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이 전문직관, 전공만족,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손태복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is analysis of the impact on cultur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s on professional values, major satisfaction, and self-confidence in getting a job through empirical-positive approach. This study aims to present methods in giving competitive edge to airline service students by focusing on the cultur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s, which has rarely been covered in precedent studies, and understanding how cultural competenc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ofessional values, major satisfaction, and self-confidence in job-seeking, in order to present methods in giving competitive edge to airline service students.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new airlines, including low-cost carriers, has led to a growing demand for airline cabin crews, followed by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hoping to major in aviation services all over the country. In line with the rapid changes occurring in the aviation industry, airline service related department are being newly established, and changes are being attempted in many ways within the existing related departments and education systems in order to make them more efficient. The role of cabin crew in the aviation industry is also increasing, and as flight attendant's field of action demands professionalism whilst providing service and safety at the same time, cabin crew are required to complete high-level safety training and service manual training regularly throughout their tenure. In response, the university's airline services related departments are trying to provide efficient and differentiated education measures to foster competent human resources that meet the internal and external requirements of airlines’ cabin crew members. Development of a systemized program should be carried out at the school level that can increase airline service major students’ willingness to engage in foreign cultures, flexible response capability to cultural differences, and efforts made to understand and empathize with differences, coping ability when confronted with unfamiliar culture. In particular, the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of foreign cultures can b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qualities of cabin crews, since, cabin crew’s duties consist of traveling around the world and communicating with various people from various cultures. In order to improve global perspective, efforts should be made through various practical program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foreign language courses, cross-cultural training, and global manner curriculum. Not only this, but also programs such as oversea foreign language learning program, airline internship programs and student exchange programs that could strengthen cultural experiences should be developed and established at the school level. In this paper, an empirical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s currentl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draw empirical conclus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28 to August 30, 2020, and survey methods were selected by survey subjects; either manual distribution or online survey. While a total of 39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but 388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which did not include 2 dishonest and unfaithful surveys. The following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tatistical software programs; SPSS 21 and AMOS 21 for empirical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The test results of the hypothesis verification and the differences of the cultural competence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whether the cultural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rofessional values as cabin crew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willingness to engage and cultural empathy, which are sub-variables of cultural competence, have a significant affective(+) impact on professional values, while, cognitive flexibility/openness and self-efficacy have no effect on professional values. Second, whether airline service majo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 values has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major was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professional values have a significant affective(+) influence on both the satisfaction of curriculum, and the cognitive-satisfaction, which are sub-variables of the satisfaction with major. Third, analysis were made to determine whether airline services related major students’ perception of satisfaction with major significantly affects self-confidence in job-seeking, Analysis showed that; satisfaction of curriculum and cognitive satisfaction, sub-variables of satisfaction in major have significantly affective(+) impact in work environment confidence, which is a sub-factor of confidence in getting a job. In addition to this, the sub-variables of satisfaction in major; satisfaction of curriculum and cognitive-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affective(+) influence on both self-confidence in getting a job and confidence in interview ability. Fourth, the analysis results of differences in cultural competence awareness of airline service related major students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s as follows.