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메탄올 수증기 개질반응에 있어서 하이드로탈사이트 담지 구리 산화물 촉매의 특성 연구
As a renewable energy, hydrogen is receiving a lot of spotlight as an alternative energy source to solve future energy-related issue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as an alternative energy due to the depletion of fossil fuel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worldwide in the modern world. And it is suitable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to prevent global warming. Hydrogen energy has high energy efficiency and cleanliness, and it can solve both energy resource depletion and environmental problems expected in the 21st century. Methanol can be produced on a large scale from syngas, which is made from hydrogen and carbon monoxide, through the reforming reaction of coal or natural gas. In the case of methanol, it is used on a large scale in the overall chemical engineering industry, so it is easy to transport and will replace petroleum in the future. There are several methods for producing hydrogen. In this study, the catalytic reaction characteristics for producing hydrogen using methanol steam reforming were investigated. In particular, nickel and copper,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steam reforming reaction and methanol synthesis, were used as main active metals. As a support, hydrotalcite has a high specific surface area, excellent porosity and thermal stability, and has weak Lewis acid sites and basic properties. Hydrotalcite was used to identify catalysts of methanol steam reforming with catalytic activity and their properties. The prepared catalyst was analyzed f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rough BET, XRD, TPR, and SEM-EDS. As a result of BET measurement, it was confirmed that all of the prepared catalysts had a mesoporous structure, and the specific surface area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as the amount of metal loading increased. In addition, the particle size of catalyts were measured through XRD analysis. In the case of the nickel-impregnated catalyst, the particle size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as the active metal content increased. However, when copper was impregnated, the opposite phenomenon was observed. This is presumed to be due to the binding of the active metal and the support. The prepared catalyst showed a trend of increasing the activity of the catalyst as the content of nickel and copper increased. And it was observed that the catalyst activity was higher in the order of Cu MG70 > Ni Al₂O₃ > Ni MG70. In addition, using the kinetic data provided in the literature through process simulation, it was shown that simulation results are similar to experiment, and for the hydrogen production of 1,060.2 kg/hr, 6,012.0 kg/hr of methanol and 3,380.1 kg/hr of water are required using the 12.31 m³ reactor. It was also found that, carbon dioxide and carbon monoxide were generated 6,811.5 kg/hr and 862.2 kg/hr, respectively. And from the results of the temperature experiment, 20Cu MG70 catalysts of apparent activation energy was calculated as 97.4 kJ/mol and 5.904 × 10^(10) for the pre-exponential factor. When the process simul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calculated values, a similar trend was shown to the experimental results. 수소에너지는 청정에너지로서 향후 에너지와 관련된 이슈를 해결하는 대체에너지원으로서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현재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의 고갈에 따른 대체에너지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며 환경오염 및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환 경 친화적 에너지로서 수소는 매우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수소에너지는 높은 에너지 효율성과 청정성을 모두 갖춘 에너지로써 21세기에 예상 가능한 에너지자원 고갈과 환경오염과 관련된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메탄올은 석탄이나 천연가스의 개질반응을 통하여 수소와 일산화탄소인 합성가스로부터 대규모로 제조할 수 있으며, 메탄올의 경우 화학공학 전반적인 산업에 대규모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수송이 쉽고, 미래에는 석유를 대신하는 에너지원으 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 수소를 제조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로 나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메탄올 수증기 개질 반응을 이용하여 수소를 제조할 수 있는 촉매 반응 특성을 조사하였다. 특히나 메탄의 수증기 개질 반응 시 자주 사용되는 니켈, 그리고 메탄올 합성 시 자주 사용되는 구리를 주 활성금속으로 사용하였으며, 지지체로는 다공성 및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높은 비표면적, 약한 루이스 산점과 염기성을 가지고 있는 하 이드로탈사이트를 이용함으로서 높은 활성을 가지는 촉매와 그 특성에 대해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제조된 촉매는 BET, XRD, TPR, SEM-EDS 기기분석을 통하여 촉매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BET 측정결과 제조된 촉매는 모두 메조포러스 구조를 가진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비표면적은 , 촉매의 담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모두 감소하 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XRD 분석을 통하여 각각 촉매의 활성금속의 입자크기를 측정하였으며. 니켈을 함침한 촉매에서는 활성금속 함량이 증가할수록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하지만 구리를 함침하였을 경우에는 이와 반대의 현상을 나타내었다. 제조된 촉매는 니켈과 구리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촉매의 반응성 또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리고 Cu MG70 > Ni Al₂O₃ > Ni MG70 순서로 촉매의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문헌에서 제공된 겉보기 활성화 에너지 및 전 지수 인자를 사용하여 공정 모사를 한 결과, 본 실험의 반응성과 유사함을 나타내었으며, 반응기 사이즈 12.31m³에서 시간당 1,060.2 kg/hr 생산을 위하여, 메탄올이 6,012.0 kg/hr, 물은 3,380.1kg/hr이 필요하며, 수소이외에도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가 각각 시간당 6,811.5kg/hr, 862.2 kg/hr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온도 실험 결과로부터 20Cu MG70 촉매의 겉보기 활성화 에너지는 97.4kJ/mol, 전 지수 인자는 5.904 × 10^(10)으로 계산 되었다. 계산된 값을 이용하여 공정모사를 수행하였더니 실험결과와 유사한 경향성을 보여주었다.
