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학급 차원의 AAC 중재가 일반학생의 장애인식과 자폐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효과

        민경심,임장현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9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7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Students with autism exhibit a variety of verbal shortfalls and communication challenges which leads to difficulties in learning and developing social relationships. Augmentative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intervention can be utilized to support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with autism.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taught how to use AAC appropriately; while their conversation partners also need to be trained on their roles and attitudes when communicating to people using AAC.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mplement AAC intervention on the entire inclusive clas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AAC intervention on the cognitive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and communication behavior among students with autism. Method: Inclusive class students were instructed through AAC to understand AAC. The study design used was a protest-posttest control group. In the case of students with autism, AAC intervention was offered through direct instruction. Comparison between communication behavior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done through a single case pre-posttest design. Result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by elementary student. There was a positive impact on the general recognition of disability and the recognition of students with communication disabilities assigned to the inclusive class among the overall recognition of disability and sub-component. Second,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average incidences of communication behavior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in experimental. Similarly, the student was satisfied with his school life. Conclusion: It is noteworthy that AAC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elementary student cognition of disability, communication and social integration of students with autism disabilities if it supports both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nversation partners in the inclusive class. 배경 및 목적: 자폐성장애학생은 다양한 언어적 결함과 의사소통 문제를 보이는데 이는 학습 및 사회적 관계 형성의 어려움으로 이어진다. 자폐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을 지원하기 위하여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자폐성장애학생들이 통합교육 환경에서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적용하여 의사소통하기 위해 AAC 사용자인 장애학생과 AAC를 사용하는 환경적인 측면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학생에게는 AAC 이해교육을 통하여 대화상대자의 역할과 자세를, 장애학생에게는 AAC 사용교육을 통하여 AAC 도구와 앱, 상징어휘를 교육하는 통합학급 차원의 AAC 중재가 일반학생의 장애인식과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통합학급 학생에게는 활동중심 AAC이해교육을 중재하고 실험·통제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장애인식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자폐성장애학생에게는 직접교수를 통한 AAC 사용교육을 중재하고 단일사례 사전-사후검사 설계를 통해 의사소통행동과 학교생활만족도가 변화하였는지 관찰과 비교를 하였다. 결과: 통합학급 차원의 AAC 중재를 실시한 일반학생의 장애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전체적인 장애인식 및 하위영역 중 장애에 대한 보편적 인식과 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관련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험집단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의 평균 발생률이 증가하였으며, 학교생활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장애학생에 대한 교육뿐만 아니라, 대화상대자 훈련을 포함한 통합학급 차원에서 AAC 중재가 이루어진다면 일반학생의 장애인 식개선과 자폐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 및 사회적 통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통합학급 차원의 AAC 중재의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복합적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지원센터 설립의 필요성 및 지역 확산을 위한 시사점

        이혜주,박경옥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3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11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necessities, difficulties, and demands of the operation of the center. It aimed to draw future implications of regional expansion for the people involved and member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ommunication Rights Promotion Support Center in S city’.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4 members of the ‘Communication Rights Promotion Support Center’ in S city, and 1 member of the ‘Korea Brain Disease Human Rights Association’ who was involv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Communication Rights Promotion Support Center’.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video interviews(ZOOM) and written survey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be reconstructed into a total of 3 major themes and 10 central themes, and the specific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necessary to expand the ‘Communication Rights Promotion Support Center’ to other cities and provinces so that the individual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can receive communication-related services anywhere. Second,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and operating the center due to an insufficient support system for communication with the disabled. There were also problems like lack of awareness of the right of the disabled to communicate, scarcity of competence of experts, or failure of cooperation between the disabled and related experts. Third, a fact-finding survey of the region must be entirely conducted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the center in the future, and an effective support system must be prepared by cooperating with the disabled rather than experts in the process. Conclusion: It needs to establish and operate a center that can play roles of improving awareness of the disabled, building a surrounding environment, and fostering experts to have an effective system for better communication rights for the disabl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basic data for this.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S시 ‘의사소통권리증진지원센터’ 설립과 관련된 관계자 및 구성원을 대상으로 센터 운영의 필요성과 어려움, 요구도를 파악하여 향후 지역 확산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S시 ‘의사소통권리증진지원센터’ 설립 관련자인 S시 ‘한국뇌병변인권장애인협회’ 소속 1 명 및 센터 소속 구성원 4 명을대상으로 비대면(ZOOM) 인터뷰와 서면조사를 실시하여 질적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총 3 개의 대주제와 10 개의 중주제로 재구성을 할 수 있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적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장애인이 어디서든 의사소통과 관련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의사소통권리증진지원센터’가 타 시・도에도 확산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둘째, 장애인 의사소통에 대한 미흡한 지원체계, 장애인 의사소통권리에 대한 인식 부족, 전문가의 역량 부족, 장애 당사자와 관련 전문가 간의 협력 부족 등으로 인해 센터설립 및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향후 성공적인 센터 운영을 위해 해당 지역의 실태조사가 전적으로 이루어 저야하며, 그 과정에서전문가 풀이 아닌 장애 당사자와 함께 협력하는 자세를 통해 효과적인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의 의사소통 권리향상을 위한인식개선, 주변 환경구축, 전문가 양성 등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센터를 설립하고 성공적으로 운영해 나갈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되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GeoAAC, 위치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 모바일 앱

