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섬진강 기수역 유공충 군집 계절변화와 서식 환경과의 상관성

        고윤재 전남대학교%0A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711

        섬진강 기수역 유공충 군집 조성 계절변화를 파악하고 변화 기작을 이해하기 위해 수심, 수온, 염분 측정, 퇴적물 입도조성, IL, 총질소(TN), 총탄소(TC), 저 서성 유공충을 분석하였다. 시료 채취는 2021년 11월(추계), 2022년 2월(동계) 2022년 5월(춘계), 2022년 8월(하계)에 15개 정점에서 계절별 조사하였다. 추계 입도조성은 자갈(5.45%), 모래(76.89%), 실트(8.17%), 점토(9.50%)로 M~gS퇴적상이 분포하며, (g)S가 우세하게 분포하였다. 동계 입도조성은 자갈 (3.43%), 모래(67.69%), 실트(10.74%), 점토(18.14%)로 M~sG로 분포하며, (g)S가 우세하게 분포하였다. 춘계 입도조성은 자갈(2.06%), 모래(75.15%), 실트 (10.05%), 점토(12.74%)로 M~gS로 분포하며, (g)S가 우세하게 분포하였다. 하 계 입도조성은 자갈(2.04%), 모래(80.90%), 실트(8.94%), 점토(8.12%)로 M~gS 로 분포하며, (g)S가 가장 우세하게 분포하였다. 지화학 분석결과 추계 IL 0.33~12.53%(2.81%), TN 0.01~0.25mg/kg (0.08mg/kg), TC 0.05~2.35mg/kg(0.79mg/kg). 동계 IL 0.44~14.19%(3.60%), TN 0.03~0.36mg/kg(0.12mg/kg), TC 0.07~3.12mg/kg(0.87mg/kg). 춘계 IL 0.46~9.69%(3.02%), TN 0.04~0.27mg/kg(0.11mg/kg), TC 0.07~1.83mg/kg (0.56mg/kg). 하계 IL 0.40~11.91%(2.56%), TN 0.09~0.44mg/kg(0.21mg/kg), TC 0.11~2.25mg/kg(0.93mg/kg)로 모든 계절 낮은 농도가 나타났다. 저서성 유공충은 모든 계절 15개 정점 중 SJ7, SJ9~SJ14의 7개의 정점에서만 산출되었다. 추계 유공충은 총 749개체, 19속 33종이 종다양도 0.50~2.62 (1.76), 종균등도 0.72~0.83(0.77), 10% 이상의 산출비율을 보인 종은 A. agglutinans, H. wilberti, L. columbiensis, A. aomoriensis, A. beccarii, A. parkinsoniana, D. vilardeboanus, R. globularis, M. fusca로 나타났다. 동계 저 서성 유공충은 총 2041개체, 14속 23종, 종다양도 0.83~1.97(1.62), 종균등도 0.68~0.86(0.79), 10% 이상의 산출비율을 보인 종은 A. aomoriensis, A. parkinsoniana A. beccarii, H. depressula, R. globularis, A. angulata, R. australis, D. vilardeboanus로 나타났다. 춘계 저서성 유공충은 총 1246개체, 19속 29종, 종다양도 0.74~2.24(1.59), 종균등도 0.62~0.96(0.76), 10% 이상의 산출비율을 보인 종은 A. parkinsoniana A. aomoriensis, A. beccarii, D. vilardeboanus H. wilberti R. globularis, C. incertum, M. fusca, H. depressula로 나타났다. 하계 저서성 유공충은 총 420개체, 11속 17종, 종다양 도 0.69~1.91(1.76), 종균등도 0.59~1.00(0.79)이며, 10% 이상의 산출비율을 보인 종은 H. wilberti H. sp. T. inflata A. parkinsoniana A. agglutinans A. aomoriensis, A. beccarii로 나타났다. 군집분석 결과 건기인 봄과 겨울에 A. aomoriensis-A. beccarii-A. parkinsoniana 의 동일 군집이, 우기인 여름에 A. parkinsoniana-A. agglutinans-A. aomoriensis군집, H. wilberti군집 가을에 A. beccarii-A. agglutinans군집, D. vilardeboanus군집으로 각기 다른 군집이 나타났다. 유공충 산출지는 비 산출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온, 염분, 세립한 퇴적 상, 높은 유기물 함량이 나타났다. 유공충이 서식하지 않는 강의 하류는 낮은 pH와 DO, 계절적으로 변하는 수온, 염분, 겨울에 하상 기질의 동결과 같은 극단 적인 환경변화들이 존재하며, 유공충이 서식하는 하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립한 퇴적상을 가진 강의 하류는 낮은 유기물 함량으로 유공충이 살기 어려운 환경을 형성한다. 유공충의 군집을 계절별로 비교해 보면 우기에 개체수가 감소하는 경 향을 보였으며, 특히 여름철 종다양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건기에 동일한 군집, 우기에 각기 다른 군집이 나타나 환경변화에 척도가 될 수 있는 종다양도와 우 점종 변화로 여름철 많은 환경 변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 된다. 이러한 환경 변화는 건기와 우기의 강수량의 차이로 건기의 입도 조성은 (g)S~M인 반면, 우 기의 입도 조성은 gmS~M으로 건기에서 상대적으로 세립한 퇴적 환경으로, 이 는 건기에는 적은 강수량으로 하상 기질에 큰 변화가 없지만, 우기 때 많은 강수 량에 의해 담수의 유량과 유속이 증가하여 세립질 퇴적물이 배출되고, 조립한 퇴 적물이 유입되어 퇴적 환경이 불안정한 것으로 섬진강 기수역 유공충 군집 변화 를 야기시키는 것은 계절성 강우로 판단된다.

