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식기반 사회에 적합한 기술교사 양성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기초연구

        김용익 한국직업교육학회 2003 職業 敎育 硏究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ic information in reorganizing curriculum for secondary school technology teachers' training in a knowledge-based societ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and questionnaire survey. In order to investigate technology teachers' recognition and demand for teacher training curriculum,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to 280 teachers and 219 questionnaires were retrieved among the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echnology teachers recognized that their demand for teacher training curriculum was not being reflected at revising curriculum, and training curriculum was not properly connected to that of middle and high schools either. 2) Technology teachers recognized that facilities for experiment and practice in a college was not prepared enough, and a system of practicing teaching was not operated effectively.3) It was recommended that an ICT education, a problem solving-based instruction, and a real world-based education contents through teacher training curriculum should be more emphasized. 출 처이재원ㆍ김진순(1981)기술과 교원양성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기술과 교육의 성격을 구명하고, 국내외 기술과 교육 및 교육과정 편성 동향 등의 고찰에 기초하여 교육과정 시안을 제시하였다. 대한공업교육학회지, 6(2)이강명(1991)기술교사 교원 양성을 위한 교직과정에 관한 연구기술교사 교원 양성을 위한 교직과정의 문제와 개선방안을 밝히고, 교사들이 이수해야 할 교직과목명 등을 제시하였다.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박흥준(1989) 중등학교 기술교과목 담당교사의 양성체제에 관한 연구. 중ㆍ고등학교 기술교사의 양성체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려고 하였다. 직업교육연구, 8(1). 김진순(1991)기술교원 양성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기술교과 교원양성의 제도적 측면, 기술교과의 기능적 측면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직업교육연구, 10(2)김준수(1993)기술변화에 따른 기술교사의 기술 및 교육적 요구 변화기술이 급격히 변화하면서 기술교사에게 요구되는 능력도 종전의 그것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게 되었다. 공업계 교사교육 심포지엄 자료김용익(2001)지식기반 사회를 대비한 중등학교 기술과 교사의 직무능력에 관한 연구지식기반 사회에서의 기술교과교육을 교육환경, 교육내용, 교육방법 측면에서 예측하고, 델파이법에 의하여 기술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능력의 모형을 구조화하였다.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김용익(2001a)지식기반 사회에서 중등학교 기술과 교사의 직무능력 관련변인 및 교육요구 분석직무능력 항목들에 대하여 중등학교 기술교사들이 인식하는 중요도와 현재 자신의 능력 수준의 개인별 상황특성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구명하고, 중요도와 자신의 능력 수준의 차이에 기초하여 교육 요구를 분석하였다.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

      • KCI등재

        교육대학교 창의·인성 교육의 당면 과제와 발전적 대안

        김용익 한국실과교육학회 201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current issues and developmental alternatives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literature review through keyword search. The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creativityㆍpersonality education should be readjusted. Not only the convergence procedure of creativity education and personality education and its appropriateness, but also the target and the purpose and the methods of education should be involved in this concept. Second, both objectives and contents of creativityㆍpersonality education should be systemized. More specifically, it is required to create control tower. Through this medium, we can set more extensive goals and clear boundary of education to provide more systematic curriculums. Third, the current curriculum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in the context of creativityㆍpersonality education. The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allowed to have the time to solve the problems creatively. Also it needs to promote the atmosphere of respect and collaboration between themselves. It would be possible by improving current too excessive credit system. Fourth,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should be redesigned and reorganized as well. The curriculums should be reorganiz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domains and considering both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tudies to provide the pre-service teachers various educational experiences. Finally, the institutional measures which can prove the capability concern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of the beginning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should be prepared. To make it successful,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paper-based exam or in-depth interview, because the pre-service teachers are obsessed with the teacher employment exams only. 이 연구는 교육대학교 창의·인성 교육의 당면과제 및 발전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창의·인성 관련 키워드 검색을 통한 문헌연구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결론에 기초하여 몇 가지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교 수준에서의 창의·인성 교육 재개념화가 필요하다. 창의성 교육과 인성 교육의 개념이 융합되는 과정 및 그 당위성, 교육의 대상과 목적 및 방법 등을 포괄하는 재개념화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교육대학교 창의·인성 교육의 목표 및 내용 체계 정립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창의·인성 교육을 총괄하는 컨트롤 타워를 만들고, 그 관점에서 교육의 총괄 목적과 구체 목표를 제시하고, 영역화 하여 그에 걸 맞는 교육 내용을 체계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창의·인성 교육의 관점에서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지나치게 많은 학점(시간) 수를 축소함으로서 예비교사들이 시간적 여유를 갖고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고, 동료들 간에 서로 배려하고 협동하는 문화를 만들어주어야 한다. 넷째, 교육과정 밖 교육 프로그램의 재설계 및 재배치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예비교사들에게 다양한 교육적 경험이 제공되도록 교육내용을 영역별, 수직적 및 수평적 연계 등을 고려하여 재배치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초등교사직 입문 시에 창의·인성 역량 정도가 얼마나 갖추어져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예비교사들은 임용시험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으므로 페이퍼 시험이나 심층면접 등에서 그들의 창의·인성 역량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

