고 있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표준 및 권고 사항에서 요구하는 특정 비행경험을 충족하는 경우 전문교육기관에서 조종사 자격증명을 취득할 수 있도록 개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9개 국가의 전문교육기관 제도 및 조종사 자격증명 취득을 위한 학과 및 실기교육 등을 비교‧분석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해결방안을 최초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The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ATO) is an pilot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commendations of ICAO Annex 1 and Manual on the Approval of Training Organizations (ICAO. Doc 9841). The purpose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ATO) is to supply excellent Airmen to the aviation industry through a relatively systematic training system for airmen who are expected to be insufficient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aviation industry. In Korea, Korea Aerospace University was designated as the first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 to pilots Training in 1986, and universities with Flight operation(Aeronautical Science) departments have been designated by the state since then to pilots training under the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ATO) system. In October 2017, Article 48 of the Aviation Safety Act (designated as a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 was revised to allow flight training only in the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 system, and the entire university flight Training center and private flight Training center were designated as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 In this study, as the pilot training center is operated as a unified Approved Training system, it is relatively specialized in order to derive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s related to the Training system and Aviation Knowledge class and practical Training for obtaining pilot certificates. Including countries with well-established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such as the United States, Europe, Canada, and Australia, as well as neighboring countries Japan and China, and other Southeast Asian countries, the current status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national laws and regulations, and pilots in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Comparis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with the pilot training system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in Korea in relation to the conditions for completion and acquisition according to the Pilot certificat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 survey was conducted on Airmen in the Aviation industry field to derive the following improvements. First, As the laws and regulations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have been revised to allow the pilot training system only at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pilot training center and trainees cannot conduct training under the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 system, and there is a need to resolve this.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regulat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Mutual efforts shall be made to identify and resolve unnecessary regulat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by strengthening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pilot training centers. Third, as an improvement related to excessive knowledge class hours, Korean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require more knowledge class hours for private and commercial pilot courses than in other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urrent knowledge class hours by analyzing the knowledge hours required for aviation knowledge of trainees according to pilot certificates. Fourth, it is related to the flight experience of the practical training subject according to the pilot certificates, and it is divided into dual flight time, captain, or solo flight time for each practical Training subject according to the pilot certificates, hindering the flexibility of practical training. Amendments are needed to ensure that pilot certificates are obtained from specialized training institutions when specific flight experiences are met as required by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standards and recommendations. If the flight experience required by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standards and recommendations is satisfied, improvements are needed to obtain pilot certificates from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found improvements and suggested solutions for the first tim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ystems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 in nine countries and knowledge class and practical training to obtain pilot certificates.

      • 한국공항공사의 R&D 사업 추진 전략에 관한 연구 : AHP 분석을 통한 항행안전장비를 중심으로

