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노인복지시설과 지역시설의 복합화를 위한 실내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한승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제성장과 현대의학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노인의 인구비율도 증가하게 되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고령화 속도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 매우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에는 경쟁력을 갖춘 노인들이 늘어나면서 사회참여를 도모하려는 노인이 증가하고 있으며 지역노인들의 여가생활을 지원해 주는 시설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보다 시설의 복합화가 먼저 진행된 일본의 지역밀착형 노인복합시설들의 공간구성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노인복합시설 실내공간계획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노인복지시설과 지역시설이 복합되어진 국내의 사례로는 노인종합복지관 중 복합화 되어있는 사례 3개소를, 일본의 사례는 건축전문지 「신건축」에 게재된 사례를 중심으로 선정한 6개소를 선정하였다. 일본 노인복합시설의 사례는 도면 자료와 문헌 자료 등 기초 자료를 수집하여 사례의 내.외부공간을 살펴보고 평면유형, 면적, 동선, 실내공간을 분석한다. 일본의 노인복합시설의 공간적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의 노인복합시설은 운영프로그램에 있어서 지역성을 반영하고 있다. 노인복합 시설의 경우 데이케어센터를 기본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그 외 프로그램의 대부분은 모든 세대가 이용할 수 있는 보건,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지역의 필요에 따라 체육관, 도서관, 욕실 등의 특수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노인이나 어린이, 장애인의 경우는 프로그램을 특정 이용자의 조건에 맞추고 있다. 둘째, 지역밀착형의 노인복합시설은 주민의 커뮤니티 및 세대교류를 향상시킨다. 노인복합시설이 지역에 가까이 밀착되어 있어 노인과 지역주민들이 시설을 자주 이용함으로써 노인시설의 질적 개선과 지역시설의 복지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공간구성에 있어서 모든 세대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도서관, 체육관 등은 입구와 가까이 위치하고 있으며 노인시설의 경우 일부 프라이버시를 지켜주는 개별 공간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환경을 고려한 자연친화성의 시설을 건립한다. 노인복합시설의 건물에 있어서 지역에서 생산되는 재료를 적극 활용 하고 있으며 리모델링을 하는 건물의 경우 콘크리트 폐자재를 주차장의 지반으로 사용되는 등 환경을 고려한 시설이 늘고 있다. 실내에서는 시설 중앙에 중정을 두어 실내에서 자연을 볼 수 있고 채광과 환기를 해결하여 쾌적한 시설의 분위기를 조정하고 있다. 일본 노인복합시설의 건물의 면적에 있어서는 1,000㎡이상~3,000㎡이하의 시설이 많이 있었으며 평면유형에는 정원이나 모든 세대가 이용할 수 있는 공통부분을 중심으로 노인시설과 지역시설이 나누어진 형태가 많았다. 입구동선은 크게 주출입구와 부출입구로 나누어져 있는 시설과 주출입구가 두 곳 이상 사용하는 시설로 나눌 수 있는데 이러한 이유는 건물의 면적과 관련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노인복지시설과 지역시설의 실내공간계획에 있어 참고해야할 이론과 사례의 분석을 통해 향후 국내 노인복합시설의 건립 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기반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노인복합시설의 실내공간계획에서는 다양한 세대의 요구를 반영해야 하며, 특히 노인시설의 경우, 디자인에 따라서 노인의 환경심리와 행태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노인의 특성과 요구에 맞게 계획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합화에 대한 이론과 노인복합시설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세대 간 교류가 활발해 질 수 있는 실내공간계획을 디자인하는데 있어 하나의 대안으로 활용되어질 것이다. As life expectancy of people is prolonged together with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of modern medical technology, population ratio of senior is increasing and in case of Korea, speed of this aging appears very fast compared to other advanced countries. Recently with the increase of seniors equipped with competitiveness, seniors attempting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are increasing and demands for facilities supporting leisure life of local seniors are increasing to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pace composition of senior compound facilities of local concentration types in Japan, which has progressed compound combination of the facilities earlier than Korea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ndoor space planning of senior compound facilities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ree examples among senior integration welfare halls as domestic compound combination of senior welfare facilities and local facilities, and six locations in Japan selected from articles of a professional architecture magazine of 「New Architecture」 were selected. As examples of Japanese senior compound facilities, basic data such as drawings data and literatures data was collected and external and internal space of the examples was reviewed and plane types, area, movement line, and indoor space were analyzed. Summaries of the analysis results of spacial characteristics of Japanese senior compound facilities are as the follows. First, Japanese senior compound facilities reflect local nature in operation programs. In case of senior compound facilities, daycare center is operated basically and majority of other programs provide health and welfare services which all households can use in common. In addition, special programs such as gymnasium, library, and bathroom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local communities are operated and in case of seniors, children, and handicapped, programs are established to satisfy certain conditions of users. Second, senior compound facilities in local concentration types