이재혁 청주대학교 사회복지·공공정책대학원 2022 국내석사
In this study, the cadastral resurvey responsible agency selected and supported a private company, performed cadastral resurvey surveying, and tried to understand the operational status of each process. In addition, after selecting case areas, analyzing operating cases, and deriving limitations, it was attempte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To this end, the research scope and method were established and research was carried ou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Based on the current status review, the study selected a case area and tried to analyze the cases of the actual cadastral resurvey responsible agency and suggest improvement plans. As the case area, Tongdong 2 district in Taebaek-si, Gangwon-do was selected. In the case of case analysis criteria, efficiency was defined as the selection and support of a cadastral resurvey agency. Rationality was defined as the performance and division of cadastral resurvey surveying work by the responsible agency and cadastral resurvey agency. In addition, stakeholder was interviewed to draw up operational limits and to reinforce objectivity in suggesting improvement plans. Based on the case analysis and the derivation of limitations, this study suggested an improvement plan for the operation of the responsible agency. In the section o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cadastral resurvey agency selection and support, a method was proposed to raise the qualitative evaluation score of the cadastral resurvey agency selection evaluation. In order to expand the support of the cadastral resurvey agency, it was suggested to enable automatic linkage installation when LandyGo SW update is performed.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support should be provided through separate budgeting for the portion that is being supported by the cadastral resurvey agency at the level of the responsible agency. In the part of rationalization of cadastral resurvey surveying work performance and division of duties, it was proposed to integrate the installation of temporary boundary monuments and determine boundary monuments. In addition, the performing entity sought the direction of preserving the project cost of the cadastral resurvey agency through joint implementation. In the short term, the improvement plan was suggested in the direction of adjusting the project cost distribution ratio by adjusting the scope of work from a short-term perspective.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t was suggested to the cadastral resurvey agency that the scope of the current cadastral resurvey surveying process should be expanded to the extent possible and the cost of the project should be increased accordingly. The responsible agency should select and outsource the tasks that can be performed at the level of the responsible agency among the duties of the current cadastral office. A separate budget was established at the government level to support the required cost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were suggested. 본 연구에서는 지적재조사 책임수행기관의 민간 대행자 선정 및 지원, 지적재조사측량 수행 및 공정별 업무분장 등에 관한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사례지역을 선정해 운영사례를 분석하고 한계성을 도출한 후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범위 및 방법을 정립하고 연구를 추진하였다.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현황 검토된 내용을 기초로 연구에서는 사례지역을 선정하고, 실질적인 지적재조사 책임수행기관 운영 사례분석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례지역은 강원도 태백시 통동2지구를 선정하였다. 