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창의성 구성요소에 따른 미술지도 방안 연구

        최윤정 공주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오늘날과 같이 급격한 사회 변화에 모든 현상이 지식위주의 수업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것들이 많아졌으며 지식에 기반을 둔 인간의 창의력에 의해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그리하여 교육은 지성과 감성이 조화를 이루고 새로운 것을 창의적으로 발견하고 해결하며 창작할 수 있는 창의성 증진을 위한 인간을 육성하는데 기반을 두고 있어야 할 것이다. 교육자들은 학생들이 학교교육을 통하여 최대한의 성취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들을 동기화시켜서 적극적이고 생산적으로 학습활동에 참여하도록 학습맥락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성취동기는 그것에 관한 이론으로 동기유발적인 요소들을 파악하여 학교 내, 외의 학습은 물론 전 생애에 걸쳐 학습에 가치를 부여한다. 그만큼 성취동기는 자율적이고 자신감 있는 학습자를 개발하는데 있어 아주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미술표현을 통해 창의적이고 개성적인 표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동기부여를 하여 자율적 참여와 주도적인 학습을 유도하여야 한다. 또한 나타내고자 하는 욕구를 북돋워 주고, 창의력 신장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 교사의 역할인 동시에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창의력 신장을 위해 어떻게 미술지도를 할 것인가를 중점적으로 생각하였다. 미술시간에 어려움을 느끼고 자신감을 잃게 되는 아이들에게 다양하고 창의적인 표현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길포드가 분석한 창의성 구성요소 즉,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조직성, 정교성, 개방성, 감수성의 일곱가지 미술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중에서 감수성 향상을 위해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수업을 시연하고 연구하고자 한다. Nowadays, due to development of high technology and culture, social structure is highly diversified. From the complicated society, humankind is having more abundant life than ever before. However, humankind is facing decline in emotional part by reason of mammonism.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cover the lost of humanism and create new culture. Emphasizing creativity education and improving ability that can solve problems by oneself are also important thing.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creativity education is important. By improving perception and emotion in balance and expressing the emotion that comes from life, creativity education makes aesthetic human and pure emotion. Therefore, art instructor have to suggest new and various data, and should encourage students the will of creativity of art. Also, the instructor should make students feel self-confident and happiness from realizing oneself and challenge the adventure. Instructor should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stage of students and research to make properer art class. This could be done by knowing characteristics and inclination of students and suggesting methods in each level. In this case, this could lead to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room, therefore can develop more confidential students. Problems in art education is that there are not enough data to search the concrete instruction method. Therefore, most of instructors are teaching students just relying on the text book and without enough data for class. This research is focused on art guiding method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structor's role and enhances creativity in order to loosen these problems. First of all, this research finds out about concept of creativity, necessity of art education and components of creativity. Moreover, this research is about needs, applying media and environmental components that are required for development of creativity while searching out about motivation and expression methods. Based on these theory, this research suggests art guiding methods applying creative components: creative components that Guilford analyzed are fluency, flexibility, creativity, systemicity, sophistication, openness and sensibility. To develope sensibility part, this research applyed it into actual classroom planning teaching and learning guide line. Consequently, students could gain interest in class and could participate in the class actively by using various motivating data. Moreover, suggesting data could enhance students' confidence and will in expressing. Therefore, art is active-centered than language-centered and focuses on emotion part more than directive part. It is important to motivate students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and should realize that by how instructor teaches, students make huge difference in emotional and human aspects. To have these effects, art instructor must be qualified. Instructor must be qualified not only in practical art and theoric art, but also in humanism and should have positive attitude. Therefore, instructor can educate students in a right way. It is true that art is treated as a less important subject than Korean, English, Math and so on when it comes to upper grades. However, art is inevitable area of human's life. Art should be considered as a important subject in the reason of its needs in creativity relatively than other subjects. Therefore, instructors should have pride in this area and should have constant research and effort in order to enhance creativity of students.