        김병노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한국공항공사의 R&D 사업 추진 전략에 관한 연구 - AHP 분석을 통한 항행안전장비를 중심으로 - < 국문 요약 > 항행안전시설은 항공기의 안전 운항을 지원하는 필수시설의 하나이며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등 항공규제기관에 의해 엄격히 관리되는 첨단시설로서, 전 세계적으로도 소수의 글로벌 기업만이 개발․생산하는 수준 높은 항공산업분야이다. 김포국제공항을 비롯하여 우리나라 14개 공항을 건설․운영하는 한국공항공사는 지난 30여년간의 공항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항행안전시설 분야 R&D를 시작하여, 항행안전 장비를 개발한 세계 최초의 공항운영자로 기록되고 있다. 공항공사도 처음에는 공항을 운영하면서 기존 항행안전시설이 가진 고비용․하자 보수 지연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D를 시작하였으나, 현재는 해외시장 진출을 통한 수익증대 뿐만 아니라 공항운영자로서의 위상 제고에도 기여하는 공항공사의 신 성장 동력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정부에서도 공기업의 해외사업 진출을 적극 장려하고 있으며, 특히 R&D를 통한 공기업의 해외진출은 국위선양에도 매우 긍정적인 공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항공사의 R&D 사업 확장에 따른 우선투자 대상 선정과 이에 따르는 마케팅 전략에 관해 연구하는 것이다. 먼저 선행연구 및 사례분석을 통해 세계 항행안전시설 시장구조 및 주요 경쟁기업의 동향 파악, 그리고 최근의 기술발전 경향에 관해 분석해 보는 것이다. 이어서 현재까지 추진되고 있는 공항공사의 R&D 추진 내용을 항행안전시설 분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향후 R&D 사업 추진 전략에 관해 분석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이다. 이를 위해, 시장분석 및 수요전망을 통해 장비 분야별, 업체별, 국가별 시장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현재의 공항공사의 개발 역량을 고려하여 향후 R&D 개발 아이템에 관한 개발 우선순위에 관해 연구해 보았다. 또한, 제품 판매를 위한 체계적인 마케팅 전략에 관해 분석하는 것도 본 연구의 목적이 될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병행하여 추진하였다. 먼저, 문헌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논문이나 단행본을 참고하였고, 특히 그동안 공항공사에서 몇 차례 수행하였던 R&D 및 해외사업 관련 연구용역 결과 보고서를 주로 참조하였다. 그리고 R&D 아이템에 관한 우선순위 결정을 위해서는 해당 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AHP 기법을 통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공항공사의 R&D 추진현황에 관해 분석해 본 결과, 공항공사는 공항의 관리 운영이라는 기본적 임무뿐만 아니라 그동안의 공항운영 경험을 통해 축적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첨단항행안전장비 개발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 온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항행안전시설 분야에서는 세계적으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현재까지 ILS 등 8종을 개발 완료하였고, GBAS 등 3종을 개발 중에 있으며, 향후에도 개발 아이템을 확대시켜 나갈 계획이다. 또한, 개발 아이템 우선순위 결정을 위하여 현재 공항공사에서 계획 중인 9가지 아이템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AHP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평가기준별 상대적 중요도에서는『기술성』,『경제성』,『시장성』,『관리성』순으로 나타나 예상대로『기술성』이 개발 아이템 우선순위 평가의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효율적인 R&D 추진 전략 도출을 위하여 4가지 마케팅 환경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R&D 사업 추진에 관한 6가지 전략방안을 제시하였다. 전체적으로 공항공사의 경우 자체 필요성에 의해 R&D가 시작되었으나, 결과적으로는 공항공사의 신 성장동력 사업의 하나로 확실히 자리매김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공항공사가 R&D 추진과 관련 많은 장점과 기회를 가지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글로벌 업체와의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하고, 브랜드 인지도가 취약한 점 등 많은 약점과 위협이 존재하므로, 향후 보다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마케팅 추진 방안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연구 범위와 관련 공항공사의 R&D 중 항행안전시설이 가장 핵심적인 분야이긴 하지만, 향후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특히 최근의 세계적인 추세인 통합 솔루션 전략 추진을 위해서는, 항공등화 등 기타 분야에 대한 연구 검토도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가 대부분 문헌조사 위주로 수행되어, 향후에는 보다 다양한 실증분석을 통한 구체적 방안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이 전문직관, 전공만족,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손태복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This research is analysis of the impact on cultur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s on professional values, major satisfaction, and self-confidence in getting a job through empirical-positive approach. This study aims to present methods in giving competitive edge to airline service students by focusing on the cultur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s, which has rarely been covered in precedent studies, and understanding how cultural competenc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ofessional values, major satisfaction, and self-confidence in job-seeking, in order to present methods in giving competitive edge to airline service students.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new airlines, including low-cost carriers, has led to a growing demand for airline cabin crews, followed by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hoping to major in aviation services all over the country. In line with the rapid changes occurring in the aviation industry, airline service related department are being newly established, and changes are being attempted in many ways within the existing related departments and education systems in order to make them more efficient. The role of cabin crew in the aviation industry is also increasing, and as flight attendant's field of action demands professionalism whilst providing service and safety at the same time, cabin crew are required to complete high-level safety training and service manual training regularly throughout their tenure. In response, the university's airline services related departments are trying to provide efficient and differentiated education measures to foster competent human resources that meet the internal and external requirements of airlines’ cabin crew members. Development of a systemized program should be carried out at the school level that can increase airline service major students’ willingness to engage in foreign cultures, flexible response capability to cultural differences, and efforts made to understand and empathize with differences, coping