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서울신학대학”의 자립운동과 그 성과 연구 : 1968년부터 1970년대를 중심으로

        강주혜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Seoul Theological University(STU) is the only seminary of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KEHC). As the KEHC was becoming more independent from OMS(Oriental Missionary Society) and turned to the one denomination of the church, STU, an institution to educate and train the minister of KEHC, was also influenced by that result and played a leading role by native people in terms of operating the seminary. The reason why is important to study about that is the process of self-reliance resulted in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STU. Therefore this is the study of the process of the self-reliance and development about STU. In order to study about that, especially analysis of the self-reliance process is divided into two thing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changes from the late 1960’s. With the progress of STU as a training center of minister by native people, faculty members, students, and steering committee were changed. Firstly, for the faculty members STU depended on OMS’ decision at first but later korean dean of STU made an appointment native faculty member. Secondly, the new students were growing and after graduating the university, graduate’s career was transformed into full-time minister of KEHC. Thirdly, steering committee was composed of OMS’ member and native people, but after self-reliance it was made up only natives. All in all, because of the analysis above, I firmly believe that self-reliance brought the great change and development of STU.

      • 몰트만의 십자가 신학과 정치윤리

        변철환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Moltmann's theology of the cross(theologia crucis) is a trinitarian theologia crucis, it transcends church criticism and extends to political theology. The theology of the cross frees oneself from violence, it is a messianic theology of peace which loves one's enemies and is one of love and responsibility. Jesus is simultaneously the true God and true man. Jesus is the center and basis of Christian faith. Jesus proclaimed the gospel of the kingdom of God, and the miracles He performed were signs of the imminence of the reign of God. But Jesus was charged as a blasphemer of God and a false prophet and sentenced to death. Jesus willingly died His death. Jesus' death was not the end. Jesus resurrected and countered death with hope and secured eschatological peace. The cross of Christ is the symbol of the grace of God and the costly grace of following Jesus. Paul teaches righteousness through faith as opposed to the traditional Jewish teaching of righteousness through the observance of the Law. God willingly gave Jesus up to death. Paul preached Christ crucified. Paul's theology of the cross criticizes self-praise of man and frees those from it. Luther discovered the interpretation of the Pauline meaning of "sola gratia, sola fide." For Luther justification means God accepting man as being righteous and is an act of giving value to man. The most significant aspect of Luther's justification is the freedom from acts of self-praise and righteousness, and is humility and commitment only to Christ. In 1517 as part of the Heidelberg Disputation, Luther set forth the theologia crucis in opposition to theologia gloria. Luther clearly stated that only the cross is our theology and tests all things. Bonhoeffer was a Christian who lived a life of confession of faith. His theology was Christ-centered and Christ-dominating. Bonhoeffer implanted the perception of justification by faith to the German church. Cheap grace is grace without discipleship, and grace without the cross. Costly grace is the call to discipleship in following Christ and connects the personality of Jesus Christ with the cross. Discipleship reaches to the point of martyrdom, and is being at oneness with the One crucified on the cross. Just as Christ suffered and was forsaken, the disciples of Christ must participate in the suffering of the cross. Moltmann developed his theology of the cross by experiencing God existentially through his suffering and time as a prisoner of war. For Moltmann the cross is the basis and criticism of theology. He thought of the loving God who suffers, not a senseless and heartless God. Moltmann points out the traditional misinterpretations of the cross on the part of the church and develops it in the direction of political theology which is existentially united in theory and practice in keeping with the genuine meaning of following the cross as the answer. It interprets and understands the death of Jesus as a trinitarian event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an event concerning the cross, and an act of love resulting from this the relationship of the Holy Spirit eschatologically. The content of the trinity of God is in the reality of the cross of Christ himself. The form of the One crucified is trinitarian. Moltmann develops the theology of the cross, which is the key to christology, from a historical, critical viewpoint, and further develops this into political theology continuing the thought of Bonhoeffer in taking up one's cross and following Jesus in the world. The theology of the cross is one of discipleship ethics and a political theology of the cross. Moltmann transcends the unenjoyable prejudice concerning the concept of political theology into a "new political theology," in sharp contrast to Schmidt and changes the concept of political theology into one of church and Chritianity in the world. The new political theology overcomes the privatization of one's faith and the separation of religion and politics and puts forth political hermeneutics which accompanies the political discipleship of practice and ethics. The political hermeneutics of faith does not transfer the theology of the cross to political ideology but interprets it into political discipleship. Moltmann sets forth the five vicious cycles and its solutions. The new political theology metamorphosizes into peace theology in light of the nuclear threat which mankind faces. Peace is distinguished into negative peace as the absence of war and positive peace as the presence of justice. Christian peace connects the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of peace and is a just peace emphasizing justice. The first step to peace begins with the overcoming of violence. Being free from violence is the way to peace. Jesus' Sermon on the Mount clearly shows the way to this peace. Moltmann distinguishes between power(Macht) and violence(Gewalt). Power means the rightful use of authority but violence signifies the unlawful use of power. The second way to peace is the love of one's enemies. Love of one's enemies is the most complete form of firmly establishing one's neighbor. Love of one's enemies is creative love and accompanies responsibility. Moltmann's christology pursues the formation of the community of reconciliation and peace. The death of Jesus on the Cross overcomes the hostile relationship and revives the fellowship with all creation.

