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 녹지 투어 앱 제작 : Establishment of campus green space tour application for the University of Seoul

        유미희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95

        이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상황에서 대학 캠퍼스에 오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캠퍼스 녹지의 수목, 식물의 사계절을 체험하게 하여 학생들의 소속감과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고, 아름다운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 녹지를 사진과 영상으로 제작한 앱으로 간접 체험함으로써 서울시립대학교 구성원 모두가 소통할 수 있는 공간 구축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서울시립대학교 재학생 20명을 대상으로 녹지 투어 앱에 관한 설문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앱 제작의 기획 단계에 적용하여 제작 범위와 내용설정에 반영하였다. 이후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2020년 6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카메라와 드론, 액션캠 등을 사용하여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 내 수목과 식물을 4천 장의 자료사진을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을 만드는 이미지 자료로 사용하였다. 주요 구성 내용으로 계절별 캠퍼스 풍경을 담은 계절 이야기, 수목으로 이루어진 산책길 이야기, 다양한 테마로 구성된 정원 이야기, 오래되고 아름다운 나무 이야기 등이다. 사진 이미지와 함께 드론과 스트리밍 액션캠을 사용한 영상 이미지를 추가 함으로써 생동감 있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어 제작한 것이 특징이다. 모든 자료와 조사된 내용을 기반으로 학생들 스스로가 진화시킬 수 있는 형태의 모바일 커뮤니티를 만들 수 있도록 게시판의 기능을 링크와 업로드가 가능하도록 구성 제작하였다. 주요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코로나19, 녹지 투어, 대학 캠퍼스, 소통과 치유, ABSTRACT Since early 2020, most of the students did not come to the university campus due to COVID-19. Except for the special occasions, e.g. midterm and final exams, most of the lectures were done untact, which made students lose sense of belonging, psychological stability and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he beautiful campus greenery.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 campus green space tour application for the University of Seoul so that all members of the university can communicate under untact situation COVID-19 caused. Scope and contents of the application was decided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by some 20 students. Some 4,000 image materials of the campus greenery were prepared by cameras, drones and action cams from June 2020 to November 2021. A homepage and a mobile application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image materials. The main compositions of the application include stories of seasonal campus landscapes, tree-based walks, old and beautiful trees, and garden stories with various themes. This mobile application and the homepage would be a starting point for green cummunications of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of Seoul. Key words: application, homepage, COVID-19, campus green, communication

      • 공공교향악단의 운영개선방향 : KBS교향악단을 중심으로

        정구성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95

        공공 교향악단의 운영 개선 방향 - KBS교향악단을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관광문화학과(공연행정) 석사과정 정 구 성 본 논문은 KBS교향악단이 나아가야할 미래지향적 방안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동양 교향악단의 선두 주자이면서 공영 방송 NHK가 지원하는 NHK교향악단과 최근 법인으로 변모하여 한국 교향악단의 새로운 모델로 부상하고 있는 서울시립교향악단에 대한 조직의 구성, 운영 방침 그리고 최근의 경영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KBS교향악단의 나아갈 방안을 연구해 보았다. NHK교향악단은 명실상부한 일본 최고의 교향악단으로 자리매김을 하였으며, 이제는 전 세계적으로도 Top Class에 속한 교향악단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세계적인 경제 불황으로 인해 NHK교향악단 역시 어려운 시간을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확고부동한 자리를 지킬 수 있었던 NHK교향악단의 운영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서울시립교향악단은 2005년 6월 재단법인 서울시립교향악단으로 독립하며 새로이 조직 체계를 개편하였다. 세계적인 오케스트라로의 도약을 위해 오케스트라의 기본과 방향을 새로이 정립하고, 단원 전면 오디션을 통해 최고의 기량을 갖춘 연주자들로 조직을 재정비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교향악단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립교향악단의 최근 행보를 살펴봄으로서 KBS교향악단이 개선해야 할 점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KBS교향악단이 시대적 요구와 현실적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우선 조직의 체계화와 전문화가 선행 되어야 한다. 특히, 조직의 횡적 전개를 통한 조직의 간소화와 전문화는 빠른 의사 결정과 조직 운영의 효율 극대화를 가져 올 것이다. 안정된 수익 구조의 창출을 통한 재원의 다양화 역시 KBS교향악단이 개선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현재 KBS교향악단은 수입의 대부분을 KBS 지원금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는 KBS교향악단의 의사결정이 결코 KBS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자립적 업무 추진의 한계가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사회와 단절된 소통의 활로를 모색하는 것 역시 중요한 문제이다. KBS교향악단이 청중과 함께 호흡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통한 청중과의 소통을 통해 청중에게 다가가는 적극적인 행동의 전환이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KBS교향악단의 내재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한 단계 도약을 위해 이제는 법인화를 통한 독립을 모색할 때이다. KBS교향악단은 더 이상 거대한 조직의 한 부서로서가 아닌, 그 예술성을 맘껏 발휘할 수 있는 주체가 될 수 있도록 독립적인 조직체로 변모해야 한다. 핵심어 : 교향악단, NHK교향악단, 서울시립교향악단, KBS교향악단 A Study on How to Improve Management of the Public Symphony Orchestra - Case Study for KBS Symphony Orchestra - Koosung Jung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This thesis is a study on how KBS Symphony Orchestra need to proceed for future-oriented development. Two models are investigated which is NHK Symphony Orchestra, one of the best orchestra in Asia supported by Japanese public service broadcaster NHK, and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recently reorganized into an incorporation aiming for an innovative model in Korean orchestra territory, especially focusing on the field of organization, operation policies, and management conditions. NHK Symphony Orchestra is positioned as not only the best orchestra in Japan but also one of the top class orchestra worldwide. Even though NHK Symphony Orchestra has been going through global economic crises recent days, still its renowned position remains steadfast thanks to its management strategies, which will be covered by this dissertation.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was independently incorporated in June 2005, also it executed an extensive audition to reorganize the orchestra members with best capacities through which it shed the new light on how to manage human resources. By contemplating Seoul Philharmonic Orchestra’s pioneering steps, this essay suggest several improvement KBS Symphony Orchestra could make. For KBS Symphony Orchestra to be more adaptive to epochal demands and changes, the most preceding issue is systematization and specialization of the organization itself. Particularly, simplification with specialty through horizontal deployment of the orchestra will be beneficial for more rapid decision-making and magnify the efficient management. Diversification of financial resources through secured revenue generation is also a significant matter. Until now, most of KBS Symphony Orchestra’s revenue comes from KBS’s budget, therefore it never can be free of KBS management’s decisions. This entails inevitable limitation of independent performances of KBS Symphony Orchestra. Last but not least, KBS Symphony Orchestra needs to find out ways to communicate audiences. It is crucial to grasp what’s audiences needs are, and how to breathe with audiences. For this to be accomplished, more active approaches to audiences should be executed. Most of all, it is now the time to consider an independence of KBS Symphony Orchestra through incorporation to solve its intrinsic ultimate issues. This is the time KBS Symphony Orchestra needs to be self-determined organization for its full manifestation of art, not just one part of a gigantic media conglomerate. Key Words : Orchestra, NHK Symphony Orchestra,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KBS Symphony Orchestra