      • KCI등재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창의ㆍ인성 역량 요소 재구조화 및 수준에 관한 연구

        김용익 한국실과교육학회 201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7 No.2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organize competence elements in creativity and character of elementary school trainee teachers and to investigate competence level of them.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survey research. A total of 269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except for 11 copies like the one where insincerely responds to any question was found. The major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creative and character elements need to categorized and organized for assessment and further research and study. We also need to research and scan the proposed areas and sub-categories to ensure there are also no redundancies. Second, we need to place efforts into improving creative efforts of the trainee teachers. In comparison to averages across the board, the creative aspect of our teachers seem a bit low. Better curriculum and training as well as strengthening a creativity conducive environment in the classroom will show greater results in the long run. In particular, fluency and originality should an aspect highly sought out during training. Third, from personality capacity considering that the trainee teacher’s self-expression skills, moral practice indicated that a low level,It need self-expression, moral practice reflect actively in the curriculum of education. Fourth, for new trainee teacher, an intensive practical course need to be redesigned and implemented to stay consistent with our educational focus on creativity and morals. Our currently teaching methods need to be reviewed and revamped completely. Finally from the University of education’s standpoint, the education curriculum has to be analyzed to determine our approach on cultivating creativity and moral education in an easy to digest system or methodology. If we analysis how well reflected factor of creativity, moral education from each course, and then identify the situation, and it will be also helpful for set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이 연구는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창의·인성 역량 요소를 구조화하고, 역량 수준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주로 조사연구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결론에 기초하여 몇 가지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안한 창의·인성 역량 요소의 범주화를 좀 더 정교하게 다듬을 필요가 있다. 제시한 영역과 하위 요소들이 누락되거나 중복되지는 않았는지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창의성 역량을 신장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인성 역량에 비하여 창의성 역량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점을 고려할 때, 교사양성 기관의 교육과정에 적극 반영함은 물론 강의실에서 실제적인 창의성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적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유창력, 독창력 요소에 대한 집중적인 훈련이 필요하다. 셋째, 인성 역량 부분에서는 예비교사의 자기 표현, 도덕적 실천 수준이 낮게 나타난 점을 고려할 때, 자기 표현, 도덕적 실천 요소를 적극적으로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교육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실과 심화과정 예비교사들에게 체계적인 창의·인성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교육과정을 재설계하고, 현재 실과수업에 주로 활용되고 있는 교수 방법도 전면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에 창의·인성 교육이 얼마나 체계적으로 반영되고 있는지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강좌별로 창의·인성 요소가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 분석해본다면, 그 실태를 파악할 수 있고, 추후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발명핵심역량 연구

