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본의 국가 이미지와 한국의 대일 군사안보정책 : 국가 이미지와 위협인식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이혜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국가 이미지가 대외정책에 반영되고 있다는 데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의 일본에 대한 국가 이미지가 실제로 대일 군사안보정책에 반영되고 있음을 연구한 논문이다.한일관계는 국가이익과 지역안보의 안정을 위해 협력하는 기조를 유지해 왔으며 특히 경제적 상호교류는 매우 두드러진 발전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한일관계의 양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안보분야에 있어서의 협력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식민지 범죄 처리에 대한 일본의 무성의한 태도와 정당화 발언들은 한국에게 모욕감과 불신을 심어주었으며 신뢰를 붕괴시켰는데, 1990년대 일본군 위안부 문제, 역사 교과서 왜곡 사건, 식민지 범죄에 대한 배상문제 등은 과거 일본에 대하여 한국이 갖고 있는 부정적 기억을 현재에 재구성한 계기가 되었다. 아울러 일본에 대해 신뢰를 상실한 한국에게 일본의 '보통국가론'은 그 진위여부를 떠나 대단히 위협적으로 보였으며, 일본이 독도 영유권 문제에 대해 보여주고 있는 행동이 과거 침탈을 정당화함과 동시에 한국의 안보에 실질적 위협을 가하는 행위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한국은 자국의 안보를 수호하기 위해 일본의 군사적 위협에 대비한 군사안보정책을 수립하게 되었다. 한국의 대일 군사력은 해, 공군력 위주로 증강되었으며 F-15K에 독도수호임무를 부여하고, 한반도 동남부 지역의 해, 공군 전력을 강화하였으며, 신형 잠수함과 이지스함, 정찰위성 보유에 전격 착수하는 등 다방면으로 군사력 증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는 한국이 통일 이후를 대비한 군사안보정책 수립과정에서 주변국, 특히 가상적국으로 가정하고 있는 일본을 다분히 의식한 선택이었다.

      • 청소년의 성역할정체감 유형과 성의식 및 성가치관과의 관계

        이혜정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청소년의 성역할정체감 유형과 성의식 및 성가치관과의 관계 이혜정 교육학과 교육심리 및 상담 전공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본연구는 청소년의 성역할정체감 유형을 알아보고 이에따른 성의식 및 성가치관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성문화 형성을 위한 지도와 올바른 성의식 및 성가치관이 정립될 수 있도록 효율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위의 연구문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청소년의 성역할정체감 유형은 어떠한가? 2. 성역할정체감 유형에 따른 성의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3. 성역할정체감 유형에 따라 성가치관의 차이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남시에 있는 H실업계고등학교 1학년 남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성역할정체감 검사지」와「성의식․성가치관 검사지를 조사도구로 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변인별로 교차분석을 통하여SPSSWIN 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성역할정체감의 차이를 보면 전체적으로 미분화성유형이 34%로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양성성유형이 33.4%로 많이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학생은 미분화성유형이 40.8%, 양성성유형이 29.6%로 많았고, 여학생은 양성성유형이 37%, 여성성유형이 28.6%로 많이 나타나, 성별에 따른 성역할정체감 유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미분화성유형과 양성성유형이 67.4%로 높게 나타난 것은 여성의 활동영역이 넓어지고 사회적 적응 및 대인관계에서 여성성 또한 중요하다는 사실을 입증해 주는 것으로 강선미(1998)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성인식의 차이나 성역할정체감에 따른 성인식의 차이 및 성별X성역할정체감의 상호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성별․성역할정체감 유형에 따른 성의식을 성에 대한 인식과 성역할 태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가정적 성역할 태도와 사회적 성역할 태도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성역할 태도에서 더 보수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같은 결과는 조아미(2000)의 청소년의 성에대한 태도유형의 차이 결과와도 일부 일치한다. 셋째, 성별 및 성역할정체감 유형에 따른 성가치관의 차이에서는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성역할정체감 유형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성별에 따른 이성관의 차이를 보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이성을 이해할 수 있고 친구로서 서로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긍정적인 생각을 더 많이 갖고 있으며, 순결관에서도 남녀 모두 순결을 지켜야 한다는 가치관이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생명의식의 가치관인 낙태에 대한 견해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더 허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성역할정체감과 성의식 성가치관은 사회화되는것이고 여러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가정, 학교, 사회간의 긴밀한 관심과 협조를 통해 효율적이고 내실있는 대책을 마련하여 통합적이고 다양한 교육을 통해 청소년들이 개방적이고 평등한 성역할정체감과 건전한 성의식을 가질수 있도록 해야한다. 특히, 가치관교육은 시대적 환경과 맞물린 고도의 정신적인 작용이므로 가정과 사회를 포함하여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을 찾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 지적장애학생의 효과적인 전환을 위한 기술영역에 관한 교사의 인식수준=

