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서울신학대학”의 자립운동과 그 성과 연구 : 1968년부터 1970년대를 중심으로

        강주혜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79

        Seoul Theological University(STU) is the only seminary of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KEHC). As the KEHC was becoming more independent from OMS(Oriental Missionary Society) and turned to the one denomination of the church, STU, an institution to educate and train the minister of KEHC, was also influenced by that result and played a leading role by native people in terms of operating the seminary. The reason why is important to study about that is the process of self-reliance resulted in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STU. Therefore this is the study of the process of the self-reliance and development about STU. In order to study about that, especially analysis of the self-reliance process is divided into two thing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changes from the late 1960’s. With the progress of STU as a training center of minister by native people, faculty members, students, and steering committee were changed. Firstly, for the faculty members STU depended on OMS’ decision at first but later korean dean of STU made an appointment native faculty member. Secondly, the new students were growing and after graduating the university, graduate’s career was transformed into full-time minister of KEHC. Thirdly, steering committee was composed of OMS’ member and native people, but after self-reliance it was made up only natives. All in all, because of the analysis above, I firmly believe that self-reliance brought the great change and development of STU.

      • 稱義에 관한 칼빈의 견해와 트랜드신조의 비교

        임주훈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우리는 이상 칭의에 관한 카톨릭의 트렌트신조와 종교개혁자 칼빈의 견해의 비교를 통해, 성경에 입각한 칭의의 올바른 개념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우리는 서론에서 전제(前提)하였듯이, 카톨릭의 칭의교리는 그릇된 것임을, 그리고 성경에 입각한 종교개혁자 칼빈의 견해와는 명백히 다른 것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무엇보다도 카톨릭의 트렌트신조는 성경에서 상당히 거리가 먼 신학이라는 점이 지적된다. 그들은 이러한 비(非)성경적인 신학(unbiblical theology)을 지원하기 위해 오히려 성경을 역(易)으로 이용하였다. 이는 “오직 성경으로”를 외쳐 부르며 개혁을 단행했던 종교개혁자들의 정신과는 참으로 상반(相反)되는 것이 아닐 수 없다. 카톨릭은 말씀이 계시하는 진리에서 너무나 밖으로 나가 있다. 이점은 칭의 교리야말로 기독교신앙의 핵심교리라고 가히 일컬어진다는 사실에서 그러한데, 그들은 성경에서 계시해주지 않는 교리를 옹호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심각한 것은 그럼에도 그들은 트렌트 이후 400년 이상이 지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마저도 이 교리에 대해 일체의 수정도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한편, 중세로부터 오늘로 이어지는 카톨릭의 신학적 풍토(風土)가 이러하므로 카톨릭으로부터의 개혁은 불가피했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 당시 중세 로마카톨릭에 대항하여 일어난 종교개혁자들의 신학적 개혁이 없었다 하더라도, 작금에 이르기까지 신학적 개혁은 분명 다른 누군가에 의해서 단행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물론 성경 말씀에 입각한 다른 누군가에 의해서 말이다. 이러한 까닭은 우리 구주 예수님의 승천 이후, 진리에 대한 고수(固守)는 택함 받은 백성들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과업이었기 때문에 그러하다. 또한 구원의 문제는 하나님께서 계시하여주신 말씀을 떠나서는 결코 이를 수가 없기 때문에 그러하다. 바로 이처럼, 계시된 하나님의 말씀은 참으로 중요하다. 그리고 말씀에 입각한 신앙(信仰)과 신학(神學)은 상당히 소중한 것이다. 우리는 오직 성경말씀을 따라 신앙하고 행동하였던 종교개혁신학을 유산으로 받았다. 따라서 종교개혁의 정신을 따른 신학, 달리 말하면 오직 성경말씀을 중심으로 하는 우리 신학에 앞으로 남겨진 과제는 명백하다: 첫째 로마카톨릭이 그랬던 것처럼 , , 오늘날 비(非)성경적인 수많은 공격들에 대항해 성경진리를 수호(守護)하는 일이다. 둘째, 칭의교리에 대한 강조를 교회 안팎에서 성실하게 수행하는 일이다. 앞서 거듭 말하였지만 “오직 믿음으로 말미암는 칭의(Justification by Faith Alone)”교리는 기독교의 교리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교리라고 충분히 말할 수 있다. 칼빈이 기독교 강요에서 그렇게 말하였고 루터 또한 그러하였으며, 오늘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개혁신학자들의 한결같은 강조가 여기 있다고 하여도 결코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다시한번 강조해서 말하지만, 개혁신학의 전통과 그 유산은 참으로 귀중하고 소중하다. 이는 하나님의 말씀을 우리의 신학과 신앙, 그리고 삶의 최우선에 두고자 하는 정신이자, 태도요, 방식이기 때문에 그러하다. 따라서 오늘날 종교개혁자들의 이와 같은 정신에 비추어서 우리에게 위배되는 것이 있다면, 우리는 다시금 겸손히 허리를 동여 메고 오로지 주의 말씀에 착념해야 할 것이다. 오직 성경말씀이 가라는 데 까지 가고, 주의 말씀이 멈춰서라는 곳에 멈춰서는 말씀중심의 사람과 말씀중심의 삶이 되어야 할 것이다. 진리를 위해서는 기꺼이 목숨을 내어놓을 수 있는 그러한 확고한 말씀의 사람, 신실한 말씀의 종이 바로 이 시대에 하나님 앞과 사람 앞에 필요함을 절실히 느낀다. 이와 같이 결코 흔들리지 않는 믿음과 신념 그리고 확신으로 우리의 생각과 우리 삶의 전 영역을 채워나갈 때에, 우리의 믿음과 소망과 사랑은 더욱 더 확고해지고, 뚜렷해지며, 커져갈 것이다. 오직 은혜로 말미암아 우리를 택하시고 불러주신 하나님, 그리고 우리 죄를 위한 대속의 사역을 이루신 그리스도의 의(義)를 우리의 의로 인정해주시는 하나님, 또한 우리를 영화롭게 하실 그날까지 거룩한 삶을 살게 하시는 하나님께만 오직 모든 영광이 돌려지기를 간절히 바란다. Sola Deo Gloria!

