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헤어숍의 SNS 마케팅이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혜민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5 국내석사
헤어숍의 SNS 마케팅이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혜민 지도교수: 박철호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본 연구는 헤어숍의 SNS 마케팅이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헤어숍의 SNS 마케팅이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 비성향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북도에 거주하는 남・여성을 대상으로 347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의 통계처리 는 SPSS WIN 25.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Cronbach’s α 계수 산출,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Duncan test,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헤어숍의 SNS 마케팅 중 신뢰감, 생생함, 정보성이 높을수록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헤어숍의 소비자 태도가 높을수록 구매의도도 높게 나타났다. 헤어숍의 SNS 마케팅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쾌락적 소 비성향은 SNS 마케팅의 하위요인별 정보성, 신뢰감과 소비자 태도 간의 관계를 조 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추구 소비성향은 신뢰감과 소비자 태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적 소비성향, 경제적 소비성향 및 타인의식 소비성 향은 생생함, 신뢰감과 소비자 태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어숍 의 SNS 마케팅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쾌락적 소비성향 및 타인의식 소 비성향은 SNS 마케팅의 하위요인별 정보성, 신뢰감과 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조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적 소비성향 및 경제적 소비성향은 SNS 마케팅의 하위 요인별 생생함, 신뢰감과 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추 구 소비성향은 SNS 마케팅의 하위요인별 정보성과 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헤어숍의 SNS 마케팅이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소비성향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이는 소비자의 소비성향에 따라 SNS 마케팅이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는 헤어숍의 소비자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SNS 마케팅보다는 소비자를 소비성향에 따라 구분한 맞춤형 SNS 홍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初等學校 學習者를 위한 中國語 基礎 語彙 選定에 關한 硏究
김혜민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9 국내석사
【中文摘要】 关于小学生的汉语教学用词汇选定的研究 韩国外国语大学校 教育大学院 中国语教育专攻 金惠旻 在韩国对于汉语教学的关心并不是什么新趋向。随着这样的发展,小学生学习汉语也并不是什么新奇的事情。但是,与这种情况不符的是,关于为了小学生的汉语教学内容的研究并不多。少儿汉语教材的特性实际上也反映不出,和已有的汉语教材的初级内容没有什么大的区别。所以,在本论文中包含了侧重于语言的基本单位词汇,考虑到以小学生为对象的少儿汉语的教学内容。 在本论文中,通过以下的过程选定了小学生的汉语词汇。 第一,在学习外语时,无论哪种外语都有共同要学习的部分,基于这种观点,对于初次接触到外语的学生们,我们抽取教育过程中所要学习的,在包括英语和第二外语中的交际功能表达形式。要观察在第7次更新的教育过程中小学所收录的英语领域的交际功能表达形式。还有,抽取了在中学的第2外语自由活动中,可选生活外语学习科目中出现的7个语言的交际功能表达形式。这个结果从8个语言中可以共同选择抽取了30个沟通情况。 第二,将抽取的交际功能表达形式在首尔某小学中,对281名小学生进行说明以后,各个沟通情况实际上是如何用韩语所表达的,进行了问卷调查。根据调查,可以知道实际学生们使用的文章,从学生使用的语句中可以抽取学生们使用的词汇。 通过上面的过程,以学生们1824个语句为基础,选择了922个词。但是,出现频度弱的词汇,大部分是小学生不使用的。在英语和第二外语中出现的词汇量300-400个左右,其中出现频度5以上的为标准,总共选择了330个词。对于被选定的词汇根据词性、意义进行分类。如<表3> 最终被选定的词汇中动词30.90%,名词29.09%,动词和名词总共占了一大半,实际选定词汇中动词、名词、形容词总共占了90%。 最后,将选定的330个词与已有的汉语教材「噌噌年少中国语」、「儿童中国语炸酱面」中所出现的词汇进行了比较。「噌噌年少中国语」总共出现了273个词,与本论文所选定的词汇中有88个相同。占了26.66%,是个相对较小的比值。「儿童中国语 炸酱面」总共出现了309个词, 与本论文所选定的词汇中有109个相同。占了33.03%的比值。比起「噌噌年少中国语」的占有比值要大,但是,还不能算反映出了适合于学生的教材。 本论文是将在教给小学生,学习汉语时,对于最先要教的词汇进行选择的过程中,应以学生的词汇使用内容为中心。本论文所选定的词汇并不是绝对的。在实际汉语教学中或是学习中根据需求可以进行追加。再次说明,本论文并不能看做为小学生汉语词汇选定的完成论文。以本论文为基础,希望汉语词汇教学,特别是少儿汉语教学会有更好的发展。
