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 중학생의 자기 통제력과 시간관리

        김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 통제력과 시간 관리의 실태를 알아보고 더욱 효과적인 시간 관리를 통해 청소년기의 발달과업을 만족스럽고 행복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중학생의 자기 통제력과 시간 관리는 어떠한가? 2. 중학생의 자기 통제력과 시간 관리는 가정환경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중학생의 자기 통제력과 시간 관리는 학교관련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4. 중학생의 자기 통제력과 시간 관리는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본 연구는 강원도 춘천시와 화천군 지역에 소재한 중학교 3개교의 1, 2, 3학년 남 녀 학생 4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대상자의 가정환경 변인, 학교관련 변인, 자기 통제력, 시간 관리 검사를 알아보기 위한 세 영역의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자기 통제력, 시간 관리는 어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 하였고, 가정환경 변인과 학교관련 변인에 따른 자기 통제력과 시간 관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분석으로는 Duncon test를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환경 변인 중 자기 통제력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변인은 월 가계 총 수입이었고, 시간 관리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변인은 아버지의 연령, 아버지의 학력, 어머니의 학력, 어머니의 직업 유무, 월 가계 총수입이었다. 둘째, 학교관련 변인 중 자기 통제력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변인은 학업성적 이었고 시간 관리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변인은 성별, 학년 그리고 학업성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자기 통제력과 시간 관리 간에는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중학생들의 자기 통제력과 시간 관리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정과 학교에서의 방법에 대해 논의 하였고 이후 연구자들의 연구의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lays its purpose on examining the actual statu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elf-control and time manage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helping them to perform tasks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al stages with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rough effective time management. In order to do thi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1. How are self-control and time manage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2. How different are self-control and time management according to variables of family environment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3. How different are self-control and time management according to variables regarding school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4. How related are self-control and time management among middle school children? This study was for 490 male and femal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rs in 3 middle schools located in Chuncheon-si, Gangwon-do (2 schools) and Hwacheon-gun, Gangwon-do (1 school). The measurement instrument is threefold at large - the first part of questions regarding variables of family environments and schools, the second part testing self-control, and the third part testing time management. As methodology, the researcher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and calculated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for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self-control, and time management, performed t-test and variance analysis for differences in self-control and time management according to variables of family environments and schools, and also conducted Duncon's test for post-analysis.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derived. First, of family environment variables, a variable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self-control was monthly household income, while variable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time management were fathers' age, fathers' educational attainments, mothers' educational attainments,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Second, of school variables, a variable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self-control was school performance, while variable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time management were gender, grade, and school performance. Third, there was th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ontrol and time manage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Putting the result together, the researcher discussed strategies with which one can enhance self-control and time manage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both family and school and made suggestions for researchers in the future regarding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 人工輕量骨材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水化 特性 硏究

        김현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근래 들어 구조설계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건축물의 초고층화, 교량의 장대화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며 그 밖에 운동시설 같은 대형 구조물 건설 재료에 부합하는 고강도, 경량화 콘크리트를 적용하기 위해 경량골재의 제조 및 적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경우 골재 내부의 공극과 물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강도특성, 수화 특성이 일반 콘크리트와 상이하게 됨으로 이에 대한 연구의 진행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수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표를 만족하고자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기초 물성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재령에 따른 시료의 기기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와 일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 모두 재령의 증가에 따라 CH의 함유율이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물-시멘트비가 30%인 경우 초기재령에서는 일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시편의 CH의 함유율이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비하여 높은 것 나타났다. 그러나 재령 28일 이후에는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CH 함유율이 오히려 높게 나타나 장기 재령에서는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가 일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비하여 높은 수화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량골재 내부의 사전흡수수가 콘크리트 내부로 수분을 공급하여 지속적인 수화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조선후기 산수유람 양상의 변화와 의미 -지리산 유람록을 중심으로