improve residents' community and exchanges of households. As senior compound facilities are located in proximity with local communities, qualitative improvement of senior facilities and improvement of welfare of local facilities can be achieved because seniors and local residents can use the facilities frequently. In composition of space, library and gymnasium which all households can use in common were located near to entrance and in case of senior facilities, it was found out that there were individual space protecting some privacy. Third, nature friendly facilities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 were built. They positively used materials produced in local communities in building senior compound facilities and in case of remodelling buildings, facilities considering environment such as using waste concrete as the foundation materials for building parking lots are increasing. In indoor, atmosphere of comfortable facilities is built by placing central garden in the center of the facilities for seniors to view the natural sceneries and also by solving sunlight and ventilation problem. In area of buildings of Japanese senior compound facilities, there are many facilities with over 1,000㎡~under 3,000㎡ in area and in types of plane, there were types in separation of senior facilities and local facilities centering on gardens or common areas where all households can use in common. Movement line of entrance can be divided into facilities with large division between main entrance part and secondary entrance part and facilities with more than two main entrances and reasons were found out because it was related to size of area of build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ecome the base in preparing basic data in indoor space planning of senior welfare facilities and local facilities as well as in building domestic senior compound facilities in the future through analyses of theories and actual examples for making a reference. In indoor space planning of senior compound facilities, various demands of households must be reflected and in particular, in case of senior facilities, they must be planned to satisfy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seniors because different designs can affect environment psychology and behaviors of seniors. Therefore,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n alternative in designing indoor space plan where exchanges between households can be promoted actively by finding out and understanding theories about compound combination and spacial characteristics of senior compound facilities.

      • 백금족 화합물 /Ti 전극제조 및 염색폐수에 대한 전기분해특성

        한승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염색폐수는 난분해성 물질과 색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폐수처리가 어렵다. 공업선진국에서는 백금족 전극을 이용하여 NaCl의 첨가에 의한 차아염소산 이온의 산화작용으로 폐수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폐수처리공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에 관한 연구가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분해법을 이용한 폐수처리공법으로 Ir, Ru, Pd과 같은 백금족 원소를 티타늄판에 침적도금하여 열분해법으로 표면을 활성화시킨 전극을 제조하였으며 이 전극을 이용하여 염색폐수의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과 분해특성을 연구·고찰하였다. 제조한 백금족 화합물/Ti 전극을 폐수 2L에 3%wt NaCl을 첨가하여 6시간 반응시켜 표면조성 및 화학적 결합상태를 SEM, XRD 그리고 ESCA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반응 전·후의 변화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백금족 화합물/Ti 전극의 내화학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백금족 화합물/Ti 전극의 표면산화·환원반응을 확인하기 위하여 C.V. 측정을 하였다. IrO2/Ti 및 PdO/Ti 전극은 O2 및 H2를 발생하였다. 그러나 RuO2/Ti 전극은 Cl2와 ClO-의 피크의 생성으로 산화·환원피크를 나타내어 전기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있는 것을 보였다. 한편, RuO2/Ti 전극을 이용하여 전기분해 했을 때 각 폐수들의 COD 제거율은 페놀 96.3%, 침출수 97%, 모의 염색폐수는 98.7%이었으며, 실제염색폐수의 경우는 99%로 폐수처리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모의 염색폐수인 반응성 염료(R.Blue 222, R.Yellow 145, R.Red 241 – 각 C.I.Name)는 red 염료 98.6%, yellow 99.3%, blue 염료는 99.1%로 각 염료에 대하여도 우수한 COD 제거 처리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응성 염료로 제조한 모의염색폐수를 RuO2/Ti 전극으로 전기분해하면서 UV를 측정하였다. 각 염료의 최대흡수파장(R.Blue 222 – 98.7%, R.Yellow 145 – 98.1%, R.Red 241 – 99.2%)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염색폐수의 화학적 분해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FT-IR을 측정한 결과 염료의 발색단과 조색단이 잘 나타났다. 특히 1600cm-1 부근의 azo기(N=N 결합)가 반응시간에 따라 감소되므로 색소의 분해는 발색단의 분해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백금족 화합물/Ti 전극을 이용한 전기분해 방법의 염색폐수처리는 일반적인 방법에 비하여 pH 조절, 고분자 응집제 및 탈색제의 첨가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처리 후에도 슬러지 양을 많이 줄일 수 있으며, 색소 또한 완전히 분해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백금족 화합물/Ti 전극을 이용한 전기분해 방법은 염색폐수처리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되리라 사료된다.