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women and men based on willingness-to-engage, cognitive flexibility/openness, self-efficacy, and cultural empathy, which are sub-factors of cultural competence, only cognitive flexibility/openne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 with women showing higher perception. In contrast; willingness-to-engage, self-efficacy, and cultural empath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cultur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school in which students are enrolled, only cultural-empathy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our-year course university students and two-year course college students. Willingness-to-engage, cognitive flexibility/openness, and self-efficacy showed no difference at a significant level.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cultural competence depending on TOEIC scores students have, and the types of airlines students wish to work in, willingness-to-engage, cognitive flexibility/openness, self-efficiency, and cultural empathy all failed to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 frequency of overseas experiences impacts difference in cultural competency. Result showed that, only the willingness-to-engage factor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and the rest; cognitive flexibility/openness, self-efficiency, and cultural empathy did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By incorporating the results of analysis into the education of airline service related departments, this paper aims to promote students' department adjustment, and department satisfaction. Not only cultivating cultural competence by managing the various experiences accumulated throughout university life, but also by improving students' confidence job-seeking, this research intends to prepare data to nurture globally professional services personnel that can improve their work environment adaptability,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after employment. In addition, by applying the cultural competence research, that were limited to other majors prior to this, to airline service related department student, whom require understanding different cultures, academic implications will be carried as a precedent research.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levation of the status of cabin crew in aviation industry by recognizing the expertise of cabin crews’ professionalism in training, sense of responsibility for safety, and a strong service mentality.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이 전문직관, 전공만족,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선행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진 적 없는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초점을 맞추고, 문화적 역량이 전문직관, 전공만족, 취업자신감에 어떠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우월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문화적 역량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저비용 항공사를 비롯한 신생 항공사의 증가로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수요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항공사 취업기회가 확대됨에 따라 전국에서 항공서비스를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항공 산업의 빠른 변화에 맞추어 대학에서도 항공서비스 관련학과가 새롭게 신설되고 있으며, 기존 관련학과 교육 시스템 내에서도 여러 방면에서 효율적인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항공 산업 분야에 있어 객실승무원의 역할 또한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객실승무직은 안전과 서비스를 동시에 수행해야하는 전문적인 분야인 만큼 항공사 재직기간 내내 고도의 안전 훈련과 서비스 매뉴얼 교육을 정기적으로 이수하고 있다. 이에 대학의 항공서비스 관련학과에서는 항공사가 요구하는 객실승무원의 내적, 외적 요건을 충족하는 역량 있는 인재 양성을 위해 효율적이고 차별화된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들의 타문화에 대한 참여의지, 문화적 차이에 대한 유연한 대응능력,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공감하고자 하는 노력, 낯선 문화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 등을 높일 수 있는 학교 차원에서의 체계화된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업무의 특성 상 세계 각국을 다니며, 다양한 문화 속 다양한 사람들과 소통해야하는 객실승무원에게 있어 타문화에 대한 수용과 이해는 무엇보다 중요한 자질로 평가될 수 있다. 국제적 감각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국어 역량을 비롯한 이문화 이해, 글로벌 매너 등과 같은 다양한 교과 커리큘럼을 도입함은 물론이고, 문화적 경험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해외어학연수, 산업체 현장실습, 교환학생 등 체험 속에서 문화적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학교 차원의 다양한 실습 프로그램들을 개발, 지원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재학 중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 7월 28일∼8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직접 배포 및 온라인 설문방법을 선택하였다. 총 390부를 배포하였고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38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SPSS 21과 AMOS 21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가설의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이 객실승무원에 대한 전문직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화적 역량의 하위 변수인 참여의지와 문화공감은 전문직관에 유의한 정(+)의 영향 관계를 나타냈으며, 인지적 유연성/개방성, 자기효능감은 전문직관과의 영향관계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전문직관이 전공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문직관은 전공만족의 하위 변수인 교과만족과 인식만족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전공만족이 취업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공만족의 하위 변수인 교과만족과 인식만족은 모두 취업자신감의 업무환경 자신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 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전공만족의 하위 변수인 교과만족과 인식만족은 모두 취업자신감의 면접능력 자신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 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문화적 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문화적 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인지적 유연성/개방성만이 여성이 남성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차이를 보였다. 참여의지, 자기효능감, 문화공감은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재학 중인 학교의 형태에 따른 문화적 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문화공감은 4년제 대학과 2년제 대학 재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참여의지, 인지적 유연성/개방성, 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토익성적의 보유 여부와 취업희망 항공사 유형에 따른 문화적 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참여의지, 인지적 유연성/개방성, 자기효능감, 그리고 문화공감 모두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해외경험 빈도에 따른 문화적 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참여의지만이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인지적 유연성/개방성, 자기효능감, 문화공감은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항공서비스 관련학과 교육에 접목한다면, 항공서비스 전공 학생들의 학과 적응과 만족도를 고취시키며, 적극적인 대학생활을 통한 다양한 경험을 기반으로 문화적 역량을 함양함으로써 취업의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취업 후 근무적응도나 직무만족, 서비스품질을 향상함으로써 글로벌한 전문서비스인을 양성할수 있을 것이다. 또한, 타 학과 전공 대학생들에게 국한되었던 문화적 역량에 관한 연구를 타문화가 필수적 요소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에게 적용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지게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객실승무원의 업무에 대한 교육의 전문성, 안전에 대한 책임의식, 확고한 서비스 정신 등을 통한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항공운송 분야에서 객실승무원의 업무의 중요도에 대한 지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핵심어 : 문화적 역량(참여의지, 인지적 유연성/개방성, 자기효능감, 문화공감), 전문직관, 전공만족(교과만족, 인식만족), 취업자신감(업무환경 자신감, 면접능력 자신감)