        김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조선의 사대부들은 명산을 찾아 유람을 즐겼다. 이들은 산수 유람을 통해 안목을 넓히고 浩然之氣를 기르고자 하였다. 이런 유람의 목적은 時流와 상황에 따라 遊樂의 성향이 강조되기도 하고, 修身이나 省察을 중시하는 경향을 띠기도 하였다. 그 목적이 어디에 있건 산수 유람은 사대부라는 특권층의 문화였다. 그러나 조선후기로 가면서 차츰 일반 대중이 즐기는 문화로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黨爭 등의 정치적 요소와 상업의 발달이라는 경제적 요소가 맞물린 것이 그 원인이었다. 士禍와 朋黨, 換局에 이은 세도정치로 인해 중앙 정계로의 진출이 차단된 지방의 士族들이 유람을 하면서 유람계층이 확대되었다. 또한 시장의 발달로 교통 요지마다 주막이 들어서자 숙식처가 늘어났으며 화폐의 유통으로 장거리 여행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었다. 이러한 복합적인 원인은 결국 유람인구의 증가로 歸着되었다. 그러나 향유 계층이 확대되고 유람인구가 증가 할수록 산수 유람의 본 취지는 퇴색되고 勝景 玩賞이나 遊樂의 성향이 강해졌다. 그리고 모든 백성이 즐기는 대중문화로 정착될 때는 관광과 오락의 목적만 남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하나의 문화가 유입되거나 생성되어 일부 계층이 향유하다가 대중문화로 정착될 때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멀게는 踏靑이나 登高 등의 풍속과 오늘 날의 성탄절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를 지나면서 유람은 觀光이라는 단어로, 현대에는 여행이라는 단어로 대체되어 어휘조차 실생활에서 멀어졌다. 하지만 산수 유람이 가진 학습적 성향의 여행은 답사와 체험학습 등의 형태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한국의 예방 가능 외상 사망률과 외상 처치 체계의 변화

        김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국내 병원 전 및 병원 내 예방 가능 외상 사망률을 조사하고 우리나라 외상환자 처치과정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외상환자의 이송체계 및 처치과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총 20개 의료기관을 연구대상 기관으로 선정하였고 대상 환자는 2006년 8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 중 사망한 외상환자이었다. 분석표를 이용하여 전문가가 해당 병원에서 예방 가능성을 판단하여 병원별 예방 가능 외상 사망률을 산출하고 외상 환자의 치료 과정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미리 준비된 문제점 코드로 구분하였으며 각 문제점의 사망 관련성을 판단하여 예방 가능성 판단의 근거로 사용하였다. 생존 가능성 판단기준으로 손상의 중증도, 내원 시 환자 상태, 치료의 적절성 여부의 세가지를 기준으로 판단하였고, 외상 사망의 예방가능성을 non-preventable (NP), potentially preventable (PP), preventable (P)의 세 가지 중 하나로 판정하였다. 연구결과 : 연구기간동안 160,663명의 외상환자가 내원하였고 사망환자는 551명(3.4%) 이었다. 병원 전 단계에서의 예방 가능 외상 사망률은 8.3%, 병원단계에서는 24.3% 그리고 전체 예방 가능 외상 사망률은 32.6%이었다. 대상 환자의 나이는 52세, 남자가 377명(68.4%)이었고 사고기전은 교통사고가 363명(66.2%), 추락이 74명(13.5%), 기타가 64명(11.7%), 미상이 36명(6.6%), 관통상이 11명(2.0%) 순이었다. 사망 원인은 두부손상이 224예(44.1%), 출혈이 109예(21.5%), 다발성 손상이 109예(21.5%), 다발성 장기손상이 25명(4.9%)순이었다. 문제점 발생 장소는 응급실이 60.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병원 전 직접 이송 단계로 24.1%였다. 문제점 중 사망 관련 비율은 응급실이 50.8%로 가장 높았고 문제점 종류별로는 치료에서의 문제가 67.9%로 가장 많았으며, 사망 관련 문제점 또한 68.9%로 가장 높았다. 결론 : 응급의료 선진국에 비해 병원 전 단계에서 구조와 치료가 문제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병원 내 단계에서도 응급실에서 사망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구조적인 문제점의 해결이 필수 과제이다. 즉 병원 전 외상 처치 및 이송 체계의 구축(외상센터의 지정)이 필요하며 병원 내에서는 외상팀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Study Objectives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and change of the preventable and potentially preventable death rates and establish factors that affect preventability of trauma death in Korea. Methods : All trauma death patients that died at the ED or after admission at twenty hospitals between Aug. 2006 and July 2007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by 25 trauma related faculties. The deaths were initially reviewed by multidisciplinary specialist and were classified into non-preventalble, potentially preventable, and preventable deaths. All preventable and potentially preventable deaths were identifi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Protocol included data on epidemiology, vital signs, injury severity, probability of survival, preventability, errors in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the patient, and classification of errors (system, judgment, knowledge). The total of 551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previous study in Korea reflecting the factors that affect preventability of trauma death. Results : During the study period, 160,663 trauma patients were admitted and a total of 551 (3.4%) deaths occurred. The incidence of preventable deaths for all cases was 32.6% and for cases treated in hospitals was 24.3%. One hundred forty-one deaths (28.7%) were classified as potentially preventable or preventable deaths (19, 3.9%) in overall cases. One hundred seven deaths (21.5%) were classified as potentially preventable or preventable deaths (14, 2.8%) in hospital. Mean age was 52 years, 68.6% were men and average time from accident to death 36.3 hours.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was head injury (224, 44.1%) followed by hemorrhage (109, 21.5%) and multiple organ dysfunction syndrome (109, 21.5%). Managements errors occurred in emergency departments (60.4%), pre-hospital delivery (24.1%), and inter-hospital delivery (8.4%). Most of these errors were related with management problems (70.4%) and emergecy medical system structures (23.8%). Conclusion : Preventable death rates in Korea are higher than other developed countries because not well established emergency medical systems for trauma victim in prehospital and hospital. And we propose trauma center based emergency medical system and well developed trauma team for improve the quality of care in emergency departments.

