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Effects of Asian Dust Storms on Daily Mortality in Three Asian Cities (Seoul, Taipei, Kitakyushu) : 아시아 3국가의 도시(서울, 타이페이, 키타큐슈)에서 황사가 사망에 미치는 영향

        이혜원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Background: Asian dust storms (ADS) have affected several Asian countries and have been major issues due to adverse effects in the perspective of public health. The occurrence of Asian dust storms is different by each country according to its geographical features and distance from the origins. Considerable studies have found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ADS and morbidity. However, about the association between ADS and mortality, no study found the association in Japan and in Taiwan and Korea, only a few stud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DS effects. Aim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ADS on daily mortality in three Asian cities (Seoul, South Korea; Taipei, Taiwan; and Kitakyushu, Japan)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extent of ADS effects by each city. Methods: We performed time-series analyses using generalized additive model with Quasi-Poisson regressions. Deaths due to accidents or external causes were excluded.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barometric pressure, day of the week, and season and time trends were controlled for in a basic model. We considered single day lag effects of ADS up to 7 days and performed subgroup analyses stratified by disease (cardiovascular, respiratory) and age(<65, ≥65). Additional analyses controlling for NO2, SO2, and PM10, as the source of local air pollution were done respectively. We reported results as Excess mortality by percentage due to Asian dust storms. Results: We found consistent Excess mortality in Seoul and Kitakyushu as follows. In Seoul, ADS showed adverse effects on non-accidental mortality below 65 years old (lag 2: 4.61%; 95% CI: 1.07, 8.28, lag 3: 5.17%; 95% CI: 1.63, 8.82, lag 4: 4.55%; 95% CI: 1.02, 8.2), respiratory mortality below 65 years old (lag 3: 37.53%; 95% CI: 12.85, 67.62),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above 65 years old (lag 5: 5.32%; 95%CI: 0.48, 10.39). In Kitakyushu, ADS had adverse effects on respiratory mortality (lag 2: 21.89%; 95%CI: 4.17, 42.63), respiratory mortality below 65 years old (lag 2: 126.15%; 95% CI: 45.32, 251.93, lag 3: 137.77; 95% CI: 52.48, 270.75), cardiovascular mortality (lag 6: 12.45%; 95% CI: 0.14, 26.28)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below 65 years old (lag 3: 44.36%; 95% CI: 4.38, 99.65). Contradictory to results in Seoul and Kitakyushu, ADS seemed to have a protective effect in Taipei: non-accidental mortality above 65 years old (lag 0: -3.61%; 95% CI: -6.34, -0.80, lag 1: -3.46%, 95% CI: -6.19, -0.65), respiratory mortality above 65 years old (lag 0: -9.95%; 95% CI: -16.99, -2.3, lag 1: -8.15%; 95% CI: -15.31, -0.39),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below 65 years old (lag 5: -10.59%; 95% CI: -18.78, -1.58). Sensitivity analyses showed similar findings as main results. 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significant adverse effects of Asian dust storms on daily mortality in cities in Korea and Japan, and a positive effect in a city in Taiwan. The results were still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NO2, SO2, and PM10. Key words: Asian dust storms; non-accidental mortality; lag effects; generalized additive model 연구배경: 중국의 북서부, 북부와 몽골의 사막과 황토지대에서 기원하는 황사(Asian dust storm; ADS)는 중국, 대만, 일본, 한국 등 인접해 있는 아시아 국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황사의 영향을 받는 몇몇 아시아 국가에서 황사의 부정적인 건강영향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고, 응급실 방문환자 수나 병원 입원환자 수 같은 유병률에 미치는 황사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하지만, 황사가 사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 결과들이 일관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렇듯 지금까지 발표된 연구 결과 황사의 영향을 받는 세 국가에서 황사가 사망에 미치는 영향이 일관되지 않기 때문에 한국, 대만, 일본 세 국가에서 황사와 사망 간의 연관성이 있는지, 연관성이 있다면 각 국가에서 연관성의 정도가 어떻게 다른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목표: 본 연구는 아시아의 세 국가 한국, 대만 일본의 각 도시 서울, 타이페이와 키타큐슈에서 황사가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황사가 일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Quasi-Poisson 분포를 가정한 일반화 부가 모형을 이용하여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기본모형에서 기온, 상대습도, 기압, 요일, 계절과 시간의 추세를 보정하였다. 또한 황사의 지연효과를 7일까지 고려하여 분석하였으며 추가 분석에서는 지역에서 기원하는 대기오염의 영향을 통제하고자 NO2, SO2 와 PM10을 각각 보정하였다. 외인으로 인한 사망은 분석에서 제외하였으며 질병별, 연령별로 층화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서울과 키타큐슈에서 황사가 사망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발견하였다. 서울에서는 65세 미만 사망(4.61%; 95% CI: 1.07, 8.28, lag 3: 5.17%; 95% CI: 1.63, 8.82, lag 4: 4.55%; 95% CI: 1.02, 8.2), 65세 미만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사망(lag 3: 37.53%; 95% CI: 12.85, 67.62), 65세 미만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lag 5: 5.32%; 95%CI: 0.48, 10.39)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키타큐슈에서는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사망(lag 2: 21.89%; 95%CI: 4.17, 42.63), 65세 미만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사망((lag 2: 126.15%; 95% CI: 45.32, 251.93, lag 3: 137.77; 95% CI: 52.48, 270.75),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lag 6: 12.45%; 95% CI: 0.14, 26.28), 65세 미만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lag 3: 44.36%; 95% CI: 4.38, 99.65)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반대로, 타이페이에서는 황사가 오히려 보호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사망 lag 0: -3.61%; 95% CI: -6.34, -0.80, lag 1: -3.46%, 95% CI: -6.19, -0.65), 65세 이상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사망(lag 0: -9.95%; 95% CI: -16.99, -2.3, lag 1: -8.15%; 95% CI: -15.31, -0.39), 65세 미만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lag 5: -10.59%; 95% CI: -18.78, -1.58)에 영향을 미쳤다. 결론: 본 연구는 아시아 세 국가의 도시에서 황사가 사망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을 발견하였다.