      • 출아효모에서 ciclopirox olamine 감수성 변이주의 분리

        최윤정 동아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47

        Gl/S기로의 조절은 진핵생물의 세포주기에서 중요한 조절점이 되는데, 이는 성공적인 염색체의 복제가 세포 분열에 있어 정상적인 두 개의 딸세포를 만들기 때문이다. 세포 동조 약제의 효과는 포유동물세포에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져 왔다. CPO (ciclopirox olamine)는 항진균제로서, HeLa 세포에서 Gl/S기의 경계나 그 부근에 작용하여 세포주기의 진행을 저해함으로서 Gl arrest함이 보고되어졌다. 출아효모에서 Gl/S기 조절에 관련된 변이주를 분리하기 위해, 본 실험에서는 CPO에 감수성을 보이는 변이주를 선별하였다. 효모에 EMS(ethyl methanesulfonate)를 처리하여 돌연변이 시킨 다음, 레플리카 방법에 의해 cos (ciclopirox olamine sensitive) 변이주를 분리하였다. 최종적으로, 12개의 cos 변이주를 분리하였는데, 8개의 변이주 (cos1, cos2, cos6, cos7, cos8, cos9, cos11, cos12)는 CPO에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4개의 변이주 (cos3, cos4, cos5, cos10) 변이주는 온도에 의존하여 CPO에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DNA의 합성을 저해하는 HU (hyoxyurea)와 MMS (methyl methanesulfonate)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MMS는 세포주기의 checkpoint에 결손을 나타내는 변이주에서 감수성을 나타낸다. 분리한 cos 변이주의 HU와 MMS의 감수성 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첫 번째 그룹은 S기에 결손을 나타내는 변이주로서, cos1, cos3, cos4, cos7, cos8, cos9, cos10, cos11, cos12 변이주이다. 이는 HU와 MMS에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두 번째 그룹은 cos2, cos5, cos6 변이주로 HU와 MMS에 감수성을 나타내지 않는 변이주이다. 이는 세포주기에 비의존적이나 막의 투과성이나 대사계의 이상으로 CPO에 감수성을 나타낸 변이주로 간주된다. Control of the G1- to S-phase transition is an important regulatory point in eukaryotic cell cycle, because successful replication of the chromosomes is a prerequisite for producing two normal daughter cells at division. The effects of cell synchronizing agents have studied by many scientists in mammalian cells. The effects of ciclopirox olamine (CPO), which is antifungal agent, on the cell cycle of HeLa cells have examined and revealed that CPO inhibits cell cycle traverse at or very near the G1/S phase boundary. To identify mutants related to the G1/S phase control in budding yeast Saccharornyces cerevisiue, we screened the sensitive mutants to CPO. Cells were mutagenized with ethyl methanesulfonate (EMS) and tested the CPO sensitivity to drug by replica method. Finally, we isolated the 12 mutants (cosl -cosl2) showed sensitivity to CPO. These mutants are classified two groups; the one showes only CPO sensitivity (cos1, cos2, cos6, COS7, cod8, cos9, cosll and cosl2) and the other has a temperature dependent CPO sensitivity (cos3, cos4, cos5 and cosl0). Therefore, cos mutants are related to Gl/S phase control in budding yeast. As the S-phase mutants show sensitivity to hydroxyurea (HU), which blocks DNA synthesis, HU sensitivity of these mutants were examined. And also we examined the sensitivity to methyl methanesulfonate (MMS), because sensitive to MMS show checkpoint in cell cycle. These mutant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cos1, cos3, cos4, COS7, cos8, cos9, cosl0, cosll and cosl2 mutants, which are sensitive to HU and MMS. The other is cos2, cos5 and cos6 mutants, which are not sensitive to HU and MMS. Thus these mutants are independent of cell cycle and may be defective in the metabolic pathway or the permeability of membrane.