      • 일반인의 복약지도 관련 용어 이해도 증진을 위한 복약안내문 용어 개선에 대한 연구

        한승희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Despite increasing interest of general public regarding drug counseling, most pharmacies are unable to conduct drug counseling sufficiently due to lack of time. In this circumstance, providing written medication instruction is regarded as one of the important alternatives. As written medication instruction is known to have many advantages such as enhancing patient's understanding regarding the content of drug counseling as well as drug compliance of patients, a lot of community pharmacies currently provide the printed medication instruction to patients. However, most medicinal materials including medication instruction consist of difficult professional terminology and are difficult for general people to understand. In order for safe and effective use of medicine, several studies urge to improve the professional terminology by using plain language. In order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on professional terminology used in medication instruction, this study first evaluated the understanding of general public on professional terminology used in medication instruction of prescription drug, secondly established the principle for improving terminology and converted the terms based on established improving principle, lastly analyzed the understanding of general public regarding the terms before and after conversion. The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 terms and plain terms and the factors showing differences among groups were collected by online questionnaire survey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 for twelve days from November 14th to 25th of 2018. The subject of study was limited to general people aging over 20 years old and whose major is not in healthcare field. A total 348 people participated, 186 respondents(53.4%) were male, 172 respondents(49.4%) were over fifties, and 304 respondents(37.4%) had more than two people living together(including oneself). The professional terms that more than 50% of participants responded 'not understood'('not understood at all'(1 point) or 'not really understood' (2 point)) were 13 terms among total 20 terms which were more than half. This means terminology currently used in medication instruction is difficult for general people to understand.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improved term that more than 50% of participants responded 'not understood'.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that answered 'Not understood' was 54.5% before terminology conversion, whereas 11.4% after conversion.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that answered 'Understood'('slightly understood'(3 point) or 'well understood'(4 point)) was increased to 88.6% after terminology conversion, whereas 45.4% before conversion. Average score of overall understanding regarding professional terms was 2.23 point, 1.25 point was increased after improvement of terminology making average score of overall understanding on improved terms to be 3.48 point.(p<0.01) Moreover, average score of the understanding on each terminology was also increased.(p<0.01) Therefore, principle improving terminology that this study established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general public's understanding regarding terminology relevant to drug counseling. In case of the understanding on the professional terminology, the factors showing differences among groups were sex, number of health supplements taken, extent of reading medication instruction, and self-assessed understanding level on medication instruction. Among these factors, all factors excluding sex were found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on the understanding of improved terminology.