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다층형 이중외피의 운영과 제어 전략에 관한 연구

        최원준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지속 가능한 발전은 십여 년 전부터 전 세계적인 화두이다. 에너지 사용을 줄일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건물을 위해 액티브(Active)적인 측면과 패시브(Passive)적인 측면에서 진보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현대 건축의 파사드 재료로써 가장 선호되는 것 중 하나인 유리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세계적인 흐름과 상응하지 않는다. 이는 일반 콘크리트 단열벽에 비해 열저항이 낮고 일사의 유입이 많아져 큰 에너지 소비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이중외피 시스템이 유럽을 중심으로 큰 관심을 받아오고 있다. 이중외피 시스템은 계속 변화하는 외부 환경과 동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열적, 유체적 거동을 포함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잠재성이 큰 동시에 불확실한 부분도 많아진다. 이런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대부분의 국가에서 이중외피를 어떻게 디자인하고 분석해야하는가에 대한 기준과 가이드라인은 없다. 또한 성능과 경제성에 관해 긍정적인 시각과 부정적인 시각이 대립하고 있다. 실제 건물의 모니터링 자료와 실험 데이터가 부족하고 다양한 기후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결과나 기준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건축가와 엔지니어는 이 시스템에 대한 확신을 갖고 활용하기 힘들다. 또한 경우에 따라 이중외피가 오히려 에너지를 훨씬 더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유럽에서는 이중외피 시스템에 관해 상대적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건물의 에너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용되는 패시브 전략의 선택은 대상 건물이 들어서는 지역의 기후조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유럽의 그것을 한국에 그대로 적용하기는 힘들다. 따라서 한국 기후에서 이중외피를 적용할 경우 다양한 운영과 제어 전략에 따른 이중외피의 거동과 성능은 연구를 통해 정량화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한국에서 거의 수행되지 않았던 다층형 이중외피의 실제 거동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 모니터링 데이터에 근거하여 유효성을 검증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가지고 한국 기후에 이중외피 건물을 적용 시의 제어 전략과 운영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중외피 시스템이 운영되는 방식과 시기에 따라 난방기와 냉방기로 구분하였으며 각 기간별로 네 가지의 모델을 제안하고 분석하여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방기에 이중외피 내측창 제어를 통해 중공층의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직접 유입하는 제어 방식(Case 2)은 열적 완충공간으로 이중외피를 운영하는 방식(Case 1)과 비교하여 1.0%의 난방 에너지 사용량 절감율을 보였다. 기본 모델과 비교해 오전에서 정오시간대에 효과가 있지만 절감 효과는 미미했다. 2) 난방기에 중공층의 가열된 공기를 중공층 상부에서 HVAC 시스템으로 유입하는 방식(Case 3)과 중공층에 공기순환을 위한 별도의 루프를 설치하여 HVAC 시스템으로 유입하는 방식(Case 4)은 열적 완충공간으로 이중외피를 운영하는 모델(Case 1) 대비 각각 38.1%, 41.0%의 난방 에너지 사용량 절감율을 보였다. 이 운영방식의 에너지 절감율은 실내외 온도차이가 클수록 증가했다. 3) 냉방기에 야간환기 제어를 적용하는 모델(Case 2)은 주간 자연환기만 하는 모델(Case 1)과 비교하여 5.9%의 냉방 에너지 절감율을 보였다. 이 제어전략은 오전시간대의 부하와 피크 부하를 줄이는 데에 효과가 있다. 내기와 외기의 온도차가 큰 중간기에 야간환기는 효과적이며 외기온도가 20℃ 이상으로 유지되는 여름철에는 효과가 급격히 줄어든다. 월간 냉방에너지 사용량의 최대 절감율은 4월의 16.9% 최소 절감율은 8월의 1.8%이다. 4) 이중외피 중공층에 별도의 배기팬을 설치하여 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한 모델(Case 3)은 주간 자연환기만을 적용한 모델(Case 1)과 비교하여 0.2%의 냉방 에너지 절감율을 보였다. 최대 절감율은 10월의 0.7%, 최소 절감율은 6월의 0%였다. 다층형 이중외피의 특성 상 충분한 환기량이 보장되기 때문에 배기팬의 가동을 통한 중공층 온도저감은 크지 않았고 줄어든 코일에너지의 대부분이 팬의 에너지로 상쇄되었다. 5) 배기팬과 야간환기를 결합한 모델(Case 4)은 주간 자연환기만을 적용한 모델(Case 1)과 비교하여 5.9%의 냉방 에너지 사용량 절감율을 보였다. 최대 절감율은 4월의 17.4%, 최소 절감율은 8월의 2.1%이다. 외기 온도가 상승할수록 야간환기의 영향이 미미한 현상은 배기팬과 야간환기를 결합한 모델에서도 동일했으며 Case 3과 마찬가지로 배기팬이 에너지 저감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했다. Sustainable development became one of the most talked-about topics across the globe from ten years or so ago. For eco-friendly buildings with low energy consumption, there have been ongoing advances with both active and passive aspects. Glass, one of the most preferred façade materials in modern architecture, does not lend itself well to this global trend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compared to insulated concrete wall, glass has low thermal resistance and high transmission of solar radiation, which cause large energy consumption. As an alternative, the double skin façade(DSF), which was conceptualized in Europe, has received wide attention all over the world. The DSF system involves complex thermo-fluidic behavior in the course of dynamic interaction with continuously changing external environment, thus it has greater potential, as well as increased uncertainty of performance. Despite such uncertainty, most of the countries have few criteria and guidelines in place for designing and analyzing DSF systems. Moreover, there are different viewpoints with regard to their performance and economic advantage. There is lack of monitoring data and test data on actual buildings. Also, because there are no systematically organized results or design criteria on the possible application under a wide range of climate