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가 신체자각과 자기개념 명확성에 미치는 효과

        이서영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연구는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Mindfulness based cognitive therapy: MBCT)가 신체자각과 자기개념 명확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경북 소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참여희망자를 모집하였고, 학기에 시작하는 프로그램의 일정에 따라 학기에 참여 가능한 참가자들은 참여집단으로 방학에 참여 가능한 참가자들은 대기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총 20명(남, 9; 여, 11; 평균연령 21.7세)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사전회기의 결과, 참여가 불가능한 2명을 제외하고 참여집단 9명, 대기집단 9명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은 전체 8주, 매회기 120분으로 진행되었으며 매주 1회기 실시되었다. 마음챙김의 수준과 신체자각 및 자기개념 명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각, 켄터키 마음챙김 기술 척도(Kentucky Inventory of Mindfulness Skills: KIMS), 한국판 다차원 신체자각 척도(Korean-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Interoceptive Awareness: K-MAIA), 한국판 신체통찰력 척도(Koran-Body Insight Scale: K-BIS), 자기개념 명확성 척도(Self-Concept Clarity Scale: SCC)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의 종료 후 참여집단과 대기집단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마음챙김 참여집단은 대기집단에 비교하여 집단과 시기의 상호작용에서 마음챙김[F(1, 16)=21.83, p<.001], 신체자각[F(1, 16)=12.19, p<.01], 신체통찰력[F(1, 16)=17.36, p<.01], 그리고 자기개념 명확성[F(1, 16)=15.53 p<.01]에서 유의미한 상승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8주 간의 MBCT 프로그램을 통한 마음챙김의 향상이 참가자들의 신체적 경험을 자각하고 자기를 명확하게 이해하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MBCT가 인지적 통찰뿐만 아니라 신체자각의 향상에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음챙김이 신체자각을 통한 최소자기의 향상과 인지적 통찰을 통한 서술자기의 향상을 통하여 자기개념의 명확성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였음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MBCT) on body awareness and self-concept clarity. Participants were students in Kyung Buk Province, who were assigned to two groups: MBCT group taken in semester and waiting list in vacation. 20 volunteers were anticipated in the study, however, MBCT group and waiting list consisted of 9 participants after orientation. The exclusion criteria were the diagnosis of the severe psychological disorders and the drug abuse in DSM-5, and chronic diseases. In MBCT participants trained two hours of mindfulness, body awareness, and mindful movement per week while waiting list had not any intervention in this period. Body awareness was measured by a subset of the Korean version of Mutlidimensional Assessment of Interoceptive(K-MAIA) scales and Body Insight Scale(K-BIS). Mindfulness was measured by Kenturky Inventory of Mindfulness Scale(KIMS). Self-Concept Clarity(SCC) was included for assessment process. The analysis of variance repeated measure found that MBCT group showed a higher level of MAIA, BIS, KIMS, and SCC significantly than waiting group. The results mean that mindfulness has the effects on body awareness and self-concept clarity after 8 weeks training. This study suggests that mindfulness influence not only cognitive insights but also body awareness. We discussed the meaning of minimal self through body awareness and narrative self through cognitive insights from mindfulness training. Keywords: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MBCT), Body Awarenss, Self-Concept Clarity, Mindful Movement, Minimal self, Narrative self