(p<0.05) The groups with low understanding on professional terminology excluding sex had higher increase in understanding after improving the terminology and this resulte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ith low and high understanding on professional terminology to be disappeared in improved terminology. Improved terminology using conversion principle established during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understandable throughout most people since factors showing differences among groups in the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 terminology were disappeared among groups in the understanding of improved terminology. In conclusion, professional terminology used in medication instruction of prescription drug which is actually used for most time in community pharmacies for both pharmacists and general people is reported to be difficult for general public to understand. Therefore, it is urgent to improve the terminology used in medication instruction in order to ensure safe and effective use of medicine. Since improving principle of terminology establish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general peopl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 for improving terminology used in medication instruction in the future. KeyWords:written medication instruction, professional term, improvement of terminology, plain language, drug counseling 고조되고 있는 복약지도에 대한 관심과는 상이하게 현재 대부분의 약국에서는 시간부족 문제로 복약지도를 충분히 이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자에게 복약안내문을 제공하는 것이 하나의 중요방안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는 복약지시 내용에 대한 환자의 이해도와 복약순응도가 높이는 등의 여러 장점이 있어 현재 대부분의 지역약국에서 복약안내문을 출력하여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복약안내문을 포함한 대부분의 의약 관련 자료들은 어려운 전문용어로 구성되어 있어 일반인들이 이해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여러 연구에서 의약품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 의약품 관련 정보에 사용된 전문용어를 쉬운 용어로 개선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약안내문에 사용되는 전문용어 개선의 필요성을 시사 하기 위해 첫째, 지역약국 약사들이 실질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처방의약품의 복약안내문에 사용된 전문용어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하고 둘째, 이 용어를 쉬운 용어로 개선하기 위한 원칙을 수립하고 수립한 원칙을 근거로 용어를 개선한 후 셋째, 개선 전후의 용어에 대한 일반인의 이해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전문용어와 개선된 용어에 대한 이해도 및 용어에 대한 이해도에 군 간 차이를 보이는 요인에 대한 정보는 2018년 11월 14일부터 25일까지 12일 동안 20세 이상 일반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편의표본추출방식으로 수집하였다. 설문조사 응답자는 총 348명으로, 남성이 186명(53.4%), 50대 이상이 172명(49.4%), 동거인수(본인 포함)가 2인 이상은 304명(87.4%)이었다. 전문용어에 대한 이해도의 경우 응답자의 50% 이상이 이해가 안 된다고(전혀 이해 안 됨(1점) 및 별로 이해 안 됨(2점)) 답한 용어는 13개였으며 이는 대상용어 총 20개에서 과반수가 넘는 숫자였다. 이는 현재 복약안내문에 사용되고 있는 전문용어가 일반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것을 의미한다. 반면 개선된 용어의 경우 응답자의 50%이상이 이해가 안 된다고 답한 용어는 없어, 용어 개선 후 조사대상자의 과반수이상이 이해하지 못하는 용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어에 대해 이해가 안 된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은 개선 전 54.5%였던 것에 반해 개선 후에는 11.4%에 불과했으며, 이해가 된다(약간 이해 됨(3점) 및 아주 잘 이해됨(4점))고 답한 응답자는 개선 전 45.4%에서 개선 후 88.6%로 증가하였다. 전문용어 전체에 대한 이해도 평균은 2.23점으로 개선 시 이해도가 1.25점 증가하여 개선된 용어 전체에 대한 이해도 평균은 3.48점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각각의 용어에 대한 이해도 평균 역시 모든 용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1) 따라서 본 연구에서 수립한 용어전환의 원칙이 일반인의 복약지도 관련 용어의 이해도를 높이는 데 유효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용어에 대한 이해도에 군 간 차이를 보이는 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전문용어에 대한 이해도에 군 간 차이를 보이는 요인은 성별, 영양제 수, 의약품사용안내문을 읽는 정도 그리고 의약품사용안내문에 대한 자가 평가 이해도로 나타났으며(p<0.05), 이 중 성별을 제외한 모든 요인이 개선된 용어에 대한 이해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성별을 제외하고, 전문용어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그룹에서 용어 개선 후의 이해도 개선정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전문용어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그룹과 높은 그룹간의 차이가 개선된 용어에서는 해소된 것으로 보인다. 