ability when confronted with unfamiliar culture. In particular, the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of foreign cultures can b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qualities of cabin crews, since, cabin crew’s duties consist of traveling around the world and communicating with various people from various cultures. In order to improve global perspective, efforts should be made through various practical program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foreign language courses, cross-cultural training, and global manner curriculum. Not only this, but also programs such as oversea foreign language learning program, airline internship programs and student exchange programs that could strengthen cultural experiences should be developed and established at the school level. In this paper, an empirical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s currentl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draw empirical conclus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28 to August 30, 2020, and survey methods were selected by survey subjects; either manual distribution or online survey. While a total of 39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but 388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which did not include 2 dishonest and unfaithful surveys. The following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tatistical software programs; SPSS 21 and AMOS 21 for empirical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The test results of the hypothesis verification and the differences of the cultural competence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whether the cultural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rofessional values as cabin crew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willingness to engage and cultural empathy, which are sub-variables of cultural competence, have a significant affective(+) impact on professional values, while, cognitive flexibility/openness and self-efficacy have no effect on professional values. Second, whether airline service majo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 values has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major was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professional values have a significant affective(+) influence on both the satisfaction of curriculum, and the cognitive-satisfaction, which are sub-variables of the satisfaction with major. Third, analysis were made to determine whether airline services related major students’ perception of satisfaction with major significantly affects self-confidence in job-seeking, Analysis showed that; satisfaction of curriculum and cognitive satisfaction, sub-variables of satisfaction in major have significantly affective(+) impact in work environment confidence, which is a sub-factor of confidence in getting a job. In addition to this, the sub-variables of satisfaction in major; satisfaction of curriculum and cognitive-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affective(+) influence on both self-confidence in getting a job and confidence in interview ability. Fourth, the analysis results of differences in cultural competence awareness of airline service related major students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s as follows.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women and men based on willingness-to-engage, cognitive flexibility/openness, self-efficacy, and cultural empathy, which are sub-factors of cultural competence, only cognitive flexibility/openne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 with women showing higher perception. In contrast; willingness-to-engage, self-efficacy, and cultural empath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cultur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school in which students are enrolled, only cultural-empathy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our-year course university students and two-year course college students. Willingness-to-engage, cognitive flexibility/openness, and self-efficacy showed no difference at a significant level.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cultural competence depending on TOEIC scores students have, and the types of airlines students wish to work in, willingness-to-engage, cognitive flexibility/openness, self-efficiency, and cultural empathy all failed to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 frequency of overseas experiences impacts difference in cultural competency. Result showed that, only the willingness-to-engage factor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and the rest; cognitive flexibility/openness, self-efficiency, and cultural empathy did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By incorporating the results of analysis into the education of airline service related departments, this paper aims to promote students' department adjustment, and department satisfaction. Not only cultivating cultural competence by managing the various experiences accumulated throughout university life, but also by improving students' confidence job-seeking, this research intends to prepare data to nurture globally professional services personnel that can improve their work environment adaptability,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after employment. In addition, by applying the cultural competence research, that were limited to other majors prior to this, to airline service related department student, whom require understanding different cultures, academic implications will be carried as a precedent research.