        조희,홍기형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0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8 No.1

        Many AAC mobile applications have been developed to help people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However, the current AAC mobile applications are inconvenient. Users must select suitable communication boards manually for their current locations and situ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develop a mobile application that automatically recommends appropriate communication boards for users’ current locations. Method: We designed an algorithm to recommend location-based communication boards. First, the algorithm finds the POI (point-of-interest) locations around the current users’ location, and then determines the location based boards of the retrieved POI locations and recommends the boards most suitable for users’ current location. Results: Based on the designed algorithm, we implemented a location-based AAC mobile application. In addition to the recommendation of location-based AAC boards, the mobile application supports the generation of customized location based boards and symbols for specific locations according to users’ needs. The mobile application also provides built-in location-based boards for the POI locations. Conclusion: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location-based AAC mobile application. By using the application, users can be free from the overhead in selecting the appropriate communication board for a specific location. We expect that the application will enable more efficient interaction between people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and others. 최근 모바일 앱과 음성합성기의 발전으로 의사소통 장애인을 도와주는 AAC 앱이 개발되어왔다. 하지만 기존의 AAC 모바일 앱은 의사소통이 필요한 장소에서 사용자가 직접 상황에 맞는 의사소통 보드를 선택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가 직접 의사소통 보드를 찾지 않아도 사용자의 위치에서 사용할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모바일 앱을 설계 및 구현하는 것이다. 방법: 위치기반 AAC 모바일 앱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가장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추천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모바일 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의 주변에 있는 장소들을 검색하고, 알고리즘에 따라 검색된 장소에 대한 위치기반 보드를 결정하고 추천한다. 결과: 가장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추천하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위치기반 AAC 모바일 앱(GeoAAC)을 개발하였다. GeoAAC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특정 장소에 대한 사용자 맞춤형 위치기반 보드와 상징을 제작할 수 있는 기능도 지원한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특정 장소에서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직접 선택해야 하는 사용자의 어려움과 불필요한 시간 소요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장소에서 사용할 의사소통 보드를 제작하지 않아도 기본형 위치기반 보드를 제공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가장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전의도적 의사소통 단계의 뇌성마비 자녀의 의사소통 발달을 위한 AAC 부모교육 효과

        고희선,최진희,박은경,박은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2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10 No.2

        배경 및 목적: 전의도적 의사소통 단계 뇌성마비 장애인의 의사소통 발달을 위해 AAC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며, 그들의 의사소통 주 상대자인 부모를 대상으로 한 AAC 부모교육은 뇌성마비 장애인의 의사소통 발달 촉진을 위해 필수적이다. 하지만 전의도적 의사소통 단계 뇌성마비 장애인의 부모를 대상으로 AAC 부모교육을 실행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의 도적 의사소통 단계 뇌성마비 장애인의 의사소통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 AAC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어머니와 자녀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전의도적 의사소통 단계 뇌성마비 자녀의 어머니를대상으로 부모교육을 실시하였고, 교육 전후에 사전 및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AAC 부모교육 후, 어머니와 장애 자녀의 의사소통 행동의 사후검사 결과가 사전검사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첫째, AAC 부모교육은 어머니의의사소통 행동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고, 장애 자녀와의 상호작용에서 자신감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어머니의 의사소통 중재 기술의 향상은 AAC 사용자인 장애 자녀의 의사소통 행동을 촉진하였다. 셋째, 다양하게 구성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내용은 어머니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촉진하였고, 교육 만족도를 높였다.