      • 몰트만의 십자가 신학과 정치윤리

        변철환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Moltmann's theology of the cross(theologia crucis) is a trinitarian theologia crucis, it transcends church criticism and extends to political theology. The theology of the cross frees oneself from violence, it is a messianic theology of peace which loves one's enemies and is one of love and responsibility. Jesus is simultaneously the true God and true man. Jesus is the center and basis of Christian faith. Jesus proclaimed the gospel of the kingdom of God, and the miracles He performed were signs of the imminence of the reign of God. But Jesus was charged as a blasphemer of God and a false prophet and sentenced to death. Jesus willingly died His death. Jesus' death was not the end. Jesus resurrected and countered death with hope and secured eschatological peace. The cross of Christ is the symbol of the grace of God and the costly grace of following Jesus. Paul teaches righteousness through faith as opposed to the traditional Jewish teaching of righteousness through the observance of the Law. God willingly gave Jesus up to death. Paul preached Christ crucified. Paul's theology of the cross criticizes self-praise of man and frees those from it. Luther discovered the interpretation of the Pauline meaning of "sola gratia, sola fide." For Luther justification means God accepting man as being righteous and is an act of giving value to man. The most significant aspect of Luther's justification is the freedom from acts of self-praise and righteousness, and is humility and commitment only to Christ. In 1517 as part of the Heidelberg Disputation, Luther set forth the theologia crucis in opposition to theologia gloria. Luther clearly stated that only the cross is our theology and tests all things. Bonhoeffer was a Christian who lived a life of confession of faith. His theology was Christ-centered and Christ-dominating. Bonhoeffer implanted the perception of justification by faith to the German church. Cheap grace is grace without discipleship, and grace without the cross. Costly grace is the call to discipleship in following Christ and connects the personality of Jesus Christ with the cross. Discipleship reaches to the point of martyrdom, and is being at oneness with the One crucified on the cross. Just as Christ suffered and was forsaken, the disciples of Christ must participate in the suffering of the cross. Moltmann developed his theology of the cross by experiencing God existentially through his suffering and time as a prisoner of war. For Moltmann the cross is the basis and criticism of theology. He thought of the loving God who suffers, not a senseless and heartless God. Moltmann points out the traditional misinterpretations of the cross on the part of the church and develops it in the direction of political theology which is existentially united in theory and practice in keeping with the genuine meaning of following the cross as the answer. It interprets and understands the death of Jesus as a trinitarian event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an event concerning the cross, and an act of love resulting from this the relationship of the Holy Spirit eschatologically. The content of the trinity of God is in the reality of the cross of Christ himself. The form of the One crucified is trinitarian. Moltmann develops the theology of the cross, which is the key to christology, from a historical, critical viewpoint, and further develops this into political theology continuing the thought of Bonhoeffer in taking up one's cross and following Jesus in the world. The theology of the cross is one of discipleship ethics and a political theology of the cross. Moltmann transcends the unenjoyable prejudice concerning the concept of political theology into a "new political theology," in sharp contrast to Schmidt and changes the concept of political theology into one of church and Chritianity in the world. The new political theology overcomes the privatization of one's faith and the separation of religion and politics and puts forth political hermeneutics which accompanies the political discipleship of practice and ethics. The political hermeneutics of faith does not transfer the theology of the cross to political ideology but interprets it into political discipleship. Moltmann sets forth the five vicious cycles and its solutions. The new political theology metamorphosizes into peace theology in light of the nuclear threat which mankind faces. Peace is distinguished into negative peace as the absence of war and positive peace as the presence of justice. Christian peace connects the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of peace and is a just peace emphasizing justice. The first step to peace begins with the overcoming of violence. Being free from violence is the way to peace. Jesus' Sermon on the Mount clearly shows the way to this peace. Moltmann distinguishes between power(Macht) and violence(Gewalt). Power means the rightful use of authority but violence signifies the unlawful use of power. The second way to peace is the love of one's enemies. Love of one's enemies is the most complete form of firmly establishing one's neighbor. Love of one's enemies is creative love and accompanies responsibility. Moltmann's christology pursues the formation of the community of reconciliation and peace. The death of Jesus on the Cross overcomes the hostile relationship and revives the fellowship with all creation.