사례분석의 기준의 경우, 효율성은 지적재조사대행자 선정‧지원, 합리성은 책임수행기관 및 지적재조사대행자의 지적재조사측량업무 수행과 분장의 내용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운영의 한계 도출 및 개선방안 제시의 객관성 강화를 위해 이해관계자(지적소관청, 한국국토정보공사, 민간업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사례분석과 한계성 도출 내용에 기초해 본 연구에서는 책임수행기관 운영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적재조사대행자 선정 및 지원의 효율화 부분에서는 지적재조사대행자 선정 평가의 정성평가 점수를 상향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적재조사대행자 지원 확대에 있어서는 랜디고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할 경우 자동으로 연계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책임수행기관 차원에서 지적재조사대행자에게 지원하고 있는 부분의 별도 예산 책정을 통해 지원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지적재조사측량 업무수행 및 업무분장의 합리화 부분에서는 임시경계점표지와 확정경계점표지 설치 작업을 통합하고, 이에 따른 수행 주체는 공동수행을 통해 지적재조사대행자의 사업비를 보전해 주는 방향으로 모색하였다. 책임수행기관의 업무위탁 확대와 연계한 사업비 배분의 현실화 방안은 단기적인 관점에서는 업무범위의 조정을 통해 사업비 배분 비율을 조정하는 방향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장기적 관점에서는 지적재조사대행자에게 현행 지적재조사측량 공정의 업무범위를 가능한 범위까지 확대하고 이에 따른 사업비를 증가시켜 주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상대적으로 업무범위가 감소하여 사업비의 감소가 발생하게 되는 책임수행기관에게는 현재 지적소관청의 업무 중 책임수행기관 차원에서 수행이 가능한 업무를 선별하여 위탁해 주고, 그에 따른 비용은 정부차원에서 별도의 예산을 수립하여 지원하는 방향으로 제도적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We investigated ohmic contact with p-GaN after ITO treatment according to initial ITO thickness. At initial ITO thickness 10 nm, the highest reflectance (99. 7 %) and at initial ITO thickness 30nm, the lowest contact resistivity (3.46×10-3 Ω-cm2) were obtaine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idues which affects the ohmic characteristic and reflectance remained after ITO treatment, through the analysis revealed that was Tin-oxide. The effective barrier height (qφ) of the initial ITO thickness 10, 30 nm were calculated to be 0.195 and 0.046 eV respectively. Based on the previous experimental results, micro-LEDs with initial ITO thicknesses of 0, 10, 30, and 60 nm were fabricated. At 83 A/cm2 average forward voltage was 4.31, 3.29, 3.17, and 3.20 V at 0, 10, 30 and 60 nm respectively. At 83 A/cm2 the average LOP was 1.44, 3.27, 2.89, 2.74 mW at 0, 10, 30 and 60 nm respectively. Increase of Tin-oxide nano-dots, the forward voltage and the LOP decrease.
영화를 활용한 수업이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법과 사회」를 중심으로
이재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 시대에 요구되는 교육방법으로 학습자의 사회수업에 대한 흥미를 높이기 위하여 영화를 활용한 「법과 사회」수업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소재한 인문계 S고등학교 2학년 인문계열 6개 학급 학생 240명이었다. 이 두 학급 중에서 세 학급은 실험집단으로, 세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집단은 남학생이 120명이었고, 통제집단은 남학생이 120명이었다. 실험집단에서는 영화를 활용한 수업을 적용한 「법과 사회」수업을 하였고, 통제집단에서는 전통적 수업을 하였다. 수업처치는 2009년 4월부터 2009년 5월 중순까지 약 6주간 12차시에 걸쳐 이루어졌다. 사후검사는 사전검사와 동일한 검사지를 사용하여 학습동기를 측정하였다. 검사결과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습동기에 대한 t-검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4편의 영화 속에서 「법과 사회」교과내용과 관련된 장면을 편집하고 분석하였다. 편집한 영화들이 수업시간에 활용될 때 학습자의 반응과 문제점 등을 제시하여 교사가 효과적으로 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전검사 결과 통제집단은 3.57점, 실험집단이 3.42점으로 통제집단이 실험집단보다 0.15점 높았다. 이러한 점수 향상의 차이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한 결과, 학습동기의 전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동질집단으로 볼 수 있었다. 영화를 활용한 수업을 적용한 뒤, 사후검사 결과 통제집단은 3.38점, 실험집단이 3.67점으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0.29점 높았다. 이러한 점수 향상의 차이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한 결과, 학습동기의 전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p< .01). 