      • 대규모 무선 이동망 지원을 위한 Micro-mobility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

        김현아 (金泫兒)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47

        하나의 네트워크 또는 도메인 내에서의 잦은 핸드오프가 발생하게 되면 현재 IP 네트워크에서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Mobile IP는 홈 에이전트로의 등록 과정이 자주 일어나기 때문에 상당한 오버헤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오버헤드를 줄이고 좀더 매끄러운 핸드오프를 지원하기 위해 Micro-mobility 프로토콜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확장성과 패킷 교환에 있어서 비효율성에 대한 문제점이 아직 남아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연구되어진 프로토콜들에 좀더 많은 확장성을 제공하고 도메인 내에서의 좀 더 효율적인 패킷 교환을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Micro-mobility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두 레벨로 구성되어 있는 도메인 환경에서 확장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네트워크 지정 라우팅과 호스트 지정 라우팅의 두 방법을 모두 이용한다. 또한 이 프로토콜은 도메인 내에서의 패킷 교환을 더욱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하며 도메인 간의 핸드오프 시 Mobile IP와의 연관관계를 명확하게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프로토콜을 적용시키기 위한 네트워크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프로토콜의 디자인을 제안하며 끝으로 제안된 프로토콜을 NS-2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하고 성능 평가를 한다. When a mobile node becomes highly mobile, the signalling overhead due to the registration becomes excessive in Mobile IP. To reduce this signalling overhead and provide smooth handoffs, many micromobility protocols have been proposed. But they still suffer from problems such as salability and inefficiency in packet exchanges. In this paper, we proposes a micro-mobility protocol to make existing protocols, extend and to make sure a more effective packet exchange. The protocol that we discuss in this paper use host-specific routing and network-specific routing to increase scalibility in domain which consists of 2-level. Also this protocol supports effective packet exchange in a domain and represents the relation of Mobile IP in case of handoff among domains. We present a design of supposed protocol and a network model to apply it. Finally We simulates this environments and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the protocol by NS2.

      • 부분패키지 이용객의 여행상품 선택속성 중요도 인식차이 분석 :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중심으로

        김현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유여행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호텔, 교통패스, 현지투어와 입장권 등의 단품여행상품 혹은 항공과 호텔, 호텔과 교통패스의 결합 등 단품결합 여행상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여행업에서 부분패키지 여행상품의 수요증가는 각각의 상품수익은 적지만, 다양한 상품종류에 접근성을 강화시켜 수익을 다각화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분패키지 이용객들이 상품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을 파악하고, 여행 동반인원과 지출경비, 인구통계적 변수를 중심으로 부분패키지 선택요인의 중요도 인식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부분패키지 상품개발과 마케팅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부분패키지 선택속성은 아직 국내에서 통용되는 부분패키지 여행상품에 대한 이론적 토대가 미비하여 여행상품유형 및 개별여행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과 여행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14개 요인으로 추출하였고 여행서비스, 여행상품, 가격, 여행지 4개 속성으로 요인분석하였다. 연구가설은 여행행태 특성과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부분패키지 선택속성의 중요도 인식차이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분패키지 이용객의 여행행태의 특성 분석결과, 주요 구매상품유형은 에어텔과 현지투어로 나타났고, 주요 상품구매 경로는 여행사, 항공·호텔 예약업체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여행정보원은 SNS, 구매제약요인으로는 다양한 상품부족, 현지 교통·관광정보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에어텔을 주요상품으로 한 다양한 단품결합형 상품제공과 더불어 이용자가 현지관광시에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최신관광정보를 필수적으로 제공해야만 여행전문업체를 통한 구매가 원활해질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둘째, 여행 동반자수와 여행경비에 따른 부분패키지 선택속성 중요도 차이검증 결과, 여행경비가 높아질수록 여행사 서비스의 중요도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고가여행상품 이용자일수록 여행사 서비스에 대한 기대가 높은 것으로 해석되므로, 특히 고가상품인 경우 고객의 상품선호도에 따른 맞춤형 상품제공과 개별서비스에 주력한 상품개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셋째,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행상품 선택속성 중요도 인식 차이분석 결과를 통해 여성 이용자가 남성에 비해 호텔의 위치, 항공일정, 교통패스 이용 등 여행상품의 편리성을 중요시하고, 40대인 경우 상품의 다양성을 갖춘 인지도 있는 전문여행사를 선호하며, 여행경험이 많을수록 여행지에 대한 매력과 차별성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부분패키지 상품개발시에 연령, 성별에 맞는 상품개발과 여행경험이 많은 고객 대상의 여행지의 차별성과 신규여행지에 대한 홍보가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부분패키지가 국내 여행사의 안정된 수익 모델로서 자리잡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상품과 개별서비스 전략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향후 부분패키지 상품의 유형별 상품선택요인의 차이 연구 등 이용자의 특성별 상품선택요인에 대한 세분화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상품의 전문성과 완성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Since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partial travel package products have not yet been actively investiga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re important when it comes to selecting partial travel package products. Therefore,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to the travelers who have experience of using partial travel package products. Based on the survey,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were used to analyz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ravel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partial travel package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ata coding, and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For thi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s post-hoc test were adopted.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among travel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based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difference of consumer's attributes according to their travel companion and expenditure expense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behavior of partial travel package product users. As a result, the factors of the partial travel package products were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such as travel agencies, travel products, prices, and travel destinations.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omen were more likel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ravel products According to age, between 40-49 have strong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ravel agency services. According to frequency of overseas trips, over 5 times of travelers showed more preference toward destinations than the other number of travel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oman consumers in their 40-49, individualized and customized high-priced products should be focused to meet their preferences.