      • 성과평가제도 비교분석을 통한 공공의료기관 책임성 연구 :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을 중심으로

        정보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79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is used as one of the main ways to increase the responsibility of public institutions. Analyze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in which public hospitals are simultaneously assesed by multiple senior institutions in terms of accountability. To do so, first , categorize the accountability of Public hospitals. Then, verify different types of accountabilities that varies by evaluators and time to see how the accountability of the public hospitals has chang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ccountability i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 Political accountabilityⅠ Ⅱ, Bureaucratic accountability, Client accountability and Managerial accountability ; by responsive-anticipal and economy-political aspects. Based on this, compare and analyze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s of Seoul Medical Center conducted from 2006 to 2016 ; Local public hospital evaluation system, Seoul public hospital evaluation system, Seoul investment institution evaluation system. Political accountability I is most closely aligned with the ultimate goal of establishing public hospitals and their operational objectives. Despite it is not properly evaluated in the initial stage of evaluation system, it has improved recently about 20% of evaluations. Political accountability II is part of how democratically public hospitals operated. Although its measurment proportion has increased up to about 10%, it is comparatively not important throughout the overall system. Bureaucratic accountability plays a relatively high role in evaluation system of seoul public hospital. However like Client accountability its proportion is convergent as time goes on. At the beginning of Seoul investment institution evaluation system, the importance of Managerial accountability was high. In contrast, in Local public hospital evaluation system and Seoul public hospital evaluation system, this accountability is less important. As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s have matured, despite the proportion of Managerial accountability of Seoul investment institution evaluation system is slightly higher than others, each proportions of Managerial accountability is gradually being convergent to similar levels. Most notably the results is that this study show each the proportion and importance of all types of accountability in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is gradually convergent. So this makes public hospitals recognize their exact goals by consistent performance evaluation, that institutions can work reasonably and be rewarded properly as a result of performance assessments. It is a positive aspect because accountability and stability of public hospitals can be increased. Meanwhile, when compar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s targeting public hospitals ; Local public hospital evaluation system, Seoul public hospital evaluation system ; except for matters related to supervision and policies direc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performance measures tend to become similar. As a result, duplication of performance measures causes issues for public hospitals such as inefficiency of evaluation work. To solve this, the similar or redundant measures need to be adjusted or deleted. Furthermore, the function and role ought to be set up between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s. It is necessary to adjust or reorganize performance measures by the function and role of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s. But it is paramount to address the underlying problem of conflicting accountabilities inherent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The dilemma of the value conflict between efficiency and publicness that all public institutions are in trouble with, not just public hospitals, can be substituted for the issue of confliction between Managerial accountability for efficiency and Political accountability for publicness, from an accountability point of view. It happens not only between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s but also between performance measures. As a solution, all stakeholders surrounding public hospitals should have an understanding of a socially agreed specific standard model for public hospitals and guidelines. To specific the standard public hospital model and their accountabilities at the social level, it is needed to study which accountabilities are important and how important they are.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책임성을 제고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로 성과평가제도가 활용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공공의료기관이 다수의 상급기관으로부터 동시에 평가받는 성과평가제도를 책임성의 관점에서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공공의료기관의 책임성을 유형화하고 이를 분석틀로 삼아 평가주체와 시기별로 변화하는 공공의료기관의 유형별 책임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공공의료기관이 요구받는 책임성도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확인한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책임성을 응답적-기대관리적 측면과 경제적-정치적 측면으로 유형화하여 정치적 책임성 Ⅰ·Ⅱ, 관료적 책임성, 고객 책임성, 관리적 책임성으로 나누었다. 이를 바탕으로 2006년부터 2016년까지 11년간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을 대상으로 시행된 성과평가제도인 지역거점공공병원 운영평가, 서울특별시립병원 평가, 서울특별시 출자・출연기관 경영평가를 동태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정치적 책임성 Ⅰ의 경우 공공의료기관의 궁극적인 설립취지이자 운영목표와 가장 밀접함에도 불구하고 평가제도 시행 초기에는 이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를 개선하여 총점 100점 중 배점 20점 내외의 높은 평가비중을 보이고 있다. 정치적 책임성 Ⅱ은 기관운영을 얼마나 민주적으로 하는 지에 대한 부분으로 그 평가비중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평가체계에서 배점 10점 내외로 비교적 중요도가 낮은 수준에 그치고 있다. 관료적 책임성의 경우 서울특별시립병원 평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보이고 있음에도 세 성과평가제도 모두 평가비중이 유사하게 수렴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고객 책임성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관리적 책임성의 경우 성과평가제도 시행 초기에 서울특별시 출자・출연기관 경영평가에서는 매우 높은 비중으로 평가한 반면 지역거점공공병원 운영평가나 서울특별시립병원 평가는 다소 낮은 비중을 보이고 있었다. 이후 성과평가제도가 성숙해짐에 따라 서울특별시 출자・출연기관 경영평가가 타 평가제도에 비해 다소 높긴 하지만 관리적 책임성의 비중이 점차 유사한 수준으로 수렴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중 가장 주목할 만 한 점은 각 성과평가제도가 책임성 유형 전반에 걸쳐 그 평가비중이나 중요도가 점차 수렴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다. 이는 책임성이 일치된 성과평가의 과정을 통해 기관이 정확한 목표를 인지하여 합리적으로 기관을 운영할 수 있게 되고, 성과평가의 결과에 따라 보상과 제재를 받음으로써 기관운영의 책임성과 안정성이 높아지게 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한편 공공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성과평가제도인 지역거점공공병원 운영평가와 서울특별시립병원 평가의 내용을 비교해 볼 때 서울시의 지시감독이나 정책과 관련한 사항을 제외하면 평가기준이 점차 유사해지는 경향은 결과적으로 평가기준의 중복으로 인해 피평가기관에게 평가업무 비효율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사・중복적인 평가기준을 조정하거나 삭제하고 더 나아가 성과평가체계 상호간에 기능과 역할을 정립하여 평가기준을 조정하거나 재편해야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성과평가제도에 기본적으로 내재된 책임성 유형의 상호충돌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공공의료기관뿐만 아니라 모든 공공기관이 항상 처해있는 효율성과 공공성의 가치충돌이라는 딜레마는 책임성 관점에서 경영효율성에 대한 관리적 책임성과 사회적 가치 및 공공의료에 대한 정치적 책임성의 충돌문제로 치환할 수 있다. 이는 성과평가제도 사이뿐만 아니라 내부의 평가지표 사이에서도 동시에 발생하고 있다. 그 해결방안으로 상급기관을 포함한 이해관계자들이 사회적 합의를 거쳐 공공의료기관의 구체적인 표준모델을 결정하고 가이드라인을 설정해야한다. 이를 위해 향후에는 공공의료기관의 어떤 책임성이 중요한지와 책임성 유형별로 적절한 중요도 수준이나 우선순위는 에 대해 고찰하여 사회 전체적 차원에서 최선의 공공의료기관과 그 책임성을 구체화시킬 필요가 있다.

      • 대학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특성과 개선방안 연구 : 서울시립대학교 학생의 인식과 수요조사를 중심으로