이러한 차이는 영화를 활용한 「법과 사회」수업이 학습동기의 향상에 도움을 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행동을 개시하게 하고 방향을 설정해 주며, 강도와 끈기를 결정하는 힘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영화는 학생들에게 학습동기를 부여하고 교과학습에 좋은 자료일 뿐 아니라, 의사소통활동과 토론의 틀을 마련해준다는 점에서 좋은 교육자료가 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ilms Utilization Plan.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the films Utilization Plan on「Legal and Social」development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Second, was the films Utilization Plan on「Legal and Social」effective for the student's learning motive? In order to verify these hypotheses, the subjects consisted of 240 2th-grade students selected from six classes of an high school in Seoul, Korea. The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n the students's Learning Motive test were given as a pretest. As a resul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treatment program used in this study were drawn from Films Utilization Plan in「Legal and Social」. The learning motive test was used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MSLQ) which was invented by Pintrich & De Groot(1990). The data were by computerization using SPSSWIN 12.0. The ANCOVA was used to verify the hypotheses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4 films utilization plan developmented in「Legal and Social」.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 of learning motive tes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program practic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on enhancement the students's learning motive. This study needs the further study about the films utilization plans training in various areas.
사회복지관평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사회복지관은 운영이 국민의 세금으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기에 복지관의 사회적 역할이나 운영방식의 검증은 당연한 것이고, 투입된 공공재원의 효과성 입증이라는 사회적 책무성에 대한 검증을 받아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 사회복지관에 대한 조사연구를 통해 사회복지관에 대한 합리적인 평가기준과 방법을 파악함으로써 사회복지관 평가가 전문성을 제고하고 신뢰를 받을 수 있는 제도가 되도록 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현재 사회복지관 평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살펴보았고, 사회복지관 평가의 개선을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들이 해결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사회복지관 평가지표에 대한 현장의 의견수렴과 평가지표의 정교화가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관 평가과정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전문평가인력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복지관 평가결과활용에 대한 다양한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사회복지관 평가를 통한 사회복지관의 사기진작과 발전을 위해서 평가인센티브의 수행방법에 대한 변화와 확대가 필요하다. 다섯째, 사회복지관 평가의 대안으로서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와 준비가 필요하다.
오일리스 리니어 컴프레서용 가스베어링의 피스톤 거동 해석 및 측정
최근 기후 변화와 에너지 문제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면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공기 조화 및 냉동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시스템은 압축기, 응축기 등 다양한 기계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압축기는 시스템의 효율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품이기 때문에 압축기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압축기는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이용하여 압축실의 유체를 고압의 상태로 압축하는 기계 부품이다. 압축기는 운동 메커니즘에 따라 크게 2가지의 종류로 나뉘어진다. 크랭크의 회전운동으로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만드는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와 리니어 모터가 직접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발생시키는 리니어 압축기(Linear compressor)가 있다. 리니어 압축기는 크랭크 메커니즘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리니어 모터의 제어를 통해 압축기를 비교적 단순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마찰이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서만 발생하기 때문에 마찰 손실이 적다. 