      • 근대주의 기독교와 포스트모던 신학에 대한 비판적 연구

        이규범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Modernism had been modified or downfallen by Postmodernism. Modernists who insist successive of Modernism have said that it is sustaining and correcting to Postmodernism-form. Otherwise, those who insist the Modernism collapsed have said that Postmodernism is a new epistemology. So, there is a difference in their arguing about understanding of Postmodernism. But also there is a common factor to conquest the problems Postmodernism carried. Deconstructivism is main philosophy to speck for a trial of escaping from Modernism. Deconstructivism criticizes both Modernism and Postmodernism in their essential elements. Christianity also cannot be excepted from this criticism. Why? Is there a criticism the Christianity itself? This thesis focuses on the criticism from Postmodernism about Christianity has factors of Modernism rather than essential factors of Christianity. Christianity epistemology is different from Modernism in its truth. Christianity do not support that universal religion is based on universal theory and epistemology. Christianity, its epistemology and existing way, has special revelation by Jesus Christ. There is special way to exist in christian faith.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essence of Christianity that overcoming the both of universal and standardized factors of Modernism. Even though Postmodernism is upspring to overcome Modernism in flowing of theological thinking, but there are theological problems of explaining about Christianity and Postmodernism, because it seems like to give the possibilities to open door for relativism and pluralism. Therefore,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way for overcoming that problems and to suggest an altercative plan by Postliberalism of G. Lindbeck. For his theology insistency is distinctiveness of Christianity. He tried to find a theology in the specialty that has culture and language of Christianity. Some other side, his theology is on same thread of connection with Postmodernism, on try to overcome Modernism. But he emphasized only truth and specialty of christianity that is the crucial point in the theology of differences from Postmodernism. His theology does not stay or set on Modernism or Postmodernism, but offers affirmative possibilities to contribute to christian community and theology. Specially, his theology can affect evangelicalism. On the other hand, his theology is not enough to attest to revelation event of christianity. Futhermore it cannot propose a approaching way of Christianity concerning toward the world. It means there is the limitation of epistemology and truth of Christianity still standing just christian community inside. In conclusion, this thesis is study about limitation and possibility of christianity to overcome Modernism and Postmodernism through G. Lindbeck. in his theology, and put a meaning of a help the christian and its community following right direction in complicated period like this generation we live in.

      • 한국 개신교 예배에서 성만찬의 위치와 역할에 대한 연구

        이중석 서울신학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Truth that it was point of worship that proclamation of Word and Lord's Supper give every week is evidence that is Biblical or truth that see as church tradition and is known already well. But, churches which appear to history had commited mistake that lean way do what doing not accomplish proclamation of Word and balance of Eucharist consciousness. Catholicism church had blocked proclamation of Word by Holy Spirit's introduction leaning form and dogma. And Protestant caused individualism and opportunism of faith focusing that do proclamation of Word and Holy Spirit's work, and Word that early church receives lesson of apostles and receives through Lord's Supper also is gotten from experience on body and had ignored Incarnation became early church Eucharist dynamism within life. This contorted worship is continued in today. Nowaday Protestant churches fall in one dilemma. Passing 19th century opening North America Protestant that recorded remarkable growth to position passing latter half of 20th century serious showdown present state of church growth experience. Korean church is unexceptional. Because church is wandering because do not look for the way at middle of tradition and innovation. About fall of West Europe Protestant or stagnation of Korean Protestant, theologians' opinion and analysis are diverse, one of representative thing is found lack of harmony of Word and Eucharist or phenomenon of bipolarization. Specially, can speak that is as result that Protestant of West Europe is caused ignoring Eucharist's value since religious reformation. Korean Protestant accomplished miraculous growth by passion of Word, but had commited mistake that do not give specific action in real life through Word, and did not bring change and innovation in human community. Word through the Pulpit fills and overflowed, but because contents and form of Liturgy were scanty, believers degraded by 'Person who go to church' or 'Person who hear sermon' only. Believer does not experience meaning and delight of Liturgy, is course that allow kindness and Gift experience and purpose of church coming in and out than Worship that give to God. Worship of today is retaining problem to form and spirituality all. Spirituality is lacked time clear in form, and when lean in spirituality, form is disregard danger. Therefore, development and research can be pressing assignment at form and Eucharist established form that divine nature can be filled all. And short message for meditation and research of correct attempt by Church Year that Eucharist's theological meaning and instruction that can use because changing every week in form at suitable ceremony that Protestant pastor are given are filled is request an age. And Eucharist's research by church tradition is thought that is necessarily necessary to enable such work. Is going to arrange contents of Lima document (Baptism, Eucharist and Ministry, BEM) that a definition theological right about Eucharist and investigate about origin of Korean Protestant Worship and modern each association's Worship and Eucharist. There is purpose of this research looks for theological origin of Eucharist that is held in Korean Protestant Worship and recover Eucharist in Worship by establishing Eucharist's right meaning and role. Also, it is essential ceremony of Christian religion Worship in reply with problem about Eucharist that appear representatively in modern Korean churches, propose necessity of Eucharist Worship recovery as element of Worship.