      • 생체용 Ti-Nb-Zr-O 합금의 형상기억특성에 미치는 Pre-strain의 영향

        김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생체용 Ti-Nb-Zr-O 합금의 형상기억특성에 미치는 Pre-strain의 효과 Effect of Various Pre-strain on Shape Memory Characteristics in Ti-Nb-Zr-O Biomedical Alloys 금속공학과 김 현 지 도 교 수 김 재 일 최근 보고된 Ti-Nb-Zr 합금은 우수한 형상기억 특성을 보이지만 낮은 인장강도 및 슬립 임계 응력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α 안정화 원소이면서 침입형 원소인 O가 첨가된 Ti-(16~20)Nb-6Zr-(0~1.5)at.%O 합금의 연구가 보고 되어졌다. 기존의 연구에 의하면 산소의 고용경화 효과로 인해 Ti-Nb-Zr합금보다 높은 슬립임계응력과 양호한 형상기억특성을 보였다. 하지만 Ti-Nb-Zr-O 합금의 상온에서 사이클 시험결과 불안정한 초탄성 특성을 보인 후 사이클 수가 증가함에따라 완전한 초탄성 특성을 보였다. 최근 용체화 처리재의 pre-strain이 미치는 영향에서 우수한 사이클 특성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Ti-Nb-Zr-O 합금의 열처리 조건에 따른 pre-strain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Ti-Nb-Zr-O Ingot은 아크 용해로에서 용해하여 제작하였다. 용해 시 합금원소의 편석을 방지하기 위하여 8회 뒤집어 가면서 용해하였다. 얻어진 Ingot는 실온에서 냉간 압연하여 최종 냉간 가공율 95% 의 0.4 mm의 판재를 얻었다. 인장시험용 시료는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를 이용하여 1 × 40mm의 크기로 채취하였다. 기계적 특성 및 형상기억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파단시험, 응력증가시험 및 다양한 온도에서 인장시험을 수행하였다. 용체화 처리된 Ti-Nb-Zr-O합금의 3% 사이클 실험 결과, 사이클 횟수가 증가할수록 σSIM은 감소하였고 아홉번째 사이클부터 형상이 완벽하게 회복되었다. 4% pre-strain재의 3% 사이클 실험의 경우, σSIM는 사이클 수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하게 감소하고, 네번째 사이클부터 완벽한 형상회복을 하였다. 5% pre-strain재의 3%, 4% 사이클 실험결과, σSIM는 4%pre-strain재 의 사이클 실험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다섯 번째 사이클 이후 안정적인 초탄성 특성을 나타내었다. Pre-strain에 따른 슬립임계응력과 최대 회복 변형률은 ST재와 비교했을 때,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요어 : shape memory alloy, 형상기억합금, Martensite, Ti-Nb-Zr-O, Pre-strain, 생체재료, 생체적합성, 저탄성계수 합금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