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공미술에 나타난 조각의 장소특정성 활용방안연구

        이수홍 ( Soo Hong Lee ),김범수 ( Beom Soo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5 예술과 미디어 Vol.14 No.3

        글로벌리즘 시대, 각 나라의 도시공간들이 균질화되어 가는 추세 속에서 장소특정성(site-specific)은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장소 특정적 공공미술은 이러한 몰개성적인 도시공간에 활력을 불어넣고 그 도시만의 정체성을 부여한다. 이렇듯 공공미술에서 장소특정성의 개념이 중요하게 대두되면서 대표적인 공간예술인 동시에 장소적 맥락을 중요시하는 조각에 대한 집중적 논의가 전개되고 있다. 하지만 제대로 조율되지 않은 장소특정성에 대한 무분별한 개념의 확대와 혼용은 이에 대한 소모적 담론과 혼란만 가중시켰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 진행되어온 이전 장소 특정적 공공미술의 한계와 문제점을 되짚어보고 보다 한국사회에 적합한 통합적 패러다임으로서 공공미술이 기능하기 위해 어떠한 접근방식과 논의가 필요한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한다. 이러한 의문에 근거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자는 우선 장소개념에 대한 재규정과 함께 20세기에 다양한 ‘대안적 장소’담론에서 자주 언급되는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장소론에 등장하는 사건(event) 개념과 안느 수리오(Anne Souriau)의 디에제티크(diegetique)의 공간을 철학적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장소 특정적 미술이 각 시대에 나타난 장소 담론들과 어떠한 접점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집중 분석한다. 그리고 위 담론의 대표적 실천 사례인 리차드 세라의 <기울어진 호>와 독일의 뮌스터 조각프로젝트의 장, 단점과 특이사항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우리나라 공공미술 프로젝트가 어떠한 방향으로 전개되어 나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했다. Due to the uniformity of urban spaces in the world caused by globalization, public arts play an important role providing vitality and identity in those non-characteristic cities. Hence, sculpture, highly related to the site specificity among public arts, has been highlighted and intensive discussion is going on. However, the expansion and misuse of the site specificity concept without a detailed discussion and calibration rather increase confusion and useless debates. Then, we can throw a question that what is needed for public arts to function as an integrated paradigm for the Korean society resolving this problem. To answer the question, in this study I first discuss the limit and the problem of the current site specific public arts and reset the concept of the site. Next, I analyze the possibility whether the site specific art can be connected to the concepts of ‘alternative space’ frequently referred in 20th century: the ‘event’from Gilles Deleuze, the ‘diegetique space’ from Anne Souriau. In addition, I analyze pros, cons, and features of ‘Tilted Arc’ by Richard Serra and ‘Sculpture Munster Project’ in German which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above ‘alternative space’ concepts. Based on those analyses, finally, I propose a way how the Korean public art projects should move on.