이러한 장점에 힘입어 리니어 압축기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LG전자는 리니어 압축기를 냉장고에서 확대하여 모든 제품에 적용하고 있다. 리니어 압축기의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는 오일이 윤활제로 사용되어 왔다. 오일은 점성이 높기 때문에 피스톤에 비교적 큰 마찰력이 작용하고, 작동주파수의 측면에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오일을 윤활제로 사용하지 않는 오일리스 컴프레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오일리스 컴프레서는 오일 유출에 대한 위험이 없고, 오일로 인한 마찰 손실이 없기 때문에 에너지 소모가 적으며,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소음이 줄어들고 구조적으로 단순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윤활제를 교체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오일을 가스로 교체하기 위해 가스베어링의 원리가 적용된 리니어 압축기의 피스톤 거동 해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스베어링의 하중지지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빠른 상대운동과 높은 점성의 유체가 필요하다. 가스는 점성이 낮고, 피스톤의 왕복 운동의 최대 속도는 3m/s를 넘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하중지지력을 발생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리니어 압축기의 실린더는 외부에서 가압된 공기를 윤활 면에 주입하는 정압 가스베어링의 원리가 적용되었으며, 압축실에서 토출된 가스의 일부분을 재활용하여 실린더의 윤활 면에 공급하였다. 점성이 낮은 가스를 윤활제로 사용하기 때문에 가스베어링의 윤활 성능에 대한 분석이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피스톤의 거동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후, 해석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대기압 조건의 피스톤 거동 측정 실험을 진행하여 실험 결과와 해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위탁급식업체 Y세대 직원들의 내부마케팅, 이직의도, 직무열의, 조직시민행동의 구조적 관계 : A위탁급식업체 사례를 중심으로
이재혁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본 연구는 두 가지 과제로 진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위탁급식업체 Y세 대 직원들을 대상으로 내부마케팅의 정도에 따른 이직의도, 직무열의, 조 직시민행동의 차이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내부마케팅 하위요인인 경영층지 원을 비롯하여 총 5개 하위요인별 평균수준을 측정하고 그 평균의 높고 낮음에 따라 이직의도, 직무열의, 조직시민행동에 구분 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연구 2에서는 위탁급식업체 Y세대 직원들의 내부마케팅, 이직의 도, 직무열의, 조직시민행동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내부마케 팅 5개 하위요인과 이직의도, 직무열의 및 조직시민행동의 5개 하위요인 에 대한 각각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내 위탁급식업체 Y세대 직원들에 대한 인사관리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설문은 위 탁급식업체 2곳에 근무하는 Y세대 직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조사 된 설문데이터를 바탕으로 SPSS(버전 22.0)와 AMOS(버전 23.0)를 활용 하였으며, 작업을 통해 파악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층지원의 높고(n=186) 낮음(n=118)에 따른 직무열의, 이직의 도, 이타심, 성실성, 시민의식, 예의, 그리고 스포츠맨십의 차이 검증 결과 직무열의, 예의, 스포츠맨십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훈련의 높고(n=182) 낮음(n=122)에 따른 직무열의, 이직의도, 이타심, 성실성, 시민의식, 예의, 그리고 스포츠맨십의 차이 검증 결과는 직무열의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상시스템의 높고(n=154) 낮음(n=150)에 따른 직무열의, 이직의 도, 이타심, 성실성, 시민의식, 예의, 그리고 스포츠맨십의 차이 검증 결과 는 직무열의와 스포츠맨십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내부의사소통의 높고(n=147) 낮음(n=157)에 따른 직무열의, 이직 의도, 이타심, 성실성, 시민의식, 예의, 그리고 스포츠맨십의 차이 검증 결 과는 직무열의와 이직의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권한위임의 높고(n=116) 낮음(n=188)에 따른 직무열의, 이직의 도, 이타심, 성실성, 시민의식, 예의, 그리고 스포츠맨십의 차이 검증 결과 는 직무열의, 이타심, 그리고 성실성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여섯째, 내부마케팅 하위요인 중 내부의사소통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 향관계가 있음이 증명되었으며 또한, 내부마케팅 하위요인인 교육훈련, 보 상시스템, 내부의사소통은 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일곱째, 이직의도는 조직시민행동의 하위요소인 스포츠맨십에 유의한 영향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직무열의는 조직시민행동 하위요소인 이타심, 성실성, 시민의식, 에의, 스포츠맨십에 유의한 영향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내부마케팅 하위요인인 교육훈련은 조직시민행동 하위요인인 이타심, 예의에 유의한 영향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내부마 케팅 하위요인인 내부의사소통은 조직시민행동 하위요인인 시민의식에 유 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위탁급식업체의 주요 구성원인 Y세대 직원들에 대한 인사관리 방안을 시대 흐름에 맞도록 향상 시킬 수 있는 참고자료로 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단면터널 구조물의 수화열 및 온도균열 제어에 관한 연구