      • 동중국해 수산자원 분포와 현존량 추정에 관한 기초 연구

        이정관 전남대학교%0A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1711

        본 연구는 동중국해 해역의 효율적인 수산자원관리와 지속적인 어획량 유지를 위하여 실시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전남대학교 실습선 새동백호(GT: 2,996 ton, HP: 3,500 kw)의 최첨단 조사 장비를 이용하여 이 해역의 해양 환경 특성과 수산 자원량 분포 조사를 실시하였다. 저층트롤 조사를 통해 어류의 종과 분포 정보를 파악하였고, 해수에서 eDNA 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어종을 식별하고, 과학어군탐지기(Scientific fish finder, EK80, Simrad, Norway)를 이용한 조사 방법을 통해 계절별(월별)로 2022년 4월, 7월, 8월, 11월에 과학적 수산자원 조사를 실시하였다. 해양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여 동중국해 해역의 수산자원 분포와 밀도를 파악하고, 본 연구를 통하여 조사해역에서 분포하고 있는 어종, 분포 위치, 분포 밀도 등 현존하는 수산 자원량의 평가 및 추정 기술을 발전시키고, 정도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수층별 수온·염분 측정기(Conductivity temperature depth with water sample, Sea bird SBE 911 Plus, Otronix, USA)를 이용한 해양 환경조사 결과, 해양 환경 변화에 따라 소해면적법을 이용한 저층트롤 조사에서 계절별(월별)로 어획된 출현종과 출현 밀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저층트롤을 이용한 수산자원 조사 결과, 동중국해 조사해역에서 계절별(월별)로 어획된 생물의 총 출현 종수는 어류 21종, 갑각류 6종, 두족류 6종, 극피동물류가 2종 출현하였다. 8월에 생물의 출현 종수는 22종으로 가장 많았고, 4월에는 생물의 출현 종수가 9종으로 가장 적었다. 분류군별 개체수는 갑각류가 전체의 50.4 %로 최우점하였고, 어류가 42.7 %, 두족류가 4.4 %, 극피동물류가 2.6 %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생체량은 어류가 전체의 52.4 %로 최우점하였고, 갑각류가 29.3 %, 극피동물류가 13.5 %, 두족류가 4.8 %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동중국해 조사해역에서 어획된 갑각류의 출현 개체수를 파악한 결과, 깨다시꽃게(Ovalipes punctatus)와 꽃게(Portunus trituberculatus)가 우점하였다. 두족류의 출현 개체수를 살펴보면, 반원니꼴뚜기(Loliolus japonica)와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매오징어(Watasenia scintillans)가 우점하였다. 어류의 출현 개체수를 파악한 결과, 전갱이(Trachurus japonicus)와 갈치(Trichiurus lepturus), 민어(Sciaenidae), 성대(Chelidonichthys spinosus) 순으로 우점하였다. 소해면적법을 이용한 계절별(월별) 총 단위 면적당 평균 개체수 밀도는 4월에 84.8 (inds./km2)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11월에 809.0 (inds./km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계절별(월별) 총 단위 면적당 평균 생체량 밀도는 동일하게 4월에 7,516.7 (g/km2)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11월에 52,057.4 (g/km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과학어군탐지기의 38 kHz와 120 kHz 주파수 차이를 이용하여 어류의 음향자료를 추출하고, 추출된 자료의 우점종에 대한 계절별(월별) 수산자원의 시․공간분포를 면적 산란계수(Nautical Area Scattering Coefficient, NASC, m2/nmi2)로 나타낸 결과, 7월에 65.80 m2/nmi2, 11월에 70.10 m2/nmi2로 높게 나타났으며, 4월에 6.63 m2/nmi2, 8월에 0.23 m2/nmi2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NASC 값을 이용하여 계절별(월별) 우점종의 음향 분포 밀도를 추정한 결과, 4월에 꽃게(P. trituberculatus)가 0.021 g/m2로 나타났고, 7월에 갈치(T. lepturus)가 0.007 g/m2, 고등어(Scomber japonicus) 0.451 g/m2, 전갱이(T. japonicus) 0.335 g/m2로 나타났다. 또한, 8월에 갈치(T. lepturus)가 0.001 g/m2, 고등어(S. japonicus) 0.255 g/m2, 전갱이(T. japonicus) 0.248 g/m2로 나타났으며, 11월에는 병어(Pampus argenteus)가 1.709 g/m2로 나타났다. eDNA를 이용한 메타바코팅 분석 기술로 어종을 식별한 결과, 계절별(월별) 우점종은 4월에 고등어(S. japonicus), 날개다랑어(Thunnus alalunga), 멸치(Engraulis japonicus),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로 나타났고, 7월에는 날개다랑어(T. alalunga), 멸치(E. japonicus)로 나타났다. 또한, 8월에는 다랑어(Thunnini), 멸치(E. japonicus)로 나타났으며, 11월에는 참다랑어(Thunnus orientalis), 날개다랑어(T. alalunga), 멸치(E. japonicus)로 나타났다. eDNA와 과학어군탐지기를 결합한 계절별(월별) 우점종의 평균 밀도는 4월에 고등어(S. japonicus) 0.043 g/m2, 날개다랑어(T. alalunga) 0.085 g/m2, 멸치(E. japonicus) 0.020 g/m2, 쥐노래미(H. otakii) 0.173 g/m2로 나타났다. 7월에는 날개다랑어(T. alalunga) 0.085 g/m2, 멸치(E. japonicus) 0.020 g/m2로 나타났고, 8월에는 다랑어(Thunnini) 0.085 g/m2, 멸치(E. japonicus) 0.020 g/m2로 나타났다. 또한, 11월에는 참다랑어(T. orientlis) 0.057 g/m2, 날개다랑어(T. alalunga) 0.057 g/m2, 멸치(E. japonicus) 0.013 g/m2로 나타났다. 저층트롤 어구를 이용한 어획 조사 결과, 계절별(월별)로 어획된 출현종과 밀도가 다르게 나타났고, 어획 자료를 기반으로 한 우점종의 음향 분포 밀도와 과학어군탐지기 및 eDNA를 결합한 밀도도 계절별(월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eDNA를 이용한 메타바코딩 분석 기술로 어종을 식별한 결과, 계절별(월별) 우점종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동중국해 해역에 있어서 해양의 물리화학적 요소, 해류, 서식종 등이 다양하게 변화함과 동시에, 수산 자원량 추정 방법 그리고 식별된 우점종이 상이함에 따라 분포 특성의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동중국해 해역에서 해양 환경 변화에 따른 어류의 출현종을 파악하는 기초 자료로 이용할 수 있고, 나아가 과학어군탐지기를 이용한 수산자원의 밀도 추정 기술, eDNA를 이용한 어류의 식별 기술 등과 함께, 과학어군탐지기를 이용한 음향 조사에서 물리적 제약에 의해 발생하는 저층 음향 불능 구간(해저 데드존, Bottom Dead Zone)에서 수산 자원량 추정을 저층트롤 어구의 소해면적법으로 추정하여 조사대상 해역의 수산 자원량 평가 기술을 개선하는 기초 연구로 활용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최근에 새로 도입된 최첨단 트롤 모니터링 시스템과 같은 최첨단 장비는 보다 정확한 자원량 추정을 가능하게 하여, 해양에서의 수산자원평가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추정한 수산 자원량 정도의 신뢰도가 개선될 것으로 판단된다. As part of the basic research conducted to efficiently manage fishery resources and maintain sustainable catch in the East China Sea,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ine environment and the distribution of fishery resources in this area using state-of-the-art research equipment of T/S SAEDONGBAEK (GT: 2,996 tons, HP: 3,500 kw,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istributions of fish species were confirmed using bottom trawl and scientific fish finder (EK80, Simrad, Norway). Each species was identified using the eDNA method in seawater. We conducted seasonal (monthly) surveys (April, July, August, and November 2022) using these methods. Us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marine survey, we tri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and density of fishery resources in the East China Sea, develop technologies for evaluating and estimating existing fishery resources such as