      • KCI등재

        삼각형점토대토기의 등장과 소멸, 무문토기의 종말

        이수홍(Soo Hong Lee) 영남고고학회 2023 嶺南考古學 Vol.- No.96

        삼각형점토대토기는 최후의 무문토기이다. 영남지역에는 기원전 3세기 말에서 2세기 중엽 사이에 등장한다. 삼각형점 토대 자체는 점토띠를 단단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원형점토대를 누르는 과정에서 만들어지게 되었다. 삼각형점 토대토기와 공반되는 토기들은 여러 요소가 복합되어 등장하게 되었다. 삼각형점토대토기 문화의 등장은 철기문화의 영 남지역 확산과 관련된다. 삼각형점토대토기 단계에는 토기의 기종과 크기가 다양해진다. 이것은 생업과 조리법이 다양해졌다는 것인데 그만큼 생산력이 증대된 것을 의미한다. 잉여생산물의 증가는 ‘國’ 성립의 배경이 되었으며 이런 사회적 배경이 토기에서 기종과 크기의 다양화로 표출되었다. 기원전 1세기 와질토기가 등장하여 무덤에 부장되는데, 다호리유적에서는 기원후 1세기까지 삼각형점토대토기가 부장 된다. 낙동강하류역의 생활유적에서는 기원후 2세기까지 사용되다가 적갈색 연질토기로 대체된다. 무문토기가 적갈색연 질토기로 대체되는 것이다. 삼각형점토대토기의 시작은 본격적인 철기문화의 시작을 의미한다. 삼각형점토대토기의 종말은 무문토기의 종말이다. 무문토기의 종말은 가내제작, 비전업적 생산체계라는 전통적인 생산체계의 종말을 의미한다. 삼각형점토대토기의 종말 과 연질토기의 등장은 생활토기까지 회전판과 타날기법이라는 새로운 제도술에 의해 제작된다는 것이고, 그것은 구시대 의 종말, 새로운 시대의 개막을 의미한다.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is the last type of plain-pattern. In the Yeongnam region, it appeared at the end third century~middle second century B.C. Triangular clay stripes themselves were made in the process of pressing round ones to solidify the adherence of clay bands. Many different elements made complex appearances in the pottery that accompanied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the emergence of whose culture was related to the spread of the iron culture in the Yeongnam region. Pottery at the stage of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became diverse in terms of type and size, which meant that the methods of occupation and cooking also became diverse based on the increased productive capacity. The increase of surplus products became the background of founding a “Kuk(國)”, and this social background was manifested in the diversification of pottery in type and size. In the first century B.C., grey pottery appeared and was buried in tombs.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was buried in tombs at the Daho-ri relic until the first century A.D. It was used at the living relics in the downstream section of the Nakdong River until the second century A.D. and replaced with reddish brown soft pottery. It meant that plain-pattern pottery was replaced with reddish brown soft pottery. The beginning of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meant the beginning of the full-blown iron culture. Its end meant the end of plain-pattern pottery, which signified the end of the traditional production system that was home-based and non-full time. The end of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and the appearance of soft pottery meant that even life pottery was made in the new ceramic art involving a pottery wheel and the beating technique. It means the end of an old era and the opening of a new era.

      • 가시화 기법을 이용한 룸에어컨 유동 분포 분석

        이수홍(Soo-Hong Lee),라선욱(Seon-Uk Na),강근(Geun Kang),고한서(Han Seo Ko) 한국가시화정보학회 2009 한국가시화정보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9 No.11

        Flow distributions of a room air conditioner (RAC)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a visualization technique such as a Particle Image Velocimetry (PIV) to analyze an efficiency and noise of the RAC. Pitot tubes have also been used to measure the flow velocity inside the RAC with various positions to confirm the measurement accuracy of the PIV technique. Then, numerical analyses have been carried out by develop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programs to calculate the flow velocity inside the RAC.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new designs of the RAC have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RAC. Various flow distributions by controlling the outlet flow velocity have been observed experimentally and numerically to compare the efficiencies between different RAC models in this study.

      • 사물인식 기반 테오 얀센 자율주행 실습

        이수홍(Soo-Hong Lee),김종규(Jong-Kyu Kim) 대한기계학회 2022 대한기계학회 논문집. Transactions of the KSME. C, 산업기술과 혁신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테오 얀센 메커니즘을 기구학적으로 분석하여 최적화하고 이를 이용해 8족 보행을 하는 로봇을 제작하고 카메라를 이용해 보행 로봇이 주어진 경로를 주행하고 특정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학부 3학년 정규 과목에 적용하여 기계공학도에게 다소 어렵고 힘겹게 느껴졌던 인공지능, 사물 인터넷 등을 한번 경험해 봄으로써 이 분야에 대한 학생들의 자신감을 함양시켜 좋은 결과를 얻었고, 향후 신기술을 적용한 융합형 과목의 차기 버전을 준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In this study, the kinematic analysis and optimization of the mechanism of Theo Jansen were used to fabricate a robot that walks on eight legs, and an algorithm that allows the walking robot to travel a given path and recognize a specific image using a camera was implemented. By applying it to regular subjects in the third year of undergraduate school and experiencing AI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oT (Internet of Things), which were somewhat difficult for mechanical engineering students, good results were obtained by cultivating students confidence in this field. We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preparing the next version of convergence subjects.

      • Study on Flow Structure inside Room Air Conditioner Using Visualization Technique

        이수홍(Soo-Hong Lee),라선욱(Seon-Uk Na),강근(Geun Kang),고한서(Han Seo Ko) 대한기계학회 200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8 No.11

        Whole flow fields of a room air conditioner (RAC) have been visualized by a Particle Image Velocimetry (PIV) technique to analyze the flow structure with various inlet and outlet angles, and to control an eccentric vortex which affects an efficiency and noise of the RAC. A test model with 5 stages of a cross flow fan has been manufactured and a transparent acryl has been installed at the side of the test model for the PIV experiment. The inlet and outlet flows and the flow inside the cross flow fan have been analyzed by varying the inlet grill angles and outlet blade angles. The movement of the eccentric vortex has been investigated experimentally by developing the measurement technique for the inner flow field of the cross flow fan. From the visualization of the inner flows, the origins of the noise inside the RAC and the condensation points around the outlet parts of the cold air have been observed and the solution of the problems can be proposed in this study.