      • Electrode modification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ioelectrochemical cell

        최윤정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Bioelectrochemical cell (BES) is a technology that obtains energy from organic compounds by electrically active microorganisms. Depending on the form of energy, it can be divided into microbial fuel cell (MFC) that produce currents and microbial electrolysis cell (MEC) that produce high value-added materials such as methane and hydrogen. Most biochemical cells consist of anodes, cathodes, cation exchange membranes, and external power supply. Among them, electrodes are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MEC efficiency and focus on electrode modification to improve BES performance. In the case of cathodes, the cost-effective electrode was fabricated to replace the high-cost Pt and applied to the MFC. Non-platinum-based metal (PGM-free) nanocatalysts were prepared using a simple and cost-effective technique called electrophoresis (EPD) and showed high catalytic oxygen reduction reaction rate (ORR) on the surface of MFC cathode. Among the catalysts without PGM, the maximum power density of 1630.7 mW m-2 was obtained based on nickel nanoparticles. This value is 400% higher than the value obtained using commercial Pt catalysts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se results are due to the uniform deposition of Ni/NiOx nanoparticles on the cathode, which improves electrical conductivity, catalyst activity, and long-term stability and reduces electron transfer resistance. PGM-free catalysts significantly enhanced MFC performance induced by metal/metal oxide nanoparticle layer formation and accelerated ORR. For anodes, it was improved as a conductive polymer material to solve the inefficient problem of carbon felt (CF) commonly used and applied to MEC. CF has a high surface area with three-dimensional porosity, but since it is hydrophobic, it is not easy to move water and gas, so only electrode surfaces are used (role as a 2D electrode). To solve this problem, poly 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 (PEDOT:PSS) was used as a unique material including high conductivity (PEDOT) and hydrophilic group (PSS). PEDOT:PSS was coated on the CF surface by electropolymerization and improved durability by heat treatment at 110℃. PEDOT:PSS/CF electrode improved biocompatibility and electron transfer to the oxidation electrode by greatly improving hydrophilicity (water contact angle changed from 136.5° to 0°). As a result, the MEC using PEDOT:PSS/CF as a cathode material produced 33.4% higher hydrogen than the MEC using CF. Overall, the performance of BES can be improved by cost-effectively modifying material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des, which indicates significant progress in commercialization. 생물전기화학전지(BES)는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을 가지는 미생물에 의해 유기화합물로부터 에너지를 얻는 기술이다. 에너지 형태에 따라 전류를 생성하는 MFC와 메탄 및 수소와 같은 고부가가치 물질을 생성하는 MEC로 나눌 수 있다. 대부분 생물전기화학전지는 산화전극, 환원전극, 양이온교환막 및 외부 전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중에서도, 전극은 전지 효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전지 성능 향상을 위한 전극 개질에 집중한다. 환원전극의 경우, 고비용의 Pt를 대체할 수 있는 비용효과적인 전극을 제작하여 MFC에 적용하였다. 비백금계 금속(PGM-free) 나노촉매는 전기영동증착(EPD)이라는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했으며, MFC의 환원전극 표면에서 높은 촉매 산소환원반응속도(ORR)를 나타냈다. 시험된PGM-free 촉매(Ni, Co, 및 Cd 기반) 중에서 니켈 나노 입자를 기준으로 1630.7 mW m−2의 최대 전력 밀도가 달성되었다. 이 값은 동일한 조건에서 상용화된 Pt 촉매를 사용하여 얻은 값보다 400% 더 높다. 이 결과는 환원전극 상에 Ni/NiOx 나노 입자의 얇은 층의 균일한 증착에 기인하며, 이는 전자전달저항을 감소시키면서 전기전도도, 촉매 활성 및 장기 안정성을 개선했다. 제조된 PGM-free 촉매는 금속/금속 산화물 나노입자 층 형태에 의해 유도된 MFC 성능 및 가속화된 ORR을 상당히 개선했다. 산화전극의 경우, MEC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적용되는 탄소펠트(CF)의 비효율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도성 고분자 재료로 개선했다. CF는 3차원 다공성을 갖는 높은 표면적을 가지고 있지만 소수성이므로 물과 가스를 이동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전극 표면만 사용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oly 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 (PEDOT:PSS)를 고전도도 (PEDOT)와 친수성기 (PSS)를 포함하는 독특한 물질을 사용하였다. PEDOT:PSS는 전기중합에 의해 CF 표면에 코팅되었고 110℃에서 열처리에 의해 내구성이 향상되었다. PEDOT:PSS/CF 전극은 친수성을 크게 향상함으로써 산화전극으로의 생체적합성과 전자 전달을 개선하였다. (물 접촉각이 136.5°에서 0°로 변화됨.) 그 결과, PEDOT:PSS/CF를 산화전극으로 사용한 MEC는 CF를 사용한 MEC보다 33.4% 높은 수소를 생산하였다. 전반적으로, 전극의 특성에 맞는 재료를 사용하여 전극의 비용 효율적인 개질을 통해 BES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BES의 상용화에 중요한 진보를 나타낸다.