        이혜정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recognition of teachers about teaching effective transition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providing systematic transition education. 144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eighty special school or classroom who work with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ANOVA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eacher roles in teaching main transition skills for successful transi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owever,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implementation level of teaching effective transition skills as relatively low. Specificall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eaching independent living skills most and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eaching community participation skills least. In additi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perceived the implementation level of teaching independent living skills most and perceived the implementation level of teaching skills for transition to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least. Through the differences between perceived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fifteen necessities were identified for how special education teacher can help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have successful transition through gaining effective transition skil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teaching effective transition skills among teacher groups divided by grade leve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ost-hoc test indicated that the high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eaching effective transition skills significantly higher than both the middle and postsecondary vocational classroom teachers.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teaching effective transition skills among teacher groups divided by years of teaching. The post-hoc test indicated that the perceived level of importance of teachers who had taught more than 10 yea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who had taught less than 5 years and between 5 and 10 yea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implementation level of teaching effective transition skills among teacher groups divided by grade leve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ost-hoc test indicated that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 implementation level of teaching effective transition skill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ostsecondary vocational classroom teachers.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level of teaching effective transition skills of high school teacher was higher than teachers of other grades. The gap betwee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practical implementation level could keep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having quality life and practical inclusion into the soc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foundation for improving the motiv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eaching effective transition skills and build systematic transition plan, which help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have effective transit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 창작발레의 대중적 활성화에 관한 연구

        이혜정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예술(Art)은 사회라는 토대와 분리된 채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없다. 모든 예술의 역사가 그러하듯이, 무용(발레)의 역사도 그 시대에 존재하는 사람들의 문화, 습관, 감정표현의 변화 속에 형성되어진 예술에 대한 개념에 비롯하여 발달하고, 현대인들은 복잡하고 다양한 변화속에 계속해서 새로운 것을 추구하려 한다. 발레 역시 고전발레(Classic Ballet) 레퍼토리 수용과 한국 창작발레(Creative Ballet)의 개발이라는 이원화된 방향으로 발전되어 오면서 이제는 순수예술(Pure Art)로서의 개념을 뛰어넘어 21세기 대표적인 공연예술로서 성장하고 있다. 이는 곧 특정계층에 의해 향유되는 순수예술로서의 예술보다 상위개념으로 모든 사람이 함께 공감하고 경험할 수 있는, 문화시대라는 시대적 특성에 부합하는 대중예술(Popular Art)로서 발전함을 뜻한다. 창작발레는 발레계의 세계 역사적 발전차원에서의 시각 뿐 아니라, 작품 소재의 폭을 넓히고 다양한 형태의 공연방식을 통하여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관객(대중)들의 욕구를 채워주며, 더 나아가 공연수입증대를 통한 단체재정과 안정성 · 작품의 완성도를 높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제는 전공인들에 의해 자족하는 공연에서 벗어나 수용층 확대라는 적극적인 방법으로 대중친화작업을 모색하고 작품내용의 질적 향상과 함께 대중적인 소재개발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모두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대중화 작업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창작발레의 대중적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창작발레의 개념 및 한국 창작발레의 시대적 흐름을 통하여 창작발레를 이해하는데서 시작하였다. 