conditions, architects and engineers are not confident about actual application of DSF. In some cases, the DSF system turns out to be consuming rather much more energy. In Europe, a relatively great deal of research into DSF systems has been carried out. The selection of passive strategy applicable to the improvement of building energy performance varies depending on the climatic condition of the target buildings. Thus, simply applying the European example is inappropriate in Korea’s climatic condition. Applying DSF systems in the Korea climate requires quantification of the behavior and performance of such systems under various operational setting and control scheme through research. This study measured the actual behavior of multistory DSF, which has hardly been done before in South Korea. Furthermore, this study looked into the control scheme and operation strategies of the DSF system on buildings situated in the Korea climate by using simulation models verified based on actually measured data. Based on the season and the way the DSF system is operated, distinction was made between heating and cooling period. Four kinds of models were proposed for each period and analyzed.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In the heating period, compared with the Case 1 using DSF as a thermal buffer space, the Case 2 introducing heated air in the cavity directly by applying control strategy on the internal operable opening resulted in 1.0% reduction in heating energy consumption. It was found that the operable window control model has little effect overall, compared with the base model. 2) In the heating period, two methods - one with the introducing heated air in the DSF into the HVAC system from the upper cavity (Case 3), and the other introducing heated air into the HVAC system through installation of an additional air loop in the cavity (Case 4) - resulted in a reduction in heating energy consumption by 38.1% and 41.0%, respectively, compared with base model(Case 1). These operating strategies are more effective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door and outdoor increased. 3) The model applied night ventilation control(Case 2) in the cooling season showed a total of 5.9% energy reduction, compared with the model with daytime natural ventilation only (Case 1). This control scheme helps reduce morning time cooling load and peak cooling load. Night ventilation is more effective in the intermediate season the period having big difference in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s. In summer when the outdoor temperature is over 20℃, the effect drastically plummets. In terms of the reduction rate for monthly cooling energy consumption, April appears to be the highest (16.9%), and August appears to be the lowest (1.8%). 4) The model applied additional exhaust fan in the DSF cavity (Case 3) showed a total of 0.2% in energy reduction, compared with the daytime natural ventilation only-applied model (Case 1). It showed the maximum reduction rate in October (0.7%) and the minimum in June (0%). Multi-story DSF guarantees high ventilation performance thus there was minimal reduction in cavity temperature, even though the exhaust fan fully operated. Also, most of the reduced cooling coil energy was offset by the fan energy. 5) The model combined exhaust fan and night ventilation (Case 4) showed 5.9% reduction in cooling energy consumption, compared with the daytime natural ventilation model (Case 1). It showed the maximum reduction rate in April (17.4%) and the minimum in August (2.1%). The decreasing effect of night ventilation in the summer season also observed in this model and the exhaust fan had little impact on reduction of cooling energy as observed in Case 3.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공공시설물 디자인 프로세스