성별을 제외한 전문용어에 대한 이해도에서 군 간 차이를 보였던 요인이 개선된 용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본 연구에서 수립한 용어전환의 원칙을 적용하여 개선한 용어가 대부분의 사람들이 두루 이해하기 쉬운 용어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현재 지역약국에서 약사와 일반인 모두에게 실질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처방의약품의 복약안내문에 사용된 전문용어는 일반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 의약품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사용을 위하여 복약안내문에 사용되고 있는 전문용어의 개선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 수립한 용어전환의 원칙이 일반인의 이해도를 높이는 데 유효한 것으로 밝혀졌으므로, 향후 복약안내문 용어 개선 시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지역약국 약사들이 일반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를 파악하고 환자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복약지도 시 쉬운 용어를 사용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 건축물 피난안전측면에서의 출입통제시스템에 관한 연구 : 소방활동 중심으로

        한승희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Nowadays, superstructures are creating large-scale urban spaces that are concentrated and concentrated in population as they are pursuing large-scale, high-rise and multi-functionalization by applying cutting-edg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uitable for our lives. The extent and scale of the outbreak is progressing rapidly, even as the pace toward a crisis society that has not been experienced before. Recently, Woosin Golden Suites Apartment, a high-rise residential office building in Haeundae-gu Marine City, Busan Haeundae-gu, has been experiencing a large fire every year, Are able to prevent them in advance, so they are revising related laws and strengthening their checks, but they still can not deny that they have limitations. Therefore, it is the best way to prevent the fire from occurring in any environment at any time, but it is not possible at present, so it is most important to focus on prevention so as to minimize the damage of people and to find solutions.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reason why the damage of property and the damage of the property occurred so much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and draw up the problems related to the related law and the contents of the existing literature and the building access control system. We will propose a method to minimize. In Chapter 3, the problems of door access control system and door access control system are divided into fire door, emergency automatic switchgear, digital door lock, etc. In Section 3, we review and compare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documents and regulations on the evacuation and access control system of the building to determine the causes of the evacuation failure in the early stage of the fire, considering these problems. The difference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evacuation regulations for buildings is that in Korea, the use classification is made centering on the purpose and structure of buildings, and the occupant density and evacuation capacity are not enacted by law, so they can not be applied to evacuation regulations. It is difficult to apply effective and realistic evacuation design and fire safety standards. In order to secure safe escape of occupants in the building, the access control system which is responding in the early stage of the fire is not so high. Therefore, when the fire does not know when and where suddenly, there is always an exit to the roof and an exit Legal support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occupants can easily open and escape when a fire occurs. Also in Chapter 3, residents in the building conduct a survey on the digital door locks, fire doors, emergency door openings, and fire doors,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refuge doorways for escape evacuation. Fire doors are classified into ThermalInsulation and Integrity. The Fire Relations Act stipulates that fire doors that are installed in order to secure evacuation in case of fire are always open, but they are replaced in terms of security and security.