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고분 출토 청동용기 연구

        金 旼 柱(Kim, Minju) 부산고고학회 2015 고고광장 Vol.- No.17

        본고에서는 신라 내에서 일정한 변화와 발전을 보이는 신라고분 출토 청동용기의 변화 ․발전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신라고분 출토 청동용기 중에서도 시기에 따른 변화상이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나는 정(鼎), 초호(鐎壺), 초두(鐎斗), 울두(熨斗), 합(盒)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각 기종별 형식분류를 바탕으로 청동용기의 유구별 공반양상을 살펴 단계를 설정하고 이를 기존의 신라고분 편년안과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 신라고분 출토 청동용기의 전개양상을 크게 2 단계로 구분 할 수 있었다. Ⅰ단계는 신라고분에서 처음 청동용기가 등장하는 시기로 황남대총 남분에서 시작된 청동용기 부장 양상이 황남대총 북분, 금관총 등의 주로 5세기 대의 고분에서 이어지며 6세기에도 일부 지속된다. Ⅱ단계는 청동용기의 형식과 부장양상에서 앞서 살펴본 Ⅰ단계와는 구분되는 변화를 보인다. 즉, Ⅰ 단계와는 다른 형식의 청동용기들이 Ⅱ단계에 들어서면서 나타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입과 생산에 관한 문제를 다루었다.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기 위해서 이입과 생산에 대한 몇 가지 가설을 설정하여 모식도로 나타내고 이를 신라고분 출토품에 대입하여 살펴보았다. 그결과, 크게 4가지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이입품이다. 외부(원산지)에서 동일한 형식이 확인되는 경우와 동일한 형식이 직접적으로 확인되지는 않지만 속성 ․일괄관계 ․명문 등의 분석을 통하여 외부(원산지)에서 이입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둘째, 전세를 거친 이입품이다. 외부(원산지)의 청동용기가 1세기 정도의 전세를 거친 후 신라고분에 부장되는 경우이다. 셋째, 모방생산품이다. 외부(원산지)의 영향을 받아서 출토지(신라)에서 모방하여 생산하는 경우이다. 형태는 외부(원산지)와 동일하지만 제작방식이 다른 것과 제작방식은 외부(원산지)와 같지만 형태가 다른 것이 있다. 넷째, 자체생산품이다. 출토지 (신라)에서 자체변화를 거친 후, 출토지(신라)만의 개성을 가지는 청동용기가 생산되는 경우이다. 이입품과 비교하였을 때 형태와 제작방식이 모두 차이를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further examinations into any changes and developmental aspects of bronze vessels excavated from ancient tombs of Sill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certain bronze vessels excavated from ancient tombs of Silla (e.g. jeong [鼎], choho [鐎壺], chodu (鐎斗), uldu (熨斗) and hab (盒). On the basis of such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phased characteristics and temporal changes of bronze vessels excavated from ancient tombs of Silla. As a result, the bronze vessels excavated from ancient tombs of Silla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wo phases: Phase is a period at which bronze vessels began to appear in ancient tombs of Silla for the first time. During Phase , bronze vessels began to appear in Q1, 6th century and were mostly discovered from ancient tombs established in Q2, 6th century. Finally, this study addressed questions about historical introduction and production of bronze vessels in ancient tomb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are the following 4 cases of bronze vessels introduced or produced: First, some bronze vessels were introduced from foreign countries (origins). These vessels can fall broadly into two types. Secondly, some bronze vessels were chartered from foreign countries (origins) for about 100 years before their burial in ancient tombs of Silla. Thirdly, some bronze vessels of ancient tombs in Silla were influenced by and modeled after those made in foreign countries (origins). Fourthly, some bronze vessels were produced with original characteristics of excavation site (Silla) after they were independently changed there. This case of vessels is different in form, detailed properties and making method from those introduced from foreign origins.