        최원준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공공시설물은 지자체의 기반 시설물로서 주민들의 행정 편의나 복지와 관련하여 제공·운영되는 지속적 수단이며 기능적 측면에서는 시민들의 안전과 편리성을 목적으로 총칭하는 개념이다. 각 지자체는 이러한 공공시설물을 제공하는 데 그 지역의 역사, 전통, 문화, 자연환경 등 요소를 도입하여 타지역과 차별화하기 위한 정체성을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설물들은 지역의 개성을 강조하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기 이전에는 시설물의 과도한 표현을 통한 지역의 상징적 의미와 가치를 전달하는 간접적 홍보 매개체로 활용되어 본연의 기능성을 저해하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시설물의 특성상 유지보수의 관점에서도 문제가 발생하며, 자칫 지역의 이미지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이에 최근에는 공공시설물의 표준디자인을 제공하고 있어 과도한 정체성의 표현은 지양하는 추세지만 그 지역의 개성을 존중해 주는 수준에서 관리되고 있다. 이러한 공공시설물의 시공은 지자체의 공고로부터 제안 업체의 입찰 및 심사 과정을 통해 진행되는데 앞서 언급한 공공시설물의 정체성 표현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즉 업체에서 제안되는 공공시설물 디자인은 디자인 프로세스 과정에서 주관적 분석에 의한 판단이 개입된다는 점이다. 지자체의 입지적, 인문학적 요소 등을 분석하는 다양한 방법론이 활용되고 있으나 주로 그 지자체의 대표 색상이나 조형적 요소를 도출하여 이를 시설물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등 디자이너의 주관적 경험이나 판단에 의해 제시되어 그 지역의 통합적 이미지를 전달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이를 심사하는 과정에서도 외부 전문가에 의해 통합적이고 일관된 정체성을 반영되지 못하는 한계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 기술의 등장은 우리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방대한 데이터 분석과 처리 능력, 통계적인 접근으로 생성형 인공지능은 지역정체성의 분석 및 추출 과정에서 더 정확하고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맥락에서 공공시설물 디자인이 지자체의 지역 정체성 확립, 시민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공공시설물 디자인에 대한 주관성 개입을 최소화하는 디자인 프로세스의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생성형 인공지능 ‘ChatGPT’와 ‘Midjourney’ 등을 활용하여 충청북도 청주시 버스정류장을 대상으로 공공시설물 디자인 프로세스의 인공지능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기존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소모되는 시간과 노력을 경감하고 제한적인 창의성을 확장하며 의사결정 구조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는 먼저 기존 진행되고 있는 공공시설물 디자인 프로세스와 인공지능의 역할, 활용 가능성을 문헌 및 사례를 통해 알아보았다. 1. ChatGPT를 활용해 공공시설물 디자인에 필요한 지역정체성과 조형 요소를 추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지역정체성의 형성 및 조형 요소를 먼저 인공지능에 학습시킨 뒤 이를 기반으로 형용사를 추출하였다. 2. 추출된 형용사와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의 내용을 조합하여 프롬프트를 작성 후 Midjourney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을 진행하였다. 3. 생성된 80여 개의 이미지를 공공디자인에서 요구하는 주요 항목을 기준으로 ChatGPT를 통해 선별하였다. 4. 이후 선별 이미지에서 색상, 확장성, 가변성, 부가 시설물 조합 등 부족한 요소를 추가하여 재생성을 진행하였다. 5. 최종 선별 이미지는 설계 관점에서 최적의 조건을 판단하여 종합 후 분석 및 평가 과정을 통해 3D 모델링과 렌더링을 하여 최종 디자인 결과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미지 생성형 인공지능의 특성을 반영하여 공공시설물 디자인 프로세스의 부분적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주관적 개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발전적 프로세스로서 인공지능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인공지능의 발전은 더욱 정교해질 것으로 예상되는바 후속 연구를 통해 공공시설물 외 다양한 디자인 프로세스의 방법적 개선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Public facilities are infrastructures of self-governing bodies, which are continuous means provided and operated in relation to the administrative expediency and welfare of residents, and in terms of function, they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for the purpose of safety and convenience of citizens. Each self-governing body expresses its identity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other regions by introducing factors such as the history, tradition, culture, and natural environment of its region in providing these public facilities. On the contrary, many problems arise in the process of emphasizing the individuality of the region. Prior to the establishment of public design guidelines, it was used as an indirect medium of public relations strategy to convey the symbolic meaning and value of the region through excessive expression of facilities, hindering its original functionality. For this reason, due to the nature of the facilities, a problem occurred from the perspective of maintenance, and it also negatively affected the formation of the image of the region. 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 standard design of public facilities has been provided, so the expression of excessive identity is avoided, but it is managed at a level that respects the individuality of the region. The construction of these public facilities is carried out through the bidding and screening process of the proposed company from the announcement of the self-governing body, and problems may arise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identity of the public facilities as mentioned earlier. That is, the design of public facilities proposed by the company involves judgment based on subjective analysis in the design process. Various methodologies are used to analyze self-governing bodies' locational and humanistic factors, but they may not be able to convey the integrated image of the region because they were presented by the designer's subjective experience or judgment, such as deriving the self-governing bodies' representative colors or formative factors and applying them to facilities.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creening this, there may be limitations in that the integrated and consistent identity cannot be reflected by external experts.