그리고 창작발레를 활성화 시키는 대상으로 ‘대중’ 이라는 주체요인을 두고 그 취지를 바탕으로 명확한 의미에서의 대중은 누구이며 그들이 지니는 대중문화의 성격과 특성을 살펴 그에 맞는 창작발레의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는 형태로 방향을 모색함과 동시에 더욱 이루어 져야 할 연구 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자는 발레가 어렵고 난해한 특정계층만이 향유하는 고급문화라는 편견을 없애고 모든 사람들이 함께 공감하고 즐길 수 있는 문화예술로서 발전할 수 있기를 바란다. Art cannot grow or develop, if it is separate from its ground or the society. As the history of any art dictates, the history of dance (ballet) has evolved with people's ever-changing culture, habits and emotional expressions. Our modern men attempt to pursue something new continuously in a complicated and diversified society. As for ballet, it has developed being divided into Classic Ballet and Creative one, and now, it transcends the concept of pure art to grow as a performance art representing the 21st century. In other words, ballet is developing into a popular art as a super-concept of pure art which people can sympathize with or experience. Creative Ballet meet audience's needs changing rapidly by expanding its sources and performance styles not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orld ballet history but also within its inherent paradigm, and furthermore, help increase the revenues for the ballet company and enhance stability and perfection of ballet works. Now is the time when we ballerinas should not simply feel satisfied for ourselves but explore the ways to expand the audience by approaching them in a familiar way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works and developing more popular sources. Then, our ballet will be rooted more deeply in our aud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ways to popularize the creative ballet.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tarted by reviewing concept of creative ballet and its history, and thereupon, focused on the 'audience' to activate the creative ballet. Based on the definition of the audience or the people, the researcher examined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r culture and therethrough, examined the ways to revitalize the create ballet in Korea together with the challeng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help people avoid their obsession that ballet i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thus, it can only be enjoyed by a certain class of our society, and thereby, promote and develop our creative ballet to be a cultural art which every people can sympathize with and enjoy.

      • 춘천 남서부지역의 식물상과 식생

        이혜정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춘천 남서부 지역에 위치한 5개 지역(화악산, 북배산, 삼악산, 금병산, 팔봉산)의 관속식물상과 식생을 2006년 3월부터 2007년 9월 까지 조사하여 분석하였으며, 이 결과를 기존에 발표된 이·이(1979)의 자료와 비교 검토하였다. 춘천 남서부 지역의 관속식물은 111과 448속 870종 27변종 17품종으로 총 914분류군이었으며, 이 중 170분류군은 금번 조사에서 새롭게 분포가 확인된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기존에 보고된 914분류군과 같은 분류군 수를 보였으나 세부적으로는 미확인 분류군이 170분류군, 추가된 분류군이 170분류군이었다. 양치식물계수(Pte-Q)는 1.26으로 기존의 0.98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조사된 914분류군 중 특산식물은 금강초롱꽃속을 포함한 33분류군이며, 희귀식물과 멸종위기 식물은 각각 26분류군과 4분류군이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152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47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기존의 결과인 33분류군보다 1.5배 증가된 분류군 수를 보였다. 이 중 단풍잎돼지풀, 가시박, 돼지풀, 대룡국화, 미국쑥부쟁이, 미국가막사리, 애기땅빈대 등은 특히 출현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생활형 조성은 H-R5-D1-e type으로 나타났으며, 식물의 유용도는 식용식물이 26.0%로 가장 높았고 약용식물이 23.3%, 목초용식물이 12.5%의 순으로 나타났고 용도가 알려지지 않은 것도 22.1%로 높게 나타나 기존의 조사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식생분석결과 춘천 남서부 지역의 식생은 5개의 군집, 즉 거제수나무-고로쇠나무 군집, 신갈나무 군집, 신갈나무-굴참나무 군집, 신갈나무-떡갈나무 군집, 그리고 소나무 군집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갈나무는 5개 군집에서 높은 빈도와 상대피도를 보여 본 조사지의 우점종은 신갈나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존의 식생조사결과와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지역별 우점식생은 화악산은 거제수나무-고로쇠나무 군집과 신갈나무 군집, 신갈나무-굴참나무 군집, 북배산은 소나무 군집과 신갈나무-떡갈나무 군집, 삼악산은 신갈나무-굴참나무 군집과 신갈나무-떡갈나무 군집, 그리고 금병산은 신갈나무-떡갈나무 군집으로 나타났다. The flora and vegetation of five regions representative Southwest Chuncheon area (Hwaaksan, Bukbaesan, Samaksan, Geumbyungsan, and Palbongsan) were investigated from March, 2006 to September, 2007. This results were also compared with previous study by Lee?Lee(1979). Vascular plants of investigated regions were composed of 111 families, 448 genera, 870 species, 27 varieties, and 17 forma, totaling 914 taxa. New distribution of 170 taxa were recorded in this study, but 170 taxa which recorded by Lee?Lee (1979) were not reconfirmed. Thirty-four species including endemic genus Hanabusaya among the 914 taxa were Korean endemic. Four endangered and 26 rare plants, and 152 species of specially designated plant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also investigated. The vegetation of investigated regions were well conserved based on the Pteridophyta index (Pte-Q), 1.26.