        윤현숙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사례를 조사하고, 서울시립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대학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인식 및 수요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나아가 자료에 대한 조사 및 설문분석을 토대로 대학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용률을 높이는 방안을 찾아내어 대학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이용 경험자에게서 도서관 문화프로그램에 대해 더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반응을 발견하였다. 이는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참여율을 높이는 것이 프로그램 시행에 더 긍정적으로 작용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나아가 새로이 시도되는 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이 더 탄력을 받아 활성화될 수 있으리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현재 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참여율은 매우 낮은 편으로,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다음의 세 가지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첫째, 내용 면에서 대학의 차별화되고 특화된 문화프로그램의 시행이 필요하다. 여러 대학에서 진행하고 있는 문화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면, 비슷한 유형의 프로그램들이 특별히 대학별로 차별화되지 않고 진행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이라는 특수성에 맞게 대학 내의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는 프로그램, 각 대학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프로그램, 20대 계층을 위한 문화수요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홍보의 다양화와 전문화가 필요하다. 설문에서도 나타났듯이, 응답자가 문화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은 가장 주된 이유는 ‘홍보 미비’였고, 개별 프로그램의 세부 만족도 중에서도 ‘홍보’ 부분의 만족도가 가장 떨어졌다. 홍보를 더 다양화하고, 수요자의 눈높이에 맞는 맞춤형 홍보를 고민해 보아야 할 것이다. 셋째,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해야 한다. 문화프로그램의 일방적인 시행은 이용자의 외면을 가져온다. 프로그램의 기획 및 평가 단계에서 설문지나 기타 채널을 통해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도서관만의 차별화되고 특화된 콘텐츠로, 다양한 홍보활동을 해 나가며, 항상 이용자와 소통하는 것이 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나가는 방안이 될 수 있으리라고 본다. This research dealt with the culture programs provided by universities in general, and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and demands for the programs of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of Seoul, in specific. Based on questionnaire survey, it analyzed main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programs of universities and proposed several suggestions for better service. By analyzing the survey results, this research found that university culture programs were more favored and positively responded by experienced users, which implied that program providers should try to raise the participatory ratio and make efforts for providing new programs.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audience, say participatory ratio for the the university culture programs, research suggests three policy directions. First, culture programs should be customized and fill the niche for demand of the university students. By fully utilizing university infrastructure, reflecting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and demands of the young generation, mainly in their twenties, culture programs can approach more closely to the audience. Second, various and specialized promotion channels are prepared. Mos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respondents depicted ‘poor promotion’ was the main reason for not participating the culture programs. Furthermore, the satisfaction level for the ‘promotion’ was the lowest. Third, university libraries should arrange channels to reflect the demands of the students.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say from planning phase of the culture programs to evaluation phase, the needs of the potential audience should be collected, analyzed, and reflected on the programs. By utilizing the specialities of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generation at the universities and well-promoted customized culture programs would meet the demands of the members of universities.

      • 대학의 지역 공헌 및 협력 사례의 사회적 가치 측정 연구 : 서울시립대학교 '따뜻한 서울 만들기' 와 '면목고 기숙형 학습멘토링' 사업을 중심으로

        김호철 서울시립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대학은 왜 지역사회와 협력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되었다. 대학과 지역사회의 협력관계 및 참여적 대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위 질문에 집중한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투자수익률(SROI)이라는 방법을 통해 대학의 지역공헌 및 협력활동의 사회적가치를 측정하고 가치발생, 가치내용, 비용이라는 세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립대학교의 따뜻한 서울만들기 사업과 면목고 기숙형 학습멘토링 사업이다. 분석결과 첫째 가치발생 측면에서는 다음과 같다. 따뜻한 서울만들기 사업의 사회적투자수익률은 1.11, 면목고 기숙형 학습멘토링 사업은 1.80이 도출되어 투입된 비용보다 큰 가치를 만들어 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해관계자별 귀속된 가치를 살펴보았을 때 대학 구성원에게 더 높은 가치가 귀속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번째 가치의 내용측면은 다음과 같다. 대학구성원에게 발생한 가치의 내용과 대학평가원 대학기간 평가지표와 비교해보았을 때 발생된 가치와 대학의 직접적인 현안과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대학은 왜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에 참여해야 되는가?’에 대해 대학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자 한다. 이를 넘어 비용 측면에서 논의해 보았을 때 대학이 지역사회의 문제해결에 참여할 때 양 주체의 ‘잉여’와 ‘결핍’을 연결하게 되면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도 확인하였다. 대학과 지역사회가 협력하고자 했을 때 잉여와 결핍을 탐색하고 연결하는 것은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Why do universities cooperate with the community?”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university and community partnerships, but research focusing on these questions is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measured the social value of community contribution and cooperation activities of the university through the method of SROI(Social Return on Investment), and discussed the three aspects of value generation, value content, and cost for this. The case of this research are the Warm Hearted Seoul Project and the Boarding Learning Mentoring Project The first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value of 1.11 for the Warm Hearted Seoul Project, and 1.80 for the Boarding Learning Mentoring Project, which created more value than the input cost. In addition, when we look at the value attached to each stakeholder, we can confirm that higher value is attributed to university members. The second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 The value to university members was confirmed to be related to the university’s direct issues. I would like to argue that participating in the problem solving of the community can help to develop university. Beyound, in terms of cost, the university also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reducing costs by linking the ‘surplus’ and ‘deficiency’ of the two subjects when the university participates in solving problems in the community. Exploring and connecting surplus and deficit can be an important strategy when universities and communities are willing to cooperate.