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e emergence of Generative AI technology presents us with new possibilities. With its vast data analysis, processing power, and statistical approach, it is considered as Generative AI is able to derive more accurate and objective results in the process of analyzing and extracting local identity. In this contex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Generative AI in the design process that minimizes subjectivity intervention in public facility design because the design of public facilities affects the establishment of self-governing bodies' local identity and the improvement of citizens' quality of life. To achieve this,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utilization of AI for design process of public facilities as an object of bus stops, located in Cheongju-si, Chungbuk by using Generative AI 'ChatGPT' and 'Midjourney', etc. and to reduce the time and effort spent in the existing design process, to expand limited creativity, and to suggest alternatives to the decision-making structur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isting design process of public facilities, the role of AI, and its applicability through literature and cases. 1. This study was to extract the local identity and formative elements necessary for the design of public facilities by using ChatGPT. In this process, after the formation of local identity and learning of formative elements to the AI first, adjectives were extracted based on them. 2. By combining the extracted adjectives and the contents of the public design guidelines, Prompts were created and an image was generated using Midjourney. 3. About 80 generated images were selected through ChatGPT based on the main items required by public design. 4. Since then, insufficient factors such as color, extensibility, variability, and combination of additional facilities have been added to the selected or screened image to proceed with regeneration. 5. The final selection image was presented as the final design result by determining and synthesizing the optimal conditions from a design point of view, and then performing 3D Modeling and Rendering through analysis and evaluation process. This study was to suggest a partial improvement plan for the design process of public facilitie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mage Generative AI. In this way,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AI as a developmental process that can minimize subjective intervention. This researcher considers it as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expected to become more sophisticated, and expects that follow-up studies will provide methodological improvements to various design processes other than public facilities.

      • RFID 환경에서 태그 정보와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백워드 채널 보호 방식

        崔源晙 亞州大學校 情報通信專門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동형 RFID 태그는 스스로 전력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연산 능력이 매우 약하고, 통신 신호는 크기가 약하고, 도달 거리가 짧다. 이런 특성을 이용하여, 대부분의 태그 보안 방법은 태그로부터 리더로 전달되는 무선 경로인 백워드(Backward) 채널은 도청의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가정하에 리더로부터 태그로 정보를 전달하는 포워드(Forward) 채널을 보호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태그와 가까이에 있는 불법적인 리더는 정보를 불법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근접거리에서 백워드 채널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태그정보의 충돌방지를 위하여 제안된 트리워킹 방식의 도청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안된 랜덤화된 트리워킹과 같은 기존 방식들에서 문제점을 해결하여 준다. 제안 방법의 효율성은 분석 모델을 사용하여 보였으며, 표준 코드시스템인 EPCglobal, ISO, uCode의 경우 도청가능성을 거의 ‘0’에 근접시킴을 보였다. Passive RFID tag does not have its own power.Therefore it has very poor computation abilities. and it can deliver signals in vert short range. Most RFId Tag security schemes assume that the backward channel from tags to a reader is safe from eavesdropping. However, eavesdrooppers near a tag can overhear message from the tah illegal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chanism to prdtect thr nackward channel from illegal eavedropping. Thr popposed scheme can cover the weakness of other conventional tree-walking-based security schemes that protect tag information in algorithm for RFID tags.We proved the efficiency and safeness of our proposed mechanism by using ab abalyical model. The proposed mechanis can secure standardized RFID tag systems such as EPChlobal,ISO and uCode against eavesdropping.