      • KCI등재

        5世紀代 釜山地域 墳墓出土 大壺의 副葬樣相과 意味

        裵孝元(Bae, Hyo Won) 부산고고학회 2018 고고광장 Vol.- No.22

        대호는 기본적으로 50cm 이상이며, 기벽이 0.7cm 이상으로 단경호나 장경호에 비해 두껍다. 색조는 주로 (암)청색이고 속심은 자색을 띠며 타날을 한 뒤 회전물손질로 깨끗하게 지운다. 특히, 기대 위에 얹혀서 부장되는 장경호·단경호와는 달리 대호는 피장자의 발치에 구덩이를 파서 안치되어 장경호·단경호 등 他 壺類와는 다른 부장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착안하여 장경호·단경호와 대호를 구분하는 기준을 마련하였다. 부곽이나 피장자의 발치에 구덩이를 파서 대호를 안치하는 습속은 전대의 고식도질토기단계부터 이어져온 부산지역 고유의 매장방식이다. 5세기 전반대에 일시적으로 확인되지 않으나 복천동39호분 등 대형분을 중심으로 그 습속이 다시 이어지며 6세기를 전후한 시점에 사라진다. 이는 5세기 2/4분기 후반대부터 부산 식고배를 지속적으로 창출해내며, 호류를 기대에 얹어서 대량으로 부장하는‘부산식 기종조합’의 존속기간과도 일치한다. 즉,‘부산식 기종조합’이 의연히 傳承되는 5세기대의 부산지역은 타지역 토기양식과는 차별화 된 신식도질토기문화를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sically, The large-sized jar is larger than 50cm and thicker than 0.7cm, which is thicker than short-necked jar and long-necked jar. The color tone of large-sized jar is mainly (dark) blue, and internal component is purple, and it was cleared turning after paddle and anvil. Especially, the large-sized jars burial custo m is different from long-necked jar · short-necked jar. The unique burial custom in Busan region were found such as Busan-style mounted dishes, the combination of pottery stand and jar, and large-sized jars around feet in large tombs. Based on this, large-sized jars and long-necked jar · short-necked jar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e tradition that dig a hole at the feet of the buried person and set the large-sized jar is unique to the Busan area that has continued from the former early-stlye pottery stage. Although it was temporarily disappearing in the first quarter of the 5th century, and the tradition continues again as Bokcheon-dong tombs No.39, etc. The tradition is finally disappearing around the 6th century. In the late second quarter of the 5th century, the unique burial custom in Busan region were found such as Busan-style mounted dishes, the combination of pottery stand and jar, large-sized jars around feet in Bokcheon-dong tombs. In other words, Busan region, which has traditional combination of “Busan style pottery was found to have different pottery styles from other regions.

      • KCI등재

        한반도 출토 통형동기와 자루의 접속방법

        細川 晋太郞(Shintaro, Hosokawa) 부산고고학회 2010 고고광장 Vol.- No.6

        본고에서는 한반도에서 출토된 통형동기와 자루의 접속 1) 방법에 대해 검토했다. 우선 통형동기의 내부에 자루가 양호하게 잔존하는 자료의 관찰을 통해서 세별 4류의 접속방법이 있는 것을 밝혀 접속에 임해 자루의 하부에 어떠한 가공이 베풀어지고 있을까에 주목했다. 그 결과 자루는 장부상( 狀) 2) 으로 만들어져 그 하단은 구연부내로 들어가 통형동기의 내부에 공간을 확보하도록 접속되고 있으므로 동요(動 搖)를 주는 것에 의해서 소리를 발생시킨다고 하는 통형동기의 기능과의 관련성을 상정했다. 또 통형동기의 형태와의 관계성에 대해서도 검토해 통형동기에는 다양한 형태차이가 있는 한편, 자루의 접속방법이나 자루의 하단이 멈추는 위치 등에 있어 강한 규칙성을 찾아낼 수 있었다. 그러한 상황으 로부터 통형동기의 형태차이에 관계없이 통형동기의 기능이나 부여된 성격 등에 관한 정보가 대체로 공유되고 있었던 가능성이 높은 것을 지적했다. In this paper, I examined how to connect a tub-form bronze ware and a handle excavated in Korea Peninsula. First, observing the handle which is well preserved in the tub-type bronze ware, I defined that there are 4 kinds of connection method and focused on some process on the bottom of the handle when connected. As a result, the handle was made on tenon form and it insert into a hole with securing space. It has relevance to the function making a sound with flourishing. In addition, even though tub-form bronze ware comes in various forms, there is strong regularity in the connection method and stopped position of the bottom of the handle. From such situation, the information about the function or the character should be mostly shared, irrespective of the form difference.