      • 대학가 특성을 반영한 저층주거지 임대료 결정요인 연구

        김은광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대학가 저층주거지는 대학교의 입지적 특성인 지하철역과의 높은 접근성과 대학교와의 인접성이 대학생 및 청년계층에게 높은 효용을 제공하는 공간이며, 또한 이와 같은 계층들의 집합 거주지로써 기능한다. 한편, 이와 같은 대학가 저층주거지에 입지한 임대주택은 향후 높은 사업성을 기대하고 정비사업을 통해 대다수 아파트로 전면 전환되며, 청년 및 대학생 계층이 거주할 수 있는 소형·저렴주택은 점차 소실되어가는 실정이다. 더욱이, 대학가 저층주거지의 일반적 현황은 서울 전역의 여타 저층주거지와 비교할 때 노후한 소형주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생활편의시설이 적은 물리적 현황을 보이고 있으나, 위와 같은 입지적 특성에 의해 유발되는 지속적인 임대주택에 대한 수요가 존재하는 연유로 가장 높은 전용면적당 임대료수준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대학가 저층주거지는 임대주택의 임대료를 파악함에 있어서 주택의 물리적·환경적 요인과 더불어 대학교 자체의 특성과 대학가의 공간적 범위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변화를 함께 포함하여 임대료 결정요인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주거입지 이론의 측면에서 높은 입지적 효용을 가진 대학가 저층주거지를 중점으로, 서울시 전역에 분포한 여타 저층주거지와 물리적·입지적 특성을 비교하여 대학가 저층주거지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더욱이, 특정 규모 이상의 16개 대학가를 대상으로 물리적·입지적 특성 및 대학가 특성을 포함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함으로써 대학가 저층주거지의 임대료 결정요인을 파악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가 저층주거지는 임대주택의 건축경과년수가 높을수록, 주택면적이 클수록, 저층주거지 내 주거용도 비율 건축물이 적을수록 전용면적당 임대료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교 자체의 특성에서 기숙사 수용률이 높을수록, 또한 기숙사 비용이 낮을수록 인접 주거지역의 임대주택의 전용면적당 임대료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가의 공간적 범위 내에 비아파트 공공임대주택의 세대수가 많을수록, 동일 범위 내 임대주택의 전용면적당 임대료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가의 공간적 범위 내에 정비사업으로 인해 멸실된 저층주택의 세대수가 많을수록, 동일 범위 내 임대주택의 전용면적당 임대료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곧, 대학가 저층주거지에 공급되는 비아파트 공공임대주택과 대학교 기숙사는 실질적으로 인접 주거지역 임대주택의 전용면적당 임대료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또한, 대학가에서 시행되는 정비사업으로 인해 노후한 소형·저렴주택이 일괄적으로 아파트로 전환되며 주변 임대주택의 임대료가 상승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른 이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대학가 저층주거지에서 발생하는 공공적 측면의 주택 및 입주시설 공급사업과 정비사업을 시행함에 있어서, 청년 및 대학생 계층이 실제로 소요, 수요하는 시설물을 공급하는 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현재의 기숙사 신축 및 공공임대주택 건설사업은 지역사회 및 임대 사업자와의 갈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마찰을 빚고 있는 현황이며, 더욱이 대학가 저층주거지에서 주로 시행되는 정비사업인 재개발사업의 경우에서 재개발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고 있으나, 청년 및 대학생 계층의 입주가 현실적으로 어려워 사업추진주체와의 조정을 통해 공공임대주택의 소형화 및 입주요건 다양화에 대해 신중히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The determinants of low-rise residential of university district is a space where high accessibility to subway stations and universities, which are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provide high utility for college students and young people, and also functions as a collective residence for these classes. On the other hand, rental houses located in low-rise residential areas in the university district will be converted into most apartments through urban maintenance projects in the future, and small and inexpensive houses for young people and college students are gradually disappearing. Moreover, the general status of low-rise residential areas in university districts is composed of old small houses compared to other low-rise residential areas throughout Seoul, but the highest rent level per dedicated area is formed due to the continuous demand for rental houses caused by the above loc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ly, in identifying the rent of rental housing,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determinant of rent by including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ho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itself, and the physical changes occurring in the spatial range of the university.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physical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with other low-rise residential areas distributed throughout Seoul, focusing on areas with high location utility in terms of residential location theory. Moreover, by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16 university districts of a specific size or larger,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districts, the determinants of rent in low-rise residential areas in university district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number of years of construction of rental housing, the larger the housing area, and the smaller the number of buildings for living in the low-rise residential area, the lower the rent per dedicated area. Second,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itself, the higher the dormitory acceptance rate and the lower the dormitory cost, the lower the rent per dedicated area of rental housing in adjacent residential area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lower the rent per dedicated area of rental housing within the same range, the lower the number of non-apartment public rental houses are located within the spatial range of the university district.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larger the number of households in low-rise houses demolitioned due to maintenance projects within the spatial range of the university district, the higher the rent per dedicated area of rental houses within the same range. This means that non-apartment public rental housing and university dormitories supplied to low-rise residential areas in the university district actually show the effect of reducing rent per dedicated area of rental housing in adjacent residential areas. In addition, due to the urban maintenance project implemented in the university district, old small and inexpensive houses were converted into apartments collectively, indicating that rents of nearby rental houses could ris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implementing public housing and residential facilities supply and urban maintenance projects occurring in low-rise residential areas in university distric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supply housings that young and university students actually need and demand. Moreover, redevelopment public rental housing is supplied in the case of redevelopment projects, which are mainly implemented in low-rise residential areas in university districts, but it is practically difficult for young people and college students to move i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review the miniaturiza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and the diversification of occupancy requirements through coordination with the project promotion entity.