이재혁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교 2007 국내석사
본 논문에서는 대단면 터널 구조물 시공시 수화열로 인한 온도균열 제어를 위하여 공법 및 현장여건에 따른 특수한 조건들이 수화열에 의한 온도균열 제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하고, 이를 반영한 배합설계 및 시공방법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화열로 인한 온도 및 온도응력을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온도균열 제어를 위한 적정한 시멘트 선정 및 시공방법 등에 대하여 정리하고 실제 현장에서 측정된 수화열에 의한 온도 및 온도응력을 측정한 후 이를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 구조물은 단면두께가 약 2~3.5m 인 매스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수화열 해석결과 적절한 시트양생 및 충분한 양생기간의 조건에서 1종시멘트+FA20%의 배합으로 목표온도균열지수 1.2이상 확보가 가능하나, 제반 현장여건을 고려할 때 수화열에 의한 온도균열 제어에 가장 효과적인 4종시멘트 배합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배합시 콘크리트 타설길이는 10m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화열 해석과정에서 양생조건에 따라 온도균열 발생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AM 공법에 의한 대단면 터널은 협소한 작업여건 상 고유동 또는 유동화콘크리트가 적용되며, 재료분리 저항성을 높이기 위한 시멘트 분체량 증가로 물시멘트비 감소 및 단위시멘트량이 증가하여 수화열에 의한 온도균열 발생 가능성이 높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4종시멘트 배합시 플라이애쉬를 치환할 경우 단위시멘트 증가량을 줄이고 온도 상승을 저감시켜 수화열 제어에 보다 효과적이다. 그리고 동일한 슬럼프를 얻는데 필요한 단위수량과 결합재량이 줄어들어 콘크리트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CAM 및 TRCM공법에 의한 대단면 터널의 경우 대규모의 구조물 단면, 복잡한 공정, 협소한 작업공간 등 제반조건이 개착식 Box구조물에 비하여 온도균열제어에 불리한 여건이므로, 보다 면밀한 수화열 해석과 적정한 배합설계 및 시공방법 선정 등이 요구된다.
Reconstruction of the Standard 12-lead ECG from Short Distance Leads
The standard 12-lead electrocardiogram (ECG) was reconstructed from short distance lead (SDL) signals that were obtained from five electrodes attached just below the left clavicle. The electrodes were positioned at four corners of a rectangle with the diagonal distance of 5cm and at its center. The human body was considered as an electric volume conduction system and the system model for reconstruction was mathematically described with linear regression model and state-space model. After estimating the system model by using simultaneously obtained SDLs and 12-lead ECG, 12-lead ECG was reconstructed from SDLs alone. To evaluate the performance, correlation coefficient (CC) and root-mean-square error (RMSE) between reconstructed 12-lead ECG and measured ECG obtained from 24 healthy young males were calculated. In both linear regression and state-space models, all mean and median CCs were higher than 0.95 and 0.97, respectively, showing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for 12-lead ECG reconstruction with fewer electrodes that can be integrated on a small patch without lead wires 본 논문에서는 왼쪽 빗장뼈 밑에 부착된 다섯 개의 전극들로부터 측정된 미소 거리 심전도(Short Distance Lead, SDL)를 이용하여 표준 12 유도 심전도를 합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미소 거리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다섯 개의 전극들은 대각 거리 5cm의 직사각형 모서리와 그 중앙에 위치한다. 인간의 신체는 체적 전도 시스템으로 간주되어 수학적 모델인 선형 회귀 모델과 상태-공간 모델로 묘사되었다. 동시에 측정된 미소 거리 심전도와 표준 12 유도 심전도를 이용하여 시스템 모델을 추정한 후, 미소 거리 심전도만을 이용하여 표준 12 유도 심전도를 합성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24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합성된 표준 12 유도 심전도와 실제 측정된 표준 12 유도 심전도 사이의 상관계수와 평균 제곱근 오차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선형 변환 모델과 상태-공간 모델 모두 0.95 이상의 상관계수의 평균값과 0.97 이상의 중간값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미소 거리 심전도를 이용한 표준 12 유도 합성 방법이 충분한 가능성을 보이므로, 미소 거리 심전도 측정을 위한 다섯 개의 전극들을 작은 패치 안에 집적하여 표준 12 유도 심전도 측정이 필요한 환자들의 안락함과 보호자의 편의 향상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