      • KCI등재

        한·중 마구 비교를 통한 삼국시대 고고학 편년 조율

        김일규(Kim, Il Kyu) 부산고고학회 2021 고고광장 Vol.- No.29

        삼국시대 동아시아 마구는 전체적인 변화 발전의 틀에서 많은 공통속성이 확인되어 표준연대자료의 확보에유효하다. 양진-16국시대의 마구를 검토하여 편년의 기준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삼국시대 마구와 비교하여 삼국시대 고고학 편년 조율을 시도하였다. 동오·서진 마구에서 등자의 발명은 마구 역사에서 획을 긋는 사건이었으며, 등자와 고안교 안장의 조합은 1인기승의 보편화를 의미한다. 동진대에는 쌍등과 고안교 안장의 조합으로 개마중갑기병이 확산하는 틀이 마련되었고, 1인 기승 마장 체제를 확립하였다. 16국 시기 삼연 마구는 전통적 속성, 중원적 속성 및 중원 마구가 삼연 문화 체제 내에서 변용된 속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중원을 원향으로 하는 중원적 속성과 변용적 속성이 대부분이다. 금동제 등자, 쌍봉문과 승문을시문한 행엽과 안장 장식 및 판비는 중원을 원향으로 하는 마구 속성이다. 삼연 마구의 경우 삼국시대 등자의 시원인 금속판으로 보강한 목심 등자를 비롯하여 지판과 장식판을 덧댄 구조의 판비와 행엽은 상한이 370년대로편년된다. 중원지역에서 철제 개마중갑기병은 16국 시기에 본격화하였다. 마주의 비교에서 고구려와 가야는 각각 4세기 중엽과 4세기 말에 전연의 것을 받아들였지만, 고구려는 4세기 말에 중원의 것도 수용하여 고구려 독자의 양식을 완성하였다. 가야와 신라는 광개토왕 경자년 남정을 계기로 마갑과 마주 조합이 완비된 개마중갑기병 체제를 갖추었다. 양진-16국시대 마구와 삼국시대 마구를 비교한 결과, 권운문와당의 간지 기년을 4세기 전반으로 한 고구려 고고학 편년, 가락동 2호분의 조영 시점을 3세기 후반으로 하는 백제 고고학 편년, 황남대총 남분을 내물왕 무덤으로 비정한 신라 고고학 편년을 당해 시기 한·중 마구에 적용하면 동아시아 고대 마구의 역사는 물론 세계 마구의역사도 다시 써야 한다. 그렇지만 권운문와당 간지 기년을 4세기 후반, 가락동 2호분을 4세기 말, 황남대총 남분을 눌지왕 무덤으로 하는 편년을 양진-16국시대 중국 마구 편년에 적용하면 괴리가 거의 없다. The harness, which was used in East Asia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has been confirmed to have many common attributes in terms of the overall framework of changes and developments, showing that it is valid for obtaining data on standard chronology. It has obtained reference data for chronology by reviewing the harnesses of East and West Jin Dynasty-16Guo Dynasty for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which led to an attempt to coordinate chronology in archaeology on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The invention of stirrups in the East Wu·West Jin harness was an epoch-making event in the harness history, and the combination of stirrups and high saddles means the generalization of single-person horse riding. The framework for the spread of the heavy cavalry was established by a combination of the double-stirrups and high saddles in East Jin, resulting in establishing the system of single-person horse riding. The attributes of SanYan harness of 16Guo Dynasty are divided into a traditional attribute, a Chinese Zhongyuan-based attribute, and a transformational attribute of the Chinese Zhongyuan harness transformed within the system of SanYan culture, but in most cases, the Chinese Zhongyuan-based attribute according to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and the transformational attribute apply. gilt-bronze stirrups, Harness pendants decorated with two phoenixes, etc., saddle ornaments, horse bits ar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harness attributes in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In the case of the SanYan harness, all of the horse bits and harness pendants structuralized by plates and ornamental plates, including wooden stirrups reinforced by the metal place, the origin of stirrups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are known to be in the 370s as terminus post quem. In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heavy cavalry began in earnest in the 16Guo Dynasty. The comparison of horse helmets have shown that Goguryeo and Gaya accepted the ways of QianYan in the mid-4th century and late 4th century, respectively, but Goguryeo completed its own style by accepting those of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in the late 4th century. Gaya and Silla established a system of heavy cavalry with a complete combination of horse armors and helmets with Goguryeo’s southward conquest as a momentum.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harness of East and West Jin-Dynasty-16Guo Dynasty with that of the Three Kingdoms have suggested that applying chronology on the Goguryeo archaeology in which the GanJi (干支) script of cloud-pattern the roof-end tiles was from the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chronology on the Baekje archaeology in which the construction period of Garakdong Tomb No.2 were from the late 3rd century, and chronology on the Silla archaeology in which Hwangnamdaechong nambun was designated as the tomb of King Namul to the harnesses of Korea and China in those days, not only the history of ancient harnesses in East Asia, but also that of harnesses in the world should be written. But, applying chronology on the GanJi (干支) script of cloud-pattern the roof-end tiles from the late 4th century, on Garak-dong Tomb No.2 from the end of the 4th century, and on Hwangnamdaechong nambun designated as the tomb of King Nulji to chronology on the Chinese harness in East and West Jin Dynasty-16Guo Dynasty, there is almost no gap among them.