      • HPLC에 의한 알데하이드류의 분석법 확립 및 생성 현황 조사

        최윤정 전주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47

        오존처리의 소독 부산물인 알데하이드류를 HPLC로 분석하는 최적 분석법을 확립하였고, 원수 수질에 따른 알데하이드류의 생성능을 연구하였다. 예비실험 결과 알데하이드류는 포름알데하이드, 아세트알데하이드, 아크롤레인, 프로피온알데하이드, 부틸알데하이드, 벤즈알데하이드 6종과 케톤류인 아세톤 1종 모두 7종을 대상시료로 선정하였다. HPLC에 의한 알데하이드-DNPH 유도체를 최적화 하기 위해 시트르산 완충 용액의 pH, 반응 온도, 반응 시간, DNPH 농도, Cartridge 종류, 추출 용매의 종류 및 조성의 최적 조건을 구하였다. 그 결과 시트르산 완충 용액의 pH는 3.0, 반응 온도는 40℃ 반응 시간은 15분, DNPH의 농도는 0.012%에서 최적 반응 조건임을 알 수 있었으며, 반응이 완결된 알데하이드-DNPH 유도체를 C_18 Sep-Pak Cartridge에 농축시켜 과량의 DNPH를 용리시킨 다음 아세토나이트릴 2mL로 추출하였을 때 87∼107% 범위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HPLC 분리 조건으로서 Nova-Pak C_18 컬럼상에서 이동상의 초기 조건은 ACN/MeOH/Water = 30/10/60에서 최종조건은 80% ACN으로 하는 기울기 용리를 수행하였을 때 7종의 알데하이드류가 모두 거의 기준선 분리가 되었다. 본 실험에서 확립한 알데하이드-DNPH 유도체의 최적 분석 조건과 EPA 554에서 제안한 방법과 비교한 결과 EPA 554 방법은 84∼103%, 본 실험에서 확립한 최적 조건에서는 86∼103%로 비슷한 회수율을 보였다. 원수에 오존처리를 하면 원수의 알데하이드 농도보다 2∼15배까지 증가하며, 원수에 알데하이드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염소 처리를 하면 알데하이드가 생성됨을 알수 있었다. 또한 원수에 브롬 이온을 1mg/L 첨가하여 오존처리를 하였을 때, 알데하이드의 농도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The optimum analytical method of aldehydes in raw and treated water was establish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the formation potential of aldehydes by ozonation according to the raw water quality was studied. Six aldehydes including formaldehyde, acetaldehyde, acrolein, propionaldehyde, butylaldehyde and benzaldehyde, and one ketone including acetone were selected as samples. Analytical conditions such as the pH of citrate buffer solution, reaction temperature, reaction time, concentration of DNPH, cartridge component, solvent component and composition were optimized. As a result, pH 3.0 of citrate buffer solution, 40℃ of reaction temperature, 15 minutes of reaction time, 0.012% of DNPH concentration were chosen as optimum conditions. Aldehydes-DNPH derivatives in water were concentrated on C_18 Sep-Pak cartridge and followed by elution of their derivatives fraction with acetonitrile and showed recoveries of the range from 87 to 107%. Separation condition on Nova-Pak C_18 column with gradient elution of ACN/MeOH/water(30/10/60) as a initial condition to 80% ACN as a final condition was found to give good resolution. Recovery of aldehydes by this method was similar to that for aldehyde by EPA method, that is, 84% to 103% for EPA method, while 86% to 103% for this method. Two to fifteen times increase in aldehydes concentration was shown by ozonation in raw water. Ozonation of raw water was suggested that concentration of aldehydes two to fifteen times greater aldehyde concentration in ozone-treated water than that in raw water were given. Increase of aldehydes concentration in treated water by chlorination of raw water was found. Ozonation in raw water including 1㎍/L of bromide ion was also not affected in concentration of aldehydes.