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levation of the status of cabin crew in aviation industry by recognizing the expertise of cabin crews’ professionalism in training, sense of responsibility for safety, and a strong service mentality.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이 전문직관, 전공만족,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선행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진 적 없는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초점을 맞추고, 문화적 역량이 전문직관, 전공만족, 취업자신감에 어떠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우월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문화적 역량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저비용 항공사를 비롯한 신생 항공사의 증가로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수요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항공사 취업기회가 확대됨에 따라 전국에서 항공서비스를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항공 산업의 빠른 변화에 맞추어 대학에서도 항공서비스 관련학과가 새롭게 신설되고 있으며, 기존 관련학과 교육 시스템 내에서도 여러 방면에서 효율적인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항공 산업 분야에 있어 객실승무원의 역할 또한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객실승무직은 안전과 서비스를 동시에 수행해야하는 전문적인 분야인 만큼 항공사 재직기간 내내 고도의 안전 훈련과 서비스 매뉴얼 교육을 정기적으로 이수하고 있다. 이에 대학의 항공서비스 관련학과에서는 항공사가 요구하는 객실승무원의 내적, 외적 요건을 충족하는 역량 있는 인재 양성을 위해 효율적이고 차별화된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들의 타문화에 대한 참여의지, 문화적 차이에 대한 유연한 대응능력,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공감하고자 하는 노력, 낯선 문화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 등을 높일 수 있는 학교 차원에서의 체계화된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업무의 특성 상 세계 각국을 다니며, 다양한 문화 속 다양한 사람들과 소통해야하는 객실승무원에게 있어 타문화에 대한 수용과 이해는 무엇보다 중요한 자질로 평가될 수 있다. 국제적 감각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국어 역량을 비롯한 이문화 이해, 글로벌 매너 등과 같은 다양한 교과 커리큘럼을 도입함은 물론이고, 문화적 경험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해외어학연수, 산업체 현장실습, 교환학생 등 체험 속에서 문화적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학교 차원의 다양한 실습 프로그램들을 개발, 지원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재학 중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 7월 28일∼8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직접 배포 및 온라인 설문방법을 선택하였다. 총 390부를 배포하였고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38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SPSS 21과 AMOS 21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가설의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이 객실승무원에 대한 전문직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화적 역량의 하위 변수인 참여의지와 문화공감은 전문직관에 유의한 정(+)의 영향 관계를 나타냈으며, 인지적 유연성/개방성, 자기효능감은 전문직관과의 영향관계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전문직관이 전공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문직관은 전공만족의 하위 변수인 교과만족과 인식만족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전공만족이 취업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공만족의 하위 변수인 교과만족과 인식만족은 모두 취업자신감의 업무환경 자신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 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전공만족의 하위 변수인 교과만족과 인식만족은 모두 취업자신감의 면접능력 자신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 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문화적 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문화적 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인지적 유연성/개방성만이 여성이 남성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차이를 보였다. 참여의지, 자기효능감, 문화공감은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재학 중인 학교의 형태에 따른 문화적 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문화공감은 4년제 대학과 2년제 대학 재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참여의지, 인지적 유연성/개방성, 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토익성적의 보유 여부와 취업희망 항공사 유형에 따른 문화적 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참여의지, 인지적 유연성/개방성, 자기효능감, 그리고 문화공감 모두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해외경험 빈도에 따른 문화적 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참여의지만이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인지적 유연성/개방성, 자기효능감, 문화공감은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항공서비스 관련학과 교육에 접목한다면, 항공서비스 전공 학생들의 학과 적응과 만족도를 고취시키며, 적극적인 대학생활을 통한 다양한 경험을 기반으로 문화적 역량을 함양함으로써 취업의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취업 후 근무적응도나 직무만족, 서비스품질을 향상함으로써 글로벌한 전문서비스인을 양성할수 있을 것이다. 또한, 타 학과 전공 대학생들에게 국한되었던 문화적 역량에 관한 연구를 타문화가 필수적 요소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에게 적용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지게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객실승무원의 업무에 대한 교육의 전문성, 안전에 대한 책임의식, 확고한 서비스 정신 등을 통한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항공운송 분야에서 객실승무원의 업무의 중요도에 대한 지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핵심어 : 문화적 역량(참여의지, 인지적 유연성/개방성, 자기효능감, 문화공감), 전문직관, 전공만족(교과만족, 인식만족), 취업자신감(업무환경 자신감, 면접능력 자신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