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7 taxa, and its increased 1.5 times than results by Lee?Lee (1979). Among the 47 taxa, Ambrosia trifida, Sicyos angulatus, Ambrosia artemisiaefolia var. elatior, Erechtites hieracifolia, Aster pilosus, Bidens frondosa, and Euphorbia supina were dominant species in investigated regions. Life form spectra was H-R5-D1-e type, and the use of plants were composed edible 26.0%, medical 23.3%, pasture 12.5%, and unknown use 22.1%, respectively. These results were similar with Lee?Lee (1979). The vegetation of Southwest Chuncheon area was classified five communities that Betula costata-Acer mono, Quercus mongolica, Quercus mongolica-Quercus variabilis, Quercus mongolica-Quercus dentata, and Pinus densiflora. Quercus mongolica shows that the higher relative coverage and relative frequency in the five communities, therefore its considered as a dominant species of Southwest Chuncheon area. This result is congruent with the Lee?Lee (1979). The dominant communities of each investigated region were as follows: Betula costata-Acer mono,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mongolica-Quercus variabilis in Hwaaksan,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Quercus dentata in Bukbaesan, Quercus mongolica-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mongolica-Quercus dentata in Samaksan, and Quercus mongolica-Quercus dentata in Geumbyungsan.

      • 李仲燮의 群童畵를 中心으로한 兒童化 要素 硏究

        이혜정 수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s the artistic world of Lee Jung Seop’s (1916-1956) life and the juvenile characteristics in his paintings of children. Lee Jung Seop is known to most as the great national artist who painted the cattle, but most are unaware that he painted more children than cattle.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Deoksugung held a special exhibition of Lee Jung Seop’s works entitled, ‘The Myth of the Century Year’ in 2016 to commemorate the 60th anniversary of his death. This exhibition displayed many private collection paintings that have not been seen until now; the paintings of children were especially eye-catching.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characteristics peculiar to juvenile pictures are represented in a similar way in Lee Jung Seop’s pictures of children, and to consider the expressional relationship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juvenile pictures in his paintings. Lee Jung Seop found art subjects in his ordinary life. He went through the very hard times that many Koreans endured under Japanese colonialism and during the Korea War but never lost his national identity, as is evident in his paintings. He created many works with passion until his death in a hospital without family or friends. Based much on a lifetime of trauma, such as the pain of war, the death of a child, parting with his wife and sons, and the failure of his private exhibition, the subjects of his paintings were his emotions and feelings. His paintings of children started with the death of his first son. He often painted children with a heavenly peach, the symbolic food of eternal life in Taoism, and put this representation in his son’s coffin with the hope that his son would live a happy life in heaven. It was his greatest desire that his son live not a lonely life, but a healthy life playing with other children in heaven. It was after this tragic loss that many children started to appear in Lee Jung Seop’s works. The children in his paintings show the artist’s innocent heart and longing for his child through the symbolic meanings of lines and heavenly peaches. Lee Jung Seop expressed his innocent mind in his works though the depiction of children at play. Invariably, the children in his painting play with objects, or are fishing, playing, swimming and chasing each other. His paintings have something more unusual in common, however : objects (like children, fish, animals, birds, crabs, trees and flowers) are all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circle and the children are given baby faces even though they are about 10 years old. The circle composition creates a peaceful and comfortable atmosphere in the paintings and the baby faces, similar to those in traditional inlaid celadon, allude to childish innocence. The content of his painting reflects the influence of Korean folk materials and the common sentiment of the Korean people, while Lee’s intense brush