골프 유튜브 시청 유무에 따른 마인드셋이 운동열정과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김혜민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일반대학원 2025 국내석사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발전으로 유튜브는 주요 미디어 플랫폼으로 자리 잡 았으며, COVID-19 이후 골프 참여와 유튜브 레슨 채널 이용이 급증하여 골프 참여 지속과 경기력 향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골프 유튜브 시청자의 심리적 요인, 특히 마인드셋과 운동 열정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 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골프 유튜브 시청 유무에 따라 마인드셋(성장 및 고정)과 운동 열정(조화 및 강 박)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골프 참여자의 심리적 요인을 강화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골프 유튜브 시청자 262명과 비시청자 83명으로 총 345 명을 설정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 는 SPSS 26.0과 AMOS 26.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 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 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 유튜브 시청자의 마인드셋이 운동열정과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 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마인드셋의 하위요인인 성장 마인드셋은 운동열정의 강박열정과 조화열정 모두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인지된 경기력에도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정 마인드셋은 운동 열정 김혜민 가천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스포츠심리학 전공 과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골프 유튜브 시청자의 운동열정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운동열정의 하위 요인 중 강박 열정이 인지된 경기력에 정(+) 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 유튜브 비시청자의 마인드셋이 운동 열정과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마인드셋의 성장 마인드셋은 운동열정의 조화 열정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인지된 경기력에 정(+)적 영향을 미 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마인드셋의 고정 마인드셋은 운동열정과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골프 유튜브 비시청자의 운동열정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한 결과, 운동 열정의 하위 요인 중 강박열정이 인지된 경기력에 정 (+)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Part 1. Isolation of Bio-active Compounds from Persimmon roots (Diospyros kaki) Persimmon (Diospyros kaki), which belongs to the Ebenaceae family, is widespread in Korea, Japan and China. Extract of persimmon roots showed antioxidant activity (IC_(50) ~50 ug/mL). Two novel naphthalene derivatives (4 and 6) and one novel naphthoquinone derivative (9) together with six known compounds (1-3, 5, 7-8)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the plant Diospyros kaki. The structures of isolates were characterized by spectroscopic methods including UV, IR, HRTOFMS, ¹H NMR, ¹³C NMR, DEPT, 1D NOESY, gCOSY, gHSQC, gHMBC, and ROESY. The isolated compounds showed moderate antioxidant (IC_(50) 5.3-43.9 ug/mL) and cytotoxicity (IC_(50) 1.7-73.3 ug/mL) activity which were estimated by DPPH radical-scavenging assay and SRB assay, respectively. New compound 4 showed weak activity against Pityrosporum ovale. Part 2. Development of methods to remove Methyl Chloride, a toxic industrial waste A surfactant is a material absorbing to an interface in the watery solution and in which it reduces the surface tension. The quartenary amine cationic surface active agent occupies 80% of the cationic surface active agent market and the methyl chloride is used in order to make the quartenary amine into the trivalence amine.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an efficient method to remove unreacted methyl chloride from the quarternary amine cationic surface active agent by using the liquefied reaction method. The speed of reaction with catalyst was faster than that of without catalyst. The reaction speed was also fast when organic solvent was used instead of water. The faster reaction speed with high yield was found when the catalyst DDAC (di-hydrogenated tallow dimethyl ammonium chloride) and Aliquat 336 (Me(C_(8))₃NCl) were used.