      • 교정용 미니임플란트 식립 시 초기 안정성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최윤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교정용 미니임플란트 식립 시 초기 안정성과 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임상에서 미니임플란트 매식 시 성공 예측 및 안정성 증진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169명의 환자에서 매식된 동일한 유형(Orlus, Ortholution Inc., Seoul, Korea)의 미니임플란트 412개를 대상으로 하여 식립 1주 후 그리고 교정력 적용 전 미니임플란트의 동요 여부에 따라 식립 성공을 판정한 후 전체적인 식립 성공률과 함께 환자의 성별, 나이별, 식립한 미니임플란트의 직경과 길이별, 식립 부위별, 식립 부위의 연조직 유형별 그리고 식립 술자의 경험도에 따른 성공률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어느 요인이 식립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환자의 성별, 나이, 식립한 미니임플란트의 직경과 길이, 식립 부위, 식립 부위의 연조직 유형, 식립 술자의 경험도 등을 독립 변수로, 미니임플란트의 성공 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GE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방법에 의한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연구에서 사용된 미니임플란트의 초기 성공률은 92.7%로 나타났다. 2. 식립 부위를 상악 구치부 협측, 상악 구치부 설측, 정중구개부, 하악 구치부 협측, 하악 견치부 협측, 기타 부위의 여섯 부위로 나누어 가장 많은 미니임플란트가 식립된 상악 구치부 협측을 기준으로 다른 부위들과 비교한 결과 정중구개부가 유의하게 높은 초기 안정성을 보였다. 3. 술자의 시술 경험 횟수와 관련하여 식립 횟수가 20회 초과한 경우가 20회 이하의 식립 때보다 유의하게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 4. 환자의 성별과 나이, 식립 부위의 연조직 유형, 미니임플란트의 직경은 미니임플란트의 초기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미니임플란트의 초기 안정성은 식립 부위에 따라 다르며 시술 숙련에 의해 증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임파워먼트가 조직에 대한 심리적 소유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식근로자를 중심으로 /