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evacuation regulations of buildings and the improvement of access control system in case of fire by extracting the problems through analysis of evacuation regulations and obstacles caused by access control. First, in order to minimize the casualties caused by the fi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evacuation facilities and evacuation plans by considering the number of evacuation routes and the principle of two-way evacuation routes from the new construction. Second, among the existing fire alarm systems, automatic fire alarm system installation objects are important targets. Therefore, the mitigation regulations of Article 3 (2) of the fire safety standards have been deleted. However, in order to notify the fire department's situation room early.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stallation guideline so as to reasonably control and control the access control system which is continuously installed in small buildings for early detection, notification, and evacuation in case of fire. Fourth, the related ministries should establish the standards in order to integrate the various systems in the building, such as security system, air conditioning system, building automation system, advanced devices and evacuation control system, individually or in whole or in part. 초고층 건축물들은 우리의 생활에 알맞게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하여 대형화,초고층화 및 멀티 기능화를 추구함에 따라 인구가 밀집되고 집중된 대형 도시공간을 만들어내고 있는데 여기에 따르는 인위적,사회적 조건들이 영향되는 화재발생 범위와 규모는 예전에 체험하지 못하는 위기 사회로의 속도가 빠르고도 점진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 발생했던 부산 해운대구 마린시티내 초고층 주거용 오피스텔인 우신 골든 스위트 아파트 대형화재, 동탄 메타폴리스 화재, 의정부 아파트 화재등은 세계 어느곳에서 발생하는 화재 못지 않은 대형 화재가 매년 계속적으로 겪어 오고 있고 이러한 화재들은 사전에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관계된 법률을 개정하고 점검을 강화하고 있지만 그래도 한계를 있다는 것을 부정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언제,어떠한 환경에서도 화재가 발생하지 못하도록 예방하는 것이 가장 좋은방법 이지만 현재로서는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수있도록 예방에 중점을 두어 해결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출입통제시스템 분석을 통하여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가 그렇게 많이 발생한 이유를 검토하고 그에 따른 관련법 규정과 기존문헌 내용, 건축물 출입통제시스템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여 화재발생시 재산피해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시 하고자한다. 먼저 제3장에서는 출입문 기준분석과 출입통제시스템의 문제점으로 방화문과 비상자동개폐장치,디지털도어락 등으로 구분하여 건축물 화재발생시 피난안전측면에서의 출입통제시스템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3장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화재발생 초기에 피난대피 실패의 원인이 어떤점에 있는가를 건물의 피난과 출입통제시스템에 대한 국내외 문헌과 규정을 검토하고 비교하였다. 건축물에 대한 국내외 피난규정의 차이점은 우리나라의 경우 건축물의 이용목적과 구조를 중심으로한 용도분류가 이루어져 있고 거주자 밀도와 피난용량은 법률로 제정되어 있지 않아 피난규정에 적용하지 못하고 단순한 일률적인 수치로만 규정하고 있어 효과적이고 현실에 맞는 피난설계와 화재안전기준을 적용하기가 어려운점이 있다는 것이다. 건축물내 거주자의 안전한 피난탈출 확보를 위해서 화재발생초기 대응하는 출입통제시스템이 완성도가 높지않음에 따라 화재가 언제 어디서 갑자기 발생할지 모르는 상황속에서 항상 옥상으로 통하는 출구와 출입할수 있는 비상구 등의 문은 재실자가 화재발생시 쉽게 열고 탈출할 수 있도록 법률적인 뒷받침이 제정되야 하겠다. 또한 3장에서는 건축물내 거주자가 피난 대피 하는데 제일 중요한 역할을 하는 피난출입구로서 여기에 부착되어 있는 디지털도어락 그리고비상문자동개폐장치, 방화문과에 대해서 실태조사를 하였다. 방화문은 차열성(ThermalInsulation)과 차염성(Integrity)으로 구분하는데 화재발생시 피난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된 방화문은 언제나 개방하는 것을 소방관계법에서 규정 하지만 보안이나 방범 등의 측면에서는 서로 대치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피난규정과 출입통제로 인한 장애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통한 문제점을 인출하여 건축물의 피난규정과 화재발생시 출입통제시스템에 대한 개선방안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화재로 인하여 발생한 사상자를 최소화하기 위하여는 우선 건물신축부터 피난경로의수와 2방향 피난경로의 원칙 등의 용도별 고려를 하는 등 피난시설과 피난계획을 강화해 나아가야할 것이다. 둘째, 기존 화재경보설비중에서 자동화재속보설비 설치대상물은 중요한 대상이기 때문에 화재안전기준의 제3조2항의 완화되는 규정은 삭제되었지만 화재발생 초기에 소방서 상황실로 바로 통보할 수 있도록 신뢰성을 높이고 오작동을 방지하여야 한다. 셋째, 화재발생시 조기발견 및 통보, 피난을 위하여 소규모 건축물에도 계속적으로 설치가 늘어나고 있는 출입통제시스템을 합리적으로 관리하고 통제할수 있도록 설치 가이드라인 제정이 필요하다. 넷째, 현재 건축물내 각종 시스템, 즉 보안시스템, 공조설비, 빌딩자동화시스템등 첨단장치와 피난출입통제시스템과 전체적이든 개별적이든반드시 통합할수 있도록 관련부처에서 그 기준을 제정해야 한다.