      •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at home and workplace among nonsmoking Korean adults residing in Seoul

        Prakash Dhamala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연구 배경: 한국 성인 남성의 흡연률이 다른 성진국 중 최고 수준인 것으로 알려져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성인의 간접흡연 노출 정도와 유형에 관한 정보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한국 정부가 흡연규제정책에 대해서 지난 수년간 강력한 노력을 해왔음에도, 기존 선행연구에 의하면 한국 아동 중 31% 가 집에서, 또는 비흡연 한국 성인 중 68%가 직장을 포함한 다른 공공장소에서 간접흡연에 노출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비흡연 한국인 성인들의 가정 및 직장내에서의 간접흡연 노출률을 추산하고, 간접흡연 노출과 관련된 사회인구학적 및 다른 특징들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2009년 질병관리본부에 의해 수행된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참조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비흡연 한국인 성인 17,904명(남성 5,966명과 여성 11,938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대상자들의 가정 및 직장내에서의 간접흡연 노출률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AS 9.2를 이용한 다중로지스틱 회기분석 모델을 사용하여 각변수별 오즈비와 그에 대한 95% 신뢰구간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비흡연자 중 약 1/3은 가정 혹은 직장내에서 간접흡연에 노출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가정에 비해 직장에서의 간접흡연 노출은 보다 빈번하였다. 가정내에서 여성의 간접흡연 노출 위험이 남성에 비해 2.51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직장에서는 남성보다 여성의 간접흡연 노출 위험이 0.43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 수준 혹은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가정 및 직장내에서의 간접흡연 노출 위험이 높은 것으로 보였다. 현재 비흡연자 중, 과거 흡연자들은 흡연 경험이 전혀 없는 사람들보다 전반적인 간접흡연에 더욱 노출되는 경향이 있었다. 연구 결론: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략 30%의 서울 거주 비흡연자들은 정기적인, 그리고 최근의 간접흡연 노출을 보고했다. 서울 거주자들의 전반적인 간접흡연 노출이 선행연구보다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금연 정책이 서울의 대부분의 직장 및 업무 현장에서 강화되어야 함을 명확히 나타내고 있다. 나아가, 공중보건의식과 캠페인이 가정 내 흡연 규제와 비흡연 규범을 촉진하는데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아울러 간접흡연에 대한 비자발적 노출이 건강에 미치는 유해성에 대한 지식을 증진시키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이는 흡연규제정책을 확립하고 시행하는 데 뒷받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Despite having one of the highest male smoking rates among advanced countries, information about the extent and pattern of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TS) exposure among Korean population is sparse. Although Korean government has been putting its tough efforts on tobacco control policies in Korea for several years,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31% Korean children at home and 68% non-smoking Korean adults in different places were exposed to secondhand smok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ETS exposure at home and workplace among nonsmoking Korean adults living in Seoul and to identify socio-demographic and other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ETS exposure. Methods: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was obtained from the Community Health Survey (CHS) conducted in 2009 by th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7,904 nonsmoking Korean adults aged 19 or over with 5,966 men and 11,938 women residing in Seoul at the time of survey. Descriptive and frequency statistics were used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prevalence of ETS exposure to the study population at home and in the workplac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appli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and the selected socio-demographic variables by using SAS 9.2 statistical tool. Results: Among the current nonsmokers, about one third of the nonsmoking respondents were found to be exposed daily to ETS either at home or in the workplace. ETS exposure was most common in workplace than home. Women were 2.51 times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ETS at home than men; however the risk of ETS exposure at workplace for women was 0.43 times lower than that of men. People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as indicated by low education level or manual workers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greater ETS exposure at home and in the workplace than those with high socioeconomic status. Of the total current nonsmokers, ex-smokers we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overall ETS than never smokers. Conclusion: From this study sample, approximately 30% of nonsmoking Seoul residents reported regular and recent ETS exposure. Although the overall ETS exposure of Seoul residents found to be less than some previously conducted studies, this study clearly suggests that smoke free policy needs to be strengthened at home and in most of the work places in Seoul.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hat public health awareness and campaigns are necessary to promote home smoking bans and nonsmoking norms. It is also essential to increase the knowledge on harmful effects of involuntary exposure to ETS on health that may be supportive for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tobacco control policies.