      • 피부미용기기와 수기관리에 대한 고객선호도 연구

        이서영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피부미용기기와 수기관리에 대한 고객선호도 연구 이서영 지도교수: 박철호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피부관리숍을 이용하는 고객의 특성에 따라 피부미용기기를 이용한 관리와 수기관리 중 어떤 방법을 더 선호하는지에 대한 차이를 조사하여 고객의 일반적 특성과 고객특성에 따른 맞춤형 피부관리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하는 일반 피부관리실을 이용하는 300명을 대상으로 2016년 2월 5일부터 2월 25일까지 20일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중에서 응답이 중복되거나 분석에 부적당한 21부를 제외하고 최종 279명의 설문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종합해 볼 수 있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피부관리숍을 이용하는 고객은 40대(38.4%) 고졸 이하(34.8%)또는 4년제대졸(31.5%)의 여성으로, 주부(27.6%) 또는 전문직(27.6%)에 종사하며, 소득은 150 ∼250만원(29.7%), 250 ∼ 350만원(22.2%), 150만원 이하(21.1%)의 기혼자(67.7%)일 확률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일반 피부관리숍에서 이용하는 시술 형태는 수기관리(33.0%)가 가장 높았으며, 미용기기관리와 수기관리 병행(31.9%), 미용기기관리(30.1%)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부미용기기관리 시술은 초음파(37.1%)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고주파(19.7%), 갈바닉(17.0%), 리프팅기(13.5%)순으로 나타났으며, 수기관리 시술은 얼굴관리(52.0%)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등관리(18.1%), 복부관리(8.1%), 다리관리(6.9%)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피부미용기기를 이용한 시술 종류에 따른 평균 만족도는 초음파(2.52)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고주파(2.48), 갈바닉(2.43), 리프팅기(2.35), 진공흡입기(2.26) 순으로 나타났다. 수기요법 시술 종류에 따른 평균 만족도는 다리관리(2.57)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등관리(2.45), 데콜테관리(2.41), 복부관리(2.38), 얼굴관리(2.36)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객 특성에 따른 시술유형 선호도 분석결과 고객 특성중 비만정도(p: 0.032)와 체형에 대한 관심도(p: 0.047)가 시술 유형 선호도에 유의미한 영향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 피부관리실에서 비만이나 체형에 관심이 많은 시술자인 경우 차별화된 시술과정을 적용함으로서 고객만족도를 높이고 경영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 Allosteric inhibitor containing non-hydrolysable quinazoline-4-one for EGFR T790M/C797S mutants inhibition

        이서영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Erlotinib (Tarceva) 와 Gefitinib (Iressa)는 현재 비소세포폐암 (non-small-cell lung cancer, NSCLC)에 대한 표피성장인자 수용체 (EGFR) 키나아제 저해제로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메커니즘 기반의 독성과 게이트 키퍼 T790M 돌연변이를 포함한 약물 내성 돌연변이의 발생에 의해 임상효능이 제한되었다. 2세대 EGFR-티로신 키나아제 저해제 (EGFR-TKIs)로 불리는 퀴나졸린 기반의 비가역성 저해제인 Afatinib은 심한 발진 및 설사와 같은 부작용으로 인해 광범위한 임상적 사용이 제한되었다. Osimertinib은 피리미딘 기반의 비가역적 3세대 EGFR-티로신 키나아제 저해제이며 야생형 EGFR 활성은 억제하지 않으면서 선택적으로 EGFR T790M 돌연변이만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osimertinib 또한 최근 임상 연구에서 다양한 획득 내성이 보고되었다. 특히, 내성을 지닌 환자 중에서 EGFR 797 위치의 극성이며 친핵성인 시스테인이 극성이며 비친핵성인 세린으로 바뀌는 돌연변이가 발견되었다 (C797S 돌연변이). 새로운EGFR T790M/C797S 돌연변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새로운 대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기존의 촉매 부위 저해제와 달리 알로스테릭 부위 저해제는 EGFR T790M/C797S 돌연변이에 대한 새로운 메커니즘의 저해제를 제공할 수 있으며 현재의 EGFR 티로신 키나아제 저해제와 병용요법에 대한 다양한 돌연변이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EGFR 알로스테릭 저해제에 대한 전략과 현재의 연구 진행 상황에 대해 논의 할 것이다. Erlotinib (Tarceva) & Gefitinib (Iressa) are currently in clinic use as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kinase inhibitors for non-small-cell lung cancer (NSCLC). However, their clinical efficacy is limited by both their mechanism-based toxicity and the development of drug-resistance mutations, including the gatekeeper T790M mutation. Afatinib, a quinazoline-based irreversible pan-EGFR inhibitor dubbed as second generation EGFR TKI, is limited in wide clinical use due to unwanted adverse effect such as severe rash and diarrhea. Osimertinib is a pyrimidine-based irreversible third generation EGFR-TKI and features selective EGFR T790M inhibition while sparing wild-type EGFR activity. However, recent osimertinib clinical study, various acquired resistances were reported. In particular, polar nucleophilic cysteine mutation into polar non-nucleophilic serine at EGFR 797 position was detected in resistant patients (C797S mutation). To overcome EGFR T790M/C797S mutants, an alternative strategy is attempted. Unlike conventional catalytic site inhibitors, allosteric site inhibitors may provide novel inhibitors for EGFR T790M/C797S mutants and bring different mutational profiles for combination therapy with current EGFR-TKIs. In this study, strategy for EGFR allosteric inhibitors and current research progress will be discussed.

