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위르겐 몰트만의 '메시아적 교회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 『성령의 능력 안에 있는 교회』를 중심으로 = A Critical Study on the ‘Messianic Ecclesiology’ of J?rgen Moltmann: Focusing on 『Kirche in der Kraft des Gei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8300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위기’에 처한 한국교회의 바람직한 방향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은 ‘위기’에 처한 한국교회의 바람직한 방향제시를 위해, 먼저 교회의 근거와 내적본질에 대해 ...

      본 논문은 ‘위기’에 처한 한국교회의 바람직한 방향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은 ‘위기’에 처한 한국교회의 바람직한 방향제시를 위해, 먼저 교회의 근거와 내적본질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근거와 내적본질로 말미암은 교회의 미래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한다. 그러한 후 이러한 자신의 근거와 미래로 말미암은 현재의 임무와 사명이 무엇인지를 도출하여, 현재의 한국교회를 교회 본연의 자태로 갱신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 하에 본 논문은 몰트만의 교회론 저서인, 『성령의 능력 안에 있는 교회: 메시아적 교회론』을 중심으로 면밀하게 정리·분석한 한 후, 그의 메시아적 교회론을 크게 2가지 차원으로 비판적으로 논구하고자 한다.: 1) ‘메시아적 교회의 그리스도론적 차원,’ 2) ‘메시아적 교회의 성령론적 차원’.
      몰트만은 그의 저서의 제목에서 알 수 있다시피, 성령 하나님의 종말론적인 은사와 그리스도의 메시아적 사역을 중요하게 다룬다. 이 두 가지 차원으로 말미암아 교회는 오고 있는 하나님 나라를, 자신이 살아가고 존재하는 시대와 세상 속에서 증시하는 사명을 감당하는 ‘메시아적 공동체’로 정의된다. 즉 교회는 성령 하나님의 종말론적인 능력 안에서 자신의 근거요 출발인 예수 그리스도에 정초되고, 나아가 오고 있는 하나님 나라에로 정향되어 살아간다는 것이다. 이렇게 자신을 이해한 교회공동체는 ‘모이는 교회’요 ‘부름 받은 교회’로서 살아갈 뿐만 아니라, ‘흩어지는 교회’요 ‘보냄 받은 교회’로서 세상과 일상 속에서 복음을 포괄적으로 ‘증거’하고, 자신의 하나님 나라의 백성과 자녀로서의 정체성을 삶으로 ‘증명’하며, 오고 있는 하나님 나라를 세상 속에 ‘구현’해 내는 ‘메시아적 공동체’가 된다. 논자는 이러한 ‘메시아적 공동체’의 임무와 사명으로 말미암아 복음을 ‘증거’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증명’하며, 하나님 나라를 ‘구현’해 내는 것을 포괄적으로 ‘하나님 나라의 증시’라고 표현한다.
      이러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먼저 Ⅱ장에서 몰트만의 생애와 그의 신학에 있어서 교회론의 위치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몰트만의 신학은 ‘하나님 나라’에 대한 열정으로부터 시작되며, 그의 ‘교회에 관한 신학’은 필연적으로 ‘하나님의 나라’,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삼위일체 하나님의 나라’의 지평 위에서 개진된다고 할 수 있다.
      Ⅲ장에서는 몰트만의 ‘메시아적 교회론’에 대한 첫 번째 차원으로서의 ‘메시아적 교회의 그리스도론적 차원’에 대해 살펴본다. 여기서는 예수 그리스도에 정초된 메시아적 교회가 어떻게 하나님 나라를 증시해 나갈 수 있는지에 관한 몰트만의 논의를 살펴본다. 몰트만은 교회와 그리스도와의 관계를 설정하며, 그로 말미암아 교회는 메시아의 삼중직(선지자, 제사장, 왕) 임무를 위탁받은 ‘메시아적 공동체’임을 피력한다. 이처럼 교회는 그리스도의 삼중직으로 말미암은 ‘십자가 정신’을 견지하며, 그리고 ‘부활의 희망’에 잇대어 세상 속에서 살아가는 메시아적 공동체일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의 사역으로 말미암은 새로운 관계 설정에 선 공동체, 즉 그리스도의 우정으로 말미암은 ‘친구의 관계’로 존재하는 ‘우정 혹은 형제애의 공동체’임을 피력한다.