      • 압력에 따른 물로켓 궤도분석

        최원준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물로켓 궤도분석에 관한 연구로서, 추진력은 노즐을 빠져나가는 물의 압력과 노즐 단면적을 곱한 값으로 정의했다. 내부압력은 PASCO사의 MBL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압력 데이터로부터 추진력을 수치적으로 계산하고 최고고도를 구하여 실험값과 비교하였다. 물 350 mL와 초기압력 200 ~ 350 kPa 조건에서 수치결과로부터 얻은 최고고도와 실험으로부터 얻은 최고고도는 3 % 이내에서 일치하였다. 이 조건에서 물로켓 발사실험을 중·고등학교 과학실험활동에 이용하면 좋은 과학교육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research study is about on water rocket trajectory. Thrust of water rocket was multiplied by the value of eruption pressure and nozzle area. In order to measure pressure, by using the equipment Microcomputer Based Laboratory(MBL) sensors of PASCO. After calculating the data from this figures, the thrust is to obtain the highest altitude, compare to the value of the experiment. The initial terms of water is about 350 mL in 200 ~ 350 kPa pressur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highest altitude of numerical and experiment results are matched within 3 %. Conditions of this experiment, water rocket launches to take advantage of activities in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experiments, will be a good science education.

      • Pharmacopuncture of Magnolia officinalis reduces localized adiposity via AMPK signaling pathway in obesity

        최원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Excessive accumulation of local adipose tissue is also a risk factor for health and causes problems aesthetically. Recently, for various reasons, the need for non-invasive treatment for localized fat has emer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MO pharmacopuncture reduces localized fat by promoting lipolysis and inhibiting adipogenesis based on the network pharmacology analysis. The network was built using genes related to the active compound of MO. Based on the result from network analysis, male C57BL/6J mice were fed with high fat diet for 8 weeks to induce obese condition. Then, 100 µL of 2 mg/mL MO pharmacopuncture was injected into the inguinal fat pad 3 times per week for 6 weeks. As a control group, Normal saline was injected into the right-side inguinal fat pad of HFD-induced obese mice. Through the Functional Enrichment Analysis, it was expected that the ‘AMPK signaling pathway’, a key regulator of lipid metabolism, would be affected by the MO Network. MO injections reduced the weight of inguinal fat pad. In addition, the diameter of adipocytes was reduced by MO injection of HFD-induced obese mice. The expression levels of Phosphorylat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p-AMPK), adipose triglyceride lipase (ATGL), hormone sensitive lipase (HSL), Monoglyceride lipase (MGL) were factors for evaluating whether MO promotes lipid catabolism. Also, the expression levels of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c (SREBP-1c), Fatty acid synthase (FAS), Phosphorylation of Acetyl-CoA carboxylase (p-ACC) were evaluated to confirm the inhibition of adipogenesis of MO. The expression levels of p-AMPK, HSL, ATGL and MG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MO injection. In Also, The expression of SREBP-1c, p-ACC, p-mTOR, FAS, PPAR- γ was also found to be suppressed by MO injection.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injection of MO promoted the expression of AMPK, which has beneficial effects on activation of lipolysis and inhibition of lipogenesis. This study proposes that Pharmacopuncture of MO can be a non-surgical alternative therapy in the treatment of local fat tissue. 국소 지방 조직의 과도한 축적은 심각한 미용적인 문제이기도 하며, 건강의 위험 요소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비만 치료에 대한 비침습적 치료의 필요석이 대두되고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MO(후박추출물) 약침이 지방분해를 촉진하고, 지방합성을 억제함으로써 고지방식이 비만유발 마우스에게 항비만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함이다. 네트워크 약리학 분석을 위하여, 후박 주요 성분이 표적하는 유전자를 모아 비만과 관련있는 유전자를 비교분석하였다. Functional Enrichment analysis를 통하여 후박이 잠정적으로 효과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작용 기전을 예측하였다. 예측된 결과를 기반으로 동물실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수컷 C57BL/6J 마우스로 8주간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발하였다. 그리고, 쥐의 좌측 서혜부 지방패드에 주3회씩 6주간 2 mg/mL 농도의 후박 약침을 100 µL씩 주입하였다. 식염수는 대조군으로서 우측 서혜부 지방패드에 같은 양 및 같은 횟수로 주입하였다. 유전자 네트워크 연구는 후박의 활성 화합물과 관련된 유전자를 사용하여 실행되었고 Functional Enrichment Analysis를 통해 후박 유전자 네트워크가 지질대사의 핵심 조절인자인 AMPK signaling pathway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MO 약침은 고지방 식이 마우스의 서혜부 지방패드의 무게뿐만 아니라 지방세포의 크기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MO의 지질 분해 촉진 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AMP-activated protein kinase(p-AMPK), adipose triglyceride lipase (ATGL), hormone‑sensitive lipase (HSL), Monoglyceride lipase (MGL)의 발현 수준을 평가한 결과, p-AMPK, ATGL, HSL, and MGL의 발현 수치는 후박 약침 주입 이후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후박의 지질 합성 억제 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c(SREBP-1c), Fatty acid synthase (FAS), Phosphorylation of Acetyl-CoA carboxylase (p-ACC)의 발현 수준을 평가하여, p-ACC, FAS, SREBP-1c, PPAR- γ, p-mTOR의 발현 수치 역시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후박 약침이 AMPK의 발현을 촉진함을 확인하였으며, 후박 약침으로 인하여 AMPK가 활성화됨에 따라, 그로 인해 유발되는 지질 분해 관련 인자들이 활성화되며, 지질 합성 관련 인자들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후박 약침이 국소지방 약침 치료의 비수술적 대안이 될 수 있는 치료법임을 제시하하였다.