      • 대기오염이 천식으로 인한 입원에 미치는 영향 (서울, 상하이를 대상으로)

        전웅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Background : Asthma is a common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of the airways characterized by variable and recurring symptoms, reversible airflow obstruction. Common symptoms include wheezing, coughing, chest tightness, and shortness of breath and it is a high economic burden in our society. Many previous studies asserts that asthmatic disease affect many people and the prevalence of asthma is higher in well developed areas. Also, air pollution has been regarded as a contributor to asthma exacerbation. Aims :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associations of air pollution on asthma hospitalization and healthcare utilization in Seoul and Shanghai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 (NHI-Korea health insurance, SHIB-Shanghai health insurance). Methods : Air pollution levels and daily asthma hospitalization are linked by date. Therefore, this data could be analyzed with a time series design using generalized additive model. Dependent variable is daily hospital daily hospital admission for asthma and over-dispersed generalized additive Poisson models (quasi-likelihood) to estimate the association of asthma hospital admission with air pollution levels. Independent variables are PM10, SO2, NO2, and two day moving average lag used. Lastly, natural smooth (ns) functions were used to exclude unmeasured long-term, seasonal trends in the time-series dataset and potential nonlinear confounding effects. Results : On average, Daily hospital admissions for asthma were 21 counts in Seoul, 5 counts in Shanghai. In both areas, hospital admission for asthma was high in fall. The average of daily concentrations was 65㎍/㎥ (Seoul), 87㎍/㎥ (Shanghai) for PM10, 13㎍/㎥ (Seoul), 45㎍/㎥ (Shanghai) for SO2, 68㎍/㎥ (Seoul),59㎍/㎥ (Shanghai) for NO2, The means of daily average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12℃(Seoul), 17℃(Shanghai) and 61%(Seoul),69%(Shanghai). PM10, SO2, NO2 had moderatel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each other, and asthma hospitalization ha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air pollution. For these three air pollutants, the largest effects were observed at Lag 01 models (2-day moving average lag). In the season-specific analysis, stronger associations were observed in the fall season for PM10 in Seoul, fall seasons for SO2 in shanghai and fall seasons for NO2 in Shanghai. In two-pollutant models, the associations between hospital admission for asthma and PM10 were strong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eoul regardless of adjustment. Also, the associations between hospital admission for asthma and SO2, NO2 were strong after adjustment for PM10 in Shanghai. Lastly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on PM10 in Seoul, SO2 and NO2 in shanghai with hospital admission for asthma.