병설유치원 통합학급에서 개별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유아의 도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혜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병설유치원 통합학급에서 개별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유아의 도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전공 김혜민 지도교수 : 이병인 이 연구에서는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에서 자폐성장애 유아의 도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중재 종료 후에도 중재의 효과가 유지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경기도 U시에 위치한 병설유치원 통합학급의 5세 자폐성장애 유아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행동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기능평가에 근거한 중다요소 중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병설유치원 통합학급에서 실시하는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유아의 손톱 물어뜯기 행동과 소리 지르기 행동, 자리이탈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중재 종료 후에도 손톱 물어뜯기 행동과 소리 지르기 행동, 자리이탈 행동이 감소한 추세로 유지되는지 알아보았다. 실험기간은 2024년 3월을 시작으로 5월까지 10주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실험 장소는 경기도 U시에 있는 공립병설유치원 내 통합학급에서 실시하였다. 연구는 배경 및 선행사건 중재, 대체행동 교수 중재, 후속결과 중재, 장기적 지원 중재를 포함한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을 수립하여 실시하였다. 이에 긍정적 행동지원의 연구 절차에 따라 간접평가와 직접평가를 통한 기능평가를 시작으로 가설 설정, 가설 검증을 거쳐 기초선을 측정하고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유지 단계까지 측정하는 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기초선과 중재는 통합학급 내 놀이시간과 대소집단 활동 시간 동안 관찰하였으며, 중재가 끝난 후로부터 2주 후 동일한 조건과 환경에서 유지 효과를 관찰하였다. 자료 수집과 분석, 관찰자 간 신뢰도와 중재충실도와 사회적 타당도의 단계를 거쳐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로 자폐성장애 유아의 도전행동이었던 손톱 물어뜯기 행동과 소리지르기 행동, 자리이탈 행동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중재가 종료된 후로도 효과가 유지되었다. 본 연구는 체계적인 기능평가를 바탕으로 한 다요소 중재의 개별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유아의 도전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었으며, 긍정적 행동지원팀 간의 협의와 소통이 연구에 효과적이었다. 결론적으로 통합학급에서의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유아의 도전행동 지도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제어: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자폐성장애 유아, 도전행동
김혜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현대사회는 법치주의가 실현되어 생활관계에서 법의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져 국민들에게 법을 잘 알고 활용할 줄 아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 현대사회의 바람직한 시민으로서 법 문제의 합리적 해결 능력과 법치주의 실현과정에 자발적인 참여 자세를 기르는 것을 법교육이라 한다면, 지금과 같은 지식 중심 ? 이론 중심의 법교육 방법으로는 목표 달성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그 대안으로 사례 중심 ? 생활법 중심 법교육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먼저 현행 법교육 방법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자면 초등학교 6학년에서 국가와 관련된 헌법내용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어 교육과정상 내용배치 순서가 학생의 인지발달 단계와 불일치 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초등학교 단계에서 법교육 내용이 국민의 권리인식보다 행위 제어에 지나치게 비중이 높아 법을 강제적이고 귀찮은 것으로 인식하게는 문제점이 있으며, 학습 내용이 체험이 아닌 지식 중심으로 전달되어 일상생활과 괴리감을 느끼게 된다는 점이다. 그 밖에도 지나치게 어렵고 방대한 내용을 가르쳐 법률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법학 교육과 법교육의 구분이 잘 되지 않고 있으며, 탐구 활동과 보조 자료가 본문과 연계성이 없는 경우가 있다는 점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법교육의 진정한 목표가 법적 개념과 원리의 이해, 법적 문제해결력 제고, 법치주의에 대한 신념과 법 준수의 태도 함양 등 ‘법적 시민성’을 형성하는 데 있다는 점을 상기하여 새로운 법교육 방법에 관한 관심이 높아져 사회 각 분야에서 사례와 생활법을 활용한 새로운 법교육 방법에 관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 예로 법무부를 중심으로 한 생활법을 중심의 법교육 교재를 개발하고, Law Educator 법교육 출장강연, 법률콘서트 개최, 학생자치법정 시범학교 운영, 법질서 UCC 콘테스트와 생활법 경시대회의 개최 등은 실생활 중심의 법교육 방법에 관한 사회적 관심을 반영하고 있다. 이 연구는 법교육 방법 변화 추세에 발맞추어 현행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법교육 방법에 대한 반성과 함께 법교육의 목표달성을 위한 효과적 법교육 방법으로서 「판례를 활용한 법교육 방법과 효과」에 대해 고민하였다. 특히 실생활 중심의 법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례로서 판례(判例)의 중요성을 인식할 것을 강조한다. 판례는 다양한 사회적 현상과 사례들 중 법원(法院)적 가치를 지닌, 즉 사회적으로 발생한 문제에 대해 사회적 합의를 반영한 결과로서 법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검증된 수업자료라는 의의를 갖는다. 판례를 활용한 교수-학습 과정으로 ‘사실 관계 제시 - 청구인 및 관계인 주장 분석 - 관련 법률 조항 탐색 - 법적 판단의 도출 - 판결문의 작성 및 토론’의 단계를 제시한다. 첫 번째 ‘사실 관계 제시’ 단계는 학생이 중심이 되어 구체적 사례에서 출발함으로써 학생들 스스로 법적 문제에 대해 비판적으로 탐구하고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도록 유도한다. 