        최윤정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Psychological ownership is a feeling of possession in the absence of any formal or legal authority. Researchers have identified two distinct types of psychological ownership, including organization-based and job-based psychological ownership. Because psychological ownership can be an important antecedent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t is associated with high organizational performance, further study into the phenomenon of psychological ownership appears to be vital to progressing the literature database that has accumulated thus far. Empowerment is a variable that has received a great deal of recent attention and is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experience of psychological ownership. However, only a small number of empirical studies exist that have taken this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psychological ownership. Empowerment is associated with four subcomponents that are thought to assist in enabling employees perform well. These four subcomponents are meaning,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and impact. There are many changes occurring in global the market, and one of these i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knowledge workers. Knowledge workers have 'mobile' knowledge and they have greater levels of attachment to their job than their organization. Recently, knowledge workers are making the most of outcomes that their organization produces, an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oster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f knowledge workers. This study aimed at the moderating effect of knowledge workers betwee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based psychological ownership. Data were collected from 132 employees and involved the use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demonstrated that meaning,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are significant predictors but were negatively related to knowledge workers. Future research could focus on establishing the criteria for making a knowledge worker group. The identification of antecedents of organization-based psychological ownership within knowledge worker groups could also assist in progressing this field of research. 심리적 소유감은 공식적이거나 법적인 권한의 부재 속에서도 발생하는 소유의 감정이다. 연구자들은 조직에 대한 심리적 소유감과 직무에 대한 심리적 소유감이라는 두 가지의 심리적 소유감의 형태를 밝혀냈다. 심리적 소유감은 조직 몰입의 중요한 선행요인이 될 수 있고 조직의 높은 성과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심리적 소유감의 현상에 대한 이후의 연구는 기존의 문헌 연구를 발전시키는 데에 매우 중요할 것이라고 보인다. 임파워먼트는 최근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변수이며, 심리적 소유감의 경험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임파워먼트와 심리적 소유감의 관계에 대한 이러한 관점을 가진 실증적 연구는 많지 않다. 임파워먼트는 종업원들이 업무 수행을 더 잘하게 만들 것으로 생각되는 네 가지의 하위요소가 있는데, 그 요소들은 의미성, 역량성, 자기결정성, 그리고 영향력이다. 글로벌 시장은 수많은 변화들이 일어나고 있는데, 이중 하나가 바로 지식근로자의 성장이다. 지식근로자는 ‘이동성 있는’ 지식을 보유하고 있고, 그들의 조직보다는 직무에 더 큰 애착을 가지고 있다. 최근 지식근로자는 조직이 생산하는 산출물의 대부분을 만들어 내고 있기 때문에, 지식근로자의 심리적 소유감을 상승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임파워먼트와 조직에 대한 심리적 소유감의 관계에서 지식근로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표본은 132명으로부터 수집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의미성, 역량성, 자기결정성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식근로자와 관련하여 (-)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근로자의 그룹을 만들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하는 연구가 앞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는 시사점을 찾을 수 있으며, 지식근로자 그룹 내에서의 조직에 대한 심리적 소유감의 선행요인을 밝히는 연구 또한 앞으로의 연구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 고등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의 우리나라 민요에 대한 연구