fish species, distribution location, and density in the survey area, and improve the degree. Results of the marine environment survey using a conductivity, temperature, depth profile with water sampler (CTD, Sea bird SBE 911 Plus, Otronix, USA) showed different occurrence densities compared to those of the seasonal (monthly) caught species in the bottom-trawl survey using the swept area method. The total number of fish species caught seasonally (monthly) in the East China Sea was 21 teleosteis, 6 crustaceans, 6 cephalopods, and 2 echinoderms. In August, the number of species occurred the most with 22 species, and in April, the number of species occurred the least, with 9 species. As for individuals by taxon, crustacean ranked first with 50.4 % of the total, followed by teleostei with 42.7 %, cephalopods with 4.4 %, and echinodermata with 2.6 %. As for biomass by taxon, teleostei ranked first with 52.4 % of the total, followed by crustacean with 29.3 %, echinodermata with 13.5 %, and cephalopods with 4.8 %. Furthermore, as a result of occurrence individuals of crustaceans caught in the survey area, Ovalipes punctatus and Portunus trituberculatus dominated. As a result of the occurrence individuals of cephalopods, Loliolus japonica, Todarodes pacificus, and Watasenia scintillans dominated. And as a result of the occurrence individuals of teleosteis, the dominant position was in the order of Trachurus japonicus, Trichiurus lepturus, Sciaenidae, and Chelidonichthys spinosus. The average density of individuals per seasonal (monthly) total unit area using the swept area method was the lowest at 84.8 (inds./km2) in April, and the highest at 809.0 (inds./km2) in November. The average density of biomass per seasonal (monthly) total unit area was similarly the lowest at 7,516.7 (g/km2) in April, and the highest at 52,057.4 (g/km2) in November. Using the 38 kHz and 120 kHz frequency differences of the scientific fish finder, the sound data of teleostei was extracted, and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seasonal (monthly) aquatic resources for the dominant species of the extracted data was calculated as the nautical area scattering coefficient (NASC, m2/nmi2). The NASC results were high at 65.80 m2/nmi2 in July and 70.10 m2/nmi2 in November, while relatively low at 6.63 m2/nmi2 in April and 0.23 m2/nmi2 in August. Also,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sound distribution of seasonal (monthly) density of dominant species using NASC, P. trituberculatus was found to be 0.021 g/m2 in April, T. lepturus was found to be 0.007 g/m2, Scomber japonicus was 0.451 g/m2, and T. japonicus was 0.335 g/m2 in July. In August, T. lepturus was found to be 0.001 g/m2, S. japonicus was 0.255 g/m2, T. japonicus was 0.248 g/m2, and Pampus argenteus was found to be 1.709 g/m2 in November.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of fish species using eDNA, the seasonal (monthly) dominant species were S. japonicus, Thunnus alalunga, Engraulis japonicus, Hexagrammos otakii in April, and T. alalunga and E. japonicus in July, Thunnini and E. japonicus in August, and Thunnus orientalis, T. alalunga and E. japonicus in November. The average density of seasonal (monthly) dominant species combined with eDNA and scientific fish finder was 0.043 g/m2 for S. japonicus, 0.085 g/m2 for T. alunga, 0.020 g/m2 for E. japonicus, and 0.173 g/m2 for H. otakii. In July, the average density of the species was 0.085 g/m2 for T. alunga, 0.085 g/m2 for E. japonicus, and 0.020 g/m2 for Thunnini, and 0.020 g/m2 for E. japonicus in August. In addition, in November, the average density of T. alunga was 0.057 g/m2 for T. alunga, and 0.013 g/m2 for E. japonicus. As a result of the catch survey using bottom-trawl gear, the seasonal (monthly) occurrence of species and caught density were different, and the sound distribution density of dominant species using catch data, as well as the density combining scientific fish finder and eDNA method, were also different by season (month). Additionally, fish species identification using metabarcoding analysis technology using eDNA revealed that seasonal (monthly) dominant species differed. This is thought to be due to various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factors, currents, and habitat of species in the ocean in the East China Sea, as well as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estimating fishery resources and the identified dominant spe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identify the fish species occurring in the East China Sea due to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 and furthermore, together with the technology to estimate and identify the density of fishery resources using scientific fish finder and eDNA. Also,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used as a basic study to improve the assessment technology of fishery resources in the study area of the bottom dead zone caused by physical constraints in the acoustic survey using scientific fish finder. And cutting-edge equipment, such as the recently introduced state-of-the-art trawl monitoring system, is expect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estimated amount of fishery resource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fishery resource evaluation technology in the ocean.