      • 외국인 유학생의 생활만족도 분석 : 서울소재 대학의 몽골 유학생을 중심으로

        Sodnom Sodbileg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Terms of representing the era in which we live today are diverse : information technology, internationalization, globalization, global village and so on. The exchanges of human resources and material between countries and cities have become much more frequent and increased rapidly. Studies show that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worldwide is to record 7.2 million in 2025. Befitting this contemporary trend, countries are actively pursuing policies to draw foreign students and to train them to secure excellent manpower in a way to increas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same context, South Korea is also actively promoting policies to attract foreign students centered on "Study Korea Project Development Plan”. For the success of these policies to appeal foreign students, the most effective way to promote and engaging policy can be for students who experienced studying in Korea and return to their home countries with positive appraisals about the studying, disseminating it through a word-of-mouth publicizing. From the view point of above, a satisfaction survey was modelled to examine the attributes of inconveniences foreign students faced while residing in Korea, at the same time, the result was compared to the policies of the government and Seoul city for foreign students to develop improvement measures. This study limits the range of sampling to the Mongolian students in colleges located in Seoul, where about 40 percent of overall Mongolian students are enrolled ; whereas students from Europe and North America were excluded as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this group exhibited high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pre-expectations and studying experiences. Among Asian countries, Mongolian students are selected as they are fairly sizeable as a non-OECD country. This study also decided that the foreign students’ life is closely related to residential environment, health care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t (learning environment, facilities environment and faculty service environment).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target students to measure how these factors affect the overall satisfaction of students’ life. Receiving a total of 247 responses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SPSS Statistics 18 regarding frequencie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s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were utilized to verify the empirical analysis and the hypothesi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health care environment and learning environment among school environments, which were independent variables, biased to negative (-) contribution, these hypotheses were rejected; while another three independent variables of residential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ts (facilities and services) contributed a positive (+) effect, qualifying the hypotheses accepted. In particular, the topic of residential environment was not even listed in “Strategic Attrac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Settlement Support Program”, which was the detailed action plan of "Study Korea 2020 Project", disclosing the policy was marginalized sector; with lowest satisfaction rate from the foreign students, a conclusion was reached that some students were not admitted to the dormitory or being experienced most difficulties until the dormitory was available. These results coincide with the fact that the dormitory accommodation ratio of 24.2% for colleges in Seoul is much lower than the countrywide average of 38.2%. In response to open opinion, 57 respondents appealed that the cost of the lease or real estate was burdensome, 45 respondents mentioned lack in dormitory accommodation. The economic burden of residential environment challenges most students from non-OECD countries in Asia. Based on the study result is study, the following goals are proposed to improve policies : First, the central government and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re supposed to take bold steps to promote consolidated measures to secure high dormitory capacity in order to improv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foreign students. For example, the central government may grant public premises, which relocate to Sejong Government Complex, for dormitory propertie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each school might be able to take measures to remodel the facilities for exploiting student dormitories. Second, it is necessary for the central government to boost each