      • Cyclosporin A and Sanglifehrin A Enhance the Anticancer Effect of Cisplatin via Inhibiting Peptidyl Prolyl Cis-trans Isomerase Activity of Cyclophilin A in Glioma

        최원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Purpose: Glioma is the most common type of brain tumor in adults and treatment of high-grade gliomas is still palliative. We tried to examine whether cyclosporin-A (CsA) or sanglifehrin A (SFA) enhances cisplatin-induced apoptosis in C6 glioma cells, and whether it is via inhibition of PPIase activity of cyclophilin A (CypA) in glioma. Experimental Design: C6 rat glioma cell line was used as drug targets. Cell growth inhibition was monitored by MTT assay. Apoptotic cell death was verified by cellular and nuclear morphological changes using hoechst staining, and cleavage of PARP and caspase-3 using western blotting analysis. To assess the role of CypA in combination-induced cell death, CypA-siRNA was transiently transfected in C6 glioma cells. Immunohistochemistry was performed to check for expression of CypA in human high-grade glioma tissues. Results: The combination of cisplatin and either CsA or SFA significantly enhanced apoptotic cell death in C6 glioma cells in comparison with the single-agent treatment alone. Pre-incubation of cells with N-Acetyl-L-cycteine reduces the number of apoptotic cells induced by the combination treatment. Also, the combination treatment causes an increase in ROS generation and a decrease in intracellular glutathione levels. Furthermore, the combination treatment-induced apoptosis is via suppressing of PPIase activity of CypA. Interestingly, CypA expression was only observed in human GBM and C6 glioma cells, but not in normal human astrocytes, and was up-regulated in C6 glioma cells during hypoxia. Conclusions: Treatment with either CsA or SFA and cisplatin in combination may be an effective therapeutic strategy for patients with glioma.

      • 제주 화산쇄설물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

        최원준 제주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제주 동북부 및 북부 중산간, 해안, 동부 지역 소화산(오름)에서 채취한 스코리아 시료들에 대한 철 화합물들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X-선 회절 분석을 통해 채취된 제주 스코리아 시료들은 SiO₂, anorite와 같은 규산염 광물과 olivine, pyroxene, ilmenite, hematite와 magnetite 등의 광물이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함량이 적거나 동형치환, 다형광물 그리고 비정질 광물의 효과로 인하여 피크가 약하거나 위치가 다소 이동되어 일부 시료인 봉개 검은오름, 소수산, 송당칡오름 시료는 산화철을 미약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스코리아 내의 철 화합물은 hematite 및 magnetite와 같은 단일 광물의 조성을 나타내기 보다는 다양한 점토광물 형태로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봉개 검은오름, 어도오름, 저지오름, 녹남봉, 수월봉, 소산봉 둔지, 돚오름 시료에서는 hematite나 magnetite를 확인할 수 없었다. XRF 분석을 통해 일부 SiO₂ 함량이 57.54%, 57.53%인 중성암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SiO₂가 28.08% ~ 49.84%인 염기성암 또는 초염기성암으로 분류되며, 전체 Fe화합물의 함량이 7.94 wt%에서 20.19 wt%로 분포되는 고철질 광물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산간 지역의 MgO 분화지수와 비교한 중요 화합물의 변화가 다른 지역에 비해 비슷한 양상을 띠므로 중산간 지역 소화산들이 비슷한 성격을 띠고 있었다. IGUS분류에 의한 분석을 통해 제주 스코리아들은 전역이 대부분 현무암의 성격을 띠고 있으며, 특히 중산간 소화산들이 아주 비슷한 특성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대부분의 스코리아는 고알루미나질 그리고 알카리 계열이며, 일부 해안 시료인 물메에서는 솔레아이트질도 확인되었다. Al₂O₃에 따른 Fe/Mn의 비율 값이 대부분 66% 이상이고, Mg수는 0.10~0.70인 현무암의 성격을 띠므로, 제주 스코리아는 상부 맨틀 이상에서 생성된 마그마의 작용에 의해서 생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M?ssbauer 스펙트럼으로부터 olivine, pyroxene, ilmenite 그리고 다른 Fe^(2+),Fe^(3+)의 점토광물인 철 화합물에 의한 이중선들과 일부 시료들을 제외하고는 hematite와 magnetite에 의한 6중선을 볼 수 없었으며 이는 XRD결과와 일치하였다. Mössbauer 스펙트럼에 의한 총 면적비를 분석한 결과 중산간, 동부, 해안 지역의 총 철 화합물에 대한 평균 Fe^(3+)의 함량이 동북부 중산간(Aa)은 79.96%, 북부 중산간(Ab)은 79.96%, 동부(C)는 73.44%, 해안(B)은 67.31%로 나타나고 있어 해안지대로 갈수록 Fe^(2+)의 비율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제주 화산활동에서 제1, 2기의 화산활동의 지형으로 분류되는 지역에 해당하는 소화산들에 나타나는 olivine, pyroxene, ilmenite을 포함하는 Fe^(2+)화합물의 총 면적비를 살펴보면 Fe^(2+)면적비가 높다. 