      • KCI등재후보

        AAC 사용자의 대화 반응 시간에 따른 의사소통 상대자의 태도 특성

        이수진(Sujin Lee),연석정(Seok Jeong Yeon)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4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12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AAC 사용자의 대화 반응 시간과 사전 대화 전략 메시지 유무에 따라 비장애인 의사소통 상대자의 태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19 세부터 29 세까지의 비장애인 30 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참여자들은 가상의 AAC 사용자와 비장애인 간의 대화 상황을 듣고, AAC 사용자의 대화 반응 시간(5 초, 10 초, 20 초, 30 초)에 따른 의사소통 성공 판단, 의사소통 수용, 메시지 이해를 5 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AAC 사용자의 사전 대화 전략 메시지 유무에 따른 비장애인의 의사소통 태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AAC 사용자의 대화 반응 시간이 길어질수록 비장애인은 의사소통 성공 판단, 의사소통 수용, 메시지 이해에서 더 낮은 점수를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화 반응 시간이 느리더라도 사전 대화 전략 메시지가 제공된 경우, 비장애인은 의사소통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는 AAC 사용자의 정확하고 신속한 메시지 생성이 성공적인 의사소통에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특히 비장애인은 AAC 사용자의 대화 반응 시간이 20 초 이상으로 길어질 경우, 의사소통 성공 판단과 수용, 메시지 이해를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였다. 그러나 사전 대화 전략 메시지를 사용할 경우, 비장애인의 의사소통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AAC 사용자의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사전 대화 전략 활용이 필요하며, 이를 고려한 중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of non-disabled communication partners when conversing with AAC users, based on the AAC users’ response times and the use of a pre-conversation strategy message. Method: The study examined the communication attitudes of 30 non-disabled participants aged 19 to 29 years. Participants listened to a fictitious conversation between an AAC user and a non-disabled person, rating the communication success, communication acceptance, and message understanding on a 5-point Likert scale according to the AAC user’s response times (5, 10, 20, and 30 seconds). Additionally, the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pre-conversation messages on communication attitudes. Results: Analysis revealed that as the AAC users’ response time increased, non-disabled participants raed communication success, communication acceptance, and message understanding lower. However, even when response times were slow, participants expressed very positive attitudes toward communication when the AAC user employed a pre-conversation strategy message. Conclusion: For AAC users, the ability to generate sentences by accurately and quickly selecting the messages they wish to convey is critical to successful communication. This study’s results indicated that non-disabled individuals rated communication success, acceptance, and message understanding lower when AAC users had a response time of 20 seconds or more, suggesting that employing a pre-conversation strategy message is essential for successful communication by AAC users.

      • KCI등재

        지체중복장애인을 위한 AAC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의 의사소통 경험 및 지원요구

        조아라,이설희,최진희,박은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0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8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Education programs to support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fficulties are mainly provided to teachers and related experts. In contrast, support programs for parents who spend the most time with their children are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conduct the AAC 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with children with CCN and to find out their support needs. Metho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communication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AAC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Results: Three themes emerg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1) Communication experience with children, 2) AAC parent education program experience, 3) Communication support needs. Conclusion: First, the AAC education program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family members other than parents, teachers, assistants, and peers. Second, families and schools should cooperate to maximiz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intervention. Third, parent education needs to be conducted based on the composition of the training contents centered on the parties and specific cases. Fourth, the AAC education program needs to deal with not only the method of making AAC or using tools, but also the communication intervention strategy. 배경 및 목적: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Complex Communication Needs, CCN)를 가진 아동의 의사소통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은 주로 교사나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제공되어 왔고, 실제 아동과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부모를 대상으로 한 교육은 매우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CCN을 가진 지체중복장애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AAC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들의 지원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CCN을 가진 지체중복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의사소통 경험과 지원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포커스그룹 면담을 진행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3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1) 자녀와의 의사소통 경험, 2) AAC 부모교육 프로그램 경험, 3) 의사소통 지원 요구. 논의 및 결론: 첫째, 부모 외 가족 구성원과 교사, 활동보조인, 또래 등으로 AAC 교육 프로그램이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의사소통 중재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가정과 학교가 협력하여야 한다. 셋째, 부모교육은 당사자 중심의 연수 내용 구성 및 구체적인 사례 중심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넷째, AAC교육 프로그램에는 AAC 제작이나 도구 사용방법 뿐 아니라 의사소통 중재전략을 비중있게 다루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아동 부모의 AAC 포기 경험과 지원 요구