      • 에바그리오스 폰티쿠스 신학체계의 비판적 분석과 의의 : 초대교회의 신화사상과 『안티레티코스』를 중심으로

        장창한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에바그리오스는 그리스도인에게 중요한 신앙생활 중 하나인 기도를 주제로 독특한 신학체계를 전개했다. 그는 초대교회에서 다루는 신화(神化) 개념을 토대로 그의 기도신학체계를 구성했다. 그는 기도를 기도자 『안티레티코스』에서 기도하는 수도자에 해당할 것이다. 편의상 본 논문에서 다룬 수도자로 바꾸어 이해할 수도 있다. 의 감정에 근거하여 기도자의 자아상태를 3단계로 설정한다. 그는 그중 가장 높은 기도단계에 도달한 자아의 상태를 콘템플라치오(Contemplatio) 콘템플라치오(Contemplatio)는 에바그리오스의 작품에서 데오리아(theoria)로 명명(命名)된다. 에바그리오스는 자신의 작품에서 기도하는 수도자가 그러한 상태에 도달하는 것을 문맥적으로 강조하기 위해 데오리아(theoria)를 데오리케(theorike)라는 표현과 동의어로 사용하기도 한다. 로 설정한다. 그의 신학체계에서 콘템플라치오는 작품의 문맥에 따라 콘템플라치오기도, 콘템플라치오상태, 콘템플라치오학, 신화상태, 하나님과 하나 됨 등의 서로 다른 동의어로 표현된다. 각각의 동의어는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상세히 분석될 필요가 있다. 에바그리오스는 콘템플라치오에 도달하기 위한 전제적 기도자의 자아상태를 평안(apatheia) 에바그리오스 및 다른 교부들의 작품에서 헤시키아(Hesychia)로 명명되기도 한다. 으로 명명(命名)하며, 평안을 다시 2단계로 나누어 설정한다. 그중 에바그리오스는 기도자의 자아가 높은 평안의 단계에 도달하는 것을 팔사념을 온전히 극복한 것으로 다룬다. 에바그리오스에게 팔사념(탐식, 음욕, 탐욕, 슬픔, 분노, 아케디아[acedia], 헛된 영광, 교만)은 기도자를 콘템플라치오기도에 이르지 못하게 방해하는 장애물로서, 그의 신학체계에서 자아분석적으로 다루어진다. 에바그리오스는 기도자에게 팔사념이 생기는 근본적인 동인(動因)을 마귀로 설정한다. 마귀는 기도자의 객체화된 자아를 자극하여, 팔사념에 빠지게 한다. 이때, 에바그리오스는 기도자의 주체화된 자아가 객체화된 자아를 분별하여, 자신의 주체적 자아가 팔사념에 흔들리지 않도록 『안티레티코스』를 서술했다. 에바그리오스에 따르면,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성령에 의한 하나님과 하나 됨을 이루기 위해 그리스도인에게 신앙생활의 모범을 보이셨으며, 이를 그리스도인이 모방하여 예수 그리스도와 동일하게 전적인 성령의 역사하심으로 하나님의 은혜를 덧입을 수 있다. 갑바도기아 교부, 에바그리오스 등 당대의 초대교부들의 표현에 따르면, 신화(神化)되는 것으로 바꾸어 말할 수 있다. 에바그리오스는 충실한 성경주해를 전제로 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모범적인 신앙생활을 『안티레티코스』로 정리했다. 에바그리오스가 『안티레티코스』에서 현세에 하나님의 임재를 이루려는 기도자들의 자아를 콘템플라치오에 도달할 수 있도록 감정조절방법을 제시한 것은 중요하다. 이는 현대 그리스도인이 가장 필요로 하는 감정조절방법을 성경주해를 바탕으로 조직신학체계에서 상세히 다루었기 때문이다. 나아가, 에바그리오스의 신학은 현대 심리학과 간학문적 연구를 통해 현대 그리스도인의 내적·감정적 풍요로움과 신앙인으로서의 올바른 대인관계를 이끌어 낼 수 있으며, 교회 밖의 사람에게도 이를 바탕으로 복음과 선한 영향력을 전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현대 한국교회는 에바그리오스의 신학과 『안티레티코스』를 분석하여, 개혁신학에서 다루는 하나님과의 신비로운 연합에 이르는 방안을 기도라는 새로운 주제로 접근할 수 있다. 개혁신학을 전제로 한 에바그리오스의 신학체계와 그의 작품에 대한 비판적인 연구는 개인의 실제적이면서도 총체적 삶의 변화를 이끌어 내게 하며, 동시에 거대하고 새로운 신학연구분야의 활로를 열게 할 수 있다.