      • 웹을 활용한 미술과 지도 방안 연구 : 전통한국화 감상학습을 중심으로

        손태복 嶺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교육에 부여된 큰 화두는 지식기반 사회를 대비한 맥락적 지식을 가르치고 창의성을 신장시키는 교육이 시급한 과제로 다가왔으며 그러한 시점에서 웹은 하나의 획기적인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제7차 교육과정에서도, 세계화 시대에 대비하여 우리 미술 문화에 대한 주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전통미술 감상학습과 웹 등의 하이퍼미디어를 통한 다양한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중학교 미술교과의 조선시대 회화를 중심으로 웹활용 감상학습 방안을 연구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웹활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각 학교의 미술실의 시설은 현재 78%의 미술실이 웹활용을 할 수 있는 실태이므로 다소의 보완이 이루어진다면 웹활용 감상학습이 가능하다. 2. 현재 실제로 감상학습에 컴퓨터 활용을 하는 경우는 13명으로 26%에 불과하여 대부분의 감상학습이 전통적인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감상학습에 웹을 활용하는 것에 대해 86%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편 학습에 효과적인 사이트를 검색하는 것과 웹사이트의 내용이 학습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고 활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반응이 많았으며 또 웹문서의 내용을 편집하여 학습에 활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반응이 있었다. 3. 미술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89 건의 사이트를 검색하여 제7차 교육과정의 학습영역에 따라 '미적체험' 영역 20건, '표현' 영역에서 회화 12건 조소 8건 공예 15건 디자인 4건 건축 5건 서예 2건, '감상' 영역 27건 등을 제시하였는데 이들 가운데에서 중학교 미술학습을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사이트는 10건에 불과하고 더욱이 7차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는 사이트는 1건에 불과하여 제7차 교육과정 미술학습에 적용할 수 있는 웹페이지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4. 중학교 조선시대 회화 감상학습에 유용한 웹사이트는 13건 정도에 불과하여 미술 감상학습을 위한 다양한 웹페이지 개발이 시급하다. 5.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웹활용 감상학습에 적용하기 위한 수업안을 만들어 현장에 적용하고 감상 학습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한 결과 본 연구에서 탐색한 자료로 학습지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미술감상학습에 웹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미술학습을 위한 웹페이지 개발이 절실함을 확인하였고 그러한 노력들은 결국 미술교사들 스스로의 몫임을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미술교사들이 감상학습에서 웹활용의 효용성과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으면서도 시설 미비와 능력 부족 그리고 미술교사들의 노력 부족 등에 의해 실제로 학습 지도에 활용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해석되어 앞으로 미술실에 대한 웹활용 시설 보완과 미술교사에 대한 컴퓨터 및 웹활용에 대한 연수가 필요하며, 특히 미술교사들의 웹활용 학습에 대한 노력이 각별히 요구된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urgent concerns of the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is how to teach contextual knowledge and raise creativity for the preparation of knowledge-based society. At this point Web has been suggested an innovative method. As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for Middle/High School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various learning through hypermedia like traditional art appreciation and Web, etc., we need to study on this area. With this kind of necessity, I studied on the methods of using the Web to appreciate the pictures centering around the pictures of Choson Dynasty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1. I studied about the reality of Web usage and found 78 percent of Art rooms facilitated with the Web usage. So appreciating pictures by using the Web is possible with a bit of make-up. 2. 86 percent of the surveyed answered positively about using the Web to appreciate the pictures, even though 13 people corresponding to 26 percent of the surveyed are using the computer to appreciate pictures which shows most of the art appreciation process is done through the traditional method. Lots of the surveyed said that they have some difficulties in searching the effective learning site and identifying or exploiting if the content of the website is effective to learning. 3. I searched 89 web sites which can be used in art and showed 20 sites of 'Art Experience' sphere, 12 sites of pictures, 8 sites of carving and modeling, 15 sites of craft, 4 sites of design, 5 sites of architecture, 2 sites of calligraphy in 'Expression' sphere, 27 sites of 'appreciation'. Among them the sites for the middle school art are only 10 and the site which adapting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is just one site. So it is urgent to develop the web pages which are applicable to the art of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4. Only 13 web sites are useful to appreciate the Chosun Dynasty pictures in middle school. So it is urgent to develop various web sites which enable us to use in the appreciation of art. 5. I made some lesson plans to adapt in the web-used appreciation and adapted them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made people report on the appreciation. I identified that effective learning could be done using the sites searched through this research. I also found we urgently need to develop the web pages for the art learning. I think that all the art teachers have to make efforts for it. Most of the art teachers acknowledge the efficiency and necessity to use the web to appreciate the art, but they do not use the web in teaching-learning process for the lack of facilities, abilities and efforts. So we need to make up for the web facilities and training courses on the web use. Most of all, art teachers need to make efforts to use the Web in teaching-learni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