      • 경북권 낙동강 수계 강과 하천의 어류상

        문성준 전남대학교%0A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1695

        2016년 6월부터 2017년 9월까지 경상북도에 소재한 낙동강 본류 및 지류의 수계 연장 10㎞ 이상 강과 하천 24개를 대상으로 어류상과 군집구조를 연구하였다. 경북권 낙동강 수계에 서식하는 어류는 총 10목 19과 70종이 분포하였으며, 이 중에서 잉어과(Cyprinidae) 어류가 37종(52.9%)으로 가장 많았고, 미꾸리과(Cobitidae) 어류가 6종(8.6%), 동자개과(Bagridae)와 망둑어과(Gobiidae) 어류가 각 4종(5.7%), 메기과(Siluridae), 꺽지과(Centropomidae), 검정우럭과(Centrarchidae), 동사리과(Odontobutidae) 어류가 각 2종(2.9%), 나머지 칠성장어과(Petromyzontidae), 종개과(Balitoridae), 퉁가리과(Amblycipitidae), 바다빙어과(Osmeridae), 연어과(Salmonidae), 송사리과(Adrianichthyoidae), 드렁허리과(Synbranchidae), 큰가시고기과(Gasterosteidae), 둑중개과(Cottidae), 버들붕어과(Belontidae), 가물치과(Channidae) 어류는 각 1종(1.4%) 출현하였다. 서식이 확인된 우리나라 고유종은 각시붕어(Rhodeus uyekii), 칼납자루(Acheilognathus koreensis), 줄납자루(A. yamatsutae), 큰줄납자루(A. majusculus),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 참몰개(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긴몰개(S. gracilis majimae), 참중고기(Sarcocheilichthys variegatus wakiyae), 왜매치(Abbottina springeri), 돌마자(Microphysogobio yaluensis), 됭경모치(M. jeoni), 흰수마자(Gobiobotia naktongensis), 참갈겨니(Zacco koreanus), 참종개(Iksookimia koreensis), 기름종개(Cobitis hankugensis), 새코미꾸리(Koreocobitis rotundicaudata), 얼룩새코미꾸리(K. naktongensis), 수수미꾸리(Niwaella multifasciata), 미유기(Silurus microdorsalis), 눈동자개(Pseudobagrus koreanus), 꼬치동자개(P. brevicorpus), 자가사리(Liobagrus mediadiposalis), 둑중개(Cottus koreanus), 꺽지(Coreoperca herzi), 동사리(Odontobutis platycephala), 얼룩동사리(O. interrupta)의 26종으로 전체 우리나라 고유종의 42.6%에 해당하였다. 이들 중 얼룩새코미꾸리, 수수미꾸리, 꼬치동자개의 3종은 낙동강 수계에만 분포하는 어종이었다. 채집된 어종 중 법정보호종은 멸종위기야생생물 I급인 흰수마자, 얼룩새코미꾸리, 꼬치동자개와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인 다묵장어(Lampetra reissneri)와 열목어(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가 확인되었다. 천연기념물에 해당되는 어종은 꼬치동자개가 있었으며, 봉화군 석포면의 열목어 서식지는 서식지가 천연기념물에 해당하였다. 낙동강에 원래 서식하지 않았지만, 타 수계에서 이입된 어종으로는 끄리(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치리(Hemiculter eigenmanni), 강준치(Erythroculter erythropterus), 참종개, 새코미꾸리, 동자개(P. fulvidraco), 눈동자개, 대농갱이(Leiocassis usuriensis), 민물검정망둑(Tridentiger brevispinis), 꾹저구(Chaenogobius urotaenia), 어름치(Hemibarbus mylodon) 11종이 확인되었다. 외국에서 도입된 외래종은 배스(Micropterus salmoides)와 블루길(Lepomis macrochirus) 두 종이 낙동강의 상류역을 제외한 지류의 대부분 정수역 수계에 서식하고 있었으며, 낙동강 수계에서 이루어지는 댐 건설 등 각종 난개발과 외래어종 번성이 어류상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어류 분포의 특성은 채집된 어종 중에서 피라미(Z. platypus) R형이 6,483개체(상대풍부도 19.82%)로서 우점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참갈겨니 NS형이 4,412개체(상대풍부도 13.49%)로 아우점하였다. 그 외에 돌고기(Puntungia herzi), 긴몰개, 참갈겨니 NE형, 피라미 B형,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 돌마자, 쉬리, 수수미꾸리, 블루길 등도 상대풍부도 3% 이상 분포하는 어종이었다. 항존도는 동사리가 94개 정점 중 75개 정점에서 출현하여 79.79%의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돌고기(65정점, 69.15%), 긴몰개(61정점, 64.89%), 붕어(Carassius auratus, 61정점, 64.89%), 미꾸리(Misgurnus anguillicaudatus, 58정점, 61.70%), 기름종개(57정점, 60.64%), 피라미 R형과 돌마자(53정점, 56.38%), 모래무지(Pseudogobio esocinus, 49정점, 52.13%)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다묵장어, 흰줄납줄개(R. ocellatus), 큰줄납자루, 가시납지리(A. chankaensis), 어름치, 왜매치, 됭경모치, 버들피리(R. lagowskii), 강준치, 백조어(Culter brevicauda), 대륙종개(Orthrias nudus), 참종개, 새코미꾸리, 미유기, 꼬치동자개, 열목어, 드렁허리(Monopterus albus), 잔가시고기(Pungitius kaibarae), 둑중개, 갈문망둑(Rhinogobius giurinus), 꾹저구는 1~3정점에서만 출현하였고, 개체수도 매우 적은 희소종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수계 강과 하천 중, 위천에서 출현한 어종이 42종으로 가장 다양한 어종이 서식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금호강과 회천에서 각 40종, 내성천 37종, 영강 35종, 반변천 34종, 감천 30종의 순으로 많았다. 반면에 신역천에서는 3종, 신천에서는 5종, 구미천에서는 6종이 확인되어 어류상이 빈약하였으며, 하천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어종의 수가 늘어나는 관계를 보였는데 R2=0.8152로 나타나 상관관계가 높았다. 경상북도 낙동강 수계 강과 하천을 각 하나의 군집으로 간주하고, 개체수를 기준으로 하여 군집분석한 결과, 수계 전체의 종풍부도는 6.637로 매우 높았고, 우점도는 0.333으로 낮았으며, 전체의 다양성지수도 3.088로 높아 비교적 안정되고, 풍부한 군집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각 강과 하천별로 보면, 종풍부도는 금호강에서 5.197로 가장 높았고, 신역천에서 0.446으로 가장 낮았다. 균등도는 미천에서 0.810으로 높았고, 경호천에서 0.601로 낮았다. 종다양도는 회천에서 2.827로 가장 높았으며, 신역천에서 0.729로 가장 낮았다. 우점도는 신역천에서 0.955로 가장 높았고, 미천에서 0.336으로 낮았다. 전반적으로 내성천, 위천, 회천, 영강, 반변천, 감천, 금호강 등과 같이 유로연장이 긴 하천의 풍부도와 다양도가 높았고, 우점도가 낮아 다양하고 안정된 군집구조를 형성하고 있었다. Fish fauna of the rivers and streams was investigated in the Nakdong River system, Gyeongsangbuk-do, from June 2016 to September 2017. In total, 70 freshwater fish species comprising of 19 families, 10 orders were collected. Of them, the 37 cyprinid fish species corresponding to 52.9% were found most in abundance. The second was the cobitid species with the 6 observed species corresponding to 8.6%. Among the 70 species, 26 species (RA: 37.1%) such as Rhodeus uyekii, Acheilognathus koreensis, Acheilognathus yamatsutae, Acheilognathus majusculus, Coreoleuciscus splendidus,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Squalidus gracilis majimae, Sarcocheilichthys variegatus wakiyae, Abbottina springeri, Microphysogobio yaluensis, Microphysogobio jeoni, Gobiobotia naktongensis, Zacco koreanus, Iksookimia koreensis, Cobitis hankugensis, Koreocobitis rotundicaudata, Koreocobitis naktongensis, Niwaella multifasciata, Silurus microdorsalis, Pseudobagrus koreanus, Pseudobagrus brevicorpus, Liobagrus mediadiposalis, Cottus koreanus, Coreoperca herzi, Odontobutis platycephala, Odontobutis interrupta were indentifed as endemic species to Korea, and, 3 species (Koreacobitis naktongensis, Niwaella multifasciata, Pseudobagrus brevicorpus) were distributed only in Nakdong River. Five endangered fish species (Gobiobotia naktongensis, Koreocobitis naktongensis, Pseudobagrus brevicorpus, Lampetra reissneri,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a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found. And 2 exotic species (Micropterus salmoides, Lepomis macrochirus) and 11 translocated species (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Hemiculter eigenmanni, Erythroculter erythropterus, Iksookimia koreensis, Koreocobitis rotundicaudata, Pseudobagrus fulvidraco, Pseudobagrus koreanus, Leiocassis usuriensis, Tridentiger brevispinis, Chaenogobius urotaenia, Hemibarbus mylodon) which was introduced from other native rivers were found. The exotic species (Micropterus salmoides, Lepomis macrochirus) were collected at most of the tributaries except upstream stations of the Nakdong River. Dam construction and various development works are thought to be important causes of prosperity of exotic species and changes in fish fauna. The dominant species was Zacco platypus R type (RA: 19.82%) and the subdominant species was Zacco koreanus NS type (RA: 13.59%) in the studied area. Odontobutis platycephala appeared at 75 stations of the total 94 studied stations, showed the highest constancy (79.79%), followed by Puntungia herzi (65 stations, 69.15%), Squalidus gracilis majimae (61 stations, 64.89%), Misgurnus anguillicaudatus (58 stations, 61.70%), Cobitis hankugensis (57 stations, 60.64%), Zacco platypus R type (53 stations, 56.38%) and Pseudogobio esocinus (49 stations, 52.13%). Among the 24 rivers and streams in this survey, 42 species appeared in Wi Stream, and the most diverse species of fish lived there, followed by 40 species in Geumho River and Hoe Stream, 37 species in Naeseong Stream, 35 species in Yeong River, 34 species in Banbyeon Stream, and 30 species in Gam Stream. On the other hand, 3 species were appeared in Sinyeok Stream, 5 species in Sin Stream and 6 species in Gumi Stream, and the fish fauna was poor. The number of fish species increased as the length of the river increased, showing a high correlation as R2=0.8152.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based on population, each of the 24 rivers was regarded as a single cluster, the entire Nakdong River system (24 rivers in this investigation) in Gyeongsangbuk-do was very high at 6.637, the dominance was low at 0.333, and the overall diversity index was high at 3.088. The richness was the highest in the Geumho River (5.197) and the lowest in Sinyeok Stream (0.446). The evenness was high in Mi Stream (0.810) and low in Gyeongho Stream (0.601). The diversity was the highest in Hoe Stream (2.827) and the lowest in Sinyeok Stream (0.729). The dominance was the highest in Sinyeok Stream (0.955), and the lowest in Mi Stream (0.336). Overall, rivers and streams with long flow paths such as Naeseong Stream, Wi Stream, Hoe Stream, Yeong River, Banbyeon Stream, Gam Stream, and Geumho River have been shown to have various and stable cluster structures due to their high abundance and diversity and low dominance.