      • 立體造形의 空間構成과 觀客參與 硏究 : 本人의 作品을 中心으로

        이서영 慶星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47

        1945년 이후 여러 미술 상황 중에서, 전통적으로 관객은 예술작품 앞에서 수동적인 역할을 한 것에 비해, Minimal Art와 Kinetic Art는 관객의 능동적 역할로 예술작품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관객의 중재를 요구했다. 실제로 70년대 미술의 대부분이 관객의 현장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에 들어서 複合文化主義 (Multiculturalism)의 槪念이 빈번한 이 시대에 전시공간 속에서 '관객참여'에 의한 작품의 움직임과 그 공간 속에서 또 다른 體驗과 感興을 얻도록 하는데서 연구는 출발한다. 예술이란, 관객과의 '올바른'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작가는 ≪이서영 작업전, 1998≫ 을 '視覺的 反應'과 '身體接觸'을 통해 관객과 작품의 거리를 더욱 가까워지도록 한다. 전시장에서의 경험은 시간의 경과 속에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演劇의 時間性, 즉 經驗의 持續性을 말한다. 이 경험은 미니멀 조각의 특성인 現存性을 가리킨다. 지각의 도구로서의 관람자의 신체는 체험과 인지의 핵심이 되는 것이고, 새로운 시각적, 촉각적 차원에서 인식하는 '열림의 장'을 갖고 예술은 자유, 곧 삶으로부터 現存하는 해방적 자유를 획득하고자 하는 것이다. 작품은 존재의 순환적 교류로서 다양한 경험적 사실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본능적 욕구를 내재한다. 時間속에서 지속되는 경험으로 현재성과 즉시성의 이벤트로 보여지는 것이다. 인간과 기술, 인간과 인간, 인간과 예술 그리고 환경사이의 조화로운 합체와 자연관의 재인식에 의한 예술의 자율적 충동을 섭렵하는 것이다. 작품에서 보여주는 케슈탈트 이론의 반복과 질서를 통한, 宇宙의 秩序를 느낀다. 이 현상을 生命 자체내의 충동으로서 그 근원을 파악한다. 인간의 원초적 조형의식의 흐름과 미술이 환경적 공간으로 지향하려는 과정, 즉 인간과 자연의 통화현상에서 突出되어지는 필연적 樣態임이 자명해진다. 작품의 必要條件이 空間이고, 展示空間 자체를 演出하여 공간의 舞臺化속에서 관객에 의해 부딪혀 일어나는 작품의 움직임, 소리, 놀람 등을 통한 체험의 세계를 즐기는 것이다. 통합된 장에서 관중의 행위를 비심리학적 趣旨와 物理的 움직임, 그리고 공간적 관계로 흡수하고 있으며, 現實空間의 전체를 原動力으로 하여 변경된 현실을 창조하고 나아가서 환경과 도시 생활까지 범주를 확장시키고자 한다. 또 이 體驗된 世界에서 관객은 작가의 의도된 메시지를 통해 '正體性'을 느끼는 것이다 그것은 관객이 작가의 메시지를 작품을 통해 전달받으면서, 관객 또한 獨立的인 存在임을 確認시켜 주는 작업이다. 그래서 일반적인 전시장에서 볼수 있는 캐치플레이어인 "손대지 마시오!"에서 "손 대시오!"로 바꾸어서 각각의 작품은 작가의 Message를 전달하는 'Identity'로 본다. 또한 작가는 환경이란 배경 속에서 작품을 人間과 自然의 '媒介體'라 칭한다. 완성된 작품과 관객과의 만남은 다양한 교류가 유발되고, '體驗된 世界'에서 또 다른 槪念의 擴張으로 이어지게 하는 것이다. 각 작품은 첫째, 抽象性을 부각시키는 형태의 분류와 立體造形의 형태를 연구하여, 작가의 의도를 보여주는 형태를 설명한다. 둘째, 연출된 展示空間 속에서 작품과 작품의 연계성에 의해 '재미'와 '흥미'를 느낀다. 셋째, 관객은 現存性을 통한 정체성을 깨닫게 된다. 관객이 자연스러운 전시공간 속에 들어와 '日常'이 아닌 '非日常'의 세계를 보고 재미와 흥미를 느끼기를 연구자는 바란다. Since 1945, the start of the modern art, both Minimal Art and Kinetic Art have been playing an intermediate role to enable the viewers to participated actively in the works of art. Actually, most of 70's art emphasized the viewers to be on the spot no matter where there was any work of art. Multiculturalism has often appeared in the art field, recently. This study starts to motivate viewers to take part in the works of Minimal Art in the exhibition by experiencing and enjoying their mobility and dynamic spaces. It bases on the idea that art should keep a "proper" relationship with its viewers <Lee, Seo-Young's Workshop, 1998> was invented to help people to come closer to the works through a visual response and a body contact with them. We can experience th works of Minimal Art as time goes by. This means the characteristic of time appeared differently by designing the exhibition in a different way. In other words, it is regarded as a unique