이처럼 실제 발생 가능한 사례의 활용은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를 높여 높은 수업참여를 통한 학습 효과의 증진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청구인 및 관계인 주장 분석’ 과정에서는 주어진 자료를 해석하여 대립하는 쟁점을 파악해 내는 분석력을 높이고, 이런 분석결과를 통해 같은 사실에 대해서도 이해 당사자 간 견해와 판단이 다를 수 있음을 경험하며, ‘관련 법률 조항 탐색’ 단계에서는 자신의 견해를 뒷받침 해줄 수 있는 법적 개념과 법조항을 찾아내는 훈련을 할 수 있다. ‘법적 판단의 도출’ 단계에서 학생들의 사고를 촉발할 수 있는 다양한 질문을 통해 법적 사고력을 증진시키고, 근거를 바탕으로 법적 쟁점을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생들 간 토론을 하며 상호작용을 통한 문제해결력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판결문 작성 및 토론’ 단계에서 법적 쟁점에 대한 합리적 해결과정을 간략하게 진술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견해를 논리적으로 전개하고 정리하는 경험을 할 것이다. 제시된 바와 같이 판례를 활용한 법교육을 통해 다양한 교육 효과를 달성할 것이라 본다. 첫째는 경험적 자료인 판례를 통해 학습함으로써 법적 개념과 원리를 일반화하는데 유용할 것이며, 둘째 학생들은 보다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판결문에 나타난 ‘새로운 쟁점을 활용’하고 ‘다양한 관점을 검토’하여 ‘사례의 총체적 이해’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사례에 나타난 쟁점에 대한 활발한 토론을 자연스럽게 전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구체적 사례를 통해 학습자들의 흥미와 학습 동기를 고취시켜 학습 효과를 증진시키는 효과를 달성할 것이며, 넷째로는 법적 사례를 비판적으로 탐구하고 합리적 해결책을 찾는 과정에서 비판적 사고력 등 고급사고력 증진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판결문을 통해 법 집행자들과 간접적으로 교류함으로써 법에 대한 신뢰감을 높여 법을 준수하는 태도가 형성되어, 나아가 청소년비행을 예방하는 효과를 달성할 것이다. 판례를 활용한 법교육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수-학습 과정에서 도입할 판례를 선택함에 있어서 학생들의 사고 발달 수준 내에서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지나치게 논쟁적이거나 다양한 법적 개념이 혼재되어 있어 판결문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사례는 지양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흥미를 끌어내기 위한 판례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므로, 학생들의 실제 생활에 밀접한 관련이 있거나 현재는 아니더라도 미래 사회생활을 하면서 경험할 법한 판례를 선택해야 한다. 판례를 활용한 법교육 방법에서 교사는 수업 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학생들을 도와주는 봉사자로서의 역할이 필요하다. 학습 내용에 적합한 판례를 선택하여 제시하고, 학생들이 법적 견해 차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질문을 통해 사고를 촉진하며, 근거가 되는 관련 법률 조항을 찾도록 격려하여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탐구과정을 종합하여 법적 판단과 정당화 과정을 판결문의 형태로 정리하도록 안내한다. 흔히 청소년을 미래 우리 사회의 주역이라 표현한다. 학생들 개개인이 스스로의 권리와 책임을 자각하고 국민의 자율적인 활동을 지지하는 법의 역할을 충분히 인식함으로써, 미래 우리 사회가 형식적 법치주의가 아닌 국민의 자유와 권리가 보장되는 실질적 법치주의를 실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선 학교 현장에서 실행되고 있는 법교육이 「법적 시민성」 함양이라는 목표 달성에 실효성 있는 방법을 끊임없이 연구하고 실행함으로써 보다 정의롭고 행복한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와 능동적 탐구를 통해 궁극적으로 법교육 목표인「법적 시민성」을 형성하는 데 유용한 사례로서 ‘판례’를 활용한 새로운 법교육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하겠다. Actualizing constitutionalism and being important law in life relationship, modern society needs person who knows law and is able to use it. So, the people have to realize their duty and responsibility themselves and understand well enough role of law supported people's self-controling activity. In addition, when taking place legal dispute in society, it needs to solve it properly according to laws or regulations and requires attitudes which participates in judicature process progressively. If the law education's target is to raise voluntarily participation attitude and ability of resonable solution in law problem, there will be a limit in the education of knowledge focus. So, it is indicated law education of the focus on instance and life law. This study considered "A study on the law education using a precedent case" and it's effect i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achievement of law education with self-examination concerning law education way in current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of law education effectively, minimize problems of current education process, it need to organize the class of the focus on instance and life law considering students' level, not a precedent law education of the focus on contents. We have to recognize importance of a precedent case as examples which is able to use in law education of life focus. The precedent case is verified class data ; it has legal value among various social phenomenon and examples as a result reflected social agreement about problem occurred in society. At the same time giving lessons through recognition of legal case, verification of legal issue, search of legal basis, deduction of legal judgment and justification, preparation of the decision and presentation step, using a precedent case can encourage learning effect and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lso it will promote legal thinking power through process on searching solutions and studying themselves and is helpful to acquire thinking power of main goal in social subjects. Furthermore it will expect prevention effect of teenager's misdemeanor through raising attitude of law observance, improving concern of legal problem. Consisting of a thesis examination is as follows. 