subject that is declared in the “Strategic Attrac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Settlement Support Program” the detailed action plan of the "Study Korea 2020 Project" operating a monitoring system by foreign student’s country of origin, and effective and practical promotion structure need to be organized. Third,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required to establish economic life support measures for excellent foreign students, such as foreign internship programs widened. For graduates, job support policies bundled with incentive programs are vital to get employed at Korean companies. In addition, more dedicate staffs need to be positioned for foreign students in the Seoul Global Center and the Multiculturalism Division, in order to offer proper administrative services, in line with foreign students proportion. Foreign student policy can be strengthened by shifting more specialists to the Global Center Operation Team and the Global Center, rather than the Human Rights Support organizations for foreign citizens. Finally, the colleges is required to take measures to implement the service in diverse languages to construct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from Asia countries are not being discriminated. 정보화, 국제화, 세계화, 글로벌화, 지구촌 등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를 표현하는 용어는 다양하다. 나라 간, 도시 간 물적 인적자원이 교류가 더욱더 빈번해지고 그 양도 폭증하고 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2025년에는 전 세계 유학생 숫자가 720만 명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세계 각국은 이러한 시대적 추세에 걸맞게 우수 인력의 확보 및 양성과 이를 통한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정책으로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고 이와 같은 맥락에서 한국도「Study Korea Project 발전방안」을 중심으로 외국인 유학생 유치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외국인 유학생 유치정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한국에서 유학을 경험한 유학생들이 본국으로 돌아가서 한국 유학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홍보를 자처하는 등 입소문이 퍼진다면 가장 효과적인 홍보방법이고 유치정책이라고 할 수 있겠다. 위와 같은 관점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에서 머무는 동안 생활하는데 불편함이 무엇인지에 대해 만족도 조사를 통해 살펴보고, 아울러, 정부 및 서울시의 외국인 유학생 정책 등과 비교하여 개선방안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유학생의 약 40%가 재학 중인 서울소재 대학의 몽골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정하였으며, 선행 연구에서 유학 올 때 기대정도 보다 실제 유학 와서 느끼는 기대와의 일치정도가 높게 나타나는 유럽이나 북미 등 국가 출신 외국인 유학생을 제외하고 아시아권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아시아권 유학생 중에서도 비OECD 국가로서 비교적 유학생이 많은 몽골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유학 와서 생활하는데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 주거환경, 의료환경, 학교생활환경 등이 유학생 생활종합만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대상 유학생들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47부를 회수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 Statistics 18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 및 기술통계분석, t 검정,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실증분석 및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의료환경, 학교환경분야 중 학습환경이 몽골인 유학생의 생활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기각되었고, 독립변수인 주거환경, 학교환경(시설, 서비스)등 3개 가설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채택되었다. 특히 주거환경 분야는「Study Korea 2020 Project」세부 추진계획인 “전략적 유학생 유치 및 정주 지원방안”에서 찾을 수 없어 정책 소외 분야로 판단되었으며, 외국인 유학생의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기숙사에 입소하지 못하거나 기숙사에 입소하기 까지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서울소재 대학들의 기숙사 수용률이 전국 평균인 38.2% 보다 훨씬 낮은 24.2%로 낮다는 점과 맥락을 같이하는 결과로 생각된다. 아울러, 자유 의견에서도 임대차 등 부동산 비용에 부담을 느낀다는 응답이 57건, 기숙사가 부족하다는 의견이 45건에 달하고 있어 주거환경의 부담은 비OECD국가이면서 아시아권의 유학생들에게 공통되는 어려움이라고 생각되었으며,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정책개선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주거한경 개선을 위해 정부나 서울시 등이 힘을 모아 획기적인 기숙사 확보대책을 추진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정부는 세종시 등으로 이전하는 공공기관을 기숙사 시설로 제공하고, 서울시와 각 학교들은 그 시설을 리모델링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해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정부는「Study Korea 2020 Project」세부 추진계획인 “전략적 유학생 유치 및 정주 지원방안”에서 언급된 사업들을 차질 없이 추진하여야 하며, 외국인 유학생들의 출신 국적별로 모니터링단을 구성하여 운영하는 등 효과적이면서 실질적인 추진체계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서울시는 외국인 인턴십 프로그램 확대 등 우수한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제생활 지원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특히 졸업 후 국내 기업 취업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정책을 추진할 필요 있어 보인다. 아울러, 서울글로벌센터와 외국인다문화담당관실에 외국인 유학생 전담 직원을 더 많이 배치하는 등 외국인 점유비율에 걸 맞는 행정서비스를 강구해야 한다. 외국인 인권 측면 보다는 글로벌센터운영팀이나 글로벌센터 등에 전담자를 배치하는 등 외국인 유학생 정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각 대학들은 아시아권 유학생들이 차별받지 않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다양한 언어로 서비스를 시행하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 서울시 대학생의 주거비 부담능력 분석