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outdoor air pollution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asthma hospitalization in Seoul and Shanghai. In China especially Shanghai, Gaseous air pollutants (SO2, NO2) seemed to have larger effects on asthma hospitalization compared to PM10. In contrast, Seoul, Korea, PM10 had much higher risk on asthma hospitalization than that of SO2 and NO2.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ssociations of air pollution on asthma exacerba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asthma related policy decisions and resource distributions of public health. 연구배경 : 천식은 일반적으로 만성 염증성 질환이며, 가역적 기도 폐쇄가 특징적이고, 임상적 증상들로는 천명, 기침, 흉부 압박감, 호흡 곤란 을 포함 하며, 전세계적으로 3억명에 가까운 사람이 천식으로 인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 경제적 부담이 증가되고 있고, 특징적으로 도시화되고 산업화된 지역에서 유병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대기 오염은 천식의 악화에 기여한다고 여겨지고 있으며, 대기오염의 위험이 높은 중국에서는 천식증상을 겪는 전체인구가 3,000만명에 이르며, 한국에서는 성인의 질병부담 3위의 질환이다. 목표 : 본 연구는 한국의 서울과, 중국의 상하이 두 도시에서 의료보험자료를 이용하여, 대기오염물질이 천식의 입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대기오염 물질이 천식의 입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2001-2006년)과 상하이(2005-2011년) 의 의료보험자료, 기상자료 및 대기오염자료를 Quasi-Poisson 분포를 가정한 일반화 부가 모형(Generalized Additive Model)을 이용하여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종속변수로는 일별 천식에 따른 입원환자수, 독립변수로는 대기오염물질(PM10, SO2, NO2)를 설정하였다. 또한 본 모형에서 기온, 상대습도, 요일, 계절과 시간의 추세를 보정하며, 대기오염물질의 지연효과를 알아보고자 단일지연효과(1,2,3,4일)와 이동평균법(0~1일)를 함께 고려한 분석과 다른 대기오염물질의 영향을 통제하고자 NO2, SO2 와 PM10을 각각 보정한 추가분석을 실시 하였으며, 계절에 따른 영향 차이를 고려한 모형도 함께 분석하였다. 결과 : 평균적으로 일 평균 천식 입원 수는 서울에서 21회, 상하이에서 5회로 나타났으며, 두 지역 모두에서 천식에 따른 입원은 4계절중 가을에 높았다.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는 PM10의 경우 65㎍/㎥ (서울), 87㎍/㎥ (상하이), SO2의 경우 13㎍/㎥ (서울), 45㎍/㎥ (상하이), NO2의 경우 68㎍/㎥ (서울), 59㎍/㎥ (상하이) 로 나타났으며 일 평균온도와 상대습도는 서울에서는 12℃, 61%, 상하이에서는 17℃, 67%로 각각 나타났다. 대기오염물질간의 상관관계는 높았으며, 대기오염물질(PM10, SO2, NO2)과 일별 천식에 의한 입원 수도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세가지 오염물질의 지연효과는 이동평균법(lag01)을 사용하였을 때 대체로 큰 효과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보였다. 계절로 구분 지어 분석을 하였을 경우에는 PM10은 서울의 가을에, SO2와 NO2는 상하이의 가을에 가장 큰 영향을 보여주었다. 두 가지 대기오염물질의 혼합모형을 살펴볼 경우 PM10은 보정여부와 관계없이 서울에서만 유의한 영향을 보여주었고, SO2와 NO2는 상하이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PM10으로 보정하였을 경우에는 그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대기오염과 천식으로 인한 입원의 영향을 보는것으로 서울과 상하이 두 지역에서 비교연구를 한 것이다. 상하이(중국)에서는 가스성 대기오염 물질(SO2, NO2)이 PM10에 비해서 천식의 입원에 큰 영향을 가져오는 것으로 보이며, 이에 반해 서울(한국)에서는 PM10이 SO2 또는 NO2에 비해 천식으로 인한 입원에 더 큰 위험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 결과는 대기오염 물질과 급성천식의 악화가 뚜렷한 관련성이 있으며 국가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천식 및 호흡기 질환 정책 및 보건의료자원 배분에 활용 되어질 필요성이 있다.

      •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Long-Range Transport of PM2.5 Measured in Three Cities (Beijing, Seoul and Nagasaki)