character of an experience. These experience points out 'presentness' that is a character of Minimal sculptures. Human body, as a perceptual tool, could become a core of the experience and the perception. Moreover, it could meet 'Open stage' perceived in a visual and tactile dimension. The ultimate goal of Minimal Art is to obtain the freedom of art and the liberation from our lives, furthermore. The works involve the instinctive desire to perceive and express a variety of experience as a repetitive interchange of being. They could be shown as an event of 'Present' and 'Instant' existed in a rhyme of time. We could accept the harmony and artistic free will between human being and technology, between a person and a person, between a person and art, and between a person and an environment. We can feel the order of this universe from the works through Gestalt theory, the repetition and the order. We learn the origin of power by understanding this as an impulse of a life itselt. Through this process, the human beings' basic consciousness that tends to pursuit of being formed and the procedures that art seeks for being an environmental space are necessarily appeared as human being and the nature are obviously harmonized. Space is an essential condition for art works. An exhibition space is designed to be a place where viewers can enjoy experiencing the move, the sound, and the surprise caused by their visual responses and body contacts with works of art. This unified space would absorb the viewers' behavior as an unintentional, physical movement and the relations between spaces. In addition, it would like to create a new reality by using the entire presented space and to extend the reality to a city environment. Furthermore, the viewers could feel an identity through the artist's intention in such an lived-world. This is a process of work that the viewers receive, a message from the artist and discover themselves as independent beings. Each of the works are regarded as 'Identity' reflecting the artist's message. The artist calls the art works with an environment setting an 'Intermediate' of the human beings and the nature. When viewers meet the a works of art, they could enlarge their understanding of the works and connect themselves with a differentiated idea in such 'Lived-World'. Each work shows a classification of a formation that stands out its ambiguity and three dimensional form first of all. This also explains the artist's intention for formation. Secondly, all pieces are linked one another in a directed space and it brings the people to have an interest. Thirdly, the viewers will realize their own identity through the feeling of 'presentness'. We will examine the result of the study while analyzing each piece of the works in the previously suggested order. The artist hopes that the viewers can meet 'non-routine life' instead of 'routine life' and enjoy it in the natural space of the exhibiton.