      • 전남지역 한우 거세우의 혈통구조를 활용한 육종가 분석

        국혜진 전남대학교%0A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95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inbreeding coefficient and its estimated breeding value on carcass trait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ncluded 4,850 heads of carcass traits and 13,199 heads of pedigree information born in 2017 to 2020 in Jeonnam province. Carcass traits were carcass weight, eye muscle area, backfat thickness, and marbling score. Also, the inbreeding coefficient of KPN was analyzed. The animal model was used to estimate genetic parameters and breeding values on carcass traits. The inbreeding coefficient was calculated from pedigree information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For the result of carcass traits by year of birth in 2020, carcass weight was 477.07±55.28㎏, eye muscle area was 101.38±12.67㎠, backfat thickness 12.71±4.72㎜, marbling score 6.73±1.87, which was increased 5% in carcass weight, 3% in eye muscle area, and 6% in marbling score, however, backfat thickness was decreased by –7% compared in 2017. 2. The 10 frequently used KPNs in the study were as follows; KPN 1069(3.05%), KPN 1112(2.69%), KPN 1078(2.58%), KPN 1006(2.53%), KPN 1106(2.48%), KPN 1018(2.46%), KPN 1064(2.27%), KPN 1060(2.22%), KPN 1041(2.17%), KPN 1075(2.15%). Superior KPNs were KPN 1060 at carcass weight, KPN 1064 at eye muscle area, KPN 1112 at backfat thickness, and KPN 1064 at MSC, respectivelty. 3. The average inbreeding coefficient(%) of 162 KPNs used in the analysis was 0.50% (ranging from 0% to 3.90%). Among the frequently used KPN showed slightly higher inbreeding coefficients, including KPN 1069(0%), KPN 1112(2.30%), KPN 1078(0%), KPN 1006(0%), KPN 1106(0.80%), KPN 1018(0%), KPN 1064(0.80%), KPN 1060(0%), KPN 1041(0%), and KPN 1075(0%). 4. Estimated heritabilities on carcass traits were 0.29 for carcass weight, 0.31 for eye muscle area, and 0.30 for marbling score, respectively. 5. The average inbreeding coefficient of KPN were 0.64% for carcass weight, 1.09% for eye muscle area, and 0.80% for marbling score by sorting superior estimated breeding value. Most inbreeding individuals were highly ranked on carcass performance. Furthermore, an individual with higher carcass performance was effected by Dam's estimated breeding value than KPN's estimated breeding value. 6. The average inbreeding coefficient of 162 heads used in Jeonnam province was 0.50%. The inbreeding coefficient of 10 of KPN used frequently on carcass traits ranged from 0~2.30%. The inbreeding coefficient of superior estimated breeding value of KPN on carcass traits ranged from 0~3.10%. The breeding scheme for superior progeny should need to analyze the estimated breeding value of KPN and dam. 본 연구는 한우에서 근교계수와 육종가가 도체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전남지역 한우농가에서 출하된 한우 거세우 4,850두의 도체성적과 13,199두의 혈통정보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도체형질로는 도체중,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를 분석하였고, 한우 보증씨수소에 대한 가계도와 근교계수를 산출하였다. 한우의 도체형질의 유전능력을 위하여 개체모형(Animal Model)을 이용하여 유전모수와 육종가를 추정하였고, 혈통정보를 이용하여 근교계수를 산출하였으며, 근교계수와 육종가가 도체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우 도체형질의 출생년도별 분석결과를 보면, 2020년도에서 도체중은 477.07±55.28㎏, 등심단면적은 101.38±12.67㎠, 등지방두께는 12.71±4.72㎜, 근내지방도는 6.73±1.87점으로 2017년 대비 도체중, 등심단면적, 근내지방도는 각각 5%, 3%, 6%가 증가하였으나, 등지방두께는 –7%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분석에 사용된 KPN 중 사용빈도가 높은 상위 10개의 KPN은 KPN 1069(3.05%), KPN 1112(2.69%), KPN 1078(2.58%), KPN 1006(2.53%), KPN 1106(2.48%), KPN 1018(2.46%), KPN 1064(2.27%), KPN 1060(2.22%), KPN 1041(2.17%), KPN 1075(2.15%)로 조사되었다. 도체형질별 KPN의 능력을 살펴보면, 도체중은 KPN 1060, 등심단면적은 KPN 1064, 등지방두께는 KPN 1112, 근내지방도는 KPN 1064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분석에 사용된 KPN 개체 162개의 평균 근교계수 0.50%(범위 0~3.90%)이었으며, 사용빈도가 높은 KPN의 근교계수는 KPN 1069(0%), KPN 1112(2.30%), KPN 1078(0%), KPN 1006(0%), KPN 1106(0.80%), KPN 1018(0%), KPN 1064(0.80%), KPN 1060(0%), KPN 1041(0%), KPN 1075(0%)로 일부 KPN에서 근교계수가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4. 도체형질의 유전력 추정결과를 보면, 도체중은 0.29, 등심단면적은 0.31, 근내지방도는 0.30으로 추정되었다. 5. 도체형질별 육종가가 높은 순으로 배열하여 분석하였을 때, 도체중, 등심단면적, 근내지방도에 사용된 KPN의 평균 근교계수는 각각 0.64%, 1.09%, 0.80%로 근친된 개체들이 대부분 도체형질 상위권에 해당하였다. 또한, 도체형질의 표현형이 높은 개체일수록 KPN의 영향보다 어미의 육종가가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6. 전남지역 사용된 KPN 162개의 평균 근교계수는 0.50%이고, 상위 사용빈도 10개의 KPN의 근교계수는 0~2.30%이다. KPN 육종가가 높은 10개 개체의 근교계수는 0~3.10%로 추정되었다. 유전능력이 우수한 개체를 생산하기 위하여 KPN의 육종가와 교배 대상 암소의 육종가를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 ECO-School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진 전남대학교%0A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95