      • 독서 기반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초등 고학년 집단의 자기조절학습 능력, 독서습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승희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독서 기반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초등 고학년 집단의 자기조절학습능력, 독서습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 승 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심리 및 교육과정 전공 (지도교수 박 용 한) 본 연구는 독서 기반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독서습관, 학업성취도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 기반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초등학교 5학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독서 기반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초등학교 5학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 독서습관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독서 기반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초등학교 5학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D광역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 총 47명을 선정하여, 연구자의 학급 학생 23명은 실험집단으로 조건이 비슷한 다른 학급 24명 학생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고 실험집단에게만 총 20차시 독서 기반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로는 자기조절학습능력 측정을 위해 홍기철(2013)이 초등학교 5,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개발한 ‘초등학생용 자기주도학습력 검사’를 사용하였고, 독서습관 검사지로는 『2015년 국민 독서실태조사』에 사용된 학생용 설문지 내용 중 본 연구에 적합한 문항을 선정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업성취도는 진단평가와 학기말고사 점수를 사전-사후 값으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 기반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5학년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의 세 가지 요인(인지요인, 동기요인, 행동요인) 중 동기요인의 하위 요인인 실험불안을 제외한 모든 하위 요인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독서 기반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독서 시간을 증가 시켰으며, 긍정적인 독서습관형성에도 도움을 주었다. 셋째, 독서 기반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학업성취에 주는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독서 기반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 적용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과 긍정적인 독서습관형성에 도움이 되므로 교육 현장에서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 자기조절학습프로그램, 초등고학년, 독서기반,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도, 독서습관

      • 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연습문제 분석 연구 : 수준별 학습을 중심으로

        한승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xercises that are targeted for different English skill levels i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he study also makes recommendations for textbooks in the new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s exercises in the eight chosen textbooks and questionnaires which were completed by English teachers in Middle Schools.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 1.Five of the eight textbooks contained exercises that targeted different skill levels. But according to the analysis, many of the exercises were not appropriate for the targeted skill level. 2.The questionnaires indicated that the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exercises for different skill levels. 3.Many of the teachers recommended that books in the new national curriculum include separate supplementary workbooks for students of different levels. Level-specific materials will enable more effective teaching in English classrooms and provide more appropriate content for the students who have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is of help to teachers, students, and the government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level appropriate materials for students.

      • 미등록 이주노동자의 인권침해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한승희 목원대학교 산업정보언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3년 10월 기준 국내 미등록 이주자는 18만 3,694명으로, ‘불법체류외국인 감소 5개년 계획’ 하에 인권침해 논란을 낳으며 강력한 단속 추방정책을 벌이던 지난 5년간(2008~2012) 11만여 명이 강제퇴거 되는 등 감소추세를 맞았다. 하지만, 2012년부터 고용허가제 만기 도래자의 미등록 체류화 등으로 미등록 이주자 수는 다시 증가 추세로 전환되었고, 해마다 고용허가제 만기자의 미등록화 누적이 예상되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우리사회에 미등록 이주노동자의 정착은 체류자격 및 취업자격이 없더라도 값싼 노동력이라면 필요로 하는 우리사회의 암묵적 동의 아래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미등록 체류를 단순한 범법행위나 이주민 개인의 부정으로 취급할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며, 무조건적인 단속과 추방으로만 대응할 수 없는 난제이기도 하다. 이주민의 인권에 대한 기초적 과제는 먼저 인간이라면 누구나 누릴 수 있는 보편적 권리를 그들이 침해받지 않게 하는데 있다. 하지만, 우리 헌법에서 ‘대한민국 국민’에게 보장하는 ‘국민으로서의 권리’를 이주민들에게 얼마나 허용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그동안 수많은 연구가 이어져 왔고 더 많은 논의가 이어져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 단일민족 국가의 정서상 우리 국민은 ‘국민의 권리’를 이주민들에게 적용하는 부분에 대해 더욱 민감하고 배타적인 면이 있기에 국민적 공감대를 얻을 수 있는 합리적이고 세심한 법률상의 해석과 적용, 정책적 대안이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

      • 1990년부터 1997년까지 한국의 영화담론 형성에 관한 연구 : 미셸 푸코의 고고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승희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analyze formation of 'discourse on cinema' in Korea from 1990 to 1997. For this work, I adapted method of Micheal Foucault's archeology. Foucault criticized schema of epistemology with his archeology. But it must be said in any case that his schema purposing to govern all possibe forms of historical explanation. He maintained that the conditions of knowledge are not uniform but regular and dispersive. He analyzed the transformation of time at the level of discourse. According to him, it is possible to clarify how the. conditions of knowledge is transformed with concept of 'historical a priori'. Consequently the condition of knowledge is a restraint condition in particular time-space of history. There are a lot of 'discourse on cinema' in Korea from 1990 to 1997 in discoursive space. 'Discourse on cinema' has always connected and articulated to other discourse, and determinated by relationship with non-discoursive formation which is institution policy and film industry, etc. `Discourse on cinema' was admitted as a part of discourse on society and culture. For example, discourse on <Seopyunjei> articulated 'segyehwa' or nationalism. So, in Korea from 1990 to 1997, why has 'discourse on cinema' been so widely discussed, what has been said about it? What knowledge was formed, and what practice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is discourse overflow? This study aim to discover the positions and viewpoints from which prompt people to speak about it. Anyway, I have never had the intention of doing a general film history in Korea from 1990 to 1997. This study is not 'the archaeology', but 'an archaeology' of film history in Korea from 1990 to 1997.