        정승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PM2.5 was sampled in Beijing from November 2014 through April 2015, in Seoul from September 2013 through May 2015, and in Nagasaki from February 2014 to May 2015 during the GRL (Global Research Lab) monitoring campaigns. Chemical species of PM2.5 including 3 water-soluble ions (NO3-, SO42-, NH4+), Organic Carbon (OC), Elemental Carbon (EC), and other 17 elements were analyzed. High Concentration Events (HCEs) of PM2.5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National Ambient Air Quality Standards (NAAQS) of 24-h PM2.5 standard in three countries (China, South Korea and Japan) over the monitoring campaigns. From the Residence Time Analysis (RTA) results, the HCEs of PM2.5 in Beijing were observed for 52 days (out of total 111 sampling days) and 14 days were determined as Long-Range Transport (LRT) events. In Seoul, HCEs were observed for 92 days (out of total 279 sampling days) and LRT events occurred for 64 days. In Nagasaki, only 15 days (out of total 245 days) were determined as the HCEs and LRT events occurred for 13 days. PM2.5 average concentrations of Beijing, Seoul, and Nagasaki were found to be 118, 44, and 18 μg/m3 over the study period.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f PM2.5 chemical species during each classified events, for LRT event, PM2.5 mass levels were found to be 151, 79, and 48 μg/m3 in Beijing, Seoul, and Nagasaki, whereas for the Local event, PM2.5 levels were 238, 65, 48 μg/m3 in Beijing, Seoul, and Nagasaki.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sulf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air parcels moved towards the coastline of China and the Yellow Sea. In case of LRT event and Local event in three cities (Beijing, Seoul and Nagasaki), the PSCF results showed the different potential sources regions contributing to the elevated PM2.5 concentrations at each sampling site.

      • 채소류의 잔류생장조절제 모니터링 및 위해성평가

        최부철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연구목적 : 이 연구는 국내에서 쌈채소류에 주로 사용되는 농약 중 살균제와 생장조절제로 사용되는 디니코나졸, 파클로부트라졸, 유니코나졸의 잔류량을 조사하고 위해성을 평가하였다. 연구방법 : 2011년 6월부터 12월까지 국내최대 도매시장인 가락농수산물도매시장과 서울 강남지역 대형 마트 및 백화점 등에서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 중 겨자채 93건, 근대(적근대 포함) 245건, 엇갈이배추 162건 등 총 500건에 대하여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채소별 섭취량은 201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농약의 잔류량(평균잔류농도와 잔류허용치 초과농도)과 채소별 섭취량(평균섭취량과 극단섭취량)을 이용하여 계산한 농약의 1일추정섭취량(EDI)을 1일섭취허용량(ADI)과 비교하여 위해성(%ADI)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 농약별 정량한계는 디니코나졸 0.003 mg/kg, 파클로부트라졸 0.008 mg/kg, 유니코나졸 0.008 ~ 0.013 mg/kg으로 나타났고, 회수율은 80.0 ~ 110.0 % 였다. 조사한 시료 중에서 디니코나졸 7건, 파클로부트라졸 7 건, 유니코나졸 42건이 검출되었으며 잔류농도는 각각 0.145 ~ 1.318 ㎎/kg, 0.100 ~ 1.002 mg/kg, 0.088 ~ 17.9 ㎎/kg 였다. 유니코나졸은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에서 설정한 잔류허용기준인 0.01 mg/kg과 비교하면 42건 모두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잔류농도와 채소의 평균섭취량을 곱하여 구한 디니코나졸과 파클로부트라졸의 %ADI는 0.027 ~ 0.068, 유니코나졸의 %ADI는 0.215 ~ 2.525로 나타났고, 극단섭취량(95 % tile)에 대한 디니코나졸과 파클로부트라졸의 %ADI는 0.152 ~ 0.392, 유니코나졸의 %ADI는 1.102 ~ 14.491 이었다. 이는 모두 100 %ADI보다 작은 수치로 만성 독성 위험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잔류허용치(MRL, maxinum residue level) 넘은 채소를 섭취한 사람에 대해 %ADI를 구한 결과, 유니코나졸이 잔류한 3종 채소를 섭취한 사람의 경우 100 %ADI를 넘는 건이 있었고, 특히 근대를 섭취한 극단섭취자에게는 최대 565.2 %ADI를 나타내었다. 결론 : 2011년 6월부터 12월까지 서울지역에 유통되는 쌈채소류에서 생장조절제 및 살균제로 사용되는 디니코나졸, 파클로부트라졸, 유니코나졸 잔류농도를 조사한 결과, 56건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고, 유니코나졸은 검출 42건이 모두 EPA기준을 초과하였다. 3종 농약의 평균잔류농도를 이용한 %ADI에서는 위해성이 낮아보이나, 잔류허용치 초과농도의 채소를 섭취한 경우에는 일부농약에서 100 %ADI를 넘는 건이 있었고, 특히 극단섭취자는 최대 535.2 %ADI를 보여 위해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