        In recent years, we have been experiencing record-breaking heatwaves every summer and historically extreme cold winters, all attributed to climate change. This year, in 2023, the world once again witnessed the highest temperatures ever recorded. Earth's temperature is rising each year, and according to the BBC, there are forecasts that our overheating world is likely to break a key temperature limit for the first time within the next five years. There are warnings that the annual average global temperature increase could surpass 1.5°C around 2027, a level higher than pre-industrial levels. Environmental protection has been a topic of discussion for some time, but the concept of protecting the environment used to be somewhat vague. However,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we are now in a situation where protecting the environment is inevitable for our future, which is right in front of us. In society, there is a widespread application of eco-friendly concepts and technologies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school building construction. This research aims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eco-friendly elements in school buildings in South Korea,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state of eco-schools in the country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eco-schools, their statu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their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Subsequently, 30 schools in South Korea were selected for an investigation of the application of eco-friendly concepts and technologies in eco-school buildings. I conducted research and investigation by selecting 30 schools including those that have received eco-friendly building certification, schools designated as eco-schools by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schools that have started to introduce eco-friendly concepts and schools in the Jeolla-do Province, which still lacks sufficient preceding research in this field.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based on six aspects: site utilization, creation of green spaces, use of water resources, building materials and resource recycling, energy utilization, and creation of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Additionally, it considered eco-school planning elements such as site planning, building planning, building greening, outdoor greenery, water resource conservation, water resource utilization, building materials, resource recycling, design, design and plants, building facilities, solar heating systems, and indoor environments. A total of 30 schools were selected for investig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with five schools examined for each of the six aspects. The schools were chosen from different regions: 5 in the Gyeonggi Province, 1 in Gyeongsangbuk-do, 1 in Gwangju, 2 in Seoul, 1 in Ulsan, 8 in Jeollanam-do, 5 in Jeollabuk-do, 5 in Chungcheongnam-do, and 2 in Chungcheongbuk-do. After researching eco-school cases, the school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the level of eco-friendly element application: Introduction type, Leap type, and Settlement type. This classification was applied using relative evaluation to five schools studied for each of the major aspects and detailed methods in Table 2. Introduction type refers to schools with approximately 1-2 detailed element items installed, based on the number of items. Leap type includes schools with more detailed element items installed compared to the Introduction type schools but fewer than those in the Settlement type. Settlement type encompasses schools with an above-average number of detailed element items installed. If I analyze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I can potentially conduct both aspect-based and region-based analyses. In terms of aspects, it was observed that the indoor environment and water resource utilization categories had the highest level of application. This could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students spend most of their time indoors, making indoor spaces a primary focus for the application of eco-friendly concepts. Additionally, water resource utilization mainly featured cost-effective eco-technologies focusing on efficient storage facilities. The most lacking aspect appeared to be creation of green spaces, as it was challenging to find schools with greenery incorporated into building structures, such as rooftop or wall gardens. Most schools primarily focused on green spaces through small kitchen gardens. In terms of regional analysis, the Gyeongbuk and Ulsan regions had too few schools for meaningful analysis. On the other hand, the Seoul/Gyeonggi region and the Chungnam/Chungbuk region primarily featured schools falling into the introduction and settlement type. In contrast, the Gwangju/Jeonnam/Jeonbuk region had a mix of introduction, leap, and settlement types, indicating that many schools in this region are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adopting eco-friendly concepts. Through this study, I conduct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eco-friendly school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South Korea, it was observed that eco-friendly technologies have been limited to installing solar power generation, when it comes to a high-cost option. Through this study, we conducted a multifaceted analysis of the state of eco-friendly school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South Korea, it was observed that the adoption of high-cost eco-friendly technologies, such as solar power generation, was limited. Instead, schools focused on implementing low-cost eco-technologies, including ponds, tree planting, permeable paving, low-flow toilets/showers, rainwater usage, usage of recycling or low-pollution building materials, waste separation, window/door placement, usage of natural lighting, maintaining optimal temperature and humidity, ventilation systems, noise control, and lighting control. Although this study was limited to a small sample of 30 schools, the comparative analysis revealed that eco-friendly school buildings in South Korea primarily prioritize low-cost eco-technologies and concepts. I hope that in the future, with active investments at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 level, there will be an expansion of eco-friendly schools not only in quantity but also in quality. 최근 몇 년간 우리는 기후 온난화로 매년 역사상 최고 더위의 여름을 보내고, 겨울은 역사상 최고 추위의 겨울을 보내고 있다. 2023년 올해 여름도 전 세계가 역대급 최고의 더위를 경험하였다. 지구의 기온은 해마다 상승 중이며, BBC에 따르면 향후 5년 이내에 전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의 주요 마지노선이 깨질 수 있다는 전망이 최초로 언급되었다. 2027년경 지구 연평균 기온 상승 폭이 1.5°C 이상 높아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으며, 이는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높은 수준이라는 것이다. 환경문제가 화제가 되는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지만, 예전에는 막연하게 환경을 보호한다는 개념이었다면, 이제는 정말 바로 눈앞에 닥친 우리의 미래를 위해 환경 보호를 해야 할 수밖에 없는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사회에서는 전반적으로 다방면으로 친환경 기술 등 친환경 개념을 적용시키고 있으며, 이는 학교 건축물에도 해당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친환경 학교 건축물의 친환경 요소 적용 현황을 파악하고 비교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Eco-school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문헌적 고찰을 통해 Eco-school의 개념과 Eco-school의 국내외 현황, 건축적 특성 등을 조사한 뒤 친환경기술과 친환경 개념이 적용된 국내학교 30곳을 선정하여 Eco-school 건축물의 친환경개념과 기술 적용현황을 조사하였다. 30곳의 학교는 친환경건축물인증을 받은 학교, 시도교육청에서 Eco-school로 선정한 학교와 친환경개념을 도입하기 시작한 학교들이며, 아직 선행연구 부문이 부족한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학교를 선정하여 조사 및 연구하였다. 조사는 부지 이용, 녹지공간의 조성, 수자원의 이용, 건축재료 및 자원재활용, 에너지 이용,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의 6가지 측면과 부지계획, 건축물계획, 건축물 녹화, 옥외공간녹화, 수자원 보전, 수자원 활용, 건축재료, 자원재활용, 디자인, 디자인 및 식물, 건축설비, 태양열 이용 시스템, 실내환경 등의 Eco-school 계획 요소를 기준으로 진행하였다. 총 30개의 학교를 위 6개의 측면을 기준으로 각 측면마다 서로 다른 5개의 학교를 조사 및 비교분석을 하였다. 학교는 지역별로, 경기지역 5곳, 경북지역 1곳, 광주지역 1곳, 서울지역 2곳, 울산 1곳, 전남 8곳, 전북 5곳, 충남 5곳, 충북 2곳으로 선정하였다. Eco-school의 사례를 조사한 뒤 학교들을 친환경 요소 적용 수준을 기반으로 도입, 도약, 정착형 3가지로 분류하였으며, 이는 표2의 Eco-school 계획 요소 및 세부수법의 주요 측면 별 조사한 5개의 학교 안에서 3개의 유형을 적용하기 위해 상대평가를 적용하였다. 도입형은 세부요소 항목 개수 기준 1~2개 정도 설치된 학교를 말한다. 도약형은 도입형 학교보다는 더 많은 세부요소 항목이, 정착형보다는 적게 설치 된 학교를 말한다. 정착형은 평균 이상의 세부 요소 항목이 설치된 학교를 말한다. 조사한 자료의 기준에 한하여 조사자료의 분석은 Eco-school의 특성별 분석과 지역별 분석을 기초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특성별 분석의 기준으로는 쾌적한 실내환경과 수자원의 이용 부문이 가장 많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아마도 학생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이 실내다 보니, 실내를 중심으로 친환경개념이 우선으로 적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수자원의 이용의 경우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한 우수시설 위주의 친환경 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장 미비한 부문으로 확인이 되는 부문은 녹지공간의 조성 부문으로 옥상이나 벽면녹화 등의 건축물이 녹화된 학교의 사례를 찾기가 어려웠으며, 주로 텃밭 운영을 중심으로 녹지를 조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기준으로는 경북 울산 지역은 학교 사례가 너무 적어 분석이 무의미하며, 서울경기지역이나 충남 충북지역은 도약형과 정착형 학교가 주를 이루고 있고, 광주전남전북 지역은 도입형, 도약형, 정착형 학교 사례가 모두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광주전남전북 지역이 친환경 개념 도입 시작 단계에 있는 학교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외 친환경 학교 실태를 분석한 결과, 국내는 아직까지 고비용의 친환경 기술은 태양광 발전 설비로 머물러 다소 제한적이었으며, 연못, 나무식재, 투수성 포장, 저흐름 변기/샤워기, 우수 이용, 재활용 또는 저공해 건축재료 사용, 쓰레기 분리수거, 창/문 배치, 주광 이용, 적정 온습도 유지, 환기시스템, 소음조절, 현휘조절 등 저비용의 친환경 기술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비록 30개의 학교를 대상으로 하는 제한적인 사례에 대한 연구였으나, 지금까지의 비교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친환경 학교 건축물은 저비용의 친환경 기술이 적용된 건축물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정부 또는 지방자치 수준에서의 활발한 투자를 통해 양보다 질적인 친환경 학교의 보급 및 확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을 이용한 애플민트와 담수어(메기, 향어, 금붕어)의 성장에 관한 연구

