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중 마구 비교를 통한 삼국시대 고고학 편년 조율 = The Coordination of Chronology in Archaeology on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through the Comparison of Harnesses between Korea and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45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삼국시대 동아시아 마구는 전체적인 변화 발전의 틀에서 많은 공통속성이 확인되어 표준연대자료의 확보에유효하다. 양진-16국시대의 마구를 검토하여 편년의 기준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삼...

      삼국시대 동아시아 마구는 전체적인 변화 발전의 틀에서 많은 공통속성이 확인되어 표준연대자료의 확보에유효하다. 양진-16국시대의 마구를 검토하여 편년의 기준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삼국시대 마구와 비교하여 삼국시대 고고학 편년 조율을 시도하였다. 동오·서진 마구에서 등자의 발명은 마구 역사에서 획을 긋는 사건이었으며, 등자와 고안교 안장의 조합은 1인기승의 보편화를 의미한다. 동진대에는 쌍등과 고안교 안장의 조합으로 개마중갑기병이 확산하는 틀이 마련되었고, 1인 기승 마장 체제를 확립하였다. 16국 시기 삼연 마구는 전통적 속성, 중원적 속성 및 중원 마구가 삼연 문화 체제 내에서 변용된 속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중원을 원향으로 하는 중원적 속성과 변용적 속성이 대부분이다. 금동제 등자, 쌍봉문과 승문을시문한 행엽과 안장 장식 및 판비는 중원을 원향으로 하는 마구 속성이다. 삼연 마구의 경우 삼국시대 등자의 시원인 금속판으로 보강한 목심 등자를 비롯하여 지판과 장식판을 덧댄 구조의 판비와 행엽은 상한이 370년대로편년된다. 중원지역에서 철제 개마중갑기병은 16국 시기에 본격화하였다. 마주의 비교에서 고구려와 가야는 각각 4세기 중엽과 4세기 말에 전연의 것을 받아들였지만, 고구려는 4세기 말에 중원의 것도 수용하여 고구려 독자의 양식을 완성하였다. 가야와 신라는 광개토왕 경자년 남정을 계기로 마갑과 마주 조합이 완비된 개마중갑기병 체제를 갖추었다. 양진-16국시대 마구와 삼국시대 마구를 비교한 결과, 권운문와당의 간지 기년을 4세기 전반으로 한 고구려 고고학 편년, 가락동 2호분의 조영 시점을 3세기 후반으로 하는 백제 고고학 편년, 황남대총 남분을 내물왕 무덤으로 비정한 신라 고고학 편년을 당해 시기 한·중 마구에 적용하면 동아시아 고대 마구의 역사는 물론 세계 마구의역사도 다시 써야 한다. 그렇지만 권운문와당 간지 기년을 4세기 후반, 가락동 2호분을 4세기 말, 황남대총 남분을 눌지왕 무덤으로 하는 편년을 양진-16국시대 중국 마구 편년에 적용하면 괴리가 거의 없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arness, which was used in East Asia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has been confirmed to have many common attributes in terms of the overall framework of changes and developments, showing that it is valid for obtaining data on standard ...