      • 우치무라 간조의 무교회주의 신학 연구 : 무사도의 관점에서 바라본

        김영환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この論文の目的は内村鑑三の無教会主義神学の再評価にある。内村は19世 紀、激動の日本を生きていた。彼は当時の日本における偉人の一人であり、偉大 な哲学者、科学者そして作家であった。しかし彼の神学的な一面は他の面に対し てその評価を引き下げられてきた。多くの神学者は彼の無教会主義神学を、教団 を破壊する異端とし彼を非難した。この論文は内村の神学を21世紀ではなく、 内村の生きていた19世紀の明治時代の観点から研究したものである。このよう な観点において内村の神学は改めて評価される。 そのためには、武士道に対する研究が先行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内村は自身 のことを「侍」と称していた。内村が生きた当時、日本は侍の国であった。これ はさながら朝鮮が士(ソンビ)の国だった事と同じである。侍という社会階級は戦 場で戦闘を行った階級であった。しかしやがてその階級は武力で権力を握り、幕 府を建てた。国を治め体系を調えるため、侍は一つの道徳律を作った。これが武 士道である。武士道は禅仏教、神道、儒教の精神で構成されており、後代の有名 な侍たちの哲学がこの思想に溶け込んだ。江戸時代の武士道はいくつの価値観の 集合である。 その一つ目は「忠」である。忠と言うものは主君に向く侍の操である。二つ目 は「義」である。これは一つの侍の集団に属する侍の、集団に対する義務であ る。三つ目は「勇」である。「勇」は「義」を伴う。「義」が存在するゆえに 「勇」があり、「義」が存在しないと「勇」はその意味を失う。そして、最後の 武士道の価値観は「廉恥」である。侍は「廉恥」をしらなければならない。侍は 廉恥を感じる場合、屠服で自らの名誉を守り、侮辱された場合、例え私的な争い のため後に屠服を命ぜられたとしても自らの名を守るため刀を抜く。このような 武士道の価値観は全ての日本の侍には一つの規範であった。 一人の侍の内村は明治時代の人であった。内村は札幌農学校を卒業、渡米し、 アマーストで学士を取得したのち、ハートフォード神学校で学問を受けた。この 時期、内村は福音に接して真のキリスト教徒になった。彼は武士道の上に福音を 建てた。彼の神学は福音で成り立っているが、その思想の基礎は武士道への理解 の上に存在している。従って内村は神を主君とし自らは神を仕える家臣と考え、 神に対する完全な忠節が一生の価値であることを忘れず一生神に仕える。完全な るキリストを主君として仕える内村にとって、他のことは無価値になったわけで ある。彼は当時日本で享受できる富、名誉を捨て、自らの主君であるイエスキリ ストに懸命に仕えた。内村はイエスキリストを信じる信仰の実践を行うことに卑 怯ではなかった。天皇に対する宗教的崇拝を拒否し、危機に瀕しながらも日本の 不合理な朝鮮侵略に抗議して反戦運動を繰り広げた。これは全て信仰から起こる 良心、及び自らの祖国とキリストを愛する心から生じた行動であった。 無教会主義は、内村の思想の集大成である日本式プロテスタント(改新教)運動 と考えられる。教会の制度に抵抗するこの思想の核心は、イエスキリストの十字 架への回帰である。過去に、カトリックに抵抗して生じたプロテスタント運動が 信仰の自由と「ひたすら信仰のみ」を叫んだことと同じように、内村が生きた 19世紀の状況の中で、彼は同じ意味で異なる状況の「ひたすら信仰のみ」を叫 んだのである。外形的教会はキリストを頭としてその体になる教会を持つ個人の 聖徒に価値があるのではなく、むしろその信仰の自由と神への心に妨害になるな ら、果敢にそれを捨て新しい改革を行うべきと言うのが内村の主張であった。神 の教会に対する心や教会が、歴史の中でどのようにその信仰を守ってきたかとい うことに対する評価が欠けていると評することもできるが、根本的にキリストが 愛した普遍的な教会を内村は守ろうとしたと評することもできる。彼の言語と文 体から彼の考えを他の人たちが完全に読み取れなかったのは、彼の神学とその思 想の背景と意図、文化的な特徴を読み取れなかったことにある。 結果的に内村は教会の制度を拒否した。しかし彼は一度もイエスキリストの教 会を拒否しなかった。事実、彼は19世紀の日本で真のイエスの教会の精神を保 護しようと努力した。内村の文章の雰囲気が親切ではないとか、彼の文が攻撃的 だと非難するのはできるだろう。しかし、誰も彼のことを異端、または神が無く した子供だと罵ることはできない。何故なら、彼は一度もイエスキリストの心を 忘れずに十字架の道から反れなかった。内村は19世紀の日本に与えられた神の 祝福であり、日本に対する神の愛の証である。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aluate the theology of Uchimura Kanzou's Bukyokai(Nonchurch) Theology. Uchimura lived in turbulent social conditions in 19C. He was one of the most intelligent man in that age and was a great philosopher, scientist and a writer. But his theological side has been underestimated by many theologian. According to them, Uchimura is a destroyer of Church and a cult. In this thesis, Uchimura's theology will be reviewed not by the eyes of 21C theology but by the eyes of Meiji age's bushido where Uchimura belonged to. With this means, Uchimura's hidden side of theology will be revealed To begin with, Study of Bushido is necessary. Uchimura himself proclaimed that he was a 'Samuri', the worrier. In his time. Japan was a land of Samuri as Korea was a land of 'Sun-bi, a classical scholar or Confucianism learner. Samuri was a social class and they took charge of battle in the war. Soon this Samuri class took over the political power with arms and set the new government : Bakufu. To rule this social class, Samuri, Japanese made rules that Samuri must keep : Bushido. Bushido is made of Zen buddhism, Sin-To(Japanese traditional religion) and Confucianism. Later famous Samuri's philosophy become a part of Bushido. At the end of Edo age, Bushido finally have some main values. The first value of Bushido was royalty which towards to the load of Samurai. The second one was duty which must be kept individually in the Samurai society. The third one is bravery. Bravery among Samurai was developed with duty. Without duty, bravery could not have a value. On the contrary, only with duty, bravery could have its best value. The last was a sense of shame. A Samurai must know dishonorable behavior. Samuri killed himself with the act of harakiri, disembowelment and they fought to death to clear their name even though the result of individual duel was a death penalty, harakiri. These values tell us that how Samuri lived an intensive age and how they formed their values. As one of this Samurai, Uchimura lived in Meiji period. Uchimura graduated Sapporu Farming School. After his graduation, Uchimura went to U.S.A. He got his B. A. degree in Amherst college and studied in Hartford seminary. During this period, Uchimura heard Gospel and become a new born christian. He set Gospel on the base of Bushido. To Uchimura, God became his Lord and he become a Samurai of God. After that moment, Uchimura's whole life was devoted to God. He had a perfect church where Jesus was a head and he was a body. Uchimura gave up every right to be famous and rich. He only severed his lord Jesus Christ. He was brave enough to go against the Japanese emperor. Uchimura refuged to bow down to him and made antiwar movement. All of his act was from the heart that loved Jesus Christ and his country Japan. Bukyokai(Nonchurch movement) is a symbol of Uchimura's theology and could be called as a Japanese protestant movement. This only stands against the system of existing church. The spirit of this theology is the same as the spirit of Protestantism. According to Uchimura's argument, "Only by faith," this was the same call of Uchimura like Martin Luther in Meiji period. The system of the church was meaningless when it blocks the true faith of Christian. True Christian has a perfect church where Jesus is the head and the one is the body. Uchimura had his weakness where he underrated God's care for Church, but Uchimura was the one who tried to protect the true spirit of Church of Christ. To see this aspect, one should approach to Uchimura's theology from where he stands To sum up, Uchimura denied the system of existing Church. But he never denied the Church of Jesus Christ. Actually he was the one who tried to protect Jesus' Church spirit in 19C in Japan. One may criticize Uchimura's way of writing, his choice of words or tone of the voice, but one should not describe him as a cult or lost children of God. Because he never left the heart of Jesus Christ and never denied the cross of Jesus Christ. Uchimura was a bless of God in 19C in Japan. Uchimura also was the prove of that God loves Japan.