        남지원 전남대학교%0A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79

        아쿠아포닉스는 어류의 배설물에 포함된 영양분을 이용하여 수중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지속가능한 양식방법이다. 본 연구는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서 생산가능한 생물종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애플민트(Mentha suaveolens)를 메기(Silurus asotus), 향어(Cyprinus carpio nudus), 금붕어(Carassius auratus)와 같이 사육하여 각 생물의 성장지표를 측정하였으며 또한 각 수조의 수질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모든 실험구에서 수온은 27.0~28.5℃, DO 7.10~7.80 mg/L의 범위를 유지하였으며, pH는 초기 6.80~7.05의 범위에서 점차 감소하여 4.90~5.40의 범위에서 유지되었다. 무기이온의 경우 암모니아(NH3-N)는 1-3주 기간 동안 증가하였고 아질산염(NO2-N)은 암모니아가 증가하는 기간동안 증가하여 4주 기간에 가장 높았다. 질산염(NO3-N)은 아질산이 감소하는 시기인 4주 이후 크게 증가하였으며, 인(PO4-P)은 질산염과 마찬가지로 실험 시작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무기이온의 함량은 모두 메기 실험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어류의 전장 증가율은 메기, 향어, 금붕어 각각 23%, 7%, 2%이였으며, 전중량 증가율은 각각 89%, 33%, 3%로 메기가 가장 높았다. 메기의 증체율(WG), 사료효율(FE), 일간성장율(SGR)은 각각 89.05%, 96.1%, 1.28%로 나타나 다른 어종에 비해 가장 높은 성장을 보였다. 어종에 따른 애플민트 성장의 경우 메기 실험구에서 뿌리길이, 줄기길이, 생체중, 잎 개수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향어 실험구에서는 애플민트 잎에서 Ca(칼슘), K(칼륨), Fe(철) 결핍증상을 나타내었고 애플민트의 성장 또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Aquaponics is a sustainable farming method that uses nutrients contained in fish excrement to grow plants underwater. In this study,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various species in an aquaponics system. For this purpose, apple mint (Mentha suaveolens) was reared with catfish (Silurus asotus), leather carp (Cyprinus carpio nudus), and goldfish (Carassius auratus), the growth indicators of each organism were measured, and changes in water quality in each tank were observed.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the water temperature was maintained in the range of 27.0~28.5℃ and DO in the range of 7.10~7.80 mg/L in all experimental tanks, and the pH was initially in the range of 6.80~7.05, but gradually decreased and was maintained in the range of 4.90~5.40. In the case of inorganic ions, ammonia (NH3-N) increased during the period of 1-3 weeks, and nitrite (NO2-N) increased during the period when ammonia increased, reaching the highest level during the 4th week. Nitrate (NO3-N)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fourth week, when nitrite decreased, and phosphorus (PO4-P), like nitrate, tended to increase steadily after the start of the experiment, and the contents of all inorganic ions were found to be high in the catfish experiental plot. The total length growth of fish was 23%, 7%, and 2% for catfish, leather carp, and goldfish, respectively, and the total weight gain was 89%, 33%, and 3%, respectively, with catfish showing the highest value. Catfish's weight gain (WG) was 89.05%, feed efficiency (FE) was 96.1%, and specific growth rate (SGR) was 1.28%, showing the highest growth compared to other fish species. In the case of apple mint growth according to fish species, the root length, stem length, live weight, and number of leaves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the catfish experimental plot, In leather carp experimental plot, symptoms of Ca (calcium) deficiency, K (potassium) deficiency, and Fe (iron) deficiency appeared in apple mint leaves, and growth also showed the lowest values.