      • '구곡'에 관한 지형경관 분석과 스토리텔링 : 대구·경북권을 사례로

        한승희 대구가톨릭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Modern society is characterized by industrialization, popularization, information, and globalization. As a result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society has been converted from traditional agricultural society into modern industrial society. Therefore, economical structure necessarily caused a change of social structure. Along with such changes, the social position, intellectual level, and economical standard of each individual has been improved, and also led to an open-hearted and plural individualism. The public who are a group of unspecified individuals came to appear as the social actors. Modern people who are tired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are no longer interested in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and tend to shift their hours to recreation. A spread of 5 day work week has particularly transformed into a multilateral tour of recreation from recreation near to their residence. The traditions, cultures, and geomorphological landscape of each region can be an important tourism resources attracting tourists. The cultivation of tourist attractions is quite important in nurturing tourism industry based on storytelling including geomorphic and traditional factors. In light of recent trend of the esthetics of slowness such as Oletgil(walking path) and slow city, the beauty of nature is paid attention. Most of natural landscape consists of geomorphic factors. This was well reflected in some representations of poems, compositions, and paintings. A geomorphic view of regions around Gugok is assumed to be the finest of all the national landscape. This research attempts to grasp the scenery preferred by ancestors who wrote poems centering on Gugok. Also, this study analyzes geomorphic resources based on records written in the literature. Finally, the ideas and philosophy of Confucists are examined, and the research is approached with a perspective of geotourism in order to suggest a necessary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with the help of storytelling.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Gugok garden culture dates back to Chu Hsi who is a greater master of Neo-confucianism and also built a mountain temple in a grand landscape. The Chosun dynasty that adopted Neo-confucianism as ideology of governance considered the management of Gugok as ideal life for virtuous people. They revealed creative minds and created a beauty of mountains and rivers as they are, revealing local landscape as being natural rather than transforming or hiding them. 2) Many of the Gugoks were managed because of Yi hwang's influence and wonderful geomorphic landscape in Daegu-Gyengbuk. In recent, local governments get interested in the Gugok culture and began to promote them as tourist attractions. 3) As a result of this study from Dosan Gugokriver up to Seongnyu Gugok, the common findings are that most of our ancestors primarily mentioned bed rock, meandering river, river cliff, pool, and plunge pool. However, it is assumed that they did not have much awareness of pothole, point bar, and sheeting joint because there are not much written records about them. 4) Since many tourists in Daegu-Gyeongbuk take a sight-seeing trip, it is thought that the Gugoks do not have much difficulty in developing as tourist attracts. All of the Gugoks need to be explored both to preserve and utilize them,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5)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geomorphic landscape of the Gugok and to seek the ways of applying storytelling technique to them, in order to secure the diversity and utility of cultural contents as well as the landscape of the Gugok. 6) It is also required to reconstruct the Gugok garden culture once disconnected. If we revive the way of life of our ancestors who enjoyed their lives along with the Gugok, it can be refreshing for us to raise the quality of our life throughout weekend recre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awareness of our pursuit together with nature, beyond the culture of materialistic enjoy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