        박한빛,이주연,박현주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0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8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Parents are one of the most crucial stakeholders in interventions involving children.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xperiences and demand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who abandon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Method: We conducted face- to-fac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six parents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hen transcribed to organize and categorize the data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Participants’ experiences with AAC abandonment were classified as: (a) From Hope to Disappointment, (b) Lack of Practical Support, and (c) Difficulty of Information Acquisition. Their demands of AAC were classified as: (a) Adjustment of Balance Between Promotion and Education, (b) Establishment of Strong Educational Systems for the Use of AAC, and (c) AAC as a True Means of Communication.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although parents of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were aware of AAC, they did not receive corresponding support for implementing it. Practical challenges impeding AAC utilization and means for supporting and facilitating the use of AAC were discussed. 배경 및 목적: 아동 대상의 중재에서 부모는 가장 중요한 이해당사자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아동 부모의 보완대체의사소통(AAC) 포기 경험과 지원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자녀를 위해 AAC를 시도하였으나 현재는 AAC 사용을 포기한 부모 6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면대면 개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내용은 녹음 후 전사하여 자료를 구성하고 연속적 비교법에 따라 주제를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자의 AAC 포기 경험은 ‘희망에서 실망으로’, ‘실제적인 지원 부족’, ‘정보 습득의 난관’ 이라는 3개의 주제로 요약되었고, AAC에 대한 지원 요구는 ‘홍보와 교육의 균형 맞추기’, ‘견고한 AAC 교육시스템 구축’, ‘진정한 소통 수단으로서의 AAC’라는 3개의 주제로 요약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는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아동 부모의 AAC에 대한 인식에 비해 AAC이행을 위한 실제적인 지원이 부족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AAC 사용을 저해하는 현실적인 어려움과 AAC 사용 촉진을 위한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복합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AAC 핵심어휘와 개인어휘 특성

        박혜연,연석정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0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8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e vocabulary and fringe vocabular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using the checklist for augmentative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vocabulary selection. Method: Participants were parents of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under 6 years and 11 months. Results: The most frequently-needed vocabulary out of the total 426 words - meal, water, grandmother, dad, mom, brush the teeth, toys, bread, and pee had a response rate of over 90%. The environment with the highest response rate was the home, with preschool having the lowest rate. After analyzing a child’s fringe vocabulary, his or her individual interests, preferences, and unique vocabulary were identified.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AC core vocabulary and fringe vocabulary of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and provided valuable information about frequently-used words and phrases, environmental influence, and children's individual vocabularies.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AAC 어휘선정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복합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AAC 핵심어휘와 개인어휘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복합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보호자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응답에 대하여 체크리스트의 범주별 응답빈도와 비율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전체 426개 핵심어휘 가운데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인 어휘는 ‘엄마’, ‘아빠’, ‘밥’, ‘쉬’로 90%의 응답률이 나타났다. 응답률이 가장 높은 의사소통 환경은 가정환경이었으며, 개인어휘를 통해 아동의 흥미나 관심, 참여활동, 신조어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사용한 AAC 어휘선정 체크리스트가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전 연령에 적용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또한 연구의 참여자가 아동이 아닌 아동의 보호자였으므로, 응답자의 요구나 주관적 판단이 반영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복합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AAC 핵심어휘와 개인어휘의 특징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한국형 AAC 기본상징 검색 시스템- 로우테크 보완대체의사소통 도구 제작을 위한 웹 서비스 개발 -