        최윤정 건국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47

        한글초록:고등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의 우리나라 민요에 대한 연구-음계 및 선법․장단을 중심으로-<국문초록>음악교과가 의도된 교육목적으로 가고자 한다면, 선행되는 대규모의 교육계획 수립과 더불어 하위 부분까지도 치밀하게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 교육계획의‘시작’에 해당하는 것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그 결과는 판이하게 달라진다. 그러한 시작에 놓여진 교육의 매개체 중의 하나가 바로 교과서이다. 따라서 음악교과서에 대한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며, 아직은 서양음악이 우리나라 음악의 중심에 있는 이 현실을 바로 잡기 위한 기초단계로서, 음악교과서에서 국악이 어떻게 자리잡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은 반드시 필요한 영역이다.국악, 특히 민요의 음계 및 선법, 그리고 민요의 장단을 세밀하게 검토하여, 이 분야에 있어서 음악교과서 제작의 새로운 방향모색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민요의 음계 및 선법을 검토한 결과, 그 원리를 모르고 교과서를 보았을 때 혼란을 야기할 부분이 많았다. 따라서 율명을 먼저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그 다음 단계로 반드시 들어가야 할 부분이 서양의 화성학적인 방법이 아닌, 국악에서 음의 간격을 표현하는 방법을 교과서에 넣어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으로 평조선법과 계면조 선법을 설명하는 영역이 삽입되어야 한다. 이러한 체계가 있어야, 민요의 음계와 선법을 포함한 토리까지도 이해할 수 있는 기초가 설립되어질 것이다.‘민요의 장단’부분에 있어서도‘민요의 음계 및 선법’과 마찬가지로 기본원리를 이해하는 데는 부족한 부분이 많았고, 용어로 인한 오해의 소지도 많아, 이를 수정하는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첫째,‘기본’이라는 용어 대신,‘기본의 예’ㅋ라고 표기하자. 둘째, 장단이 형성되는 과정을 교과서에서 제시해 주어야 한다.각 장단에‘소박과‘박’의 용어를 이용해‘소박’이 몇 개 모여‘한 박’을 이루고, 이러한 박이 몇 개가 모여 한 장단이 이루어졌는지를 교과서에서 제시하여야 한다. 그 다음에 각 장단이 갖는 음악적 특징을 제시하여야 한다. 셋째, 양악보로 되어 있는 장구 장단보를 우리 전통 기보법으로 전환해야한다. 넷째, 서양식 빠르기로 장단의 빠르기를 표기하는 것을 배제하고 우리의 한배의 개념을 교과서에서 제시해야 한다.고등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의 민요 부분 중 음계 및 선법, 그리고 장단에 대한 분석을 통해 내린 결론은, 8종 교과서가 기본원리를‘이해’의 영역에 넣기보다는 그 원리에 의해 만들어진 결과물들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물론 그러한 원리는 중학교교과서에서도 제시되지 않는다.또 한가지는 국악을 이루는 내용을 전달하는데 있어, 아직도 국악 그 자체가 아니라,‘양악’이라는 번역기를 통해서 학생들에게 전달되도록 음악교과서가 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현재의 음악교육은 국악이 주가 되는 음악교과서 제작 노력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제는 국악을 우리 고유의 방법으로 설명할 수 있고, 그 정서와 창의성을 키울 수 있는 음악교과서가 제작되는 방향을 찾아야 할 시기임을 사려해야 한다 영문초록:A study on Korean Folk Music in the Music text book for 1st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 centered on Scale, Mode, and Rhythm - If the musical Curriculum, which has certain Educational Aim, is to go forward an intended direction, even though it is very huge-scaled Educational plan, it needs elaborate care and attention to any detailed part of the plan. I think the result would be entirely different according how it could be consist of the portion which correspond to Beginning at the practical stage. I also think the text book is the one which is the media for Education which is just on starting stage. With those Meaning, it is really needed to study about the musical text book. And as the beginning step for renovating the musical reality in Korea where the Western style music is all around, it is surely needed to analyze how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has been taking its place in the text book.After studying minutely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specially the musical scale, Melodics in Folk music and the Rhythm of Folk music, I feel the object shall be to suggest the way to make the new text book in this field, hereafter. As the result of study for musical scale, I found there would be so much troubles, caused when seeing the text book without any information for the principle. Accordingly, first of all, it is needed to suggest the tone name in text book and then it is needed to suggest the gap of tone of Korean Music, not to suggest the Western style harmony. And with this way, it should be inserted the way to explain the Pyungjo mode and Gyemyunjo mode. Even after being settled those system, it could be available to make a foundation to understand idiom which includes tone system and melodics.Firstly, I will describe it in the terms of Basic manner, instead in the terms of Base.Secondly, the text book should suggest the process of forming rhythm. There should be on the text book how one beat could be made from several little beat, using the term between little beat and one beat. After then, it should suggest the musical characteristics which is in each beat. Thirdly, it should be converted into Korean traditional Musical Note from the beat in Janggu which had been described in Western musical note.Fourth, the text book should suggest Korean style One Beat, excluding to describe the speed of beat in Western style.As the conclusion through the analysis for the musical scale, melodics and rhythm out of folk music in musical text book for 1st grade of High school curriculum, 8 kinds of text book have suggested the result which was made by principle not suggested the 'understanding' of basic principle. Of course, those principle has not suggested in the text book for middle school students.Another conclusion is that the Korean music itself has not been published to the students in text book, conversely, but published through the decoder, so called 'Western music'.It is the time to try aggressively to make the text book with the Korean Music as central figure, not with Western Music. It is the time to find the way to make the text book to be able to show the basic principle of Korean music, in order to explain the Korean music in Korean style, furthermore, to raise the Korean musical sentiment and initiative spir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