lines, typical of murals in the Goguryeo Age, create a dynamic and rhythmic beauty. In this way, Lee Jung Seop made an effort to express himself vividly in his works, all the while maintaining his ethnic culture and tradition in a visual response to the domination of Japanese colonial culture and Western culture sweeping across his nation. Lee’s paintings are the works of a trailblazer in modern painting who separated himself from the popular Western art, so popular in Japan, in which modernity intersected with ethnicity. Lee Jung Seop expressed imagination and illusion through his children and built a distinctive inner world without restrictions, much like that of a child. In Lee Jung Seop paintings of children and children’s art, he is a modern artist expressing his feelings intuitively with an approach essentially like that of a child. The expressions of children are unconscious and arbitrary expressions, and he is interested in the act of expression itself – similar to the automatic technique of modern arts. While the art of children is an unconscious product of their development process, however, Lee Jung Seop’s works were created through a logical process of consciousness. We see creativity and honest character in the art of Lee Jung Seop through his expression of similarity, freedom, transparency and imagination. While Lee could have been internationally famous like Picasso and painted much more had he been discovered by an art collector or dealer in a different period, he was unfortunately born in the wrong century, in a poor nation. He thus lived a poor life and died lonely. While Lee’s works have been under-appreciated, the childish innocence and imagination revealed in his paintings of children are a valuable national asset to research and have proved Lee to be a highly-gifted artist worthy of Korean national pride.

      • 1999~2019년 미성년 자녀를 둔 부부의 유급노동시간-무급노동시간 변화와 유형화에 관한 연구

        이혜정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After the IMF, Korean society faced changes in the economic structure leading to de-industrialization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emographic changes such as low fertility and aging. As a result, Korean society quickly institutionalized the primary social security system and work-family balance policy to solve the complex social tasks of building a welfare state and responding to new social risks. This study was intend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changes in the life of couples with minor children from 1999 to 2019, when these system and policy changes were intensive, focusing on lifetime. This study examines how the paid and unpaid working hours of couples with underage children, where the demands of work and family overlap and concentrate, have changed over the past 20 years, and their influence factors are analyzed. In addition, analyzing the potential profile of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paid and unpaid working hours for married couples, it was categorized as a Breadwinners-care model and its influence factors were analyzed. From the raw data from 1999 to 2019 of the Korea Time Use Survey, male and female data of couples between the ages of 20 and under 60 with minor children under 18 were extracted and horizontally merged into couple pairs to compose the data. A total of 17,788 pairs were sampled: 5,315 pairs in 1999, 3,445 pairs in 2004, 2,736 pairs in 2009, 3,515 pairs in 2014, and 2,777 pairs in 2019. Lifetime was classified into personal maintenance time, paid work time, unpaid work time (housework work time + care work time), and leisure time. First, from 1999 to 2019, the trend of lifetime changes of men and women in couples with minor children was analyzed. Also, the trends of married couples’ total lifetime was examined. Second, tobit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f paid working hours, unpaid working hours, domestic work hours, and caring hours for men and women and couples. Third, a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by inputting paid and unpaid working hours of couples with minor children to categorize the Breadwinners-care model. Fourth,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factors affecting the couple's livelihood support-caring mode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aid and unpaid working hours of men and women are moving towards gender equality in a prolonged situation, but the