      • KCI등재후보

        물리적 공간으로부터 감각적 공간으로의 전이 - Anish Kapoor와 Olafur Eliasson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수홍 ( Soo Hong Lee ),신승연 ( Seung Yun Shi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5 예술과 미디어 Vol.14 No.2

        인간의 감각을 통해 물리적으로 지각 되어지는 공간과 더불어 그 안에서 발생하는 모든 것은 인지의 대상이 될 수 있고, 이것을 통한 공간의 특징지어짐은 공간 내의 정보와 이전의 경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인간의 지각을 통해 새로이 인식되는 공간은 유클리드적 공간의 정의를 벗어나 관람자의 경험에 따라 새로운 가치를 부여받는 감각적 공간으로의 전이를 통해 관계적 특성을 갖는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아니쉬 카푸어는 작업을 보는 행위와 지각하는 것을 관객에게 동시에 요구하는 작가로, 관람자의 정신적인 개입과 참여를 통해 자신의 작품세계로 들어갈 수 있도록 유도한다. 그의 작품에서 압도적 규모로부터 느껴지는 감각경험은 관객으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물리적 공간에 대한 개념을 변화시키는 계기를 만들어낸다. 실험적인 설치미술 작업을 하는 올라프 엘리아슨은 관람객이 작품을 보는 행위를 넘어 체험을 통해 작품에 하나가 되어 완성시키도록 만드는 하나의 실험실과 같은 장을 전시장 안에 만들어낸다. 원래의 공간을 익숙하지 않은 공간으로 탈바꿈시켜 기존 사고의 틀을 확대시키고, 공간의 확장을 경험을 통해 공간을 재인식하게 만드는 경험을 유도하는 것이다. 물리적 시각 요소만으로 이루어진 공간 연출과 그를 통해 발현되는 공간에서의 경험은 관람자가 느끼는 감정이 인지적, 지각적 요소로 확대되어 더욱 풍부하고 다양한 경험이 가능한 감각적 공간으로 재탄생 될 수 있는 것이다. 카푸어와 엘리아슨의 작업에서 보여지는 관람자의 적극적 침투를 이끌어내는 작업방식은 관객의 입장에서 보다 다양한 경험을 가능케 하여 인간의 감각을 통해 조각과 인간, 그리고 공간 사이의 관계를 보다 사색적인 경험으로 이끌어낸다. 인식의 과정을 통해 함께 만들어가는 이러한 공간 구성은 더 이상 절대 공간을 추구하지 않고 우리가 바라보는 이 시간과 공간을 공유하며 보는 행위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바꾸고 있다. Sensory perception of space and what occurs within it are subject to human cognition. How one perceives and defines a space differs by the information and history it stores. Installation pieces about space in contemporary arts actively utilize these memories and information to become a part of the work or to mobilize viewers in a direction intended by an artist. Anish Kapoor is an artist who demands viewers to simultaneously see and perceive his works. Viewers are invited to enter his art world once they are psychologically engaged in his works. Kapoor`s sculptures are too large to be perceived at once and the experience of not being able to see the piece as a whole due to its scale is considered as one of the sculptural elements of his work. Such sensory experience creates an opportunity for viewers to redefine the concept of physical space. Olafur Eliasson, known for his experimental installations, creates a laboratory-like space in exhibition halls which allows viewers to not only see, but also become a part of, and therefore complete the work. Eliasson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perception is more than an act of seeing; it is expanded to the dynamic experience of walking into a piece and spending time in it, which then fosters interrelations between the work and viewers. Thus, previously acquired information from cognitive process is overturned to generate a new type of visual imageries. In other words, existing space is transformed into an unfamiliar one to broaden the boundaries of cognition while the expansion of space is re-recognized through experience. Both artists` strategies to trigger active participation offer viewers a broader range of understanding and lead them to experience the rela tions among sculpture, human beings and space through their senses in a meditative manner. The structure of space established by this cognitive process is not limited to the pursuit of absolute space and changes how we perceive the act of sharing space and time.