        김용익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1

        이 연구는 교육대학교 학생의 발명핵심역량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조사연구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발명핵심역량 조사도구 문항을 기술적 역량, 인성적 역량, 창의적 역량으로 범주화하여, 조사한 결과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발명핵심역량 전체 평균은 3.45로 평균 이상을 상회하였다. 역량 영역별로는 인성적 역량 영역의 평균이 3.71로 가장 높았으며, 창의적 역량 영역의 평균 3.44, 기술적 역량 영역의 평균 3.1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요인별로는 융합사고능력 수준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자기주도성, 리더십, 의사소통 능력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창의성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며, 디자인 능력, 과학기술활용 능력 수준도 낮았다. 셋째, 발명핵심역량의 영역 및 요인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3가지 영역 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12개 요인 간에도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발명핵심역량 수준은 지적인 능력에 비하면 높은 편이 아니므로 추후에는 그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발명핵심역량 일부 항목들에 대해서는 남, 녀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교사교육에 그 차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교수 역량이나 일반적인 인성적 역량 수준은 보통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발명과 직접 관련된 역량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므로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ore inventive competencies of students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re Inventory Competency items were categorized as technical competence, personal competence, and creative competency for the students of the education universities. As a result, the total average of invention competencies of the students of the education universities was 3.45 or more. In terms of competency domains, the personality competence domain had the highest average of 3.71, the creative competence domain average of 3.44, and the technical competence domain average of 3.10. Second, by factor, convergent thinking ability was the highest, followed by self - leadership,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ability. In contrast, the level of creativity was low and the level of design ability and ability to utilize science technology was low.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ventive competence area and the correlations of the factor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areas. Also,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12 factors. The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level of inventive capacity of the students of education universities is low, various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Seco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differences in teacher education because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some items of inventive capacity. Third, the teaching proficiency and general personality competence of education universities are usually higher than those of general education professions. However, the competencies directly related to inventions are relatively low, so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m.

      • KCI등재

        초등학교 발명교사의 직무능력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김용익 한국실과교육학회 201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7 No.1

        This research was aimed to sort items among job performance items suggested in a precedent research “Job Analysis of Invention Teachers Based on the DACUM Method”(2013) that need training. Also, it was intended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teachers on the sorted items. In the pursuit of this aim, panel meetings and research study methods were applied. In the panel meeting, 45 items among 139 job performance items were considered unnecessary for invention teacher education, while the other 94 items were considered necessary. Job area with the highest educational needs was ‘A. Invention education preparation’(3.70), followed by ‘C. Invention class instructing’(3.68), ‘D. Learning evaluation’(3.65), ‘B. Invention education student selection’(3.60), ‘F. Invention Competition participation guidance’(3.58) ‘H. Self-improvement’(3.54), ‘E. Invention convention task performance’(3.46). If the area of invention education preparation is intensively traine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ll improve. Job performance items with the highest educational need was ‘instructing idea conception with invention techniques’(4.02), followed by ‘instructing idea conception with brain-storming techniques’(4.00), ‘planning invention programs’(3.92), instructing idea conception with brain-writing techniques’(3.91), ‘promoting environment for invention education’(3.90), ‘revising invention ideas’(3.87). Therefore, intensive training is needed for these specific items. Educational need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sex, intensive courses, teacher type, and invention training experience. Practical courses, in-service teachers, training experienced people displayed higher learning requirements than non-practical courses, pre-service teachers, non-experienced people respectively. Teachers with invention training experience displaying more passion for invention education has great implications.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importance of invention education and encourage as many in-service teachers to participate in invention education training. Also, it would be ideal to open up many invention related subjects in teacher training courses so that pre-service teachers in non-practical intensive courses can participate as well. The virtuous cycle of more experienced invention education trainees participating in training with more interest will be displayed. 이 연구는 선행연구 “DACUM 기법을 활용한 발명교사의 직무분석 연구”(2013)에서 제안한 직무능력 항목들 중에서 교육이 필요한 항목들을 선별하고, 선별된 항목들에 대하여 교사들의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패널회의와 조사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패널회의에서 발명교사교육에 반영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 직무능력 항목은 전체 139개 항목 중에서 45개인 반면 94개 항목은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교육 요구도가 가장 높은 직무영역은 ‘A. 발명교육 준비하기’(3.70)였으며, 다음으로 ‘C. 발명수업 지도’ 3.68, ‘D. 학습평가’ 3.65, ‘B. 발명교육 대상자 선발’ 3.60, ‘F. 발명관련 대회참가 지도’ 3.58, ‘H. 자기계발’ 3.54, ‘E. 발명행사 업무수행’ 3.53, ‘G. 발명관련 행정업무 수행’ 3.46 순으로 높았다. 발명교육 준비하기 영역을 집중적으로 교육시키면 만족도가 올라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교육 요구도가 가장 높은 직무능력 항목은 ‘발명기법으로 아이디어 발상 지도하기’(4.02)였으며, 다음으로 ‘브레인스토밍 기법으로 아이디어 구상 지도하기’ 4.00, ‘발명관련 프로그램 기획하기’ 3.92, ‘브레인라이팅 기법으로 아이디어 구상 지도하기’ 3.91, ‘발명교실 환경 조성하기’ 3.90, ‘발명 아이디어 수정·보완하기’ 3.87 순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이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성별, 심화과정별, 교사유형별, 발명관련 연수 경험별에 따라 교육 요구도는 분명한 차이를 보였다. 심화과정별로는 실과가 비실과보다, 현직교사가 예비교사보다, 연수 경험자가 무경험자보다 대체로 교육 요구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발명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교사가 오히려 발명교육을 많이 받고자 하는 열망을 보인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발명교육의 중요성을 널리 홍보하여 가능한 많은 현직교사들이 발명교육연수를 받도록 하고, 교사양성과정에서도 다양한 발명관련 과목을 많이 개설함으로써 실과심화과정 이외에 다른 심화과정 예비교사들도 수강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발명교육 경험자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발명교육에 더욱 흥미를 갖고 연수에 참여하는 선순환을 보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실과 생활 기술 영역의 수행 평가 방안 탐색