      The harness, which was used in East Asia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has been confirmed to have many common attributes in terms of the overall framework of changes and developments, showing that it is valid for obtaining data on standard chronology. It has obtained reference data for chronology by reviewing the harnesses of East and West Jin Dynasty-16Guo Dynasty for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which led to an attempt to coordinate chronology in archaeology on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The invention of stirrups in the East Wu·West Jin harness was an epoch-making event in the harness history, and the combination of stirrups and high saddles means the generalization of single-person horse riding. The framework for the spread of the heavy cavalry was established by a combination of the double-stirrups and high saddles in East Jin, resulting in establishing the system of single-person horse riding. The attributes of SanYan harness of 16Guo Dynasty are divided into a traditional attribute, a Chinese Zhongyuan-based attribute, and a transformational attribute of the Chinese Zhongyuan harness transformed within the system of SanYan culture, but in most cases, the Chinese Zhongyuan-based attribute according to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and the transformational attribute apply. gilt-bronze stirrups, Harness pendants decorated with two phoenixes, etc., saddle ornaments, horse bits ar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harness attributes in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In the case of the SanYan harness, all of the horse bits and harness pendants structuralized by plates and ornamental plates, including wooden stirrups reinforced by the metal place, the origin of stirrups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are known to be in the 370s as terminus post quem. In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heavy cavalry began in earnest in the 16Guo Dynasty. The comparison of horse helmets have shown that Goguryeo and Gaya accepted the ways of QianYan in the mid-4th century and late 4th century, respectively, but Goguryeo completed its own style by accepting those of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in the late 4th century. Gaya and Silla established a system of heavy cavalry with a complete combination of horse armors and helmets with Goguryeo’s southward conquest as a momentum.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harness of East and West Jin-Dynasty-16Guo Dynasty with that of the Three Kingdoms have suggested that applying chronology on the Goguryeo archaeology in which the GanJi (干支) script of cloud-pattern the roof-end tiles was from the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chronology on the Baekje archaeology in which the construction period of Garakdong Tomb No.2 were from the late 3rd century, and chronology on the Silla archaeology in which Hwangnamdaechong nambun was designated as the tomb of King Namul to the harnesses of Korea and China in those days, not only the history of ancient harnesses in East Asia, but also that of harnesses in the world should be written. But, applying chronology on the GanJi (干支) script of cloud-pattern the roof-end tiles from the late 4th century, on Garak-dong Tomb No.2 from the end of the 4th century, and on Hwangnamdaechong nambun designated as the tomb of King Nulji to chronology on the Chinese harness in East and West Jin Dynasty-16Guo Dynasty, there is almost no gap among th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Ⅱ. 兩晉~16國 마구 Ⅲ. 삼연 마구의 특징와 삼국시대 마구와의 연관성 Ⅳ. 16국 시기 鎧馬重甲騎兵과 한반도에의 영향 Ⅴ. 맺음말 - 마구의 비교를 통한 삼국시대 편년 조율
      • Ⅰ. 머리말 Ⅱ. 兩晉~16國 마구 Ⅲ. 삼연 마구의 특징와 삼국시대 마구와의 연관성 Ⅳ. 16국 시기 鎧馬重甲騎兵과 한반도에의 영향 Ⅴ. 맺음말 - 마구의 비교를 통한 삼국시대 편년 조율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순발, "한성백제의 탄생" 서경문화사 2001

      2 권도희, "중부지역 마구의 편년과 전개, In 접점Ⅱ, 남한지역 원삼국~삼국시대 마구의 편년"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2019

      3 김일규, "삼연 마구의 기원과 계통, In 동북아 초기 역사시대 물질문화의 접촉과 변용"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기초연구 공동연구팀 2019

      4 김성호, "삼국시대 마갑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5 배효원, "부산식 토기의 편년과 분포, In 가야토기와 신라토기-편년&분포-" 국립김해박물관·부산대학교박물관 2020

      6 김일규, "백제 고고학 편년 연구" 학연문화사 2015

      7 김일규, "금관가야고분 출토 외래유물의 성격과 의의" 호남고고학회 60 : 30-53, 2018

      8 桃崎祐輔, "고구려 왕릉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9

      9 김희찬, "고구려 권운문 와당 연구" 고구려발해학회 31 : 147-178, 2008

      10 강현숙, "고구려 고분 연구" 진인진 2013

      1 박순발, "한성백제의 탄생" 서경문화사 2001

      2 권도희, "중부지역 마구의 편년과 전개, In 접점Ⅱ, 남한지역 원삼국~삼국시대 마구의 편년"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2019

      3 김일규, "삼연 마구의 기원과 계통, In 동북아 초기 역사시대 물질문화의 접촉과 변용"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기초연구 공동연구팀 2019