      • KCI등재

        영남지역 묘역식지석묘의 특징과 구산동지석묘의 성격

        이수홍(Soo Hong Lee) 부산고고학회 2023 고고광장 Vol.- No.32

        영남지역의 묘역식지석묘를 검토하고, 구산동지석묘의 특징과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영남지역에는 현재까지 56곳의 유적에서 340여기의 묘역식지석묘가 조사되었다. 묘역식지석묘는 영남 각지에 분포한다. 청동기시대 전기의 늦은 시기에 출현하여 초기철기시대까지 지속적으로 축조되었다. 청동기시대 후기에는 거대한 묘역식지석묘가 군집을 이루어 축조된다. 이 시기는 거대한 묘역식지석묘가 계층화의 과정을 보여주지만, 아직 완전한 불평등사회로 진입한 것은 아니다. 초기철기시대가 되면 불평등사회로 진입하면서, 공동체를 위한 것이 아닌 1인을 위한 무덤이 축조되는데 무덤군에서 거대한 묘역식지석묘는 단 1기만 축조된다. 구산동지석묘는 그 규모에서 압도적인 거대함, 무덤군에서 1기만 촌재하는 묘역식 무덤, 상석이 묘역에 직교하고, 매장주체부가 목관(木棺)이며, 출토유물이 기존의 지석묘 출토유물과는 이질적인 옹(甕)과 두형토기(豆形土器)라는 특징이 있다. 초기철기시대에 축조된 것이 확실하며 무덤으로 축조되었다. 김해지역에 새로운 이주민의 정착이 늦어진 것은 구산동지석묘를 축조할 만큼 강력한 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구산동지석묘는 초기철기시대 재지민이 축조한 최후의 군장묘이다. 청동기시대가 끝나는 전환기에 변화를 받아들이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후 청동기시대는 종언하고 새로운 시대가 개막한다.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dolmens with a boundary in the Yeongnam region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nature of the Gusan-dong Dolmen. In the Yeongnam region, approximately 340 dolmens with a boundary were investigated at 56 relics. The distribution of dolmens with a boundary covers the entire Yeongnam region. They appeared in a relatively late period of the former part in the Bronze Age and continued to be constructed until the early Iron Age. Entering the latter part of the Bronze Age, large-scale dolmens with a boundary were built in clusters. This period witnessed the stratification process of such large-scale dolmens with a boundary, but they had not entered a completely unequal society yet. Entering the early Iron Age, they entered an unequal society and built graves for individuals rather than the community. Only a large-scale dolmen with a boundary was built for a grave group. The Gusan-dong Dolmen is characterized by its overwhelmingly vast size, its uniqueness as the only dolmen with a boundary in the grave group, its stone stable orthogonal to the grave boundary, its wooden coffin for the subject of burial, and its artifacts heterogeneous from the ones of the old dolmens including jars and pedestal vessel pottery. There is no doubt that the dolmen was built as a tomb in the early Iron Age. The settlement of new migrants in the Gimhae area was late because there was a force that was powerful enough to build the Gusan-dong Dolmen in the area. The Gusan-dong Dolmen was the last chief tomb built by local people in the early Iron Age, displaying their acceptance of changes during a transitional period at the end of the Bronze Age in a symbolic way. It marked the end of the Bronze Age and opened a new age.