situation is not showing apparent aspects of gender convergence and gender revolution. The pattern of change was significant for each survey year, suggesting that socio-cultural, institutional, and policy contexts also play a role. As factors affecting men's and women's paid and unpaid work hours, housework time, and care work time, the time availability constraints were dominant, while the relative resources hypothesis and the gender hypothesis were partially confirmed. In addition, the stratification hypothesis was partially confirm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survey year and age was confirmed, and the lagged adaptation hypothesis was also confirmed. In addition, the four sub-models were analyzed as the most suitable for the distribution of paid and unpaid working hours for couples with minor children. Type I is a 1.5 Breadwinners-female care burden model, Type II is a dual Breadwinners-female double burden model, Type III is a male Breadwinnersr-female care model, and Type IV is a dual Breadwinners-dual care model. In 2014, it was confirmed that the Breadwinners-female care model had fallen to less than the majorit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vious dominance was lost. However, Type IV(dual Breadwinners-dual care model) was still small and the total working hours of women were relatively longer than that of men, so it had limitations in not achieving typicality. In addition, Type II (dual Breadwinners-female double burden model) accounted for a significant portion, and Type I (1.5 Breadwinners-female care burden model) also showed that women's unpaid working hours were considerably more prolonged.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ominance of the male Breadwinners-female care model is weakening in our society, but the formation of a dual Breadwinners-gender care balance model is weak, and it is a tense state of tension that has not been converted into a phase of actual gender equality. As a result of perform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ith type III as a reference group, the significance of the relative resource hypothesis, time availability hypothesis, gender hypothesis, stratification hypothesis, and lagged adaptation hypothesis variables was confirmed. Based on these results, in the conclusion section, policy implications for practical gender equality in the world of life were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from 1999 to 2019, it showed changes in daily life and gender equality centered on the lifetime distribution for couples with minor children. Therefore, The factors affecting unpaid working hours could be identified in detail. Second, by categorizing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paid and unpaid working hours for couples with underage children in the Breadwinners-care model,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the gender regime was examined and the factors affecting each model were analyzed. This study raised the limitations of the discussion of the gender policy regime that did not reflect the world of life, and developed an empirical discussion through changes in gender relations and gender role performance in daily lif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multi-level analyzes will be developed abundantly to confirm the specific impact of policies and systems on the change in men's and women's lifetime in the future, so that policy discussions about expanding gender equality will be conducted more concretely and in various ways. IMF 이후 한국 사회는 탈산업화와 4차 산업혁명에 이르는 경제구조 변화와 저출산·고령화라는 인구·사회학적 변화에 직면했다. 한국 사회는 복지국가 구축과 새로운 사회적 위험 에 대응하기 위해 기본적 사회보장제도 및 일-가족양립 정책을 빠르게 제도화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제도·정책 변화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1999부터 2019년 동안 미성년 자녀를 둔 부부의 생활시간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일과 가족의 요구가 중첩되고 집중되는 미성년 자녀를 둔 부부의 유급노동시간-무급노동시간은 지난 20년 동안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고 그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부부의 유급노동시간과 무급노동시간을 잠재프로파일 분석하여 생계부양-돌봄모델로 유형화하고 그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한국 생활시간조사 1차조사(1999년)부터 5차조사(2019년)의 원자료 중 18세 미만 미성년 자녀를 둔 20세 이상 60세 미만 부부의 남성과 여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부부쌍으로 횡적 병합을 실시하여 자료를 구성하였다. 1999년에는 5,315쌍, 2004년에는 3,445쌍, 2009년에는 2,736쌍, 2014년 3,515쌍, 2019년 2,777쌍으로 전체 17,788쌍의 표본이 추출되었다. 