      • 에바그리오스 폰티쿠스 신학체계의 비판적 분석과 의의 : 초대교회의 신화사상과 『안티레티코스』를 중심으로

        장창한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에바그리오스는 그리스도인에게 중요한 신앙생활 중 하나인 기도를 주제로 독특한 신학체계를 전개했다. 그는 초대교회에서 다루는 신화(神化) 개념을 토대로 그의 기도신학체계를 구성했다. 그는 기도를 기도자 『안티레티코스』에서 기도하는 수도자에 해당할 것이다. 편의상 본 논문에서 다룬 수도자로 바꾸어 이해할 수도 있다. 의 감정에 근거하여 기도자의 자아상태를 3단계로 설정한다. 그는 그중 가장 높은 기도단계에 도달한 자아의 상태를 콘템플라치오(Contemplatio) 콘템플라치오(Contemplatio)는 에바그리오스의 작품에서 데오리아(theoria)로 명명(命名)된다. 에바그리오스는 자신의 작품에서 기도하는 수도자가 그러한 상태에 도달하는 것을 문맥적으로 강조하기 위해 데오리아(theoria)를 데오리케(theorike)라는 표현과 동의어로 사용하기도 한다. 로 설정한다. 그의 신학체계에서 콘템플라치오는 작품의 문맥에 따라 콘템플라치오기도, 콘템플라치오상태, 콘템플라치오학, 신화상태, 하나님과 하나 됨 등의 서로 다른 동의어로 표현된다. 각각의 동의어는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상세히 분석될 필요가 있다. 에바그리오스는 콘템플라치오에 도달하기 위한 전제적 기도자의 자아상태를 평안(apatheia) 에바그리오스 및 다른 교부들의 작품에서 헤시키아(Hesychia)로 명명되기도 한다. 으로 명명(命名)하며, 평안을 다시 2단계로 나누어 설정한다. 그중 에바그리오스는 기도자의 자아가 높은 평안의 단계에 도달하는 것을 팔사념을 온전히 극복한 것으로 다룬다. 에바그리오스에게 팔사념(탐식, 음욕, 탐욕, 슬픔, 분노, 아케디아[acedia], 헛된 영광, 교만)은 기도자를 콘템플라치오기도에 이르지 못하게 방해하는 장애물로서, 그의 신학체계에서 자아분석적으로 다루어진다. 에바그리오스는 기도자에게 팔사념이 생기는 근본적인 동인(動因)을 마귀로 설정한다. 마귀는 기도자의 객체화된 자아를 자극하여, 팔사념에 빠지게 한다. 이때, 에바그리오스는 기도자의 주체화된 자아가 객체화된 자아를 분별하여, 자신의 주체적 자아가 팔사념에 흔들리지 않도록 『안티레티코스』를 서술했다. 에바그리오스에 따르면,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성령에 의한 하나님과 하나 됨을 이루기 위해 그리스도인에게 신앙생활의 모범을 보이셨으며, 이를 그리스도인이 모방하여 예수 그리스도와 동일하게 전적인 성령의 역사하심으로 하나님의 은혜를 덧입을 수 있다. 갑바도기아 교부, 에바그리오스 등 당대의 초대교부들의 표현에 따르면, 신화(神化)되는 것으로 바꾸어 말할 수 있다. 에바그리오스는 충실한 성경주해를 전제로 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모범적인 신앙생활을 『안티레티코스』로 정리했다. 에바그리오스가 『안티레티코스』에서 현세에 하나님의 임재를 이루려는 기도자들의 자아를 콘템플라치오에 도달할 수 있도록 감정조절방법을 제시한 것은 중요하다. 이는 현대 그리스도인이 가장 필요로 하는 감정조절방법을 성경주해를 바탕으로 조직신학체계에서 상세히 다루었기 때문이다. 나아가, 에바그리오스의 신학은 현대 심리학과 간학문적 연구를 통해 현대 그리스도인의 내적·감정적 풍요로움과 신앙인으로서의 올바른 대인관계를 이끌어 낼 수 있으며, 교회 밖의 사람에게도 이를 바탕으로 복음과 선한 영향력을 전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현대 한국교회는 에바그리오스의 신학과 『안티레티코스』를 분석하여, 개혁신학에서 다루는 하나님과의 신비로운 연합에 이르는 방안을 기도라는 새로운 주제로 접근할 수 있다. 개혁신학을 전제로 한 에바그리오스의 신학체계와 그의 작품에 대한 비판적인 연구는 개인의 실제적이면서도 총체적 삶의 변화를 이끌어 내게 하며, 동시에 거대하고 새로운 신학연구분야의 활로를 열게 할 수 있다.