      • KCI등재

        編年‧分期에서의 型式學的 접근 사례에 대한 비판적 검토

        김두철 부산고고학회 2015 고고광장 Vol.- No.17

        The typology of Montelius has established as an effective method for chronology by verifying a vestigial part and artifacts buried concurrently. As it is introduced to Korea via Japan, it has played a large role in chronology of archaeological data in the situation of a lack of the absolute date. Meanwhile, unconditional viewpoint of the theory of evolution has sometimes been impediment to analysis real archaeological data. In this paper, I indicate problems in two sides about this. Firstly, the problem of typological attribution analysis that is already used in a lot of papers. This is the method to identify the phase and chronology of artifacts through more microscopic relation of attributions and artifacts than a method of Montelius to verify the contemporary relation of artifacts and features. It is not suitable because it overlooks the principle of series and frequency of the sequence dating of Petrie. Secondly, It is pointed out that gap between classes of region or individual is ignored to be weighted toward the viewpoint of the theory of evolution in chronology. As appears by the periphery theory, the periphery area used more older artifacts than the centre area regionally. More newer artifacts are buried in the tomb of the elite class than the tomb of lower class. By giving various examples about this, some points to be payed attention are indicated. About the former, the method is proposed that the type is set by relation and combination of attributions and it is verified through artifacts buried concurrently. About the latter, an artifact of one type as well as artifacts buried concurrently must be reviewed synthetically and it should be understood in context. 몬텔리우스의 형식학은 진화론에 입각한 흔적기관의 검증 외에도 일괄유물에 의한 검증을 거침으 로써 고고자료를 편년하는데 유효한 방법론으로서 확립되었다. 이후 일본을 거쳐 우리나라에 소개되 면서 역연대 자료가 결락된 우리의 고고유물에 대한 시간성을 정하는데 큰 역할을 해왔다. 그 한편 으로 이러한 맹목적 진화론의 관점은 실제의 고고유물을 해석하는데 장애가 되는 부분도 적지 않다. 본고에서는 이에 대해 두 가지 측면에서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하나는 최근 여러 논문에서 활용되고 있는 소위 형식학적 속성분석법에 대한 문제점이다. 이 방법 은 몬텔리우스가 유물-유구에서 일괄관계를 검증하던 방법을 보다 미시적인 속성-유물의 관계를 통해서 유물의 단계와 편년을 구하고자 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페트리의 계기연대법에서 제시된 편 년원리를 빌린다면 연속의 원리와 빈도의 원리를 간과하고 있어 적절치 않다. 또 하나는 편년에 있어 너무 진화론의 관점에만 경도되어 지역 간 혹은 개인 간의 계층 차이를 간 과한 것에 대한 지적이다. 지역적으로는 周圈論에서도 알 수 있듯이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주변지역 은 중심보다 오래된 유물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마찬가지로 최상위 엘리트의 무덤에서는 하층민에 비해 최 신식의 유물을 부장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한 여러 사례들을 들어 편년에서 주의해야 할 점들을 환기시키고자 하였다. 전자에 대해서는 속성의 상관과 조합을 통해 형식을 설정하고 이를 일괄유물을 통해 검증할 것을 방법론으로 제시하였다. 후자에 대해서도 한 형식의 유물만이 아니라 일괄유물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맥락 속에서 파악할 것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대구 월배지역 송국리문화 유입 시점 검토