      Ⅳ장에서는 몰트만의 ‘메시아적 교회론’에 대한 두 번째 차원으로서 ‘메시아적 교회의 성령론적 차원’에 대해 살펴본다. 여기서는 성령에 의해 도래하는 하나님 나라에로 정향 된 메시아적 공동체가 어떻게 하나님 나라를 증시해 나가는 사명과 임무를 감당할 것인지에 대한 몰트만의 논의를 살펴본다. 여기서 교회는 자신을 ‘종말론적인 영광스러운 하나님 나라’를 선취하고, 종말론적 하나님 나라의 질서를 역사 속에 구현하는 ‘과정 공동체’로 자신을 이해하게 된다. 또한 성령의 종말론적인 은사로 말미암아 교회의 모든 요소들, 즉 말씀선포, 성찬과 세례 그리고 주일성수와 예배의 본래적 기능과 의미가 하나님 나라를 지시하고 구현해 내는 것임을 피력한다. 이렇게 교회가 성령의 능력 안에서 자신의 모든 요소들을 통해, 하나님 나라를 증시해 나가는 공동체로 존재할 때, 교회는 자신을 ‘카리스마적 공동체’로 이해하게 된다.
      Ⅴ장에서는 이제까지 살펴본 몰트만의 ‘메시아적 교회론’ 구상의 신학적 맥락을 분석한 후, 몰트만의 ‘메시아적 교회론’의 함의를 한국교회와 관련하여 비판적으로 논구한다. 몰트만의 ‘메시아적 교회론’은 다음과 같이 구상되어 있음을 밝힌다. 몰트만의 ‘교회에 관한 신학’은 1) ‘실천에 관한 신학 이론’으로서 철저히 ‘성경적 토대 위’에 구상되었다. 2) 이러한 ‘성경적 토대 위’에 구상 된 ‘교회론’은 자연스럽게 모든 신학을 아우르는 ‘삼위일체론적 교회론’을 이루었다. 3) 이러한 ‘삼위일체론적’ 토대 위에 구상 된 ‘교회론’은 자연스럽게 ‘하나님 나라’의 지평으로 귀결되었다. 4) 이러한 ‘하나님 나라’의 지평은 결국 ‘하나님 나라의 약속과 성취’라는 도식 속에서 교회로 하여금 ‘오고 있는 하나님 나라’를 세상 속에서 드러내고 지시하며 구현하는 메시아적(종말론적)인 공동체로 자신을 이해하게 만든다. 이처럼 논자는 이미 다룬 두 가지의 차원으로 개진된 몰트만의 교회론이 상기와 같은 네 가지 요소로 구상되어 있다고 밝히고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논자는 이러한 몰트만의 ‘교회론’의 함의를 통해 한국교회의 현대적 과제를 크게 세 가지의 차원에서 구체적으로 살핀다. 1) 예수 그리스도의 전(全)역사를 교회된 자신의 전(全)생애 속에서 실천하는 ‘메시아적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2) 성경적인 종말론을 정립하여 오고 있는 하나님 나라를 소망하고 구현하는 ‘종말론적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3) 삼위일체하나님의 백성으로서 하나님의 삼위일체성을 숙고하고, 그 속에 함축되어 있는 원리들을 반영하는 ‘삼위일체적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A. 연구 동기와 목적 1
      • B.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5
      • C. 연구 방법과 범위 8
      • Ⅱ. 몰트만의 생애와 그의 신학에 있어서 교회론의 위치 9
      • I. 서론 1
      • A. 연구 동기와 목적 1
      • B.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5
      • C. 연구 방법과 범위 8
      • Ⅱ. 몰트만의 생애와 그의 신학에 있어서 교회론의 위치 9
      • A. 몰트만의 생애 속 신학의 형성 10
      • B. 몰트만의 신학에 있어서 교회론의 위치 14
      • Ⅲ. 메시아적 교회의 그리스도론적 차원 16
      • A. 예수 그리스도와 교회의 관계 설정 17
      • B. 메시아적 교회의 선지자적 사명 19
      • C. 메시아적 교회의 제사장적 사명 25
      • D. 메시아적 교회의 왕적 사명 29
      • E. 메시아적 교회의 위로와 소망, 또 다른 관계 설정 35
      • F. 메시아적 교회의 자리: 예수 그리스도가 현존하는 곳 43
      • G. 요약 및 비평 48
      • 1. 요약 48
      • 2. 기여 52
      • 3. 비판 56
      • Ⅳ. 메시아적 교회의 성령론적 차원 61
      • A. 성령의 능력 안에서의 메시아적 ‘복음 선포’ 62
      • B. 성령의 능력 안에서의 ‘자발적 세례’ 70
      • C. 성령의 능력 안에서의 ‘주의 만찬’ 78
      • D. 성령의 능력 안에서의 ‘메시아적 축제’, 예배 87
      • E. 성령의 ‘종말론적 은사’와 ‘새 창조의 과정’ 안에 있는 공동체 94
      • F. 성령의 능력 안에서의 ‘카리스마적 임무’, 직분 99
      • G. 요약 및 비평 108
      • 1. 요약 108
      • 2. 기여 115
      • 3. 비판 125
      • Ⅴ. 결론: 전체적 조망 및 현대적 적용과 제언 133
      • A. 전체적 조망: 몰트만의 교회론 구상의 해석 133
      • B. 한국교회로의 현대적 적용 136
      • C. 제언 150
      • 참고문헌 155
      • 초 록(Abstracts) 1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