      • 칼 바르트와 존 웨슬리의 종말론적 성령신학 비교 연구

        임태준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63

        This project began from an observation that there are intersection points of Karl Barth and John Wesley when one analyzes their thoughts with the eschatological theology of the Holy Spirit. Both Barth and Wesley agree that the role of the Holy Spirit is essential to reach the ultimate salvation in the future from the eschatological time that has already begun in the current time. This is from their common interpretation of the middle period as ‘already’ but ‘not yet.’ Although Barth and Wesley are often known to have established Christocentric theology with little reference to the Holy Spirit, they, in fact, mentioned and emphasized the role of the Holy Spirit in their eschatology throughout their books, sermons, and journals. In this respect, they provide us with a theological alternative to the theory of salvation that progresses only on God's side or to the Reformed hermeneutics that is Christocentric. According to them, Christians are supposed to eventually experience the final victory through Jesus Christ as the objective revelation and the Holy Spirit as the subjective revelation. Bart and Wesley emphasize that this experience is based entirely on the otherness which comes from outside us. In particular, when it comes to life, the Holy Spirit, who is the otherness, intervenes directly in our circumstances rather than remaining as an isolated island. At this point, there exists a dissimilarity between them: The work of the Holy Spirit proceeds from the community to individuals in Barth but from individuals to the community in Wesley. Nevertheless, while they differ in their starting points and methods, they both agree that the grace of salvation expands to the dimensions of individuals, communities, and the entire universe and that it heads toward a bigger eschatological horizon that sanctifies all the people in the Holy Spirit. Many scholars identified Barth’s concept of sanctification with Calvin’s. According to Calvin, sanctification, as a double grace given with justification, can never be completed in the earthly lives of saints, and the entire sanctification is considered to take place gradually and to be achieved only after death. Calvin’s thought is in contrast to Wesley's concept of holiness as Wesley argues that the entire sanctification could be achieved even during earthly lives. For this reason, if Barth has followed the Reformed tradition from Calvin’s thought, his sanctification could have been regarded as a synonym with Wesleyan's New Birth. However, if one assumes that Barth viewed sanctification as a process guided by the Holy Spirit and approaches him from an eschatological point of view, it turns out to be identical to the Christian perfection claimed by Wesley. Although Bart did not think that sanctification is to be entirely accomplished in the earthly lives as Wesley did, he makes it clear that sanctification should last eschatologically through the Holy Spirit. In this respect, their theology of the Holy Spirit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eschatological time despite the historical limitation due to their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The core activities of the triune God are creation, salvation, and sanctification, which need to be understood within the concept of circulation. Because circulation means that each person takes turns participating in different personalities. While each person has their own activities, they participate in other persons and work together with one another. This is true of eschatology. It has been generally thought that time flows from past to present, and from present to future. In this context, eschaton was dismissed as the last thing to happen or regarded as having little to do with our earthly lives. In contrast, Bart views the three tenses as triplets, and Wesley views them as an inclusivism in which the future and the present coexist. This means that every moment in time interact with each other in a circular way to proceed toward the eschatological completion through the ministry of the Holy Spirit. For Christians to live a life of victory amidst a rapidly changing world and crisi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true meaning of eschaton and pneumatology. 이 연구는 칼 바르트와 존 웨슬리를 종말론적 성령신학으로 접근해 보면, 동일한 신학적 접촉점이 발견될 수 있다는 것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그들은 종말론에 대한 부분에서 ‘이미’와 ‘아직’이라는 중간 시기에 대한 해석이 동일하며, 현재 시작된 종말의 시간 속에서 미래의 궁극적 구원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성령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일치점이 존재한다. 물론 의도성은 없었겠지만, 두 사람은 자신들의 신학을 기독론 중심으로만 향하고 있다는 공통된 오해를 받고 있다. 하지만 저서, 설교, 저널을 살펴보면, 그들은 종말 안에서 행해지는 성령의 역할에 관하여 광범위하게 언급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 측면에서 그들은 오직 하나님 편에서 진행된 구원론, 혹은 기독론 중심의 종교개혁적인 해석학의 한계를 넘고,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신학적 대안을 마련해 주고 있다. 그리스도인은 객관적 계시인 예수 그리스도와 주관적 계시인 성령의 역사를 통해 결국 최종적인 승리를 하게 될 것이다. 바르트와 웨슬리는 이러한 사건이 전적으로 우리 밖에서 오는 타자성에 근거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특별히 삶과 관련하여 보면, 타자이신 성령은 외딴섬이 아닌 우리의 삶의 현장에 직접 개입하시면서 활동하신다고 말한다. 여기에는 상이점이 존재하는데, 바르트에게서 성령의 역사는 공동체에서 개인으로 향하고, 웨슬리는 개인에서 공동체로 전향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출발점과 방법은 다를지라도 구원의 은혜가 개인, 사회, 우주적 차원으로 확장되는 것에서는 같으며, 성령 안에서 모든 사람을 성화시키는 더 큰 종말론적 지평을 향한다는 것에는 같은 선상에 있다. 바르트의 성화 개념은 칼빈이 말하는 성화의 개념과 동일하다고 보는 견해가 많았다. 칼빈에 의하면, 성화는 칭의와 함께 주어지는 이중은총으로서 성도의 지상 생애에서 완성되지 않으며, 온전한 성화는 점진적인 것으로서 죽음 이후에나 이루어지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 주장은 웨슬리의 성결의 개념과 상반되는데, 웨슬리에 의하면 온전한 성화는 이 땅에서 가능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바르트가 성화를 칼빈과 같은 개혁신학의 전통을 따른다고 본다면, 이는 오히려 웨슬리안의 신생과 동의어로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바르트가 성령 안에서 인도된 과정으로서 성화를 생각하고, 그 부분을 종말론적 시각에서 접근하면, 웨슬리의 기독자 완전과 동일하다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바르트가 웨슬리처럼 성화가 이 땅에서 온전하게 이루어진다고 보지는 않았지만, 그는 성령을 통해 성화가 종말론적으로 지속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그런 측면에서 두 신학자의 성령신학은 상호간 시공간의 역사적 한계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말의 시간 안에서 연결된다. 삼위일체 하나님의 핵심적인 활동은 창조, 구원, 성화인데, 이것들은 순환이라는 개념 안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순환은 각 인격이 돌아가면서 서로 다른 인격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각 인격은 독자적인 활동을 가지는 동시에 서로 다른 인격에 참여하며, 또한 모든 일을 공동으로 이룬다. 그런데 이 개념은 종말과 관련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져만 한다.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시간은 과거, 현재, 미래로 흘러간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종말은 마지막에 일어날 일로 치부되거나, 아직 우리와 별 상관이 없는 것으로 간주되곤 했다. 그런데 바르트는 세 가지 시제를 삼중성으로, 웨슬리는 미래와 현재가 함께 공존하는 포괄주의로 이해했다. 이는 시간들이 서로 순환적으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성령의 사역을 통해 종말의 완성을 향해 전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와 위기 가운데 있는 그리스도인이 승리의 삶을 살기 위해서는 올바른 종말과 성령신학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 위르겐 몰트만의 '메시아적 교회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 『성령의 능력 안에 있는 교회』를 중심으로