        배병우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대학생을 주거불안 계층으로 파악하고 이들의 주거 부담을 낮춰주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들을 수립 및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대학생 주거 지원 정책이 효과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우선 대학생의 주거 실태에 관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과도한 주거비 지불은 주거 이외의 생활의 질 감소를 초래하며, 적정 수준의 주거비로 최소한의 주거서비스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대학생의 주거 실태와 더불어 주거비 부담능력을 파악하는 것은 정책의 대상을 구체화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지원 방법을 마련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대학생의 주거 실태 및 부담 수준에 대한 공식적인 조사는 아직 이루어진 바 없으며, 대학생 주거 지원 정책의 수혜 대상 역시 단순히 저소득 가구 계층의 자녀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 등 그 목적과 대상이 불분명한 상황이다. 또한 대학생의 주거 부담과 관련한 연구들도 아직까지 제대로 진행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위한 주거지원 정책이 수립되고 시행되기 시작한 현 시점에서 서울시에 거주하는 대학생의 주거비 부담능력을 파악하고, 대학과 가구, 주거, 소득․지출 특성별로 주거비 부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대학생의 주거비 부담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비율대비 접근법을 활용하였으며, 대학생의 주거비 부담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데이터 구축을 위해 서울시립대학교와 경희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대학생의 주거 부담능력을 측정한 결과 대학생의 RIR지수가 0.398로 측정돼, 소득 중 주거비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비 부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기숙사에 거주할수록 주거비 부담능력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세 형태로 거주할수록 주거비 부담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수도권 외 지역 출신일수록 수도권 출신보다 주거비 부담능력이 더 낮게 나타났으며, 생활하는데 꼭 필요한 생계비가 많을수록 주거비 부담능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밖에 연령이 높을수록, 동거인 수가 많을수록, 주거 면적이 적을수록 주거비 부담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대학생의 주거비 부담능력을 파악하고 여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최초로 실증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Recently, in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the university student is grasped in the residential anxiety class. And the various policies ar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in order to lower these residential burdens. In order that this college student habitation supporting policy is effectually carried out, firstly the grip about the residential status of the college student has to be preceded. Particularly, subject of policy is materialized and it is important to grasp the housing affordability with the residential status of the university student in order to prepare the inappropriate way to support according to this. Because, the excessive housing expenses payment is due to cause the quality reduction of the life of the residential in addition to. In addition, the minimum residential service can be secured for the housing expenses of the optimal level. However, presently, as to the official investigation into the residential status of the university student and level of burden, there is not because of being still made. In addition, it is the situation where this purpose and object is uncertain such as for the beneficiary of the university student habitation supporting policy, the focus is just adjusted of the children of the small income furniture class, etc. And the researches related to the university student's housing affordability aren't properly progressed still. It was progressed in order to analyze the factor having an effect on the outlay by characteristic to the housing affordability. To measuring the housing afford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Percent-of-Income Ratio was utilized.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grasp the factor having an effect on the housing afford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In addition, the survey was performed for the Data construction for student in the University of Seoul and the Kyunghee University. The result of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measuring the housing afford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RIR index was measured by 0.398. It showed up that specific gravity which the housing expenses outlay occupies among the income was high. Second,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housing affordability, living in the dormitory or living in the type of jeonsei, housing affordability was high. Capital area native's housing affordability was higher than the other areas native's. And housing affordability was low as there are lots of the living expense. In addition, higher age, more roommate, smaller residential area, housing affordability has enhanced. As to this research, there is the importance in that measuring the housing afford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and the actual proof analyze the factors having an effect on the housing affordability of them for the first time.