즉, 서부지역 끝자락에 위치한 어도오름, 저지오름, 녹남봉, 수월봉들은 Fe^(2+)의 함량이 평균 70.58%, 그리고 동부지역 둔지, 돚오름에서는 Fe^(2+)의 함량이 평균 59.37%로 이루어져 있어 주 철 원자가 상태가 Fe^(2+)임을 보였다. 반면에 나머지 스코리아에 대한 M?ssbauer 면적비는 Fe^(3+)비율이 높고 이들 Fe^(3+)의 I.S. 값 범위는 0.19 mm/s ~ 0.35 mm/s 값을 나타내므로 나머지 중산간, 해안, 동부지역 스코리아 시료의 철 화합물들의 산화 상태는 대부분 Fe^(3+)상태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들 스코리아들은 제주 화산암에 많이 포함된 Fe^(2+)화합물 olivine, pyroxene, ilmenite도 적은 양이지만 다양한 비율로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대부분의 스코리아들은 Fe^(2+)인 지하 내부 암석으로 존재했던 2분출기의 화산암과 형성 시기가 비슷한 일부 소화산 시료와 달리 중산간과 동부 시료들 대부분의 스코리아의 생성 시기가 3, 4분출기의 화산 분출에 의한 화산쇄설물로 지표면에서 간헐적 분출에 의해 공기 중에서 생성되었기 때문이라 해석된다. Mössbauer 분석에 의하면 6중선이 나타나지 않는 해안 지대의 일부 시료, 동부 그리고 북부 중산간 일부 시료인 봉개 검은오름, 어도오름, 저지오름, 녹남봉, 수월봉, 소산봉 둔지, 돚오름 시료는 수중 분화 성격을 띤 소화산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Mössbauer 분광법을 통해 자성을 띤 6중선의 유무가 수중 분화 또는 육상 분화 소화산체인 제주 오름들의 구분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XRF 분석에서도 다른 지역에 비해 비슷한 성격을 띠는 동북부 중산간 소화산의 스코리아 모두에서 6중선의 hematie와 magnetite가 나타남을 알 수 있고 1차광물 olivine, pyroxene, ilmenite의 I.S., Q.S. 값을 비교했을 때 비슷한 값을 가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들 광물에 대한 Mössbauer 분석에 의해, olivine의 I.S. 값은 1.15~1.17 mm/s 그리고 Q.S. 값은 2.81~2.99 mm/s이었다. 또한 pyroxene의 I.S. 값은 1.13~1.15 mm/s 그리고 Q.S. 값은 2.46~2.53 mm/s이며, ilmenite의 I.S. 값은 1.12~1.13 mm/s 그리고 Q.S. 값은 0.84~0.87 mm/s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들 중산간 소화산들은 비슷하거나 같은 근원 마그마에서 분출한 소화산들로 추정할 수 있고, 이것은 열점 분화 활동에 의한 제주 소화산체의 생성에 대해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 북부 중산간 소화산의 스코리아에서도 대부분 비슷한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Mössbauer 분광법을 통한 1차광물의 비교를 통해 제주 소화산체인 오름의 생성 원인 및 마그마의 성격을 알아볼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Jeju is a volcanic island created through four different major volcanic eruptions since 1,200,000 years ago. Jeju has the top of Halla Mountain at its center and 360 small volcanoes, so-called small volcano(Orum) distributed over the whole Jeju island from mid-mountain(mid-Mt.) side to the seashore. Main element of the small volcanoes is scoria that contains the iron originated from the Earth's interior. Therefore, if we perform a careful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spectral Spectroscopy features of scoria iron compounds, we could figure out not only when the small vocanoes were created but also how different environment affect the forming of them. In this dissertation, scoria samples were taken from three different region of Jeju: the Northern and Eastern mid-Mt. area(A), the eastern area(B), the sea-side area(C). The chemical compositions in a sample can be identified by X-ray diffraction technique (XRD), X-ray fluorescence spectroscopy (XRF) and Mössbauer spectroscopy make it possible to investigate the state of the iron atoms in a sample and their magnetic properties too. (1) The results of X-ray diffraction (XRD) reveals that all sample include SiO₂ and a small amount of iron oxide. (2) X-ray fluorescence (XRF) analysis shows that the total amount of iron compounds varies from 7.94 wt% to 20.19 