      • 헤르만 바빙크의 삼위일체론 연구

        윤성호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의 목적은 헤르만 바빙크(Herman Bavinck, 1854-1921)의 네 권으로 된 개혁교의학 저서 중 『개혁교의학(Gereformeerde Dogmatiek)』 제 2권에서 ‘거룩한 삼위일체’(De Heilige Drieeenheid)라는 제목 아래 다루어진 삼위일체론을 주밀하게 분석하고 평가해 보는 데 있다. 본 논문의 제목을 ‘헤르만 바빙크의 삼위일체론 연구’라고 명명한 이유가 있다. 그것은 본 논문에서 바빙크가 다루었던 삼위일체론에 대한 내용들 중에 바빙크의 독자적 해석의 내용들만을 중심으로 다룰 것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삼위일체 내용들 중 지난 기독교 역사 속에 나타나진 다양한 흐름들을 고찰하는 데 있지 않다. 다만 개혁신학의 선두 거장이었던 바빙크의 주장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한 관점에서만 다루어지게 될 것이다. 개혁신학의 특징 및 원리는 정통적인 삼위일체론에 기초를 둔다. 삼위일체 교리는 개혁주의에 있어서 핵심교리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바빙크는 “삼위일체 교리는 신약과 구약을 통해 가장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주장한다. 그것은 삼위일체 교리가 기독교 전체 신앙의 핵심이고 동시에 모든 교리의 원리로 작용이 되기 때문이다. 바빙크의 삼위일체론에 대한 기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빙크는 오늘날과 같은 삼위일체신학의 르네상스기가 도래하기 훨씬 이전부터 삼위일체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삼위일체론을 여러 교리들 가운데 한 항목으로서가 아니라 그리스도교 전체의 사활이 걸려 있는 교리로 여겼다는 점이다. 셋째, 하나님의 삼위일체성에 대한 고백을 기독교 신앙의 핵심으로, 새 언약의 실체로, 기독종교의 심장이며 본질로 여겼다는 점이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 및 범위는 삼위일체론의 성경적인 근거로 구약성경에 나타나는 삼위일체론의 흔적들을 먼저 다룰 것이다. 그리고 신약성경에 나타나는 삼위일체의 증거들을 다룰 것이다. 그러한 후에 삼위일체론에 대한 용어들을 정리하고, 삼위일체론 전체의 개념 문제들을 다룰 것이다. 바빙크는 성경의 교리 가운데 “삼위일체론을 가장 핵심”이라고 여긴다. 또한 삼위일체론을 “기독신앙의 핵심”으로 여긴다.” 특별히 바빙크는 삼위일체론의 중요성을 세 가지로 주장한다. 첫째는, “삼위일체론은 하나님을 참으로 살아계신 분으로 계시한다.”고 말한다. 둘째는, “삼위일체론은 창조론을 주장하기에 충분한 근거가 된다.”고 말한다. 셋째는, “삼위일체론 교리는 기독교에서 최고의 비중을 차지한다.”고 말한다. 본 연구자는 위와 같은 본 논문이 바빙크의 삼위일체론에 대한 주장들을 근거로 향후 삼위일체론의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하는 일에 사용되어지기를 기대하고 싶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