'As an introduction Ⅰ', recognizing importance of law education that modern society require to improve legal citizen, it puts great emphasis on necessity of study about the way. Also it describes the present state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law education. 'By the law education methodology Ⅱ', to emphasis the necessity teaching-learning method, Ⅱ examines various life law driving the Ministry of Justice and summarizes procedures and effect of teaching-learning method based on precedent case. 'By the law process using the precedent case Ⅲ', Ⅲ examines a character and a condition of the precedent case to introduce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suggest teaching-learning precess of an actual example that uses the precedent case. In conclusion, by using precedent case in law education can induce students' interest, it makes students do a voluntary participation and an active inquiry in the class. This is useful to achieve the law education goal to cultivate 'legal citizen' such as solving ability to legal problems, the belief in constitutionalism and a attitude of legal observance. Therefore to devise effective law education method using the precedent case, a study on teaching-learning method has to revitalize.
김혜민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17 국내석사
댐 주변지역 지원사업 제도에 대해 저수용량을 기준으로 규모가 비슷한 5개 다목적댐을 선정하여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개년 동안 지원사업 예산 항목별 집행실적을 세부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비교한다. 비교 후 지원사업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소음 및 소리는 현대 사회에서 각각 환경과 정보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지 오래다. 그러나 소리는 눈에 보이지 않는 현상이기 때문에 즉각적인 분석이 어렵고, 따라서 정밀 계측 기기와 면밀히 설계되고 시간을 소요하는 측정실험을 통해서만 원인과 발생위치 그리고 강도와 같은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음향 홀로그래피 기술을 안경플랫폼에 장착할 것을 가정하여 고가의 정밀기기가 아닌 저가의 장비로 동작가능토록 하였다. 4개의 마이크를 안경의 상하좌우에 배치하여 2차원 상에서의 소리 근원지의 좌표를 추출하여 카메라 혹은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소리의 근원지점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음향 홀로그래피 기술을 스마트 안경이 가지는 음향 센싱 및 계산 능력을 이용해 구현하고, 측정된 여러 소리를 그 발생 위치에서 각각 특성을 잘 표현하는 형태로 시각화하여, 안경 착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증강현실로 제공하는 기술(하드웨어 및 어플리케이션)과 그에 기반하는 실생활 속의 유용한 응용들을 제공하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놀이치료자 직무 열의에 관한 주관적 인식: Q방법론 활용
김혜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본 연구는 놀이치료자 직무 열의에 관해 치료사 개인이 느끼는 가치, 욕구, 인식 태도들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먼저 문헌 및 전문가 3인의 인터뷰를 통해 11가지 요소가 담긴 개방형 질문지를 구성하였고 이후 8인의 놀이치료자 심층 면접을 통해 관련된 진술문을 추출하였다. 조사된 Q모집단을 비슷한 범주로 분류하여 각 범주에서 대표적인 Q진술문을 선정하였고, 석사 이상의 자격을 가진 놀이치료자 34인을 인터뷰하였다. 이후 분석을 통해 유형을 추출하였고 각 유형별 특성은 해당 유형을 대표하는 진술문과 양극단진술을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치료자의 직무열의 인식 유형은 3가지로서, 첫 번째는‘직무 환경 불만족과 직무 효능 소진형’, 두 번째는‘직무 환경 만족과 직무 효능 만족형’, 세 번째는‘직무 환경 만족과 직무 효능 부족형’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인식유형별 특성으로‘직무 환경 불만족과 직무 효능 소진형’은 일하는 환경에 대해 만족하지 않았고 직무능력이 현저하게 소진되어 있었다. ‘직무 환경 만족과 직무 효능 만족형’은 일하는 환경에 대해 만족함과 동시에 자신의 직무 능력에도 자신감을 보였다. ‘직무 환경 만족과 직무 효능 부족형’은 일하는 환경에 대해 만족하지만, 자신의 직무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 환경 불만족과 직무 효능 소진형’은 상급자와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고 복지혜택에 대해서도 만족하지 않았다. 또한 치료 시 부모·아동의 부정적 반응에 대해 좌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환경 만족과 직무 효능 만족형’은 상급자와의 소통, 복지혜택에 대해 만족하였고 부모·아동의 반응에 대해서도 좌절하지 않았다. ‘직무 환경 불만족과 직무 효능 소진형’은 치료비 입금의 규칙성 등 일하는 환경에 대해 불만을 가지고 있고 치료 시 부모·아동의 반응이나 주호소 향상 정도에 대해 좌절하는 특성을 보였다. ‘직무 환경 만족과 직무 효능 부족형’은 일하는 환경에 대해서‘직무 환경 불만족과 직무 효능 소진형’보다 나은 만족감을 가졌고 치료 시 부모·아동의 부정적 반응에 대해서는 좌절하지 않았지만, 진단평가나 사례개념화, 적절한 개입 등에서는 자신이 없는 모습을 보였다. ‘직무 환경 만족과 직무 효능 만족형’과‘직무 환경 만족과 직무 효능 부족형’은 두 유형 다 환경에 대해 만족하지만 효능감에 대해 차이를 가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넷째, 3 유형에서 일치항목은 총 5개로 나타났는데 긍정적 진술문은 내담아동의 변화, 부모의 양육 태도에 대한 것이다. 