        이수홍 부산고고학회 2019 고고광장 Vol.- No.24

        We reexamined chronology of the Bronze age in Daegu region by analyzing the residential sites excavated in the ruins at the Wolbae area of Daegu. In this study, we estimated time when the Songguk-ri culture of the Bronze age spreads in Daegu and analyzed the archaeological indicators of beginnings of the latter half. A total of 209 dwelling sites at the Wolbae area were examined. There were 53 sites which had no traces of a fireplace, or only one. They are squares, all of which can be scaled except for residential sites of the Huam-ri and Songguk-ri type those’re clearly known as the latter half.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residential places with traces of a fireplace were all landmarks of the first half of the Bronze age. But this dwelling style had been observed not only in the first half, but also in the latter half of the Bronze age. There was no Huam-ri type dwelling site in square version, but a Songguk-ri(Dongcheon-ri) type in circular version was only found in the residential ruins in the Songguk-ri culture stage at the Wolbae area. Although the Songguk-ri culture was propagated late in the Wolbae area, Daegu area had already entered into the late society of the Bronze age when the Songguk-ri culture spread. The first criterion to judge the indicators of the latter half of the Bronze age is not the occurrence(propagation) of Songguk-ri culture, but the existence of the crowded residence with single fireplace. The reducing size of the dwelling sites was a phenomenon that occurs in all the remains and reflects changes in society as a whole. The Wolbae alluvial fan area’s geographical features with easy drainage would have caused dry-field farming. It is the reason why the Songguk-ri culture, which was based on a rice crop spread late in the Daegu region. 대구 월배지역에 분포하는 유적에서 조사된 주거지를 분석하여 청동기시대 편년을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근거로 월배지역에 송국리문화가 유입된 시점과 후기 시작의 고고학적 지표를 살펴보았다. 월배지역에서 조사된 주거지는 모두 209기인데 그 중 명확하게 후기로 알려진 휴암리식·송국리식주거지를 제외하면 노지가 없거나 1개인 방형계 주거지는 83기인데 그 중 잔존상태가 양호해 규모를 파악할 수있어 분석의 대상이 되는 것은 53기이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노지가 있는 주거지는 모두 전기의 표지적인유구였지만, 53기의 주거지를 검토하여 이런 주거가 전기뿐만 아니라 후기에도 계속 이용되었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월배지역의 송국리문화 단계에는 방형의 휴암리식주거지가 1기도 없고, 원형의 송국리식주거지만 확인된다. 월배지역은 송국리문화가 늦게 유입되었는데, 이 때는 이미 이곳이 후기사회로 진입된 이후였다. 청동기시대 후기 시작의 제 1지표는 송국리문화의 유입(전파)이 아니라 단수의 노지를 가진 주거가 군집하는 것이다. 주거지 규모 축소는 모든 유적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사회 전반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이다. 월배선상지는 배수가 용이한 지형적 특징으로 인해 밭농사가 주로 이루어졌을 것이다. 수도작이 용이하지못한 지형적인 특색은 발생지에서의 거리, 이 지역 전기문화의 전통성과 함께 송국리문화가 늦게 전파된이유의 하나이다.

      • KCI등재

        4∼5世紀 慶南地域 취락 출토 연질토기의 지역성 검토

        조성원(Cho, SeongWon) 부산고고학회 2016 고고광장 Vol.- No.19

        Pottery culture study of the 4th and 5th centuries, Gyeongnam area has focused on time classification, regionality of hard earthenware which was unearthed from the tomb. However, this is only one side of the pottery culture to see, there are limitations on the restoration of ancient society with the pottery culture. Therefore, a study on the pottery for Used in daily life in the past is needed to really understand the pottery culture. There are some studies those leave much to be desired on a particular topic with steamer or cooking, such as specific models. It’s supplemented the research results and reviewed the regionality for A comprehensive approach to soft earthenware excavated from Gyeongnam area in 4th and 5th centuries. There are distributed two soft earthenware culture region of eastern and western. The eastern region corresponds to three districts of Busan, Gimhae, Chanwon. Pottery excavated at settlement consists mainly of members those are round bottom pottery with a long body, ‘一’- shaped steam vent pottery serial steamer with a long body, small pottery, horn-shaped jar handles etc.. But flat bottom pottery with a long body, boul steamer with circle steam vent, pottery bowl shape, small Pottery, truncated horn-shaped jar handles are the central kind of earthenware in Geoje, Jinju, Hadong, Sancheong, Geochang, western region. There are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regions in model configuration and specific form. Haman region is presumed to be the boundaries of these two cultures. But the presence of settlement in Haman is unclear yet. There was a variety of human exchanges along the coast, because it’s identified all soft earthenware of the two cultures in Changwon Seongsan midden and Jinhae Yongwon site, etc.. It s sure that these pottery culture of difference for our daily lives directly relevant to differences in lifestyle. There is a challenge to make clear the current step. It’s considered one of important factors those are the acceptance of the hard earthenware culture what it had been the fashion at that time, the production techniques changes in the process, the persistence of traditional pottery culture, the interactions by relations with surrounding areas etc., causing the soft earthenware cultural differences.