생활시간은 개인유지시간, 유급노동시간, 무급노동시간(가사노동시간+돌봄노동시간), 여가시간으로 분류하였다. 먼저 1999년부터 2019년까지 미성년 자녀를 둔 부부의 남성과 여성의 생활시간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부부 생활시간 총량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부부 합산개인유지시간, 합산유급노동시간, 합산무급노동시간, 합산여가시간 추이도 살펴보았다. 둘째, 남성과 여성, 부부의 유급노동시간, 무급노동시간, 가사노동시간, 돌봄노동시간의 영향요인을 토빗 회귀분석(tobit Regression)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미성년 자녀를 둔 부부의 유급노동시간-무급노동시간을 투입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실시하여 생계부양-돌봄모델을 유형화하였다. 넷째, 부부의 생계부양-돌봄모델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남성과 여성의 유급노동시간과 무급노동시간은 상당히 더디게 젠더평등을 향해 나아가고 있으나 젠더수렴, 젠더혁명의 뚜렷한 양상이 드러나는 상황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각 조사년도마다 생활시간 변화가 유의하게 나타나 사회문화적, 제도·정책맥락의 영향도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남성과 여성의 유급노동시간과 무급노동시간, 가사노동시간, 돌봄노동시간의 영향요인으로는 시간가용 가설의 영향력이 우세한 가운데 상대적 자원 가설과 젠더가설이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계층화 가설이 부분적으로 확인되었으며, 각 조사년도와 연령대의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어 적응지체 가설도 확인되었다. 또한 미성년 자녀를 둔 부부의 유급노동시간-무급노동시간 분배 유형은 4개의 하위모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Ⅰ유형은 1.5생계부양-여성돌봄부담모델, Ⅱ유형은 2인생계부양-여성이중부담모델, Ⅲ유형은 남성생계부양-여성돌봄전담모델, Ⅳ유형은 2인생계부양-남녀돌봄모델로 명명하였다. 2014년부터 남성생계부양-여성돌봄전담모델이 과반 이하로 떨어져 이전과 같은 지배력은 상실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Ⅳ유형(2인생계부양-남녀돌봄모델)은 그 비중이 아직 작고 여성의 총노동시간이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길어 전형성을 획득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Ⅱ유형(2인생계부양-여성이중부담모델)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Ⅰ유형(1.5생계부양-여성돌봄부담모델)도 여성의 무급노동시간이 상당히 길게 나타났다. 따라서 남성생계부양-여성돌봄전담모델의 지배력은 약화되고 있지만 성평등한 생계부양-돌봄모델의 형성은 미약하여 실질적 성평등 국면으로 전환되지 못한 팽팽한 긴장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Ⅲ유형을 참조집단으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한 결과 상대적 자원이론, 시간가용성 이론, 젠더이데올로기 이론, 계층화 가설, 적응지체 가설 관련 변인의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지난 1999년부터 2019년에 이르는 미성년 자녀를 둔 부부의 남편과 부인 생활시간 변화 와 유급노동시간과 무급노동시간 배분을 유형화한 생계부양-돌봄모델 변화를 종합할 때, 젠더레짐의 변화를 단정짓기에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부부 생활시간의 젠더수렴 양상은 더디고, 2014년을 기점으로 남성생계부양-여성돌봄전담모델(Ⅲ유형)이 과반 이하로 낮아지기는 하였지만 2인생계부양(평등돌봄)모델의 지배력이 강한 젠더레짐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해석하기에는 부족함이 많은 현실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생활세계에서 가부장제에 기초한 남성생계부양-여성돌봄전담모델은 축소되고 평등한 생계부양-돌봄모델이 단초가 형성되어 평등한 젠더레짐으로 변화가능성이 확대되고 있는 시점으로 볼 수 있다. 생활세계에서 젠더 불평등의 협곡을 분명하게 넘어서기 위해 정책적 보충과 재구조화가 요청된다. 결론에서 생활세계의 실질적인 젠더평등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99년부터 2019년까지 미성년 자녀를 둔 부부의 생활시간 분배를 양상과 변화추이를 종합적으로 확인하였으며 남성과 여성, 부부의 (합산)유급노동시간, (합산)무급노동시간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시간배분 가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미성년 자녀를 둔 부부의 유급노동시간-무급노동시간의 분배 구조를 생계부양-돌봄모델로 유형화하여 젠더레짐의 변화 가능성을 살펴보고 각 모델의 영향요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젠더레짐 논의가 생활세계를 반영하지 못하는 젠더정책레짐 논의로 전개되어온 한계를 제기하고 일상 생활 속의 젠더관계, 성역할 수행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향후 남녀의 생활시간 변화에 정책·제도가 미치는 구체적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층분석이 풍부하게 전개되어 젠더평등 확대를 위한 정책논의가 더욱 구체적이고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우리나라의 通貨, 利子率, 物價, 賃金間의 因果關係 分析

        이혜정 淑明女子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an emprical analysis of the causality among money, interest rate, price and wage in korean economy from 1972 to 1992. This thesis is composed of total five chapters as follows. Chapter 1. is a introduction, that is, offers the purpose and the method of this thesis. Chapter 2. introduces the inflation theory. Chapter 3. includes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echniques on Granger's causality test and vector autoregression of the methods of multivariable causality representation. Chapter 4. is designed to make theoretical and policy suggestions according to the emprical analysis on the Korean economy. Chapter 5. summarizes and concludes the results of this thesis and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thesis can be summarized follows. First, Wage(manufacturing industry) variable operated on price variable as unidirectional economic variable. Second, In the 1980's, interest rate variable was not found exogeneity. Third, Price variable was influenced by monetary variable in Korea. However in the 1980's, fluctuation in wage is inferred to have had an effect on fluctuation in pr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