        권선영,홍기형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0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8 No.2

        배경 및 목적: 로우테크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도구의 제작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AAC 상징을 원활하게 검색하고,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쉽고 빠른 로우테크 AAC 도구의 제작을 지원하는 웹 기반 상징 검색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다. 방법: 국내외 AAC 서비스를 분석하여 로우테크 AAC 도구 제작에 필요한 네 가지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요구사항은 직관적이고 편리한 검색, 상징의 개수나 규격의 제한이 없는 상징모음, 원하는 크기로 상징 인쇄, 그리고 상징 이미지 다운로드이다.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웹 기반 한국형 AAC 기본상징 검색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결과: 한국형 AAC 기본상징 검색 시스템은 로우테크 AAC 도구를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사용자는 한국형 보완대체의사소통 기본상징 체계집(Park et al., 2016)의 10,000여 개 상징 중에서 원하는 상징을 검색하고, 상징모음으로 모아 관리할 수 있다. 한 페이지 내 출력될 상징의 개수를 설정하여 상징모음을 인쇄할 수 있으며, 상징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다른 로우테크 AAC 서비스에서 이용할 수 있다. 반응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PC, 태블릿, 모바일 등 모든 기기에서 사용가능하다. 논의 및 결론: 한국형 AAC 기본상징 검색 시스템을 이용하여 원하는 상징을 빠르게 찾고, 찾은 상징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로우테크 AAC 도구를 원활히 제작할 수 있게 되어 로우테크 AAC 도구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In order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low-tech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devices, it is important to search and collect appropriate AAC symb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web-based service that supports the development of low-tech AAC devices.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of curre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AAC service systems, we identify four requirements for the production of low-tech AAC devices: searching symbols in convenient ways, managing symbol collections, printing symbol collections to low-tech media such as paper in various formats, and downloading AAC symbols. We designed and developed a web-based Korean ACC(KAAC) symbol search service with an intuitive and convenient user interface. Results: The KAAC symbol search service makes developing low-tech AAC devices easier. Users can search and collect AAC symbols from the Korean AAC Basic Symbol System (Park et al., 2016) that includes about 10,000 Korean AAC symbols. Users can print a symbol collection with their size dependant on the number of symbols per page. Users also can download symbols for use in low-tech AAC devices. The responsive user interface of the service can be used on all devices, such as PCs, tablets, and mobile devices. Conclusion: The KAAC symbol search service facilitates the production of low-tech devices, and We expect that it will prove useful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언어재활 환경에서의 AAC 평가 사례 보고:뇌병변 유아를 중심으로

        연석정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7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5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often require a comprehensiv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ssessment to optimize their communication.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the AAC assessment process in a speech-language clinical setting and analyzes a case report of a young child with cerebral palsy. Method: This study first presents the AAC assessment process, including the following: case history; language and communication assessment; symbol assessment; device trial; alternative access; multi-modality approach; and AAC instruction. This study then presents a case report on a young child with cerebral palsy. Results: The young child with cerebral palsy spontaneously initiated her communicative intensions after AAC intervention. Conclusion: For developing the appropriate AAC system, the overall AAC assessment process is required. 배경 및 목적: 복합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필요와 요구에 맞는 AAC 체계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전반적인 평가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뇌병변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전반적인 AAC 평가과정과 AAC 적용 이후의 의사소통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언어재활 환경에서 AAC 적용을 위해 실시하는 언어 및 의사소통 평가, 대체접근 평가, 다양한 양식 평가, AAC 설명, 상징평가, 및 도구의 시범 적용의 전반적인 AAC 평가과정을 설명하였고, 뇌병변 유아의 평가 결과 및 AAC 적용 이후의 아동의 반응을 제시하였다. 결과: 본 사례의 유아는 AAC 평가과정을 통해 적절한 AAC 체계가 적용되었고 이후 놀이상황에서 자발적인 선택하기와 의사소통 시도가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대상자에게 맞는 AAC 체계 적용을 위해서는 전반적인 AAC 평가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복합 의사소통 요구가 있는 아동의 의사소통적 상호작용 능력을 촉진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