      • 토끼 두개골에서 PRP가 B-TCP의 신생골 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서영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Seo Young Lee, D.D.S. Esthetic Restorative Dentistry, Graduate School of Clinical Dentistry, Korea Univ. ( Director : Professor Jae-Jun Ryu, D.D.S., M.S.D., Ph.D. ) Addition of platelet-rich plasma(PRP) to grafting material has become widely accepted additively for bone regeneration because it can raise high expectations on jts clinical potentia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PRP on early bone regeneration of rabbits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beta tricalcium phosphate. In ten rabbits, the calvarium was exposed and the four marrows were penetrated. After then these artificial bone defects were augmented with Autogenous bone and β-TCP with or without PRP and covered.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fter eight weeks. Histologic findings were observed under the light-microscope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was performed by measuring calcified area of new bone formation within the CSD. They demonstrated that new bone formation tended to be produced along the outline of graft materials. More amounts of newly bone was regenerated in combination of Autogenous bone with PRP than Autogenous used only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tra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β-TCP only and β-TCP with PRP groups in the relative amounts of newly mineralized bone. Withi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PRP in combination with β-TCP showed a positive effect on bone regeneration somewhat but statistically it was not significant.

      • 무용치료 대학원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 전공몰입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서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Understanding the effect of major-related factors on career decisions is a study that must be conducted for activities as an expert with a clear sense of goal in career. This study aims to explore effective career decision-making measures by grasping the influence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dance and movement therapy on major selection motivation, major satisfaction, and major commitment to career decis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master's and master's graduates majoring in dance and movement therapy.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10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dance and movement therapy chose a major in dance/movement therapy to match their aptitude and secure knowledge. The degree of immersion in the major was very high, and it was found that they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major. However, due to the lack of information related to employment and the low employment rate, job-related satisfaction was very low. This is because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r employment-related activities on dance and movement therapy majors due to the low awareness and proportion of dance and movement therapy majors, and the small number of students. Therefore, dance and movement therapy majors need to increase their awareness through active publicity and professional and popular programs.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further expand the career range for dance majors by grasping the satisfaction of dance and movement therapy majors and forming career progress.