      • KCI등재

        동북아시아 지석묘의 표상 -전통과 변형-

        오강원 부산고고학회 2019 고고광장 Vol.- No.25

        Dolmen is the materialistic expression of the representation in itself for having its capstone revealed above ground. It was in the southern region of Eastern Part of Riaoning Province in China when dolmen first appeared in Northeast Asia, and the early-type was a huge Table Stone type dolmen which materialistically represented its monumental nature. Stone coffin burials were begun to be built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early part of later Lower Bronze Age, and in the posterior part, ditched enclosure appeared as the ditches of specific spaces (sacred spaces), which were endowed with special meanings within the settlement, were carved in and out in a circular manner in a nationwide scale. And a new type of burial pattern called 'Stone coffin tomb with a burial ditch' emerges as the group of Stone coffin constructors applied the idea of ditched enclosure to the Stone coffins. Around this time, dolmen burial type had also affected South Korea, In case of the early part of Upper Bronze Age in Keongsang Province, as a group of Stone coffin tomb with a burial ditch constructors acquired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capstone from dolmen and fill the interior of the ditch with stones, the Burial boundary type dolmen had emerged. However, in areas other than Keongsang Province, the Burial boundary type dolmen had emerged with the intention to display the representativeness inherent to the Capstone and the functional purpose to protect the central part of the burial and resist the heaviness of the Capstone, or by accepting western North Korea's Burial boundary type, regardless of the Stone coffin burial with ditch. Upper Bronze Age, traditional representations of the dolmen were regener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resulted in the grounding of the Burial boundary type and Covering stone type, which is the former type dolmens of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is had led to the emergence of Table stone type, Base type, Pillar stone type, and Stone-circle type dolmen. Dolmens of these types were also utilized as tombs and village signpost stone, as well as monuments and boundary stones of the group. Deokcheon-ri type dolmen can be said to have established a novel representation tradition as it maximized the construction principle of the dolmen when above ground and the composition principle of the Stone coffin when underground. In addition, cup mark and petroglyphs dolmens were also the concepts and ceremonial representations of the dolmens of specific regions in the Korean Peninsula. 지석묘는 상석이 지상에 드러나 있다는 점에서 그 자체로서 표상의 물질적 표현이다. 동북아에서 지석묘가처음으로 출현한 것은 요동 남부인데, 이 지역의 초기 형식은 기념물적 성격을 물질적으로 표상하고 있는 거대한 탁자식 지석묘였다. 한반도에서는 청동기시대 전기 후반 전엽 석관묘가 축조되기 시작하다가, 후엽에 이르면 전국적으로 취락에서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특정 공간(신성 공간)을 도랑을 평면 원형으로 둥그렇게 파 안팎을 구획하여 놓은 환호가 등장하는데, 석관묘 축조 집단이 환호 구획의 아이디어를 석관묘에 적용하게 되면서주구석관묘라는 새로운 무덤 유형이 출현하게 된다. 이 즈음 지석묘제가 남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데, 영남의 경우 청동기시대 후기 초 주구석관묘 조성 집단이 지석묘에서 상석의 표상성을 따오고 주구 내부에 석재를 채우게 되면서 묘역식 지석묘가 출현하게 된다. 다만 영남 이외의 지역에서는 주구석관묘와는 상관없이,서북한의 묘역식이 수용되거나, 매장주체부를 보호하고 상석의 무게를 지탱하고자 하는 기능적 목적과 지상(묘역)에 상석에 부수하는 표상성을 현시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묘역식 지석묘가 출현하게 되었다. 이외 서북한의 묘역식은 동일 세대공동체의 유대 관계를 현시하는물질적 표현으로서 묘역식 지석묘가 출현하였다. 청동기시대 후기 후반에 이르면, 지석묘의 전통적인 표상이 한반도 남부에서 재생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한반도 남부 지석묘의 전기 형식인 개석식과 묘역식이 지상화되면서 출현하게 된 탁자식, 기반식,주형지석식, 위석식 지석묘이다. 이 형식의 지석묘들은 무덤과 마을의 표지석 및 집단의 기념물과 경계석 등으로도 활용되었다. 덕천리식 지석묘는 지상 구조에서는 지석묘의 조성 원리가, 지하 구조에서는 석관묘의 조성 원리가 극대화되어 있는 것이라할수있는데, 새로운 표상 전통의 확립이라할수있다. 이외 성혈과 암각화 지석묘또한한반도특정 지역 지석묘의 관념이자 의례적인 표상이었다.