        정다운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은 ‘위기’에 처한 한국교회의 바람직한 방향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은 ‘위기’에 처한 한국교회의 바람직한 방향제시를 위해, 먼저 교회의 근거와 내적본질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근거와 내적본질로 말미암은 교회의 미래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한다. 그러한 후 이러한 자신의 근거와 미래로 말미암은 현재의 임무와 사명이 무엇인지를 도출하여, 현재의 한국교회를 교회 본연의 자태로 갱신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 하에 본 논문은 몰트만의 교회론 저서인, 『성령의 능력 안에 있는 교회: 메시아적 교회론』을 중심으로 면밀하게 정리·분석한 한 후, 그의 메시아적 교회론을 크게 2가지 차원으로 비판적으로 논구하고자 한다.: 1) ‘메시아적 교회의 그리스도론적 차원,’ 2) ‘메시아적 교회의 성령론적 차원’. 몰트만은 그의 저서의 제목에서 알 수 있다시피, 성령 하나님의 종말론적인 은사와 그리스도의 메시아적 사역을 중요하게 다룬다. 이 두 가지 차원으로 말미암아 교회는 오고 있는 하나님 나라를, 자신이 살아가고 존재하는 시대와 세상 속에서 증시하는 사명을 감당하는 ‘메시아적 공동체’로 정의된다. 즉 교회는 성령 하나님의 종말론적인 능력 안에서 자신의 근거요 출발인 예수 그리스도에 정초되고, 나아가 오고 있는 하나님 나라에로 정향되어 살아간다는 것이다. 이렇게 자신을 이해한 교회공동체는 ‘모이는 교회’요 ‘부름 받은 교회’로서 살아갈 뿐만 아니라, ‘흩어지는 교회’요 ‘보냄 받은 교회’로서 세상과 일상 속에서 복음을 포괄적으로 ‘증거’하고, 자신의 하나님 나라의 백성과 자녀로서의 정체성을 삶으로 ‘증명’하며, 오고 있는 하나님 나라를 세상 속에 ‘구현’해 내는 ‘메시아적 공동체’가 된다. 논자는 이러한 ‘메시아적 공동체’의 임무와 사명으로 말미암아 복음을 ‘증거’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증명’하며, 하나님 나라를 ‘구현’해 내는 것을 포괄적으로 ‘하나님 나라의 증시’라고 표현한다. 이러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먼저 Ⅱ장에서 몰트만의 생애와 그의 신학에 있어서 교회론의 위치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몰트만의 신학은 ‘하나님 나라’에 대한 열정으로부터 시작되며, 그의 ‘교회에 관한 신학’은 필연적으로 ‘하나님의 나라’,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삼위일체 하나님의 나라’의 지평 위에서 개진된다고 할 수 있다. Ⅲ장에서는 몰트만의 ‘메시아적 교회론’에 대한 첫 번째 차원으로서의 ‘메시아적 교회의 그리스도론적 차원’에 대해 살펴본다. 여기서는 예수 그리스도에 정초된 메시아적 교회가 어떻게 하나님 나라를 증시해 나갈 수 있는지에 관한 몰트만의 논의를 살펴본다. 몰트만은 교회와 그리스도와의 관계를 설정하며, 그로 말미암아 교회는 메시아의 삼중직(선지자, 제사장, 왕) 임무를 위탁받은 ‘메시아적 공동체’임을 피력한다. 이처럼 교회는 그리스도의 삼중직으로 말미암은 ‘십자가 정신’을 견지하며, 그리고 ‘부활의 희망’에 잇대어 세상 속에서 살아가는 메시아적 공동체일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의 사역으로 말미암은 새로운 관계 설정에 선 공동체, 즉 그리스도의 우정으로 말미암은 ‘친구의 관계’로 존재하는 ‘우정 혹은 형제애의 공동체’임을 피력한다. Ⅳ장에서는 몰트만의 ‘메시아적 교회론’에 대한 두 번째 차원으로서 ‘메시아적 교회의 성령론적 차원’에 대해 살펴본다. 여기서는 성령에 의해 도래하는 하나님 나라에로 정향 된 메시아적 공동체가 어떻게 하나님 나라를 증시해 나가는 사명과 임무를 감당할 것인지에 대한 몰트만의 논의를 살펴본다. 여기서 교회는 자신을 ‘종말론적인 영광스러운 하나님 나라’를 선취하고, 종말론적 하나님 나라의 질서를 역사 속에 구현하는 ‘과정 공동체’로 자신을 이해하게 된다. 또한 성령의 종말론적인 은사로 말미암아 교회의 모든 요소들, 즉 말씀선포, 성찬과 세례 그리고 주일성수와 예배의 본래적 기능과 의미가 하나님 나라를 지시하고 구현해 내는 것임을 피력한다. 이렇게 교회가 성령의 능력 안에서 자신의 모든 요소들을 통해, 하나님 나라를 증시해 나가는 공동체로 존재할 때, 교회는 자신을 ‘카리스마적 공동체’로 이해하게 된다. Ⅴ장에서는 이제까지 살펴본 몰트만의 ‘메시아적 교회론’ 구상의 신학적 맥락을 분석한 후, 몰트만의 ‘메시아적 교회론’의 함의를 한국교회와 관련하여 비판적으로 논구한다. 몰트만의 ‘메시아적 교회론’은 다음과 같이 구상되어 있음을 밝힌다. 몰트만의 ‘교회에 관한 신학’은 1) ‘실천에 관한 신학 이론’으로서 철저히 ‘성경적 토대 위’에 구상되었다. 2) 이러한 ‘성경적 토대 위’에 구상 된 ‘교회론’은 자연스럽게 모든 신학을 아우르는 ‘삼위일체론적 교회론’을 이루었다. 3) 이러한 ‘삼위일체론적’ 토대 위에 구상 된 ‘교회론’은 자연스럽게 ‘하나님 나라’의 지평으로 귀결되었다. 4) 이러한 ‘하나님 나라’의 지평은 결국 ‘하나님 나라의 약속과 성취’라는 도식 속에서 교회로 하여금 ‘오고 있는 하나님 나라’를 세상 속에서 드러내고 지시하며 구현하는 메시아적(종말론적)인 공동체로 자신을 이해하게 만든다. 이처럼 논자는 이미 다룬 두 가지의 차원으로 개진된 몰트만의 교회론이 상기와 같은 네 가지 요소로 구상되어 있다고 밝히고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논자는 이러한 몰트만의 ‘교회론’의 함의를 통해 한국교회의 현대적 과제를 크게 세 가지의 차원에서 구체적으로 살핀다. 1) 예수 그리스도의 전(全)역사를 교회된 자신의 전(全)생애 속에서 실천하는 ‘메시아적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2) 성경적인 종말론을 정립하여 오고 있는 하나님 나라를 소망하고 구현하는 ‘종말론적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3) 삼위일체하나님의 백성으로서 하나님의 삼위일체성을 숙고하고, 그 속에 함축되어 있는 원리들을 반영하는 ‘삼위일체적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