      • 팬플루트의 역사적인 고찰 및 연주기법에 관한 연구

        이서영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6천 년 이상 존재해 온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악기인 팬플루트(Panflute)는 목가적이고 자연 친화적인 음색으로 인간 내면의 소리와 가장 흡사한 소리의 파장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팬플루트 연주에 감동을 받게 되고 열광을 하게 되는 것이다. 팬플루트는 세계 여러 나라에 분포가 되어있었음을 알 수 있는데 루마니아에서는 나이(Nai), 안데스 지방에서는 시쿠(siku), 중국에서는 파이샤오(排箫, Paixiao), 라오스와 타이에서는 와트(Wot) 등으로 불리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백제시대 때 유물인 백제금동대향로(국보 287호)에서 배소를 연주하는 여 악사의 모습으로 보아 우리나라에서도 팬플루트의 모양을 가진 악기가 있었음을 알 수가 있다. 이렇듯 팬플루트는 아주 오래전부터 세계 여러 나라에서 연주가 되었고 오랜 시간을 지나 현대에 이르고 있다. 게오르그잠피르(Gheorghe Zamfir, 1941~현재)를 비롯해 훌륭한 팬플루트 연주가들이 배출되었고, 그 연주곡들은 수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고 있으며 팬플루트를 연주하려는 사람들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다른 생활 악기들에 비해 불기 어렵다는 선입견이 있어 상대적으로 팬플루트를 연주하는 인구는 그리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팬플루트의 저변확대를 위해 누구에게나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방법들을 다음과 같이 연구 제시하여 보았다. 첫째, 팬플루트의 역사를 각 나라 별로 출토된 자료와 함께 제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팬플루트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고대 그리스신화를 통해 팬플루트 탄생에 대한 문학과 미술, 음악 작품에 대해 살펴보며 팬플루트의 친근한 이미지를 제시하려 하였다. 셋째, 팬플루트의 구조와 명칭, 선택과 관리, 조율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소리의 원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넷째, 연주기법에서 팬플루트만의 특징적인 소리의 표현을 위한 텅잉(Tonguing)과 호흡량을 풍부하게 해주어 안정감 있는 연주가 될 수 있게 해 주는 중요한 부분인 롱 톤(Long tone) 연습과 대나무의 매력적이고 호소력 있는 음악을 표현하는 중요한 연주 주법인 풀 톤(Full tone) 연습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섯째, 세련되고 풍부한 음색과 팬플루트 특유의 깊으면서도 화려함이 돋보이는 느낌을 만들어 주는 비브라토(vibrato)에 대해 알아보았다. 여섯째, 좋은 연주를 위해 꼭 필요한 아티큘레이션(Articulation)과 리듬표현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감칠맛 나는 연주기법인 벤딩(Bending)에 대해 알아보았다. 일곱째, 텅잉과 함께 가장 어려운 부분인 관의 이동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풍부한 호흡량을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한 부분인 복식호흡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논문을 통해, 팬플루트가 듣는 악기로서의 한계를 넘어 누구에게나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고, 누구나 쉽게 연주할 수 있는 악기로 거듭나 진정한 생활 악기로 자리매김하여 팬플루트를 활성화할 수 있는 초석이 될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The world's oldest musical instrument, the panflute, which has existed for more than 6,000 years, has an idyllic and nature-friendly tone with a sound wavelength most similar to that of the human inner voice. Because of this, many people are moved and enthusiastic about playing the pan flute. It can be seen that the panflute was distributed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Nai in Romania, siku in the Andes, Paixiao in China, and Wot in Laos and Thailand. Also in Korea, the appearance of a female musician playing the roast in the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 (National Treasure No. 287), a relic from the Baekje period, shows that there was an instrument with the shape of a panflute in Korea. As such, the panflute has been played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from a very long time ago, and it has reached the present day after a long time. Gheorghe Zamfir (1941-present) and other great panflute players have been produced, and their performances have moved many people, and the number of people who want to play the panflute is on the rise. However, there is a preconceived notion that it is difficult to blow compared to other living instruments, so it can be seen that relatively few people play the panflute. Therefore, in this thesis, methods that can be approached in a friendly way to anyone to expand the base of the pan flute were studied and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history of the panflute was presented along with the data excavated by each country, and the types of panflutes were investigated accordingly. Second, I tried to present a friendly image of the panflute by examining literature, art, and music about the birth of the panflute through ancient Greek mythology. Third, the structure, name, selection, management, and tuning of the panflute were investigated, and the principle of sound was studied. Fourth, in the performance technique, tonguing for the expression of the characteristic sound of the panflute and long tone practice, which is an important part that enriches the breathing volume and makes a stable performance, and the attractive and appealing effect of bamboo We learned about the full tone practice, which is an important performance technique to express the music. Fifth, we looked into vibrato, which creates a sophisticated and rich tone and deep and splendid feeling unique to the panflute. Sixth, articulation and rhythm expression necessary for good performance were investigated, and a savory performance technique, bending, was investigated. Seventh, the movement of the tube, which is the most difficult part along with tonguing, was investigated, and abdominal respiration, which is an essential part to create an abundant breathing volume, was investigated. Through this thesis, the panflute can be approached friendly to anyone beyond its limitations as a listening instrument, and can be reborn as an instrument that anyone can easily play, establishing itself as a real life instrument and becoming a cornerstone for vitalizing the panflute. I hope it will be a resource.

      • 전기노인의 성공적 노화정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도시와 농촌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서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전기노인의 성공적 노화정도가 삶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러한 영향이 도시와 농촌지역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분석을 위하여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만 65세 이상 75세 미만 전기노인 총 4,029명을 대상으로 전국 17개를 시·도 중 7개 특별 광역시를 제외한 9개 지역을 동부와 읍·면부로 나뉘어 도시와 농촌으로 비교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학적 특성과 주요 변수에 대한 비교를 위하여 T-test 및 χ₂ test를 실시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성공적노화와 삶의 만족도 관계와, 도시 농촌간의 비교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신체적 측면에서 주관적 건강이 두 거주지역 모두 유의미하게 나오며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적 측면에서 자녀 연락 빈도는 두 거주 지역 모두 유의미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도시 전기노인들에게는 자녀의 연락빈도보다 만남빈도가 더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고 농촌 전기노인들에게는 왕래가 적은 자녀보다 가까이 있는 친구,이웃 연락빈도가 더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와 농촌 전기노인의 성공적 노화가 삶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향상을 위하여, 노인의 연령 재정립에 관한 문제점과거주지역에 따른 의료서비스 등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