      4 김성호, "삼국시대 마갑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5 배효원, "부산식 토기의 편년과 분포, In 가야토기와 신라토기-편년&분포-" 국립김해박물관·부산대학교박물관 2020

      6 김일규, "백제 고고학 편년 연구" 학연문화사 2015

      7 김일규, "금관가야고분 출토 외래유물의 성격과 의의" 호남고고학회 60 : 30-53, 2018

      8 桃崎祐輔, "고구려 왕릉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9

      9 김희찬, "고구려 권운문 와당 연구" 고구려발해학회 31 : 147-178, 2008

      10 강현숙, "고구려 고분 연구" 진인진 2013

      11 남익희, "경주식 토기의 편년과 분포, In 가야토기와 신라토기-편년&분포-" 국립김해박물관·부산대학교박물관 2020

      12 王飛峰, "高句麗 瓦當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13 李尙律, "騎馬文化と古代のイノベーション" KADOKAWA 2016

      14 耿鐵華, "集安新出土文字瓦當及釋讀" 4 : 2006

      15 張禮艶, "集安出土高句麗瓦當文字及特点研究" 2017

      16 김일규, "集安 출토 高句麗 捲雲文 瓦當의 편년 재론" 한국고고학회 (115) : 111-131, 2020

      17 西安市文物保护考古研究院, "陝西西安洪慶原十六国梁猛墓發掘簡報" 4 : 2018

      18 楊泓, "關于鐵甲, 馬鐙和馬鐙問題" 12 : 1961

      19 湖南省博物館, "長沙兩晉南朝隋墓發掘報告" 3 : 1959

      20 萬欣, "遼寧北票市喇嘛洞墓地ⅠM17鐵甲堆積室內淸理簡報"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日本奈良文化財硏究所 2015

      21 田立坤, "袁臺子壁畵墓的再認識" 13 : 2001

      22 田立坤, "袁臺子壁畵墓的再認識" 9 : 2003

      23 鐘長發, "甘肅武威南灘魏晉墓" 9 : 1987

      24 한지선, "漢城百濟期 聚落과 土器遺物群의 變遷樣相 -서울·경기권 편년수립을 위하여-" 중앙문화재연구원 (12) : 1-59, 2013

      25 練春海, "漢代玉勝硏究" 6 : 2014

      26 송계현, "桓仁과 集安의 고구려 갑주" 3 : 2005

      27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朝陽十二臺鄕磚廠88M1發掘簡報" 11 : 1997

      28 于俊玉, "朝陽三合成墓出土的前燕文物" 11 : 1997

      29 李鉉宇, "早期慕容鮮卑及三燕時期墓葬的考古學硏究" 北京大學 2019

      30 이상율, "新馬胄考" 영남고고학회 (37) : 97-123, 2005

      31 劉允泉, "山东青州出土十六国时期鎏金铜马具" 2 : 2018

      32 咸陽市文物考古硏究所, "咸陽十六國墓" 文物出版社 2006

      33 田立坤, "古鐙新考" 11 : 2013

      34 南京市博物館, "南京象山 5號, 6號, 7號墓 淸理簡報" 11 : 1972

      35 遼寧省博物館, "北燕馮素弗墓" 文物出版社 2015

      36 王巍, "从出土马具看三至六世纪东亚诸国的交流" 12 : 1997

      37 楊泓, "中國古代馬具的發展和對外影響" 9 : 1984

      38 劉永華, "中國古代車與馬具" 淸華大學出版社 2013

      39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三燕文物精粹"

      40 이현우, "4세기대 삼연지역의 토도문화, In 가야토기와 신라토기-편년&분포-" 국립김해박물관·부산대학교박물관 2020

      41 陕西省考古研究院隋唐考古研究室, "2008~2017年陕西三国隋唐宋元明清考古综述" 5 :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부산고고학연구회 -> 부산고고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Pusan Archaeological Societ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77 1.732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