이를 보아 치료자들은 무엇보다 내담아동의 변화와 부모의 양육 태도 변화에 대해서 보람을 느끼는 것을 알 수 있다. 부정적 진술문은 적정한 치료비, 학회 ·교육비에 대한 부담에 대한 것이었는데, 치료자들은 대부분 자신이 받는 치료비가 적정하지 않다고 느끼며, 학회나 교육비에 대한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Q방법을 활용한 놀이치료자의 직무열의 주관적 인식과 내재한 요인들의 분석을 통해 놀이치료자의 직무열의를 높이기 위해서는 어떠한 방향의 지원이 필요한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values, desires, and perceptive attitudes felt by individuals of the therapist regarding the enthusiasm for the role of play therapist. First, an open questionnaire containing 11 elements was constructed through interviews with three literature and experts, and related statements were extra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play therapists. The surveyed Q population was classified into similar categories, and representative Q statements were selected from each category, and 34 play therapists with master's or higher qualifications were interviewed. Later, the types were extracted through analy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analyzed by combining statements and bipolar statements representing that typ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three types of job fever recognition for play therapists, first being 'unsatisfactory with the job environment and exhausted', second being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job efficacy satisfaction', and third being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lack of job efficacy'. Second, as a characteristic of each type of recognition, "unsatisfaction with the job environment and exhaustion of job efficacy" was not satisfied with the working environment and was significantly exhausted.Satisfied with the job environment and satisfied with the job efficacy" showed confidence in his job skills at the same time as satisfied with the working environment."Satisfaction with the job environment and lack of job efficacy" is found to be satisfied with the working environment, but lacks confidence in one's job skills." Third, "unsatisfaction with the job environment and exhaustion of job efficacy" was not good at communicating with superiors and was not satisfied with welfare benefits. It has also been shown to be frustrated with negative reactions from parents and children during treatment.Satisfied with the job environment and satisfied with the job efficacy" was satisfied with communication with superiors and welfare benefits, and was not frustrated with parents and children's reactions." Dissatisfaction with the work environment and exhaustion of work efficacy" showed dissatisfaction with the working environment, such as the regularity of deposit of medical expenses, and frustration with the parents and children's response or improvement in main appeal during treatment.""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lack of work efficacy" had better satisfaction with the working environment than "work environment dissatisfaction and job efficacy exhaustion" and was not frustrated with negative reactions from parents and children during treatment, but showed no confidence in diagnostic evaluations, case conceptualization, and appropriate intervention. Both types of "job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job efficacy satisfaction" and "job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lack of job efficacy" are satisfied with the environment, but they can be seen to have differences in efficacy. Fourth, there were a total of five matches in the three types, and the positive statements were about changes in children and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This shows that healers, among other things, feel rewarded by changes in their children's parenting attitudes. The negative statement was about the burden of appropriate treatment, academic and educational expenses, and most of the therapists felt that the treatment they received was not appropriate, and they felt burdened with academic and educational expen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