        김용익 韓國實科敎育硏究學會 1999 實科敎育硏究 Vol.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a performance assessment types that could be applied well to the living technology part, and to show a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 and some available examples, and to suggest some ideas in making a performance assessment efficiently fitted. The major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ypes of performance assessments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living technology part were identified as 'description and discourse type', 'research report method', 'practicing test', 'practicing method', and 'portfolio'. 2) A practicing test among performance assessment types was found to be most used effectively in the living technology part. 3) An improvement of teachers' practicing competence and an establishment of practicing facilities and equipment should be done to make a performance assessment fitted in the educational field. 4) Teachers' role and responsibilities are most important to make a performance assessment fitted, so assessment rights should be given to them fully.

      • KCI등재후보

        기술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평가모형 및 평가준거 연구

        김용익 한국실과교육학회 200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valuation model and evaluation criteria for the technology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s analysis.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1) The TTTC(technology teacher training curriculum) evaluation was justified as in the ways of the value lightening of TTTC evaluation, an increase of TTTC efficiency, a qualitative improvement of TTTC, and a reinforcement of accountability of persons relevant th the TTTC.2) The model of TTTC evaluation consisted of four stages: planning evaluation, developing instrument, implementing evaluation and feedback. 3) The evaluation parts of TTTC were made up of five: curriculum organizing demand, curriculum organizing, curriculum operation, curriculum output, and curriculum improvement system. 4) Some recommendations for the further study in the area of a purpose and significance, a negative effects of evaluation and its disposal, and a validity test of evaluation criteria were made.

      • SCOPUSKCI등재

        Screen Blade Turbine Impeller 에 의한 액체혼합 제 2 보

        김용익,강웅기,신건용 한국화학공학회 1967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 No.4

        Baffle 裝置를 안했을 경우에는 screen blade turbine을 使用하였을 때나 flat blade turbine을 使用하였을 때의 所要動力이 差가 없고 거의 비슷하다. 4 個의 Baffle 장치를 한 경우는 screen blade turbine을 使用하였을 때가 flat blade turbine 을 使用하였을 때 보다 所要動力이 훨씬 적다. 특히 multi-stage system 에서는 screen blade turbine 을 使用하면 動力節約을 크게 할 수 있다. The effect of the screen blade turbine impeller on power requiement in stirred mixer was investigated. Power data were measured by the dynanomic method. The range of the impeller rotational speed was from 120rpm to 1,540rpm. In an nnbaflled system, power data for the three types (of the impeller) are much the same. In a baffled system, power data for the screen blade turbines are much less than the flat blade turb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