wt% depending on the region where they were taken. (3) X-ray diffraction and the Mössbauer spectra analysis lead us to conjecture that some small volcanoes in regions B and C were formed under the sea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air, and volcanoes in region A were created from the same hotspot under the ground. XRD analysis show much of the mineral silica are included, such as SiO₂, and anorite. So rather than a single type hematie and magnetie is a form of a variety of clay minerals. So, the compounds are the status of some of the iron atoms Fe^(2+) in olivine, pyroxene and ilmenite, Fe^(3+) in hematite and magnetite. Clay minerals are Fe^(2+) and Fe^(3+). This reasoning, including the iron and clay mineral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Fe^(2+), Fe^(3+) in the double-line with the results and will be detected by Mö ssbauer spectroscopy. By the Mössbauer spectrum, look at the average levels of Fe^(3+). The northeastern part of mid-Mt.(Aa) of 79.96%, northern mid-Mt.(Ab) of 79.96%, eastern(C) is 73.44%, sea-side(B) appears to have 67.31%. So as getting to the sea-side of Jeju island, the ratio of Fe^(2+) is growing. The most of scoria samples M?ssbauer spectrum area of Fe^(3+) is more than Fe^(2+). According to thesse samples' the I.S. value of 0.19~0.35 mm/s, most of samples iron state is Fe^(3+). In addition, they have some of Fe^(2+) compounds ilmenite, pyroxene, olivine also contains a small percentage. The reason, most of the sample, compared to the Jeju basalt 2st time is different. The most of samples generation time is 3st and 4st season in Jeju vocanic activity and was created out of the air by the eruption intermittently. Meanwhile, the ratio of Fe^(2+) is more than Fe^(3+) in some of Jeju small volcano is classified as 1st and 2st of activity in Jeju volcanic activity. Thease are adoorum, jejiorum, nocknambong, suwalbong located in the end of western and dunjiorum, dotorum in the eastern of Jeju island. The average levels of Fe^(2+) was 70.58% in located on the western tips, and the average levels of Fe^(2+) was 59.37% in loscted easern. There are guessed by underwater eruption samples, bonge gumunorum, adoorum, gujiorum, nocknambong, suealbong, sosunsanbog and dotorum in the sea-side, mid-Mt., and some of eastern area of Jeju island. Thease samples not shown the magnetic 6 lines by Mössbauer spectrum. And through this method, water and land forms can be formed to separate the small volcano(Orum). As estimated by the study, the existing generation of these mid-Mt. small volcanos was by the volcanic activity of Earth's interior is the same Hotspot. This reason was checked by Mössbauer spectroscopy, also. In other words, all the northeastern part of samples are similar to XRF analysis, and hematite and magnetite appears in Mössbauer spectrum. Meanwhile, Mössbauer analysis of the case, according to the I.S. value of the primary mineral pyroxene of I.S. value of 1.15~1.17 mm/s, Q.S. value of 2.81~2.99 mm/s, and olivine of I.S. value of 1.15~1.17 mm/s, Q.S. value of 2.46~2.53 mm/s, and ilmenite of I.S. value of 1.12~1.13 mm/s, Q.S. value of 0.84~0.87 mm/s, so they can see the value that is almost identical. Therefore, the existing generation of these small volcano, as estimated by the study, the same Jeju differentiated magma from the volcano, and the Earth's interior hotspot is a good workout by the physical evidence to show that the volcanic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