      • KCI등재

        팽이형토기문화 팽이형옹의 발생과 전개

        오강원 부산고고학회 2022 고고광장 Vol.- No.31

        A top-shaped jar is a artifact representing top-shaped pottery culture. The top-shaped jar is classified into 7 types(A to G types) and 13 styles[(AI style(Seokgyo-ri style), AII style(Pyodae No. 32 style), BI style(Sinheung-dong style), BII style(Namgyeong style), CI style(Chimchon style), CII style(Seoktan-ri style), CIII (Pyodae fourth layer style), DI style(Pyodae second layer style), DII style(Juam-ri style), EI style(Pyodae first layer style), EII style(Juam-ri style), FI style(Masan-ri style), and FII style(Goyeon-ri style)], depending on differences in overall pottery shapes and in the location and detailed attribute of the maximum body diameter. In addition, there is a flat base-similar top-shaped jar which has a vessel mouth similar to a top-shaped jar while the bottom is a flat base. This type of pottery is classified into 4 types (A to D types) and 6 styles according to a pottery shape and a detailed attribute. As the group living in the middle and lower streams of the Daedonggang River functionally improved the ring base plain coarse jar at the end of Gungsan culture in the 12th to 11th century B.C., the AI style of the top-shaped jar emerged. In the mid-9th to early-8th century B.C., AI style was differentiated into B type and CI style, and B type into D type and E type, and then the type gradually changed. In this sense, it is possible to set A type as the emergence pottery and initial types, B to D types as the development and former types, and E to F types, which changes are clearly identified in the double-rimmed vessel mouth and pottery shape, as the latter and transform types. In the case of top-shaped jars, in the early 8th to 7th century B.C., a flat base-similar top-shaped jar emerg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Liaodong region, and at the end of that period, it is confirmed that there existed some potteries with significant changes observed. 팽이형토기문화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유물로는 팽이형옹을 꼽을 수 있다. 팽이형옹은 전체적인 기형과 동최대경 위치 및 세부 속성의 차이를 기준으로 할 때, 7개 형(A~G형) 13개식[AⅠ식(석교리식), AII식(표대32식), BI(신흥동식), BII(남경식), CI(침촌식), CII(석탄리식), CIII(표대4기층식), DI(표대2기층식), DII(주암리식), EI(표대1기층식), EII(주암리식), FI(마산리식), FII(고연리식)]으로 분류된다. 이외 구연부는 팽이형옹과 유사하면서 저부가 평저인 평저 유사팽이형토기가 있는데, 이러한 유형의 토기는 기형과 세부 속성을 기준으로 할 때, 4개형(A~D형) 6개식으로 분류된다. 기원전 12~11세기 대동강 중류하류단의 집단이 궁산문화 말기의 환저무문옹을 기능적으로 개선하면서 팽이형옹 AI식이 출현하였다. 기원전 9세기 중엽~8세기 전엽에는 AI식에서 B형과 CI식이, B형에서 D형과 E형이 분화되었고, 이후 점차적으로 형식 변천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A형을 발생기형과 초기형으로, B형~D형을 발전기형과 전형으로, 이중구연부와 기형 등에서 확연한 변이가 확인되는 E~F형을 후기형과 변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 팽이형옹은 기원전 8세기 전엽~7세기 요동 지역의 영향을 받아 평저 유사팽이형토기가 출현하는데, 말기에는 상당한 변이를 보이는 토기들이 확인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