      • 대학 캠퍼스 환경조각과 외부 공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서울 소재 대학교를 중심으로

        이서영 서울시립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고등교육의 확산으로 매년 늘어나는 학생을 수용하기 위해여 대학 캠퍼스 외부 공간 개발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생기고 있다. 서울시의 땅값이 오르면서 학교는 캠퍼스를 확장하지 못하고, 학교 시설 및 건물이 한 장된 공간에 세워지고 있다. 하지만 급격히 늘어나는 학생들을 수용하기에는 환경이 부족하며, 건물이 밀집된 공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도 지속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캠퍼스 외부공간에서 오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기 위해 캠퍼스 내에 환경조각이 설치된 외부공간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환경조각이 설치된 외부공간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어 왔지만, 조각공원 그리고 도시공간과 건축공간에서의 조사로 한정되었다. 또한 환경조각이 설치되어 있는 외부공간에 위치와 공간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환경조각과 대학 캠퍼스의 외부공간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려고 한다. 서울시에 있는 4년제 대학교 23곳을 선발하여서 101개소의 환경조각이 설치되어 있는 공간을 조사하였다. 환경조각의 특성과 외부공간의 특성을 도출하고, 그 두 항목을 교차 분석하여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 항목을 구축하였다. 환경조각이 설치된 대학 캠퍼스 외부공간은 위치, 행태, 진입방법으로 나누었고, 환경조각의 특성은 규모, 재료, 색채, 양식적 특성, 기능으로 분류된다. 조사해온 서울시 대학 캠퍼스의 환경조각 조성 공간의 특성과 환경조각의 특성 항목을 가지고 교차분석을 하여 관계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른 환경조각과 외부공간을 조사한 연구와는 달리 대학 캠퍼스라 외부공간이라는 특이성에 중심을 두어 체계적으로 외부공간과 환경조각을 조사하였고, 두 사이의 관계성을 도출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대학 캠퍼스를 이용하고 있는 학생과 지역주민들에게 필요한 환경조각 설치 공간을 만들기 위한 조성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each year as it accommodates more students has resulted in several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campus outside spaces. As the land prices rose in Seoul, universities could not afford to expand their campuses . So universities built facilities and buildings of study in one space. However, the environment is not good enough to accommodate the rapidly growing students and problems began to appear steadily in crowded spaces. Reduce the negative impact of these campus spaces, university is required outside space which built in environment sculpture in campuses. So far,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the outside spaces built in environmental sculptures, but the research has limited to research in sculpture park and urban spaces and architectural spaces. They also analyzed the location and character of the space in the outside space where environmental sculptures are installed. This thesis conducted a study on environmental sculpture and outside space in the university campus. It has selected 23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investigated the space on which 101 pieces of the environment sculptures were installed to deriv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sculpture and outside space The two characteristics items were cross-analysis and research items were created to determine their relevance. The outside space in campus which an environmental sculpture is installed is divided by the location and the method of entry into the campus.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sculptures are classified as size, material, color, form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allation outside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 sculpture at the university campus in Seoul were used to cross-reference and draw relevance. In this study, project focused on the uniqueness of outside space in the university campuses. This project systematically examined outside space and environment sculpture and find out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characters. Based on these results, It provides directions for formation to create the environmental sculptures and outside spaces for students and local residents on cam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