      • 동시 공학에 의한 자동차 전장 시스템 연구

        이수홍(Soo-Hong Lee),최두선(Doo-Sun Choi) 한국자동차공학회 1993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Design and production of wiring for automobile systems provide the background for the development of concurrent engineering framwork. Key issues include the development of an architecture that supports collaboration among engine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parts of the wiring design process and the development of hierarchical representations that capture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e.g., connectivity. geometry) of the harnesses. The abstraction of design information results in features. while the abstraction of operations leads to the development of agents. These abstracts are essential for efficient transactions among people and computer tools in a domain that involves numerous interacting constraints. We have decomposed the wiring design process into four basic categories of tasks that are each addressed by an "agent": the Environment Editor(EE). the Free Space Manager(FSM). the Wiring Editor(WE), and the Pan Selector(PS). In this paper the strategy for the problem decomposition. the definition of features. and the ways in which features, are used by various agents. are discussed. We conclude with a discussion of some of the issues raised by the project and the Steps underway to address them.<br/>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부산 청동기시대 후기문화의 지역상

        이수홍 ( Soo Hong Lee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2 항도부산 Vol.28 No.-

        새롭게 발굴된 자료를 바탕으로 부산지역의 청동기시대 문화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청동기시대 전기에는 한반도 남부지방이 제일성을 가진다. 금강하류역에는 가락동유형이 분포하고 그 외 지역은 역삼동·흔암리유형이 분포한다. 부산은 역삼동·흔암리유형 분포권이라 할 수 있다. 부산에서 전기의 주거지는 방곡리유적, 석대동유적 등에서 조사되었다. 청동기시대 후기가 되면 송국리문화가 새롭게 등장한다. 송국리문화는 한반도 전역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경기 남부-충청북부-경북북부-동남해안을 잇는 선의 남서쪽에 분포한다. 송국리문화가 분포하지 않는 곳을 검단리문화분포권이라 한다면 울산을 비롯한 동남해안지역은 문화권에 포함되는 하위개념을 유형이라 할 때 검단리유형이 분포하는 곳이다. 부산은 송국리문화와 검단리유형이 모두 확인되는 곳으로 양 문화의 접경지라 할 수 있다. 부산에서 조사된 무덤은 모두 후기에 속한다. 매장주체부의 구조는 할석석관, 토광, 위석목관 등이 있는데 할석석관묘가 다수를 차지한다. 호형(적색마연)토기가 부산지역 무덤에서 많이 출토되는데 지역성을 인정할 수 있어 ``부산식토기``라 명명하였다. 검단리유형은 기장을 중심으로 북동부에 주로 분포한다. 송국리문화는 서쪽의 미음동 분절유적, 부산진구의 하야리야부대 부지내 유적, 석대동유적 등에 분포하다. 검단리유형은 북쪽에서 전파되었고 송국리문화는 남해안을 비롯한 서쪽에서 전파되었다. 석대동유적은 송국리문화와 검단리유형이 모두 확인된 유적이다. This paper reviewed the culture of the Bronze age in Busan area based on newly excavated materials.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had Uniformity of the former part of the Bronze age. Culture of Kum-River downstream was usually Garak-Dong type, while Yeoksam-Dong type and Heunam-Ri type were in other areas. Busan was the area of distribution of Yeoksam-Dong, Heunam-Ri type. The representative dwellings of excavated former part of the Bronze age in Busan were found in Banggok-Ri and Seokdai-Dong remains. When the latter part of the Bronze age in Busan, Songkuk-Ri culture appeared. Songkuk-Ri culture failed to spread across the entire Korean peninsula. Songkuk-Ri culture just distributed in the southwestern areas of the southern Kyungki, the northern Chungcheong, the northern Kyungbuk and the southeastern coast as a connecting line. The area of Kumdan-Ri cultural distribution was defined as the area of a non-existent area of Songkuk-Ri culture in this paper. Especially Busan had both cultures as a borderland. Excavated tombs in Busan belonged to the latter period of the Bronze age. The types of main part of burial were a split stone coffin, the hole tomb of soil, and the wooden coffin surrounded with stones. The tombs of split stone coffin were the majority. The feature of the tombs in Busan area was excavated lots of red pottery. The Kumdan-Ri type was mainly distributed around Kijang in northeastern part of Busan. Songkuk-Ri type was mostly distributed in western Busan. I believe that The Kumdan-Ri type was spread from North, while Songkuk-Ri culture was spread from southern coast. Sukdai-Dong site excavated both cultures in Busan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