      • Enhancing Cucumber Leaf Curl Disease Detection in Smart Farming: A Hybrid Ensemble Learning Approach

        AHMAD AFTAB 전남대학교%0A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79

        ABSTRACT The detection of plant diseases is crucial for ensuring high crop quality and yields. However, identifying diseases manually, particularly those visible on leaves, can be time-consuming and expensive. In this study, a hybrid model was used to build a cucumber curl leaf detection system. The main objective of the research was to find the best machine learning classification algorithm and identify the most accurate classifier. The proposed hybrid model combines Support Vector Machine (SVM), K-nearest neighbor (KNN), and Decision Tree (DT) classifiers as base classifiers to develop a hybrid model. Real-time generated datasets were used for prediction, where the Support Vector Machine achieved around 96.37% accuracy, the Decision Tree achieved 98%, and the K-nearest neighbor achieved an accuracy of 97%. Additionally, our proposed hybrid model achieved a classification accuracy of 98.4% on the same dataset. The model can be used for early-stage identification of cucumber curl leaf disease, reducing identification time with high accuracy.

      • 여수 남부연안 자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최원준 전남대학교%0A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79

        전라남도 여수 남부 연안에서 2022년 12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월별로 5개의 정점에서 자망을 이용하여 어획되는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조사기간 중 채집된 어류는 총 2강 9목 32과 52종 1,809개체로 이들 중 농어목(Perciformes) 어류가 13과 22종으로 42.30%를 차지하여 가장 많은 출현 종수를 보였다. 다음으로 쏨뱅이목(Scorpaeniformes) 어류가 5과 9종으로 17.31%, 가자미목(Pleuronectiformes) 어류가 3과 7종으로 13.46%를 차지하여 이들 3목에 포함된 어류가 총 38종으로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종수의 73.07%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출현한 52종의 어류 중 개체수는 밴댕이(Sardinella zunasi)가 449개체로 출현 개체수의 41.24%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였고, 다음으로 참서대(Cynoglossus joyneri) 88개체로 8.09%, 보구치(Argyrosomus argentatus) 80개체로 7.35%, 홍어(Okamejei kenojei) 60개체로 5.51%를 차지하였다. 월별 군집구조의 종 풍부도 지수는 3.092 ∼ 4.328 범위로 나타났고, 균등도 지수는 0.3332 ∼ 0.8939, 다양도 지수는 1.085 ∼ 2.721, 우점도 지수는 0.2521 ∼ 0.8319 범위로 나타났다. 정점별로 조사한 종 풍부도 지수는 3.002 ∼ 5.256 범위로 나타났고, 균등도 지수는 0.2627 ∼ 0.8579, 다양도 지수는 0.8454 ∼ 2.8060, 우점도 지수는 0.2851 ∼ 0.8834 범위로 나타났다.

      • 여수 가막만 외측에 분포하는 부유성 난 및 자치어

        최우성 전남대학교%0A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79

        이 연구는 가막만 외측에 분포하는 부유성 난 및 자치어의 종 조성 및 군집구 조 분석을 2023년 1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10개의 정점에서 계절별로 채집하 였다. 시료의 채집은 RN80 Net를 이용하였고, 채집된 시료는 99% 알코올로 고 정하였으며, 실험실로 운반하여 형태적 분류와 DNA 분석을 진행하였다. 부유성 난은 6목 14과 19속 19종이 채집되었고, 멸치(Engraulis japonicus)가 84,094.2 4 ind./㎥, 정어리(Sardinops melanostictus)가 24,825.65 ind./㎥, 주둥치(Nuche quula nuchalis)가 12,159.99 ind./㎥로 우점하였다. 자치어는 7목 20과 23속 26종 이 채집되었고, 주둥치가 7,112.03 ind./㎥, 보리멸(Shillago sihama)이 4,016.77 in d./㎥, 청보리멸(S. japonica)이 3,573.55 ind./㎥로 우점하였다. 부유성 난의 계절 별 군집분석은 다양도 지수는 봄에 1.58, 풍부도 지수는 여름에 0.71, 균등도 지 수는 겨울에 0.97, 우점도 지수는 가을에 0.9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유사도는 4월과 8월에 48.7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점별 군집분석은 다양도 지수는 S t. 2에서 1.98, 풍부도는 St. 5에서 1.33, 균등도는 St. 8에서 0.79, 우점도는 St. 4에서 0.8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유사도는 St. 2와 St. 7의 유사도가 84.03%로 가장 높았다. 자치어의 계절별 군집분석을 보면 다양도는 여름에 1.89, 풍부도는 봄에 1.07, 균등도는 여름에 0.79, 우점도는 겨울과 가을에 0.78로 가장 높았고, 유사도는 8월과 10월에 31.32%로 가장 높았다. 정점별 군집분석을 보면 다양도 는 St. 1에서 2.14, 풍부도는 St. 8에서 1.64, 균등도는 St. 10에서 0.86, 우점도 는 St. 9에서 0.69로 가장 높았고, 유사도는 St. 7과 St. 9의 유사도가 75.96%로 가장 높았다. 난 및 자치어는 해양환경에 따라 생태적 습성 및 공간적 분포에 영 향을 많이 받으므로 효율적인 자원관리를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연구가 필요 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